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학 작품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광해’소재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 중점을 두고 ‘광해’ 소재를 중심으로 문학 작품의 미디어화에 대하여 연구했다. 이를 위하여 광해 소재의 영화<광해, 왕이 된 남자>, 연극<광해, 왕이 된 남자>, TV 드라마<왕이 된 남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해 이야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과정에서 미디어 특성(영화, 연극, TV 드라마)에 따라 어떻게 스토리텔링 방식이 바뀌는지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Henry Jenkins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원칙에 따라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미디어 속성과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상호텍스트성 기반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Henry Jenkins의 7개 원칙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화와 연극 콘텐츠에서는 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원칙 중 확산성과 탐구성, 몰입성이 부각된다. 연극콘텐츠에서는 이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주관성이 부각된다. TV 드라마에서는 확산성과 탐구성, 연속성과 다양성, 몰입성과 추출가능성, 주관성, 사용자 참여성이 모두 부각된다. 본 연구는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 내의 동일한 세계관의 구축이라고 보았으며, 그것이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이면서, 작품의 흥행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각 미디어의 특성과 대중의 수요를 고려하여 스토리텔링을 구축하여야 한다. 가능하면, 모든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콘텐츠 공유를 극대화하는 것이 좋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the differences occur in the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media contents derived from the original work, the novel Gwanghae, ‘The Man Who Became the King’. The study is conducted from the theories of intertextuality and transmedia storytelling. Movies, plays, TV dramas about Gwanghae(the 15th ruler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Literature reviews on transmedia contents and intertextuality were conducted. Henry Jenkins's theory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ransmedia content shows differences in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he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shown in intertext-based literary work were analyzed according to Henry Jenkins's seven princi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roperties and transmedia storytelling was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of each media for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were found. The movie and the play were found to be the cases in which spreadability, drillability and immersion were highlighted. At the same time the play was found to be the case in which subjectivity was highlighted. In addition, TV dramas were found to be the cases in which spreadability and drillability, continuity and multiplicity, immersion and extractability,subjectivity,and performance were all highlighted. All seven princi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ere used for making TV drama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ransmedia storytelling affecting the success of a work, is to build a unified world. Additionally, it is also recommended to maximize content sharing by making use of all media platforms.

