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학 작품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광해’소재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 중점을 두고 ‘광해’ 소재를 중심으로 문학 작품의 미디어화에 대하여 연구했다. 이를 위하여 광해 소재의 영화<광해, 왕이 된 남자>, 연극<광해, 왕이 된 남자>, TV 드라마<왕이 된 남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해 이야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과정에서 미디어 특성(영화, 연극, TV 드라마)에 따라 어떻게 스토리텔링 방식이 바뀌는지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Henry Jenkins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원칙에 따라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미디어 속성과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상호텍스트성 기반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Henry Jenkins의 7개 원칙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화와 연극 콘텐츠에서는 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원칙 중 확산성과 탐구성, 몰입성이 부각된다. 연극콘텐츠에서는 이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주관성이 부각된다. TV 드라마에서는 확산성과 탐구성, 연속성과 다양성, 몰입성과 추출가능성, 주관성, 사용자 참여성이 모두 부각된다. 본 연구는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 내의 동일한 세계관의 구축이라고 보았으며, 그것이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이면서, 작품의 흥행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각 미디어의 특성과 대중의 수요를 고려하여 스토리텔링을 구축하여야 한다. 가능하면, 모든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콘텐츠 공유를 극대화하는 것이 좋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the differences occur in the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media contents derived from the original work, the novel Gwanghae, ‘The Man Who Became the King’. The study is conducted from the theories of intertextuality and transmedia storytelling. Movies, plays, TV dramas about Gwanghae(the 15th ruler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Literature reviews on transmedia contents and intertextuality were conducted. Henry Jenkins's theory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ransmedia content shows differences in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he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shown in intertext-based literary work were analyzed according to Henry Jenkins's seven princi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roperties and transmedia storytelling was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of each media for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were found. The movie and the play were found to be the cases in which spreadability, drillability and immersion were highlighted. At the same time the play was found to be the case in which subjectivity was highlighted. In addition, TV dramas were found to be the cases in which spreadability and drillability, continuity and multiplicity, immersion and extractability,subjectivity,and performance were all highlighted. All seven princi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ere used for making TV drama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ransmedia storytelling affecting the success of a work, is to build a unified world. Additionally, it is also recommended to maximize content sharing by making use of all media platforms.

