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사의 불간섭 행동이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성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s the career environments becomes increasingly value-oriented and self-initiated, it is necessary for employees to perform more proactively in order to meet their own employability or career success and challenging goals of organizations. A increasing body of research found that proactive career behaviors bring positi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l performanc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areer pro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in organizations. First, the study investigates how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may impact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mechanisms of career self-efficacy between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and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Third,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factors in career proactivity domains, this study selects situational contexts that may increase extents in engaging proactive career behaviors. Needs-Supplies fit is examined as an enhanc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and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Lastly, this study applies a high-order structures concepts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Among various proactive concepts, this study adopts a behavior approach and investigates a concepts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tested using data from full-time 370 employees located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 company. The results supported that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n proactive career behaviors after controlling for control variables. Also,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noninteference behavior and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Contrary to the predictions, the moderating effects of needs-supplies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and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were not significant. The current findings have some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literature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career research by considering career theory through the lens of career proactivity theory.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career proactivity research by examining antecedents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Second, this study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on subordinates' proactive career behaviors.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leadership theory by considering supervisor's behavior through the lens of attatchment theory. Lastly, this study has adopted social cognitive theor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why individuals may perform proactive career behaviors. Also, the significant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have implied that career self-efficacy may be a linking mechanism between supervisor's noninterference behavior and subordinates' proactive behaviors. Despite its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designs and limited variables, this study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by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career proactive behaviors in new domain of proactivity literatures. Especially, the finding of mediating mechanism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proactive career behaviors. 종업원들은 커리어 환경이 점점 가치지향 및 자기주도화 됨에 따라서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적인 목표의 충족과 자신의 경력성공 또는 고용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더욱 주도적인 커리어 관리를 요구받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종업원들의 주도적 행동이 보여주는 개인적 및 조직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조직에 있어서의 종업원들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의 선행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상사의 불간섭 행동이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상사의 불간섭 행동과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커리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조사한다. 셋째, 본 연구는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요인을 조사한다. 사람-직무 적합성의 하위 차원인 요구-공급 적합도는 상사의 불간섭 행동과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의 관계를 증가시켜주는 상황요인으로 조사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커리어 주도적 행동에 대해 다차원 구조 개념을 적용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주도성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서 행동주의 접근법을 채택하고 주도적 커리어 행동의 다차원적 개념을 조사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실증하기 위해서 전국 소재 300인 이상의 사기업에 종사하는 3년 이상의 정규직 재직사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AMO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의 불간섭 행동은 통제변수를 투입한 후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과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상사의 불간섭 행동과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커리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는 반대로, 상사의 불간섭 행동과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에 있어 요구-공급 적합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현재의 연구에 몇 가지의 중요한 기여를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주도성 이론이라는 렌즈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커리어 행동을 조명함으로써 커리어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고 주도적 커리어 행동의 선행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주도성 연구에 기여한다. 둘째, 본 연구는 상사의 불간섭 행동이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에 미치는 중요성을 이해하게 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애착이론이라는 렌즈를 통해 리더십을 조명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커리어 행동을 하는 이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사회적 인지 이론을 채택했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한 연구 결과는 커리어 자기효능감이 상사의 안전기반 지원 행동과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의 매개장치라는 것을 암시한다. 횡단연구와 제한된 변수의 사용이라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주도성 연구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인 커리어 주도성 분야에서 종업원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의 선행요인을 기질요인이 아닌 상황요인에서 발견하였다. 이런 점은 상사의 불간섭 행동 자체가 부하의 주도적 커리어 행동을 끌어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황요인인 상사 불간섭 행동과 주도적 커리어 행동 간의 매커니즘을 발견하였다는 점은 주도적 커리어 행동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였다.