      • 중국의 流民圖 전통과 近代期 王一亭(1867-1938)의 流民圖 연구

        최원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8

        Wang Yiting (1867-1938), originally a successful Shanghai comprador and businessman, was active as a calligrapher-painter and art patron in Shanghai’s modern art world. As part of the new leading social class that emerged during China’s transition to modernity, he engaged in social activism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characteristic manifests itself clearly in his liumin-tu paintings. These works are both closely connected to Wang’s social activism in the form of modern-era calligraphy-painting for charitable causes (as a means of fundraising), and contain messages of social reform. As such, they show a process of gradually increasing social roles for calligraphic paintings and painters in the modern age.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pre-modern liumin-tu, Wang also mastered new forms and styles of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modern era. At the same time, his liumin-tu acquiring a social role, finally he created balanced and original works with both artistic and goal-driven characteristics; all of these aspects are of significance.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expressive styles of liumin-tu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 Yiting’s social activity and artworks. At the same time, it attempts a multilater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Wang’s liumin-tu by comparing them with traditional Chinese examples of the genre. First, Wang’s liumin-tu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those on themes of relief for the poor; and those with reformist themes that constitute records of reality. These themes can be seen as connected to traditional Chinese liumin-tu: Aspects of them have been inherited or borrowed from the traditional genre in terms of purpose, form and content. I therefore begin by examining the Chinese tradition of liumin-tu, thereby providing a fundamental background for researching Wang’s works in the genre. Among Wang’s two types of liumin-tu, those on the theme of relief for the poor were produced as part of the calligraphy-painting-based charitable fundraising that he engaged in with passion for almost 50 years. Their clear aim was to induce charitable donations. In this study, I will determine the details of Wang’s charitable painting activities through reports in two modern Chinese newspapers, the Shenbao(申報) and the Shibao(時報). Then, based on this, I will closely examine the background and intentions behind Wang’s liumin-tu. Also, Wang’s liumin-tu has the “realist literati painting style.” This style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intentions and aims of calligraphy-painting for good cause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astes and emotions of donors. I will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 of this style. Other liumin-tu by Wang on the themes of recording reality and reformism depict realistic motifs influenced by realist literary trends. These are of social significance, conveying reformist messages. Focusing on figure paintings of refugees, I determine their content, form and expressive styles,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Wang expanded the scope of traditional calligraphy-painting and acquired a social role. 본래 上海 買辦 출신의 성공한 상업가인 王一亭(1867-1938)은 근대기 상해 화단에서 서화가이자 미술 후원가로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근대 전환기에 새롭게 부각된 사회 지도계층으로서 보다 책임감 있는 태도로 서화 활동에 임하고자 하였는데, 그가 제작한 流民圖에서 이러한 성격이 잘 드러난다. 즉 그의 유민도는 근대기 서화자선 활동이라는 사회적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교화적 메시지를 담고 있어, 근대 서화의 사회적 기능과 서화가의 사회적 역할이 점차 강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근대 이전의 중국 유민도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급변하는 근대기의 환경에 맞춰 새로운 형식과 표현을 구사하고 더불어 사회적 기능을 획득하면서, 예술성과 목적성을 겸비한 균형 있고 독창적인 화면들을 창출해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왕일정의 사회적 활동과 작품 간의 관계를 통해 유민도의 의미와 표현양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중국의 전통 유민도와의 비교를 토대로 왕일정의 유민도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왕일정의 유민도는 크게 난민구제 주제를 다룬 것과 현실 기록 및 교화적 주제를 다룬 것으로 양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분류는 중국의 전통 유민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목적, 형식, 내용 측면에서 전통 유민도를 계승 또는 차용한 부분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유민도 전통을 먼저 살펴보며 왕일정의 유민도 연구의 기본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왕일정의 두 가지 유민도 중 난민구제 주제의 유민도는 그가 근 50년간 열정적으로 참여한 서화자선 활동의 일환으로 제작되어 ‘기부 유도’라는 뚜렷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에 근대 중국어 신문인 『申報』, 『時報』의 관련 기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왕일정의 서화자선 활동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유민도의 제작 배경과 의도를 면밀히 짚어보고자 한다. 한편 ‘사실주의 문인화풍’으로 그려져 기부자의 취향과 감정을 고려하며 서화자선의 의도와 목적을 반영하기도 했는데, 화풍과 그 의미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 다른 유민도인 현실 기록 및 교화적 주제의 유민도는 사실주의 문예사조의 영향 아래 현실적 주제를 그려내면서 동시에 교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주로 유민을 그린 인물화들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형식, 그리고 표현양식을 밝히면서 전통 서화가 주제의 범주를 확대하고 사회적 기능을 획득하는 과정을 밝혀보고자 한다.

      • 롤랑 바르트 사진론에 나타난 노장의 무위(無爲)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 왕국유 의경론과의 비교연구

