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대학생의 창업행위에 있어서 창업교육의 이중매개효과와 창업지원환경의 조절효과 연구

        왕지아통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속적인 경제 발전에 대한 창업의 역할은 이미 세계 각국 정부의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기업자 정신 교육은 창업 촉진에 주 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은 고등 교육의 역사적 사명과 신세대 창업형 대학의 중요한 유전자와 요소이다. 이는 대학교 내부 본질적인 발전에 주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 이론, 삼원상호작용이 론, 자기효능감 이론과 셀프리더십 이론을 바탕으로 창업교육 분야의 선행연구에 대한 회고와 정리를 결합하였다. 본연구의 연구에 근거한 연구의 문제점과 내용으로 중국 절강성 5개 대학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165부의 유효한 설문결과를 얻었으며 잠재변수 경로분석, 매개효과 검열 프로그램, 조절효과 검열 프로그램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로써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의 다양한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고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6ES” 이론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 자정신교육이 창업의지 단일매개 효과로 창업의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교육은 창업동기와 창업의지로 구성된 이중매개 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창업행위에 현저히 영향을 미친다. 넷째, 창업 교육은 창업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로 구성된 이중매개 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창업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창업교육은 셀프리더십과 창업의지로 구성된 이중매개효과를 통해 창업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창업지원환경은 창업의지가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 있어서 현저한 조절 효과가 있다. 여섯째, 창업지원환경은 창업행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정에 있어서 현저한 조절효과가있다. 본 연구의 혁신점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6ES” 이론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 이론, 삼원상호작용이론, 셀프리더십 이론과 자기효능감 이론 등 관련 이론들을 근거로 창업교육 관련 연구 성과 및 창업행위 및 그 영향 조건 간의 관계를 정리하고 결합하여 관찰하였다. 혁신적인 창업교육, 창업의지, 창업동기, 창업 자기효능감, 창업 지원환경 및 창업행위 등 7개의 구상을 하나의 연구 틀에 유기적으로 통합하였으며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6ES” 이론 모델을 구축하였다. 매개변수 통합, 표준화 경로계수 원리, 잠재변수 경로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열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적으로 매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간접영향 메커니즘에서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경로 효과를 심층 발굴하였다. 창업 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각종 영향의 메커니즘을 제시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과 이론 도구를 제공하였다. 둘째,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메커니즘 경로를 발굴했다. 직접적인 영향 메커니즘 분석과 간접적인 영향 메커니즘 분석을 통합하여 잠재변수 경로효과,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열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 연구와 세분화 연구를 통해 이론 추진형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메커니즘과 가능한 다양한 간접적 영향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발굴하였다. 이는 직접적인 영향 메커니즘 경로 효과, 단일매개 영향 메커니즘 경로 효과, 이중매개 영향 메커니즘 경로 효과 및 조절 영향 메커니즘 경로 효과를 포함하였으며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경로를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제공하였다. 셋째, 창업교육 연구범위를 넓혔다. 기존 학자들의 창업교육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단일 변수를 위주로 했다. 종종 창업교육을 독립변수로 하여 창업교육의 임의의 결과 변수를 연구했다. 이러한 연구는 독립변수로 보이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의 시각이 지나치게 단일하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것은 창업교육이 다양한 영향변수를 통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경로이다. 그중 창업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가지 요소가 있다. 이는 창업교육, 창업동기, 창업의지, 창업 자기효능감, 창업지원환경을 포함한다. 이 6가지 요소는 창업교육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의 연구범위를 크게 풍부하게 하였고 후속 연구에 실질적 뒷받침과 이론의 귀감을 제공하였다. 넷째, 창업지원환경이 창업의지에서의 창업행위에 대한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적으로 창업지원환경을 조절변수로 이론 모델에 도입하였다. 기업가 정신교육 배경 아래에 창업지원환경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창업행위의 조절효과에 대한 고찰, 창업의지가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열었다. 본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배경, 연구내용과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기술한다. 제2장은 연구현황 정리로 관련 이론의 기초와 연구 성과에 대하여 회고하고, 정리하며,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하고 이론적 모델을 구축한다. 제3장은 연구 설계와 설문지의 설계 과정 및 변수의 선별, 설문지의 배포와 수집 상황, 데이터 분석 방법, 유효 표본 묘사성 통계 등을 기술한다. 제4장에서는 계량기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사를 위해 SPSS20.0 소프트웨어와 AMOS22.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창업행위와 그 영향 요소인 각 계량기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이 창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경로 분석을 위해 AMOS22.0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잠재변수 경로분석, 매개효과 검열절차와 조절효과 검열절차를 사용한다. 제5장은 연구 결론과 전망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주요 혁신 점을 추출하고, 대학 창업교육 실천 및 창업지원환경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동시에 본 연구의 부족한 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activities in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has drawn great attention from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an irreplaceable role in promoting entrepreneurship activiti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the historical mission of higher education and an important gene and element of entrepreneurship universities in the new period. It is the essence of promoting the connotative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aking planned behavior theory, three-element interaction theory, self-efficacy theory and self-leadership theory as its theoretical basis, combining th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ose issues and contents in the research, this paper adopts methods including latent variable path,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to empirically tests the possibl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based on the overall dimension and subdivided dimensions, and relying on 3165 effective questionnaires from 10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ZheJiang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autonomous regions, and discusses relevant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in conclusions in the overall dimension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directly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behavior. Seco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n indirectly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the first mediation effec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n indirectly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the chained dual mediation effect formed