      • 라인 인터렉티브 동적전압보상기에 관한 연구

        우성민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cept of Flexible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Systems(FACTs) and Custom Power is widly studied by the researcher. FACTs use Powe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to control the high-voltage side of the network for improving the power flow. Custom Power is for low-voltage distribution, and improving the poor power quality and reliability of supply affecting factories, offices and homes. Custom Power Devices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their structures such as Dynamic Voltage Restorer(DVR), Distribution STATCOM(DSTATCOM) and Unified Power Quality Compensator(UPQC). The main purpose of DVR that injects voltage in series with a distribution feeder is reducing the effect of short-term voltage sags, dips, swells and momentary interruptions. The DVR is capable of generating and absorbing the voltage independently controllable real and reactive power. The proposed system have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absorbing voltage by self-charging control technique. This system has three states : 1) normal operation, 2) charging operation and 3) recharging operation. The paper discusses control issues and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The proposed control technique is applied to DSTATCOM for protecting voltage sags, swell and momentary interruption. The dynamic performance is analysed and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최근 전력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Custom Power Systems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Custom Power는 FACTs와는 달리 배전용 시스템을 위한 기기로서 배전라인의 접속방법에 따라 직렬형, 병렬형 그리고 직병렬형의 세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순간적인 전압강하 또는 전압상승을 보상하는 기기로는 Dynamic Voltage Restorer라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Dynamic Voltage Restorer는 배터리나 커패시터의 충전장치가 따로 필요하고 또 직렬주입식변압기가 필요하다. 또한 이로 인하여 배전라인에 또 다른 고조파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ynamic Voltage Restorer의 구조를 개선하여 직렬주입식 변압기를 제거하고 직접 라인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순간전압강하나 순간전압상승이 지속 되더라도 배터리나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부가장치가 필요 없으며 제안된 Self Charging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할 수가 있다. 제안한 구조와 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 한국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

        우성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not an uncommon disease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quality of life (QOL) in Korean patients with OSA. I studied the QOL of patient with OSA and compared it to normal control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OL. This is a case-control study comparing the QOL of 136 OSA patients with those of 126 controls.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QOL and the subjective symptoms, all subjects completed various questionnaires, including all the Korean versions of SF-36,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the Insomnia Severity Index,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2, and the Hospital Anxiety Scale. The QOL in patients with OSA was lower than those in controls. The severity of OSA is not associated with the worsening of QOL. The related factors with QOL are the degree of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QOL in OSA patients is the HAS, the ISI and the BDI-2. These findings show that OSA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QOL of Koreans. The QOL impairment for Koreans with OSA relates to the degree of anxiety, insomnia and depression. 한국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하지만 한국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는 한국인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을 조사하였고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이며 136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126명의 대조군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삶의 질, 주관적 척도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Medical Outcome Study Short Form-36(SF-36),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K), Epworth Sleepiness Scale(KESS), Insomnia Severity Index(ISI), Beck Depression Inventory-2(KBDI-2), Hospital Anxiety Scale(HAS)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삶의 질과 연관이 없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과 연관된 인자는 불면증심각도, 주간졸림증정도, 수면의 질, 우울정도, 불안정도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과 가장 연관된 요인은 불안정도, 불면증심각도, 우울정도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동반된 불안증, 불면증, 우울증을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기반 역량(Foundation Competency)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H사를 중심으로