        이호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7

        이 글에서는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사진론에 나타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무위(無爲) 개념을 존재론적 영역에서 분석하여 그의 사진론을 새로운 관점으로 정립하려고 한다. 더불어 노장(老莊)의 무위(無爲) 개념을 중심으로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과 왕국유(王國維, 1877-1927)의 의경론을 비교하여 그들 사유의 존재론적 원리로서의 무위로부터 발화되는 참(眞)감정의 순수의식을 추적하려고 한다. 롤랑 바르트는 구조주의자로서 1970년 전 후에 후기구조주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그의 학문에 대한 전회(轉回)적 시선은 언어학자로서 언어의 언표 불가능한 사유체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자신의 구조주의에서 벗어나려는 과정 속에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에서 『중립』을 언급하며 이를 이해시키기 위해 노장의 무위를 차용한다. 롤랑 바르트가 언급한 무위는 어떤 판단을 유보시키고 정지시키는 현상학의 원리인 에포케(Epoché)의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원래 롤랑 바르트가 사용한 중립은 현상학의 후설로부터 시작하여 롤랑 바르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실존주의자 사르트르가 사용한 용어이기도 하다. 롤랑 바르트는 노장의 도(道)와 무(無) 그리고 무위를 언급한다. 도는 도가의 대표적인 개념으로 언표 불가능한 역설적인 지점에 위치한다. 이 도를 드러낸 것이 무인데 무는 유의 존재론적 생성관계를 유지한다. 즉 무(無)는 유(有)를 이룸에 있어 만물의 시원적 원인성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노장의 무위(無爲)는 유위(有爲)의 반대 개념으로 인위적이지 않고 작위적이지 않다는 것이지 아무것도 하지 않다는 의미가 아니다. 롤랑 바르트는 무위를 통해 ‘중립’을 해석하고 그의 사진론인 『밝은 방』에서 푼크툼을 제시한다. 이것이 그의 겨울정원의 어머니사진에서 드러난 놀라움에 대한 잠재태의 원질인 것이다. 반면 이 글의 비교 대상인 왕국유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중국의 지식인으로서 노장의 다양한 철학적 함의를 받아들여 형성된 전통 의경설과 서양의 관념론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의경론을 이룩하게 된다. 그의 대표적인 개념이 『人間詞話』 언외지미(言外之味)이다. 이는 ‘언어 밖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처럼 왕국유도 중국의 구조주의인 유교주의에서 벗어난 근현대 새로운 관점의 시선을 요구한다. 특히 그의 의경론인 『인간사화』에서 보여준 ‘유아지경(有我之境)’과 ‘무아지경(無我之境)’, ‘진감정(眞感情)’과 ‘진경물(眞景物)’은 롤랑 바르트가 ‘중립’을 대변하고 사진론에 적용시킨 노장의 무위와 연관성이 깊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롤랑 바르트와 왕국유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발현된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그들의 사진론과 의경론을 비교 분석했다. 롤랑 바르트가 『밝은 방』에서 제시한 푼크툼(Punctum)은 그의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사진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이다. 더욱이 푼크툼은 구조주의 관점에서 역설적이며 해체적인 의미를 품고 있으면서 구조주의로부터 벗어난 롤랑 바르트의 탈코드의 관점에서 언급한 중립 ・ 무위와 유사한 의미의 선상에 놓여있다. 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글에서는 『장자』의 무위를 알려주는 상망(象罔)을 통해 사진의 명증성으로 가려진 사진의 본질을 찾으려 했으며 무위를 통해 얻은 일종의 ‘깨달음’인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이며 왕국유의 ‘언외지미’임을 밝히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o-Zhuang(Lao-tzu & Zhuang-tzu)’s concept of Wu-wei in the ontological domain shown at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1915-1980) and establish a new perspective for his theory of photography. Also, comparing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with Wang Guo Wei(1877-1927)’s Artistic Conception based on Lao-Zhuang’s concept of Wu-wei, I intend to trace pure awareness of true emotions derived from Wu-wei (ontological principal of their thinking). Roland Barthes, a structuralist, took on the character of post-structuralism before and after 1970. As a linguist, such revolutionary perspective toward learning started with pursuit for new thinking from ineffable thinking system. Under the circumstances of trying to get out of structuralism, he mentioned ‘neutrality’ at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 and borrowed Lao-Zhuang’s Wu-wei for understanding.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is accepted as a concept of Epoché, the phenomenology principle that reserves and stops one’s judgments. Originally the term ‘neutrality’ of Roland Barthes was also used by Jean Paul Sartre, an existentialist philosopher who had a lot of influence over Edmund Husserl(phenomenology), Roland Barthes and others. Roland Barthes mentioned Lao-Zhuang’s Tao, Non-Being and Wu-wei. Tao is placed at the paradox of ineffability a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Taoism. Non-Being is what has shown the Tao; Non-Being maintains correlation of Being’s ontological formation, i.e. Non-Being acts as original cause of all things in the formation of Being. Therefore, Lao-Zhuang’s Wu-wei is a contrary concept of Yu-wei(有爲); it means unconditioned and non-contrived, not doing anything. Roland Barthes interpreted ‘neutrality’ through Wu-wei and suggested the punctum from a light room in his theory of photography. This is an elementary substance of dynamis about astonishment shown from a photo of his mother posed in a winter garden. On the other hand, Wang Guo Wei (a representative Chinese scholar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s a comparison developed his own artistic conception by combining traditional artistic conception (formed by accepting Lao-Zhuang’s diverse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western idealism. His representative conception is 人間詞話, 言外之味, which emphasizes ‘meaning beyond language’. In this way, even Wang Guo Wei demanded a new perspectiv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which breaks away from Confucianism, China’s structuralism. Particularly ‘有我之境’, ‘無我之境’, ‘眞感情’, and ‘眞景物’ shown from his artistic conception ‘人間詞話’ are highly connected to Lao-Zhuang’s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neutrality’ and applied it into the theory of photography. In this study,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and Wang Guo Wei’s Artistic Conception were compared from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derived from these two’s critical views against structuralism. Punctum in which Roland Barthes suggested from a light room was a new view of understanding photographs from his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Furthermore, Punctum is paradoxical and deconstructive from the structuralist perspective; it is in alignment with similar meanings of neutrality and Wu-wei, which were mentioned from Roland Barthes’s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Conclusionally, I intended to not only seek essence of photographs covered by their evidence through shapeless form(象罔) which informed of Zhuang-tzu’s Wu-wei, but also verify a sort of ‘enlightenment’ obtained through Wu-wei, Roland Barthes’s Punctum and Wang Guo Wei’s 言外之味.