      • 중국의 流民圖 전통과 近代期 王一亭(1867-1938)의 流民圖 연구

        최원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8

        Wang Yiting (1867-1938), originally a successful Shanghai comprador and businessman, was active as a calligrapher-painter and art patron in Shanghai’s modern art world. As part of the new leading social class that emerged during China’s transition to modernity, he engaged in social activism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characteristic manifests itself clearly in his liumin-tu paintings. These works are both closely connected to Wang’s social activism in the form of modern-era calligraphy-painting for charitable causes (as a means of fundraising), and contain messages of social reform. As such, they show a process of gradually increasing social roles for calligraphic paintings and painters in the modern age.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pre-modern liumin-tu, Wang also mastered new forms and styles of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modern era. At the same time, his liumin-tu acquiring a social role, finally he created balanced and original works with both artistic and goal-driven characteristics; all of these aspects are of significance.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expressive styles of liumin-tu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 Yiting’s social activity and artworks. At the same time, it attempts a multilater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Wang’s liumin-tu by comparing them with traditional Chinese examples of the genre. First, Wang’s liumin-tu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those on themes of relief for the poor; and those with reformist themes that constitute records of reality. These themes can be seen as connected to traditional Chinese liumin-tu: Aspects of them have been inherited or borrowed from the traditional genre in terms of purpose, form and content. I therefore begin by examining the Chinese tradition of liumin-tu, thereby providing a fundamental background for researching Wang’s works in the genre. Among Wang’s two types of liumin-tu, those on the theme of relief for the poor were produced as part of the calligraphy-painting-based charitable fundraising that he engaged in with passion for almost 50 years. Their clear aim was to induce charitable donations. In this study, I will determine the details of Wang’s charitable painting activities through reports in two modern Chinese newspapers, the Shenbao(申報) and the Shibao(時報). Then, based on this, I will closely examine the background and intentions behind Wang’s liumin-tu. Also, Wang’s liumin-tu has the “realist literati painting style.” This style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intentions and aims of calligraphy-painting for good cause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astes and emotions of donors. I will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 of this style. Other liumin-tu by Wang on the themes of recording reality and reformism depict realistic motifs influenced by realist literary trends. These are of social significance, conveying reformist messages. Focusing on figure paintings of refugees, I determine their content, form and expressive styles,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Wang expanded the scope of traditional calligraphy-painting and acquired a social role. 본래 上海 買辦 출신의 성공한 상업가인 王一亭(1867-1938)은 근대기 상해 화단에서 서화가이자 미술 후원가로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근대 전환기에 새롭게 부각된 사회 지도계층으로서 보다 책임감 있는 태도로 서화 활동에 임하고자 하였는데, 그가 제작한 流民圖에서 이러한 성격이 잘 드러난다. 즉 그의 유민도는 근대기 서화자선 활동이라는 사회적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교화적 메시지를 담고 있어, 근대 서화의 사회적 기능과 서화가의 사회적 역할이 점차 강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근대 이전의 중국 유민도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급변하는 근대기의 환경에 맞춰 새로운 형식과 표현을 구사하고 더불어 사회적 기능을 획득하면서, 예술성과 목적성을 겸비한 균형 있고 독창적인 화면들을 창출해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왕일정의 사회적 활동과 작품 간의 관계를 통해 유민도의 의미와 표현양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중국의 전통 유민도와의 비교를 토대로 왕일정의 유민도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왕일정의 유민도는 크게 난민구제 주제를 다룬 것과 현실 기록 및 교화적 주제를 다룬 것으로 양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분류는 중국의 전통 유민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목적, 형식, 내용 측면에서 전통 유민도를 계승 또는 차용한 부분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유민도 전통을 먼저 살펴보며 왕일정의 유민도 연구의 기본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왕일정의 두 가지 유민도 중 난민구제 주제의 유민도는 그가 근 50년간 열정적으로 참여한 서화자선 활동의 일환으로 제작되어 ‘기부 유도’라는 뚜렷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에 근대 중국어 신문인 『申報』, 『時報』의 관련 기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왕일정의 서화자선 활동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유민도의 제작 배경과 의도를 면밀히 짚어보고자 한다. 한편 ‘사실주의 문인화풍’으로 그려져 기부자의 취향과 감정을 고려하며 서화자선의 의도와 목적을 반영하기도 했는데, 화풍과 그 의미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 다른 유민도인 현실 기록 및 교화적 주제의 유민도는 사실주의 문예사조의 영향 아래 현실적 주제를 그려내면서 동시에 교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주로 유민을 그린 인물화들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형식, 그리고 표현양식을 밝히면서 전통 서화가 주제의 범주를 확대하고 사회적 기능을 획득하는 과정을 밝혀보고자 한다.

      • 롤랑 바르트 사진론에 나타난 노장의 무위(無爲)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 왕국유 의경론과의 비교연구