        우성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역량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된 기반 역량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구성원의 행동변화에 따른 역량강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와 미이수자간의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이수자 집단내에서 동일한 교육을 받은 이수자라 하더라도 개인적 특성에 의해 학습내용의 내재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와 미이수자간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간에도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고, 실증연구를 위해 H사의 조직구성원 중 본 교육과정을 수료한 교육 이수자와 교육 미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유효표본 각각 104부 및 88부를 회수하여 그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1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20일이 소요되었고, 자료수집은 사내 전자우편과 물류 이동행랑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적용된 주요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T검증(t-test),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사원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지 않은 사원들에 비해 고객지향, 성과중심, 창의적 행동, 기업가 정신, 책임감, 신뢰성, 팀윅 등 7개 역량 모두에서 각 역량의 이해도 및 내재화 정도가 높았다. 둘째, 교육 이수 여부와 직급에 따른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 차이는 고객지향과 신뢰성을 제외한 성과중심, 창의적 행동, 기업가 정신, 책임감, 팀웍 등 5개 역량부분에서 직급과 교육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이수 여부와 직종에 따른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 차이는 각 직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에 따라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는 H사만을 대상으로 한 한정된 표본 대상의 선정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이 교육실시 전 ·후의 동일한 집단에 대해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바, 보다 일반화될 수 있는 검증 결과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업, 조직, 계층 및 업종에 대해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결과 과장급 이상의 고급 관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 효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대리급 이하 사원들의 역량 내재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직종의 경우에는 영업직과 관리직의 사원들에 비하여 생산직과 연구직 사원들의 기반 역량 내재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들 직종의 사원들을 위한 기반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이외의 다른 역량 내재화 방법의 검토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반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조직구성원 행동 평가 즉, 3단계 평가까지만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차후의 후속연구에서는 기반 역량 뿐만 아니라 직무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H사가 아닌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이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진일보한 연구 결과를 얻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effects of the foundation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 which is designed based on the competency theories - on members' behavioral changes and reinstatement of their competency.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the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group(who underwent the foundation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who did not undergo such a program) would be tested. Second, the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among test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would be tested. Accordingl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 Hypothesis 1.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s. Hypothesis 2.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among test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urvey, those employees of "H" company were sampled to be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The sample size for the test group was 104 (persons), while that for the control group was 88 (pers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from October 1 to 21, 2001. The data were collected via in - company electronic mails and delivery service system. T he collected dat 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PC+ program for T - test and two-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test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under standing and internaliz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7 areas : customer - oriented mentality, focus on performance, creative behavior, entrepreneur ship, responsibility, reliability and teamwork. Second,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ducation effects and their internaliz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pending on ranks in the 5 areas except customer - oriented mentality and reliability : focus on performance, creative behavior, entrepreneur ship, responsibility, and teamwork. After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ranks and education program.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s and depending on the job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 First, since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the sample size is limited and that a same group was not tes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on diverse companies, organizations, ranks and business typ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sinc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ere higher in high ranking employees (department managers or abov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intern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for the lower ranking employees. Third, since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less internalized for production and research personnels than marketing and managing personne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former group, while exploring other ways to have them internalize the foundation competency. Fourth, s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organization members through three stages only based on their foundation competency,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test the education programs for not only the foundation competency but also job competency, and at the same that they will encompass a wider range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 OSC·AppleScript를 활용한 공연장 AV 시스템 통합제어에 관한 연구

        우성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연장의 AV 시스템(audio video system)은 각종 다양한 음향·영상 장비들이 서로 호환성을 유지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무대 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을 위한 설비, 관객을 위해 객석으로 송출되는 음향·영상 설비, 분장실·백스테이지(back stage)의 출연진과 스텝(staff)들을 위한 방송·통신 설비, 로비(lobby)·휴게실과 같은 관객 서비스 공간을 위한 방송설비 등 구역별로 각각의 기능에 맞춰 공연장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설치, 운용되고 있다. 공연장 음향감독은 무대에서 실연(實演)하는 공연을 위한 음향뿐만 아니라 관객을 위한 안내방송과 출연진 및 스텝, 각 제어실(control room)을 위한 방송 등 공연장의 다양한 구역으로 음향과 영상을 송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음향·영상 장비들을 다루게 되는데 영상감독이 있는 공연장을 제외한 대부분 공연장에서는 음향감독이 영상 장비까지 다루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공연장의 각 구역으로 필요한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공연 전 예비종, 비상 대피 안내방송, 본종 등의 시그널(signal) 음향도 송출해야 한다. 또한, 영상 녹화 및 녹음, 카메라(camera), 비디오 프로젝터(video projector)와 TV 같은 음향·영상 설비를 적절하게 운용하여 공연장을 찾는 관객과 출연진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방송설비를 조작해야 한다. 공연장에 음향·영상 관련 전문인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음향감독이 대부분 위에서 언급한 일들을 처리해야 하는데 실제 공연을 준비하다 보면 놓치게 되는 부분도 있고 실수를 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반복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화하거나 작업 처리 절차를 단순화하여 AV 시스템 운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공연장 음향감독을 대상으로 안내방송 등 AV 시스템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공연장 안내방송과 관련한 AV 시스템 운영 실태와 현장 전문가들의 문제 인식이 본 연구의 배경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장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연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음향·영상 장비와 관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조작을 큐 프로그래밍(cue programming)을 통해 단순화하거나 자동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컨트롤하고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통합리모트 컨트롤러(integrated remote controller)를 제작했다. 연구 결과 현재 운용 중인 시스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 등의 필요조건을 충족한다면 새로운 장비의 도입이나 시스템의 변경 없이도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안내방송 등과 관련한 복잡한 절차를 단순화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제시된 AV 시스템 통합제어 방법은 공연장 음향감독을 비롯한 시스템 운영자들이 안내방송 등과 관련한 AV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용하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자율성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성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autonomy, employee engage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 The other purpose was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job autonomy, employee engagement in the relation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total of 277 complete responses from the employees who work at the companies which are a member of the top 30 group in South Kore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sis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he study findings follow. First, we found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autonomy and employee engagement,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But, coaching leadership h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Second, job autonom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employee engagement. But, job autonom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no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employee engagemen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job autonomy cause mediation effect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But, job autonomy do not lead to mediation effect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Fifth, employee engagement do lead to mediation effect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Sixth, job autonomy and employee engagement do lead to dual mediating effects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lso, job autonomy and employee engagement do lead to dual mediating effects in its relation with coach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job autonomy and employee engagement as well as coaching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 by verifying that coaching leadership affects the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autonomy and employee engagement, based on a survey of the top 30 group companies in South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a conclu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업 간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고, 보다 확고한 조직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바로 리더십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리더십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한편 과거의 명령 하달식 권위주의적인 리더십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인식이 늘어나면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대안으로 코칭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분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성 과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이들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30대그룹의 계열사에 근무하는 직원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자율성, 직원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직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코칭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직무성과와 직원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직무자율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영향이 아닌 정적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직원몰입은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코칭 리더십이 직원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와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직원 몰입의 매개효과와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자율 성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30대그룹 기업의 조사를 바탕으로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과 직원몰입읕 통해 조직의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함으로써 조직내에서 코칭리더십 뿐만 아니라 직무 자율성과 직원몰입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전해/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빌드업 기판용 구리 비아 필링