      • 왕샤오솨이(王小帥) 映畵의 前衛性 硏究

        김정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70

        왕샤오솨이는 제6세대 감독들 중에서 사상적이면서도 작가적인 영화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가장 재능 있는 감독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의 영화는 제6세대 영화에 있어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기고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의 전위성은 크게 영화의 형식적인 측면에 있어 다큐멘터리적 기법들의 운용과 방언과 음향효과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그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드러내는 것과, 영화의 내용과 주제의 측면에서 주변인을 등장인물로 삼아 그들의 사상과 의식, 즉 주변인 의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가 형식상의 사실주의적 스타일이 전위성을 가지게 된 배경은 리얼리즘 영화와 영화거장들의 영향에 있다. 그는 특히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프랑스의 뉴웨이브, 독일의 뉴 저먼 시네마 등 유럽 영화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그는 이러한 영화운동의 거장들의 창작기법을 모방했고, 그들의 영향을 받은 영화를 창작했다. 이러한 영화 거장들과 유럽영화 운동은 다큐멘터리 영화와 극영화의 접목을 시도했다. 그래서 왕샤오솨이는 자신의 영화에서 다큐멘터리적인 기법과 사실주의적 스타일의 창작방법을 운용했고, 이러한 다큐멘터리 기법과 사실주의적 스타일의 창작방법은 그의 영화의 형식에 있어서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형성했고, 이것은 그의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 형식상에 있어 전위성을 드러내는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왕샤오솨이 영화 속의 다큐멘터리 기법과 그 외의 사실주의적 스타일을 드러내는 장치들의 운용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였다. 영화의 내용에 있어서 왕샤오솨이는 개인의 삶과 의식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인을 주인공으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했는데, 이처럼 주변인의 삶의 모습과 사상과 의식을 드러내는 것은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 왕샤오솨이의 영화가 전위성을 띠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의 영화의 주변인 의식에 대한 연구는, 그가 영화 속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왕샤오솨이 영화의 전위성을 이루는 핵심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왕샤오솨이 영화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주변인 의식을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의 영화중에서 주변인 의식의 첫 번째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나날들>, <극한의 추위>, <몽환전원> 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영화들의 제작에서 그는 주로 예술가를 비롯한 엘리트 계층의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며, 영화 속에서 예술가 및 엘리트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고립 의식을 잘 묘사하고 있다. 왕샤오솨이 영화 속 주변인 의식 양상의 두 번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영화들은 <멜대와 아가씨>와 <북경자전거>로, 이 영화들의 창작에 있어 그는 보통의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전향하여, ‘타인’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고, 특히 산업화된 삶 속에서 사회적 위기에 처한 사람들, 특히 하층민들의 삶의 모습과 소외 의식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그 밖에 자본주의 물결 속에서 돈을 벌기 위해 미국으로 밀입국하였다가 결국에는 미국정부에 의해 추방당한 중국인과 그의 삶과 의식을 나타낸 <표류자>와, 1960년대 농촌의 경제 건설과 개혁을 위해 이주해 온 도시 엘리트 계층의 사람들이 농촌 마을에 완전히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주변인으로 배회하고, 또한 상하이를 비롯한 대도시의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물결에서도 소외되어 있어 이로 인한 그들의 갈등과 고뇌를 잘 표현하고 있는 <상하이드림>에서도 주변인 의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왕샤오솨이의 이후의 영화창작에 대해서 섣불리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지만, 그가 2001년 <신문주간>과 가진 인터뷰 내용은 충분히 그의 영화 신념을 대표하고, 우리들에게 그의 행보를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나는 그가 계속 독립영화의 제작 정신과 신념을 견지하고, 자신의 영화를 통해 당대 중국인의 삶을 그려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王小帅被评为第六代导演中最有才华的导演之一,还有他的电影在第六代中被评为既有思想,又有艺術风格的电影。他的影片在第六代电影中有着深远的影响。 王小帅电影的先锋性大体表现在电影的形式和电影的内容与主题两方面,通过运用纪录手法、方言及适当的音响效果等表现出写实主义风格,在电影的内容与主题方面通过把边缘人当主角表现出他们的思想意识、即边缘人意识。 王小帅电影的形式方面的写实主义风格主要是以在写实主义电影和电影巨星们的影响为依托。他受意大利新写实主义、法国新浪潮、德国新电影等欧洲电影运动的影响很深。他模仿了这些电影运动的名将们的创作技巧,受其影响还创作了新的电影。 上述的电影巨星们的创作方法和欧洲电影运动试图把纪录片与故事片融合起来。王小帅也在自己的电影上采用记录手法与写实主义风格的创作方法,他的电影形式具有写实主义风格。这与前一代相比,带着形式上的先锋性。本论文仔细查看王小帅电影中采用的记录手法与其他表现出写实主义风格的因素。 在内容方面,王小帅非常关注个人的生活和意识,故事里的主角以边缘人为主。这些边缘人的生活面貌和思想意识为他的电影具有先锋性。所以对他的电影里边缘人意识的研究,我认为不但能给我们提供对他在电影中所要反映的主题意识的关键,而且还能成为他的电影的内容上的先锋性的核心。所以贯通他整个电影的边缘人意识大体区分为三种类型来查看了一下。 在他的电影中属于第一种类边缘人意识的影片是《冬春的日子》、《极度寒冷》和《梦幻田园》。在创作这类电影时,他主要以艺術家及上层人士为主角来展开故事情节,并在电影中描写了属于艺術家及上层人士的孤立意识。 王小帅电影中属于第二种类边缘人意识的影片是《扁担·姑娘》和《十七岁的单车》。在创作这些电影时,他的关注转向到普通人中,并对他人开始关心了起来。特别是以在产业化社会中处于危难中的人与社会底层人的生活面貌与异化意识为关注焦点。 此外反应在资本主义社会的波涛中为了致富而偷渡到美国、但最终被美国政府驱逐出境回到故乡的中国人与他的生活和意识的电影《二弟》与1960年代为了建设农村的经济改革而移住到农村的城市人没能在农村扎根只能沦落为边缘人、而上海这种大城市的产业化与资本化的波涛也被排除在外、由此正在矛盾与苦恼的人们的电影《青红》中也明显地现出边缘人意识。 对王小帅以后的电影创作很难断然下定论,但他在2001年与《新闻周刊》的方谈充分地代表他的电影思路,并这些便给我们提供了猜测他步伐的头绪。我认为他坚持独立电影的精神,并且通过自己的电影来努力地刻畵当代中国人的生活面貌。