        이호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7

        이 글에서는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사진론에 나타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무위(無爲) 개념을 존재론적 영역에서 분석하여 그의 사진론을 새로운 관점으로 정립하려고 한다. 더불어 노장(老莊)의 무위(無爲) 개념을 중심으로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과 왕국유(王國維, 1877-1927)의 의경론을 비교하여 그들 사유의 존재론적 원리로서의 무위로부터 발화되는 참(眞)감정의 순수의식을 추적하려고 한다. 롤랑 바르트는 구조주의자로서 1970년 전 후에 후기구조주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그의 학문에 대한 전회(轉回)적 시선은 언어학자로서 언어의 언표 불가능한 사유체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자신의 구조주의에서 벗어나려는 과정 속에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에서 『중립』을 언급하며 이를 이해시키기 위해 노장의 무위를 차용한다. 롤랑 바르트가 언급한 무위는 어떤 판단을 유보시키고 정지시키는 현상학의 원리인 에포케(Epoché)의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원래 롤랑 바르트가 사용한 중립은 현상학의 후설로부터 시작하여 롤랑 바르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실존주의자 사르트르가 사용한 용어이기도 하다. 롤랑 바르트는 노장의 도(道)와 무(無) 그리고 무위를 언급한다. 도는 도가의 대표적인 개념으로 언표 불가능한 역설적인 지점에 위치한다. 이 도를 드러낸 것이 무인데 무는 유의 존재론적 생성관계를 유지한다. 즉 무(無)는 유(有)를 이룸에 있어 만물의 시원적 원인성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노장의 무위(無爲)는 유위(有爲)의 반대 개념으로 인위적이지 않고 작위적이지 않다는 것이지 아무것도 하지 않다는 의미가 아니다. 롤랑 바르트는 무위를 통해 ‘중립’을 해석하고 그의 사진론인 『밝은 방』에서 푼크툼을 제시한다. 이것이 그의 겨울정원의 어머니사진에서 드러난 놀라움에 대한 잠재태의 원질인 것이다. 반면 이 글의 비교 대상인 왕국유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중국의 지식인으로서 노장의 다양한 철학적 함의를 받아들여 형성된 전통 의경설과 서양의 관념론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의경론을 이룩하게 된다. 그의 대표적인 개념이 『人間詞話』 언외지미(言外之味)이다. 이는 ‘언어 밖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처럼 왕국유도 중국의 구조주의인 유교주의에서 벗어난 근현대 새로운 관점의 시선을 요구한다. 특히 그의 의경론인 『인간사화』에서 보여준 ‘유아지경(有我之境)’과 ‘무아지경(無我之境)’, ‘진감정(眞感情)’과 ‘진경물(眞景物)’은 롤랑 바르트가 ‘중립’을 대변하고 사진론에 적용시킨 노장의 무위와 연관성이 깊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롤랑 바르트와 왕국유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발현된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그들의 사진론과 의경론을 비교 분석했다. 롤랑 바르트가 『밝은 방』에서 제시한 푼크툼(Punctum)은 그의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사진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이다. 더욱이 푼크툼은 구조주의 관점에서 역설적이며 해체적인 의미를 품고 있으면서 구조주의로부터 벗어난 롤랑 바르트의 탈코드의 관점에서 언급한 중립 ・ 무위와 유사한 의미의 선상에 놓여있다. 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글에서는 『장자』의 무위를 알려주는 상망(象罔)을 통해 사진의 명증성으로 가려진 사진의 본질을 찾으려 했으며 무위를 통해 얻은 일종의 ‘깨달음’인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이며 왕국유의 ‘언외지미’임을 밝히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o-Zhuang(Lao-tzu & Zhuang-tzu)’s concept of Wu-wei in the ontological domain shown at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1915-1980) and establish a new perspective for his theory of photography. Also, comparing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with Wang Guo Wei(1877-1927)’s Artistic Conception based on Lao-Zhuang’s concept of Wu-wei, I intend to trace pure awareness of true emotions derived from Wu-wei (ontological principal of their thinking). Roland Barthes, a structuralist, took on the character of post-structuralism before and after 1970. As a linguist, such revolutionary perspective toward learning started with pursuit for new thinking from ineffable thinking system. Under the circumstances of trying to get out of structuralism, he mentioned ‘neutrality’ at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 and borrowed Lao-Zhuang’s Wu-wei for understanding.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is accepted as a concept of Epoché, the phenomenology principle that reserves and stops one’s judgments. Originally the term ‘neutrality’ of Roland Barthes was also used by Jean Paul Sartre, an existentialist philosopher who had a lot of influence over Edmund Husserl(phenomenology), Roland Barthes and others. Roland Barthes mentioned Lao-Zhuang’s Tao, Non-Being and Wu-wei. Tao is placed at the paradox of ineffability a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Taoism. Non-Being is what has shown the Tao; Non-Being maintains correlation of Being’s ontological formation, i.e. Non-Being acts as original cause of all things in the formation of Being. Therefore, Lao-Zhuang’s Wu-wei is a contrary concept of Yu-wei(有爲); it means unconditioned and non-contrived, not doing anything. Roland Barthes interpreted ‘neutrality’ through Wu-wei and suggested the punctum from a light room in his theory of photography. This is an elementary substance of dynamis about astonishment shown from a photo of his mother posed in a winter garden. On the other hand, Wang Guo Wei (a representative Chinese scholar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s a comparison developed his own artistic conception by combining traditional artistic conception (formed by accepting Lao-Zhuang’s diverse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western idealism. His representative conception is 人間詞話, 言外之味, which emphasizes ‘meaning beyond language’. In this way, even Wang Guo Wei demanded a new perspectiv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which breaks away from Confucianism, China’s structuralism. Particularly ‘有我之境’, ‘無我之境’, ‘眞感情’, and ‘眞景物’ shown from his artistic conception ‘人間詞話’ are highly connected to Lao-Zhuang’s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neutrality’ and applied it into the theory of photography. In this study,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and Wang Guo Wei’s Artistic Conception were compared from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derived from these two’s critical views against structuralism. Punctum in which Roland Barthes suggested from a light room was a new view of understanding photographs from his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Furthermore, Punctum is paradoxical and deconstructive from the structuralist perspective; it is in alignment with similar meanings of neutrality and Wu-wei, which were mentioned from Roland Barthes’s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Conclusionally, I intended to not only seek essence of photographs covered by their evidence through shapeless form(象罔) which informed of Zhuang-tzu’s Wu-wei, but also verify a sort of ‘enlightenment’ obtained through Wu-wei, Roland Barthes’s Punctum and Wang Guo Wei’s 言外之味.