        우성민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uild-up process consists of metallization of via-holes to connect conductive layers. In this study, desmear treatment, electroless plating, and electroplating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Cu via filling in PCB (printed circuit board). The desmear treatment consists of swelling, etching, reduction, and acid dip. Seed layer forms on via surface by electroless Cu plating. For Cu via filling, electroplating of Cu from an acid sulfate bath containing typical additives such as PEG (polyethylene glycol), chloride ions, bis-(3-sodiumsulfopropyl disulfide) (SPS), Janus Green B (JGB) was carried out. Desmear treatment clearly removes the laser drilling residues and improves the surface roughness, which is necessary to have good adhesion of Cu. Homogeneous and thick Cu seed layer was deposited with the samples after desmear treatment. The 2,2'?Dipyridyl additive significantly improves the seed layer quality. The SPS, PEG, and JGB additives are necessary to have defect-free bottom-up super filling.

      •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to control hemoptysis: comparison of N-Butyl 2-Cyanoacrylate and polyvinyl alcohol particles

        우성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wa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compar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two embolic agents (polyvinyl alcohol [PVA] particles vs. n-butyl 2-cyanoacrylate [NBCA]) fo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for control of hemoptysis. Methods: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ed this retrospective study; informed consent was waive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406 patients (M:F = 242:164; 6-92 years) with major hemoptysis underwent BAE using PVA particles (n = 293) or NBCA (n = 113).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complications, hemoptysis-free survival rates, the causes of recurrent hemoptysis were compared between PVA and NBCA groups. The differences in hemoptysis-free survival rates were also assessed between subgroups stratified to underlying diseases. The predictive factor for recurrent hemoptysis was identified with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Resul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93.9% (275 of 293) and 96.5% (109 of 113) of patients for PVA and NBCA, respectively (P = .463); cli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92.2% (270 of 293) and 96.5% (109 of 113) of patients for PVA and NBCA, respectively (P = .180). The 1-, 3-, and 5-year hemoptysis-free survival rates were, respectively, 77%, 68%, and 66% for PVA and 88%, 85%, and 83% for NBCA (P = .010). Recanalization of previously embolized vessels was more frequent in the PVA group (21.5%) than in the NBCA group (1.8%; P < .001). The NBCA group showed hemoptysis-free survival rates superior to the PVA group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P = .016). The use of PVA (P = .050) and aspergilloma (P < .001) were predictive factors for recurrent hemoptysis. Conclusions: BAE with NBCA provided higher hemoptysis-free survival rates compared with PVA particles without increasing complication rates. This improvement was evident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and seems to be caused by a more durable embolic effect than PVA part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