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틱 증상 감소와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창미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on Tics and Self-expression of Child with Tic Disorder Chang- mi Woo Department of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care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Min Kim) This study is an inquiry into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reduction of tics and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tic disorder through a single cas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fourth-grade male student attending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A in the province of South Chungcheong, complaining of tics and difficulties with self-expression. For this study, a 40-minute therapy sess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9 months from January 10, 2014 to September 12, 2014. A total of 32 sessions, categorized as initial?middle (Ⅰ?Ⅱ), and final stages, were conducted. Specific changes in the subject's tics and self-expression were observed by analyzing the therapy process, which was recorded during each session. To observe the changes in tics, preliminary and follow-up examination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Korean version of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YGTSS); and to observe the changes in tic frequency, number of tics were checked during each session and analyzed. Utilizing observation records on self-expression and assessment records on the ability to self-express through art, changes in self-expression were measured during each session, and analyzed by researchers as well as art therapy specialists. In addition, House-Tree-Person tests (HTP) were conducted as preliminary and follow-up examinations.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ics in a child with tic disorder. Comparison of scores from Korean version of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YGTSS) show a 51.6% reduction with a score of 64 from preliminary examination to a score of 31 in follow-up examination in home-based assessment, and a 60.7% reduction with a score of 84 from preliminary examination to a score of 33 from follow-up examination in clinic-based assessment. In addition, observation records for tic behavior show that number of vocal tics, which was approximately 160 in the initial stage, gradually decreased as the program progressed; and after the 19th session, a noticeable decrease in the number could be observed with less than 10 or none at all. Second,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tic disorder. A look into the changes in problematic behavior in self-expression in each session shows a 65.4% reduction from an average of 2.89 in the initial stage to an average of 1.00 in the final stage. In addition, the score for ability to self-express through art improved by 60.3% with a score of 9.20 in the initial stage to 14.75 in the final stage. This study shows that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of tics and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tic disorder. keyword : art therapy, tic disorder, self-expression 국문초록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틱 증상 감소와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우 창 미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틱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단일사례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A시의 C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틱 증상과 자기표현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4학년 남아이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 10일부터 2014년 9월 12일까지 주 1회씩 40분 치료를 9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초기?중기(Ⅰ?Ⅱ)?종결 단계로 나누어 총 32회기를 진행하였다. 대상아동의 틱 증상과 자기표현력의 구체적인 변화는 매 회기 녹취하였던 회기 과정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틱 증상의 변화를 보기 위해 한국어판 예일 틱 증상 평가척도(YGTSS)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틱의 빈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매 회기마다 틱의 횟수를 체크하여 분석하였다. 자기표현력 변화는 자기표현력 관찰기록지와 미술자기표현능력 평가지를 사용하여 매 회기마다 측정하여 연구자와 2인의 미술치료 전문가가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틱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예일 틱 증상 평가척도(YGTSS)의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가정평가용 사전검사가 64점에서 사후검사 31점으로 51.6%로 감소하였고, 임상가용 사전검사는 84점에서 사후검사 33점으로 측정되어 60.7%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틱 행동 관찰기록지에서 초기에는 음성 틱 횟수가 160회를 전후하던 것이 프로그램 진행 중 점차 줄어들었고, 19회기 이후 아예 없거나 10회 이하로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기별 자기표현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초기 평균 2.89였으나 종결 평균은 1.00으로 65.4%의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초기에 9.20점으로 나타났던 미술자기표현능력은 종결 14.75로 60.3%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미술치료가 틱 장애 아동의 틱 증상 감소와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미술치료, 틱 장애, 자기표현력

      •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성향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우창미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중년위기감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대도시(특별시·광역시), 중소도시(시·군·구), 농촌(읍·면 지역)에 근무하는 40~65세 중년층 직장인을 대상으로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대상자 수는 313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PC+ Window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1을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비교분석인 t-test와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 석을 실시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bootstrap 검증 시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는 평균 중심화하였고, 조건부 효과분석을 위한 조건은 M±SD와 M으로 하였으며, 유의성 영역은 Johnson-Neyman의 조명등 분석법(floodligh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 불안,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중년위기감은 중년 직장인의 성별, 연령, 결혼 상태, 근무년수, 학력,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퇴직 불안은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 중년위기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감사성향은 퇴직 불안과 중년위기감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과 중년위기감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감사성향과 중년위기감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 → 감사성향 → 중년위기감의 경로를 조절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년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이르는 부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에서 중년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중년직장인들의 중년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실험연구를 통해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등 상담 관련 변인들의 실질적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그리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후속연구로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ducing the crisis sense by identify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retirement anxiety on the midlife crisis sense via the gratitud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4 weeks from May to June 2022 for middle-aged office workers aged 40 to 65 who work in large cities (special cities/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edium cities (si/gun/gu), and rural areas (eup/myeon areas). The number of subjects used for analysis was 313,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C+ Window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1.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using SPSS PC+. And by using PROCESS macro,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analyz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condition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 set at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at 95% during the bootstrap verification. I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ere average-centered, and the conditions for conditional effect analysis were M±SD and M, and Johnson-Neyman's floodlight analysis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area 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age, marital status, years of servi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Second, retirement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self-estee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midlife crisis sense. Third, gratitud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and midlife crisis sense. Fourth, self-estee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and midlife crisis sense. Fifth, self-estee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middle-aged crisis sense. Sixth, self-esteem moderated the path of retirement anxiety → gratitude disposition → midlife crisis sens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esteem decreases the negative (-) effect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retirement anxiety leading to a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via gratitude tendency.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prepare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the gratitude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develops a counseling program that can reduce the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workers by improving the gratitude and self-esteem, and conducts experimental research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counseling-related variables, such as gratitude and self-esteem, and an expanded study targeting various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