      • 화석에 나타난 형상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작품 제작을 中心으로

        왕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텍스타일 디자인은 직물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디자이너의 창의적 조형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산업적 목적을 가지고 완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텍스타일 디자인은 직물에 있어서 중요한 부가가치의 수단이며 현대 직물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최근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주제는 현대인의 생활, 풍습, 취미, 패션과 이상적인 특징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것은 항상 시대를 앞서가며 삶의 변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의 디자인주제로쓰인화석이가져온역사적가치와문화적가치는이미잘알려져있지만 미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평가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화석의 미학적 가치를 디자인의 영감의 원천으로 삼아 생명의 기원에 대한 공감을 주제로 삼았다. 연구자는 화석에서 추출한 예술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처리기법, 조형표현, 형식표현 등 다방면에 걸친 심층적인 디자인 연구를 통해 화석의 다채로운 시각적 체험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은 텍스타일 디자인 주제 선택에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만드는 데 가치를 부여하는 독창적 특징을 지닌다

      • 왕샤오솨이(王小帥) 映畵의 前衛性 硏究

        김정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70

        왕샤오솨이는 제6세대 감독들 중에서 사상적이면서도 작가적인 영화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가장 재능 있는 감독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의 영화는 제6세대 영화에 있어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기고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의 전위성은 크게 영화의 형식적인 측면에 있어 다큐멘터리적 기법들의 운용과 방언과 음향효과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그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드러내는 것과, 영화의 내용과 주제의 측면에서 주변인을 등장인물로 삼아 그들의 사상과 의식, 즉 주변인 의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가 형식상의 사실주의적 스타일이 전위성을 가지게 된 배경은 리얼리즘 영화와 영화거장들의 영향에 있다. 그는 특히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프랑스의 뉴웨이브, 독일의 뉴 저먼 시네마 등 유럽 영화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그는 이러한 영화운동의 거장들의 창작기법을 모방했고, 그들의 영향을 받은 영화를 창작했다. 이러한 영화 거장들과 유럽영화 운동은 다큐멘터리 영화와 극영화의 접목을 시도했다. 그래서 왕샤오솨이는 자신의 영화에서 다큐멘터리적인 기법과 사실주의적 스타일의 창작방법을 운용했고, 이러한 다큐멘터리 기법과 사실주의적 스타일의 창작방법은 그의 영화의 형식에 있어서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형성했고, 이것은 그의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 형식상에 있어 전위성을 드러내는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왕샤오솨이 영화 속의 다큐멘터리 기법과 그 외의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드러내는 장치들의 운용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였다. 