by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n indirectly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the chained dual mediation effect formed b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if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n indirectly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the chained dual mediation effect formed by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entrepreneurship support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e innovation of this research is reflected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Firstly, it builds the "6ES" theoretical model for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ernary interactive theory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theory and other related theories, learning from the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in entrepreneuship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behavio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nd combining the facts observed, this research creatively integrates the 7 constructs inclu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entrepreneurship motivation,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self-leade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environment and entrepreneurship behavior into one research framework, and builds the "6ES" theoretical model for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It deeply explores the path effect of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its effect level from both direct and multiple indirect influence mechanisms, through model fitting parameters, normalized path coefficient significance principle, latent variable path analysis,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checking procedure, which provides new research normal form and theoretical tool for revealing various possibl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 Secondly, it develops paths for multiple influence mechanis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Combining the analysis of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mechanism, by means of such test procedures as latent variable path,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nd based on the overall dimension and subdivided dimensions, this paper vertically conducts the theory-driven research and deeply explores the direct and multiple indirect influence mechanis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including direct influence mechanism, the first ediation effect, the chained dual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hich provides a new theoretical prospective for studying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Thirdly, it expands the scop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search. In the past, scholars made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inly from a single variable, and often p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study a certain result variab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ch studies, appear to make the antecedent variable and outcome variabl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a too single perspective, whil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and influence mechanism of influencing variables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a variety of influencing variables, where nine groups of factors may affect the entrepreneurial behavior, inclu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entrepreneurial passion,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consciousnes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cognition of entrepreneurial elements and entrepreneurship policy satisfaction, which widely enriches the scope in studying the antecedent variable and outcome variab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vides the research ideas, empirical support and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follow-up study. Fourthly, it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environment to entrepreneurship inten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This research creatively introduces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environ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into the theoretical model,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environment to entrepreneurship inten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under the contex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us opens a new perspective for studying influence mechanism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on entrepreneurship behavio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elaborate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research content and objectives, the research significance, the research method thought, the technical route and the full text. The second chapter is the literature review. It is to sort out, review and comment the relevant theoretical basis and research result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the third chapter, the design process and the sample description are described, and it also states the design proces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election of variables,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method and effective 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etc. The forth chapter 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est. SPSS20.0 software and AMOS22.0 software are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nd then making use of AMOS22.0 software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means of latent variable path analysis, mediation test procedures and moderating procedures, it carries on the empirical test to the theoretical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constructed by the preceding Chapter 4 and also summari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Chapter 5 is the conclusion and prospect of the study. It summarize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refines the main innovations of this study, points out the inspiration of this study to the practice of colle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formulation of entrepreneurship policy, and points out the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