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우영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s severe food and economic crisis has led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expatriates to flow into South Korea, and the percentage of women, family and school age youths among the expatriates has been on the rise. South Korean government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other organizations in private sector have provided North Korean expatriates with a wide range of supports to cope with the changes in quality and quantity of North Korean expatriates. Meanwhile, the necessity to study on North Korean expatriate youths and college students has been raised, and relatively activ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regarding social, cultural and emotional adjustment and school life of North Korean youth expatriates who are in their primary and high school ages. On the contrary, study efforts have hardly been made with regard to their college life an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from high schools despite those efforts are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aforesaid,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identify the aspects of adjustment of North Korean expatriate college students on campus by classify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factors related to the course of departing North Korea, academic ability factors and support system factors; and the types of education before admission to colleges were classified into those from individu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rom alternative schools, from junior/se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and enrollees from North Korean colleges. The aspects of adjustment were subdivided into academic, social, emotional adjustments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lso, th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n expatriates' adjustment to campus life and the difference in their adjustment on campus were analyzed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education before admiss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85 North Korean expatri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23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in region. Further,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5 students selected by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1:1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8 students chosen considering the types of education before admission. As the measurement tool for quantitative research, Student Adap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was used, which was firstly designed by Baker and Siryk in 1984 and later translated by Eun-hee Jeong in 1993; and for qualitative research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n expatriates' adjustment on camp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ir economic level, computer proficiency and participation in class and club activities are, the higher the academic adjustment is achieved. Second, better social adjustment was found to rely on higher level of economic life, English proficiency and participation in class and club activities. Third, emotional adjustment increases in proportion to excellence in second language skills, participation in class and club activities and mentors. Fourth, higher institutional attachment was found to be achieved by higher level of economic life, more experience of living in a third country, higher proficiency in English and computer and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club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to campus life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expatriate college students as college year, economic level, experience of living in a third country, residential period in South Korea, language proficiency, computer skill, mentors, and participation in class and club activities. In terms of the types of education before admission, enrollees from North Korean universities showed higher level of academic adjustment than those from individual qualification examination, alternative schools and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but their emotional adjustment was quite the opposite. As this study deter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n expatriates' adjustment to campus life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on campus depending on each factor, it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seek for directions of support policies. Moreover, further subsequent studies are required to deal with other factors related to North Korean expatriates' adjustment to campus life, specific policies and support plans and their employment and course of life after graduation.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인구학적 특성 및 입학 전 교육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으로 인해 남한으로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양적·질적 변화가 생기면서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출신 청소년 및 대학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초·중·고등학생에 해당하는 북한출신 청소년의 사회·문화·정서적 적응과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들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대학생활 및 진로선택의 문제 앞에서 상당히 어려워하고 있는 북한출신 대학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자는 북한출신 대학생의 인구학적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탈북과정 요인, 학업능력 요인, 지원체계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대학 입학 전 교육 유형을 개인검정고시 출신, 대안학교 출신, 남한중고교 출신, 북한대학편입 출신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일반적 적응으로 세분화 한 후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인구학적 특성과 입학 전 교육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서울·경인지역에 소재한 2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북한출신 대학생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지 조사 참여자 중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25명에게 개방형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 입학 전 교육 유형을 고려하여 선정한 8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양적 조사의 측정도구로는 Baker와 Siryk이 1984년에 제작한 후 정은희(1993)가 번안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tudent Adap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사용하였고, 질적 조사를 위하여 조사대상자가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방형의 질문지와 반 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적 조사결과로부터 얻어진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학업적 적응은 경제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활용능력이 뛰어날수록, 학과·동아리활동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 적응은 경제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영어능력이 뛰어날수록, 학과·동아리활동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적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정서적 적응은 제2외국어 능력이 뛰어날수록, 학과·동아리활동참여도가 높을수록, 멘토가 있는 학생들의 정서적 적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일반적 적응은 경제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제3국체류경험이 많을수록, 영어능력 및 컴퓨터활용능력이 뛰어날수록, 학과·동아리활동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일반적 적응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북한출신 대학생들의 인구학적 특성 중 학년, 경제생활수준, 제3국체류경험, 남한거주기간, 어학능력, 컴퓨터활용능력, 멘토의 유무, 학과 및 동아리활동 참여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입학 전 교육 유형에 있어서는 북한대학편입 출신 학생들이 개인검정고시 출신, 대안학교 출신, 남한중고교 출신 보다 학업적 적응도가 높았으나 정서적 적응에 있어서는 정반의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기 때문에 정부와 교육기관 그리고 민간단체의 정책 및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후속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그 밖의 요인과 구체적인 정책 및 지원 방안, 그리고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에 관한 연구들이 상호 연결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생약재 혼합조성물의 골수 지지세포 증식과 방사선 방호 효과

        禹永鎬 순천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extracts and its ingredients(Angelica gigas, Paeonia japonica, Cnidium officinale) on the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cytokine expression and hematological change of mice irradiated with low dose of γ-radiation. Three herbal plant extracts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isolated from Balb/c bone marrow. Mixture extracts of two or three ingredients induced the synergic effects of stromal cell proliferation. Expecially, mixture extracts of three ingredients induced IL-4 and TNF-α beside IL-7 and SCF mRNA expression by stromal cells. The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treated with polysaccharide fraction of three ingredient mixture were far better than the methanol, ethanol and water fraction. These total fraction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isolated from γ-irradiated mice. Total fraction administration before irradiation with i. p. also protected the hematological change of mice irradiated with low dose of γ-radiation. Although the mechanism of this inhibitory effect remain to be elucida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fraction of three ingredient mixture might be a useful radioprotector, especially since it is a relatively nontoxic natural produc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haracterize better the protective nature of herbal mixture extract.

      • 7075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 표면결함에 미치는 금형 냉각의 영향에 대한 미세조직 분석

        우영호 안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루미늄 합금 중에 가장 높은 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합금의 하나인 7075 알루미늄 합금이며, 우수한 내식성과 가공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경량소재로써 열처리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산업, 자동차산업과 같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 현재 일부분 압출공정으로 자동차, 항공산업에서 필요한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2, 3].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가공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위해 높은 수준의 균일한 강도와 피로특성을 가지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체 공정 조건과 열처리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압출순간의 중요한 가공조건을 확인하기 어려운 공정의 특성으로 원하는 특성의 압출재를 얻기 위해서는 개발과 생산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는 경우가 흔하다. 압출재의 개발 마지막 단계는 압출재의 특성 평가이다. 제조된 압출재의 특성을 보고 공정을 보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압출재의 특성평가 또한 중요하지만 세심한 시험이 진행되어야 시행착오를 줄이고 고품질의 압출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출재의 특성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미세조직 분석과 인장시험의 활용이다. 부피와 면적이 큰 압출재를 국부적인 미세조직으로 평가하는 것이기에 샘플 채취, 측정 부위 및 방법 선정에 따라 경과는 크게 변한다. 인장시험의 경우도 단순한 강도 및 연신율 값으로만 공정 조건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4-8]. 본 연구에서는 7075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공정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소재와 압출재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과 기계적 물성 연구 및 압출재에서 금형 냉각 유무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기계적 물성을 연구하였다[9-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