영화의 내용에 있어서 왕샤오솨이는 개인의 삶과 의식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인을 주인공으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했는데, 이처럼 주변인의 삶의 모습과 사상과 의식을 드러내는 것은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 왕샤오솨이의 영화가 전위성을 띠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의 영화의 주변인 의식에 대한 연구는, 그가 영화 속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왕샤오솨이 영화의 전위성을 이루는 핵심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왕샤오솨이 영화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주변인 의식을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의 영화중에서 주변인 의식의 첫 번째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나날들>, <극한의 추위>, <몽환전원> 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영화들의 제작에서 그는 주로 예술가를 비롯한 엘리트 계층의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며, 영화 속에서 예술가 및 엘리트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고립 의식을 잘 묘사하고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 속 주변인 의식 양상의 두 번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영화들은 <멜대와 아가씨>와 <북경자전거>로, 이 영화들의 창작에 있어 그는 보통의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전향하여, ‘타인’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고, 특히 산업화된 삶 속에서 사회적 위기에 처한 사람들, 특히 하층민들의 삶의 모습과 소외 의식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그 밖에 자본주의 물결 속에서 돈을 벌기 위해 미국으로 밀입국하였다가 결국에는 미국정부에 의해 추방당한 중국인과 그의 삶과 의식을 나타낸 <표류자>와, 1960년대 농촌의 경제 건설과 개혁을 위해 이주해 온 도시 엘리트 계층의 사람들이 농촌 마을에 완전히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주변인으로 배회하고, 또한 상하이를 비롯한 대도시의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물결에서도 소외되어 있어 이로 인한 그들의 갈등과 고뇌를 잘 표현하고 있는 <상하이드림>에서도 주변인 의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왕샤오솨이의 이후의 영화창작에 대해서 섣불리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지만, 그가 2001년 <신문주간>과 가진 인터뷰 내용은 충분히 그의 영화 신념을 대표하고, 우리들에게 그의 행보를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나는 그가 계속 독립영화의 제작 정신과 신념을 견지하고, 자신의 영화를 통해 당대 중국인의 삶을 그려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王小帅被评为第六代导演中最有才华的导演之一,还有他的电影在第六代中被评为既有思想,又有艺術风格的电影。他的影片在第六代电影中有着深远的影响。 王小帅电影的先锋性大体表现在电影的形式和电影的内容与主题两方面,通过运用纪录手法、方言及适当的音响效果等表现出写实主义风格,在电影的内容与主题方面通过把边缘人当主角表现出他们的思想意识、即边缘人意识。 王小帅电影的形式方面的写实主义风格主要是以在写实主义电影和电影巨星们的影响为依托。他受意大利新写实主义、法国新浪潮、德国新电影等欧洲电影运动的影响很深。他模仿了这些电影运动的名将们的创作技巧,受其影响还创作了新的电影。 上述的电影巨星们的创作方法和欧洲电影运动试图把纪录片与故事片融合起来。王小帅也在自己的电影上采用记录手法与写实主义风格的创作方法,他的电影形式具有写实主义风格。这与前一代相比,带着形式上的先锋性。本论文仔细查看王小帅电影中采用的记录手法与其他表现出写实主义风格的因素。 在内容方面,王小帅非常关注个人的生活和意识,故事里的主角以边缘人为主。这些边缘人的生活面貌和思想意识为他的电影具有先锋性。所以对他的电影里边缘人意识的研究,我认为不但能给我们提供对他在电影中所要反映的主题意识的关键,而且还能成为他的电影的内容上的先锋性的核心。所以贯通他整个电影的边缘人意识大体区分为三种类型来查看了一下。 在他的电影中属于第一种类边缘人意识的影片是《冬春的日子》、《极度寒冷》和《梦幻田园》。在创作这类电影时,他主要以艺術家及上层人士为主角来展开故事情节,并在电影中描写了属于艺術家及上层人士的孤立意识。 王小帅电影中属于第二种类边缘人意识的影片是《扁担·姑娘》和《十七岁的单车》。在创作这些电影时,他的关注转向到普通人中,并对他人开始关心了起来。特别是以在产业化社会中处于危难中的人与社会底层人的生活面貌与异化意识为关注焦点。 此外反应在资本主义社会的波涛中为了致富而偷渡到美国、但最终被美国政府驱逐出境回到故乡的中国人与他的生活和意识的电影《二弟》与1960年代为了建设农村的经济改革而移住到农村的城市人没能在农村扎根只能沦落为边缘人、而上海这种大城市的产业化与资本化的波涛也被排除在外、由此正在矛盾与苦恼的人们的电影《青红》中也明显地现出边缘人意识。 对王小帅以后的电影创作很难断然下定论,但他在2001年与《新闻周刊》的方谈充分地代表他的电影思路,并这些便给我们提供了猜测他步伐的头绪。我认为他坚持独立电影的精神,并且通过自己的电影来努力地刻畵当代中国人的生活面貌。

      • 20세기 전반기 한국의 필리핀 인식 연구

        왕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20세기전반기 한국인들이 필리핀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또한 필리핀에 대한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었는지를 목적으로 삼아 신문매체와 관련된 서적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오늘날 한국인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필리핀을 방문하고 있고, 따라서 양국 간의 교류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져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문과 교류의 급증에 비례하듯 서로 간에 적지 않은 문제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한국과 필리핀 국내에서는 한국인과 필리핀인 간에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또한 필리핀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들이 한국인의 필리핀에 대한 인식을 더욱 악화시켰다. 그리하여 현재 한국인들은 필리핀에 대하여 매우 안 좋은 인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한국은 19세기말부터 신문·잡지에서 이미 필리핀을 보도하기 시작했으며, 게다가 오늘날과 전혀 다른 현상이 드러난다. 본고에서 20세기전반기 한국인들의 필리핀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한일합방 전후 시기에서 1930년대, 태평양전쟁 시기부터 해방 전후까지 크게 두 시기로 나누었으며, 시기별 사회적 배경에 따라서 필리핀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세부적으로 네 시기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한일합방전후시기이다. 이 시기는 『황성신문』·『대한매일신보』·『매일신보』와 안국선이 역술한 『비율빈전사』(1907)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인들에게 필리핀에 대한 인식기반을 확보케 했으며, 필리핀 문제는 미국과 필리핀 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미일문제, 남양문제 그리고 극동문제까지 연루할 수 있다는 사실을 독자에게 전달했다. 아울러 신문기사에서는 미국의 식민지배 정치를 보여주었으며, 동시에 일본에 의한 조선의 강제점령을 비판한 의도도 담고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일합방 후 신문지법이 강화된 이후에는, 필리핀 내부의 독립운동과 식민지화로 인한 갈등 등 불온 상황을 보도하지 않았고 오히려 미국의 식민지배를 호의적으로 전달하려는 의도를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시기는 3.1운동 이후 1920~30년대이다. 이 시기는 민간지『동아일보』와 『삼천리』·『별건곤』등 잡지의 분석을 통해서, 1920년대만 해도 한국 지식인들에게 필리핀은 단지 하나의 약소민족으로 인식되었으나, 1930년대에 들어 필리핀 독립문제가 약소민족 해방문제를 넘어서 태평양 평화문제 나아가 세계정국의 변동을 야길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한 한국 지식인들의 인식을 독자에게 전달했다. 1930년대 필리핀에 관한 기행문을 분석하며 흥미로운 점은, 이때 조선 독립운동가 예를 들어 안창호가 일제가 목을 죄어 오던 상하이와 만주 지역을 벗어나 새로운 독립운동 거점 개척을 시도하는 과정에 필리핀에 해외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만주의 한인들을 이곳으로 이주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미국 통치 하의 필리핀 상황 기록을 통하여, 당대 한국 지식인들의 미국 식민통치에 대한 인식도 짐작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태평양전쟁 시기이다. 이 시기는 조선총독부기관지『매일신보』와 잡지『朝光』·『春秋』·『대동아』등에 게재된 필리핀에 관한 논설과 기행문들을 분석했다. 해당 논설 내용에 드러난 필리핀에 관한 인식은 1930년대와 달리 야만, 미개 그리고 조선보다 열등한 민족이라는 인식으로 변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大東亞共榮이념과 내선일체 등 황민화의 이데올로기가 피식민자인 조선인들에게 일으킨 현실화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당대 신식민지 남방에 대한 조선인들의 시선은 줄곧 제국의 시선과 입장과 다르지 않았으나, 그 가운데에는 남방에 대한 호기심과 로망 그리고 그 곳으로 진출하고 싶은 욕망도 동반되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내포된 필리핀에 대한 인식은 남방에 대한 인식과 함께 고려하여 분석했다. 다시 말하면 식민지 조선 지식인은 일제의 필리핀 점령에 지지함으로써, 조선인들의 남방진출 가능성과 당위성을 전달해주었다. 네 번째는 1945년 해방전후 시기이다. 1945년 광복이 되어 언론계도 활기를 되찾았고 수많은 신문들이 쏟아져 나왔다. 신문『동아일보』·『자유신문』등과 잡지 『신천지』 등에 게재된 필리핀에 관한 논설을 분석했다. 이에 의해서 신생독립국으로 등장한 필리핀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해방된 약소민족들에게 하나의 참고대상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신생 독립국으로 등장한 한국도 독립 후 국가 기강 확립, 자국 안보, 전후 복구, 경제재건, 이 밖에 각종 사회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관하여 필리핀의 사례를 분석했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이처럼 20세기전반기 시기별로 한국인의 필리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우리가 여태까지 주목하지도 관심을 갖지도 않았던 주변부 나라인 필리핀은 한국의 근대사에 있어서 함께 걸어왔으며 한국의 식민지화, 독립운동 나아가 탈식민지 과정에 다소간의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서 한편으로 20세기 전반기 한국인들의 필리핀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며 또 한편으로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한국에서 타자인 필리핀을 수면 위로 드러나게 만들고 환기시켜서, 재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한국 연구 계에 필리핀에 대한 연구의 빈약한 상황도 개선될 수 있게 기대한다.

      • 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왕단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In the era of knowledge economy, innov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companies to adapt to rapid economic changes and gain competitive advantage. Highly uncertain economic environment makes innovation to become an important source for the enterprise’s long-term development. It is widely agreed that inno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foundation of innovation rely on individual who develop, conduct and modify the idea. Individual innovation is the foundation of higher level innovation. In the long run, employees'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is a key factor i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is the foundation of corporate innovation. Only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employee innovative behaviors can companies maintain innovative vitality for a long time to deal with the turbulent market environment and survive and develop in competition. In the process of corporate innovation, members' innovative behavior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own goal orientation, and different goal orientation enables members to exhibit different innovative behaviors. In this process, feedback-seeking behavior, as the channel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xternal, and it is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xternal to promote innovation. And different leadership styles influenc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 the impa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Chinese corporate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re demonstrated. This study also gives some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of Chinese enterpris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20 to December 2020 for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Beijing, Tianjin, Hebei and Shandong of China. In this study, all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23.0 AMOS program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mai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learning Orientation and performance - prove goal orientation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Performance - avoid goal orientation i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Moreover, feedback-seeking behavior at work plays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lay a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provided a new research direction and theoretical study model for the realization of member innovation behavior. At the same time, corporate leaders should encourage members to explore and acquire new knowledge. leaders also should pay attention to and utilize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of members. In addition, leaders must trust and support their subordinates and motivate them to continue to work and innovate. 지식경제시대에 혁신은 기업이 급격한 경제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매우 불확실한 경제 환경은 혁신을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의 중요한 원천으로 만들고, 조직의 효율성과 장기적 발전은 조직의 혁신 능력에 달려 있다. 모든 혁신의 기초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개인이다. 따라서 구성원 개인의 혁신은 조직의 더 높은 수준의 혁신을 달성하는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구성원의 개인적 혁신행동이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구성원의 혁신행동은 기업혁신의 기초이며, 구성원의 혁신적인 행동의 개발과 실현을 촉진해야만 기업이 격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처하고 경쟁 속에서 살아남고 성장할 수 있는 혁신적 활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기업 혁신과정에서 구성원들의 혁신적인 행동은 자신의 목표지향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다른 목표지향성은 구성원들이 다른 혁신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개인과 외부 간의 상호작용의 통로 역할을 하며,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개인과 외부 간의 상호작용 과정이다. 그리고 서로 다른 리더십 스타일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목표지향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검증하고, 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및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적효과를 실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중국 베이징시, 천진시, 하북성, 산동성 등을 포함한 화베이지역의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4가지 가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주요 분석방법으로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으로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증명성과 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피성과 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드백 추구행동은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혁신행동의 실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이론모형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기업의 리더가 구성원들이 탐색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도록 장려하고 구성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또한 기업의 리더는 부하 직원을 신뢰하고 지원하여 부하 직원이 지속적인 일과 혁신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 한·중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간의 관계

        왕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변인 간의 상호 관련이 있는지, 국가별(한국·중국)에 따라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및 행복감은 이들의 학교 적응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에서 국가별(한국·중국)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을 한국 고등학생 413명, 중국 고등학생 402명, 총 815명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한·중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간의 상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수행하였다. 국가별(한국, 중국)에 따른 각 변인들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및 행복감은 학교 적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모형에서 국가별에 따른 두 집단(한국 고등학생, 중국 고등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이 후회와 정적 상관이 있는데 행복감 및 학교 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회가 행복감 및 학교 적응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이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이 학교 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후회 및 행복감을 거쳐 학교 적응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극대화 경향이 후회에 미치는 영향, 후회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행복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한국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후회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한국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이들의 학교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한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을 고려하며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중국 고등학생들의 후회 경험을 감소시켜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교육적 차원에서 교류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was also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and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413 Korean and 402 Chinese students in high school.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groups(i.e.,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along with factors which were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Also,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conducted. Finally,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according to student’s nationality,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Korean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were higher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upported that maximizing tendency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lso,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regret and happiness. A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the influence of maximizing tendency on regret, and the influence of regret and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were stronger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group th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oup. While, the influence of regret on happiness was stronger in Chinese students group than Korean students group.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other path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group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oup. It was found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and school satisfaction to be very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ximizing and happiness are more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nd for Chinese students, regret is more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lso, the role of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and improve students’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in depth.

      • 중국과 서양의 발성법 비교를 통한 중국발성법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주소연의 발성법을 중심으로

        왕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research aims at the needs of the development of vocal music in China today. Focusing on Zhou Xiaoyan’s vocal concept, this research compares the Belcanto vocal method in China and the West, and develops a scheme suitable for China’s vocal vocal method.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traditional singing theory of China and the Belcanto vocal method of the West, and makes a general carding and research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development content and impact on the future generations of the vocal method of China and the West. It is concluded that both the Chinese and Western vocal method s are classic vocal methods, but their singing styles and forms are slightly different due to different regions, cultural backgrounds and customs. Therefore, by comparing the two, we can ge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re are three aspects in common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oncept of singing is the same, that is, the concept of unity of the whole and the part is the same. Secondly, there is a common pursuit of singing art, that is, the pursuit of the unity of voice and emotion. Finally, they have the same requirements for breathing in singing. The differences include two asp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and resonancecavity. It is concluded that Belcanto vocal method is a relatively systematic and scientific vocal method, which has a high degree of recognition worldwid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f Chinese vocal music wants to go abroad, it needs to be based on the local classical singing methods. If we can learn from and absorb Belcanto’s high-quality vocal method, it will be more beneficial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vocal music. This study takes Professor Zhou Xiaoyan, who has profou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s a case study. She has studied Belcanto vocalization thoroughly in the West for nearly ten years, and is determined to contribute to the cause of vocal music singing in the motherland. She grasped the singing of vocal music as a whol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r students and culture, so that the belcanto vocal method was perfectly integrated into Chinese vocal music works, and trained a group of vocal musicians who could perfectly sing Chinese and foreign works. Through the study of Professor Zhou Xiaoyan’s vocal singing concept, it is found that Chinese and Western vocal methods are not incompatible, but can be combined harmoniously. People the main instrument of vocal singing, is very important, and vocal musicians can be shaped and train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focuses on the vocal plan of Chinese vocal music through five aspects. The first is to deeply study the Chinese traditional vocal music culture, create the awareness of actively learning from the mother art, create the opening of Chinese traditional vocal music singing theory courses and the compilation of teaching materials, create diversified Chinese vocal music aesthetic values, and build the national vocal music technology concept of liberating personality. The second is to deeply study the Italian belcanto vocal method, and build the teaching staff and textbook compilation of the Italian belcanto vocal method. The third is to create lectures and forums centered on Professor Zhou Xiaoyan’s teaching methods, learn Zhou Xiaoyan’s attitude towards traditional Chinese vocal music vocalization and belcanto vocalization, and bring Professor Zhou Xiaoyan’s interviews and teaching videos into the classroom. The fourth is to formulate the plan of sending out and inviting in. The fifth is to formulat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teachers concert, so that teachers can constantly improve the level of vocal musics inging. Learning but knowing is not enough. Only the continuous learning progress of teachers can cultivate more excellent students, thus forming a virtuous circle. 본 연구는 오늘날 중국 성악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여 주소연(周小燕)의 발성 개념을 중심으로 중국 전통 창론과 서양 Bel canto 발성법을 시작으로 중국과 서양 성악 발성법이 낳은 역사적 배경, 발전 상황, 발성법의 요소 및 후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연구한다. 중국 발성법과 서양의 Bel canto 발성법을 비교해 중국 성악 발성법에 맞는 방안을 마련한다. 둘의 비교 연구를 통해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 동일한 점을 도출하였다. 우선 노래 이념이 같다는 것, 즉 전체와 부분 통일의 이념이 같다는 것. 둘째, 소리와 감정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공통의 성악 예술이 있다. 마지막 발성 기교에서 노래의 호흡에 대한 요구는 동일하다. 차이점은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하며,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차이와 공감의 차이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다. 따라서 Bel canto 발성법은 비교적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성악 발성법으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국 성악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토착 고전적 노래 방법에 기초해야 하며, Bel canto의 우수한 발성법을 참고하고 흡수할 수 있다면 중국 성악의 발전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가 깊은 주소연 교수를 사례로 분석했는데, 그는 서양에서 거의 10년 동안 Bel canto 발성법을 철저히 배워 조국의 성악 가창 사업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녀는 성악의 가창력을 총체적으로 파악해 자국 학생과 문화적 특성을 결합해 Bel canto 발성법을 중국 성악 작품에 완벽하게 녹여냈고, 국내외 작품을 완벽하게 부를 수 있는 성악가를 양성했다. 주소연 교수의 성악 가창 이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서양의 성악 발성법이 융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중국 성악의 발성 방안에 대해 5가지 측면을 연구하였다. 첫째, 중국 전통 성악문화를 깊이 배우고, 모체 예술에서 능동적으로 배우는 의식을 만들고, 중국 전통 성악 창론 과정 개설과 교재개편, 다양한 중국 성악 미적 가치관을 만들고, 개성을 해방하는 민족성악 기술 이념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이탈리아의 Bel canto 발성법을 깊이 있게 배우고, 이탈리아의 Bel canto 발성법 학습 교사와 교재 편찬을 구성한다. 셋째, 주소연 교수의 교수법을 중심으로 한 강의와 포럼을 만들어 중국 전통 성악 발성법과 Bel canto 발성법을 대하는 주소연의 태도를 배우고 주소연 교수의 인터뷰와 강의 동영상을 수업에 사용한다. 넷째, 보내고 들여오는(送出去请进来) 방안을 마련한다. 다섯째, 교사 음악회의 발전방안을 마련하여 교사들이 지속적으로 성악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배움이 부족하고 교사의 끊임없는 학습과 진보만이 더 나은 학생을 배출할 수 있어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 본 연구 요약에서는 중국과 서양의 성악 발성법이 각각의 장점이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주소연 교수의 업적을 예로 들면 중국의 성악은 이 두 가지 장점을 결합하여 발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