      • 중국 내 한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엄마를 부탁해』에 나타난 가부장제를 중심으로

        왕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ypically,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highly emphasized as the four major aspects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however, majoring a foreign language in college requires not only fluency in the language but also a certain degree of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country from which the language is originated. Such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the cultural backgrounds of a language often promote better learning in the language. Literature works, especially contemporary ones, are broadly utilized by foreign language major students as a tool to study both the languages and the cultures they are majoring i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nfirms that universities in China lack active application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s in Korean culture lessons, analyzes the criteria that prior studies have set for choosing literature works as an effective means of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sets its own criteria. Based on the criteria, Please Look After Mom, a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by Kyung-Sook Shin is chosen: its literary value and various perspectives on Korean culture possess great significance for Korean major students in China on having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Please, Look After Mom views the culture and zeitgeist of contemporary Korea through four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a dad, a son, a mom, and a daughter. The dad represents a typical patriarchal Korean father; the son represents the Korean dream and new hope; the mom represents Korean mothers’ sacrifice for the family; and the daughter represents modern Korean women who challenge traditional values. But each character also has different aspects. The dad regrets his past failures as a father; the son struggles not to resemble his dad, who he swears not to become like; the mom gradually seeks her true self in the patriarchal Korean society; and the daughter emphasizes her mom and her sacrifice. This study will teach and learn the Korean patriarchal culture based on Please, Look After Mom and will also focus on understanding social changes within Korea in which patriarchy is gradually fading. To do so, this study provides a teaching-learning model with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ill intrigue the audience, the second stage will introduce them the cultural aspects depicted in the literature work, and the final stage will help the audience fully absorb what they learn. The lessons will be three 100-minute classes, and they are expected to be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how patriarchal systems are changing in Korea and China. The lessons are designed to help junior and senior Korean major students in China better comprehe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u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외국어 학습은 기본적으로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네 가지 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대학교에서 외국어를 전공한다면 목표 언어를 활용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일정한 수준의 이해도 요구되며, 그 이해와 관심이 효과적인 학습 유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문학, 특히 현대문학은 외국어 전공자가 목표 언어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자료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현대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문화교육이 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작품 선정 기준들을 살펴본 후, 문화교육 자료로서 문학작품의 선정 기준을 세웠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숙 작가의 현대소설 『엄마를 부탁해』가 흥미를 이끌 수 있고, 문학성이 높고, 문화 요소가 풍부한 작품으로 선정 기준에 적합하여 중국 내 한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엄마를 부탁해』는 아버지, 큰아들, 엄마, 큰딸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아버지는 한국 사회의 전형적인 가부장적 남편을, 큰아들은 가족의 꿈과 희망을, 엄마는 가족을 위해 사는 희생적인 삶을, 큰딸은 기존의 가치관에 저항하는 현대적 여성상을 상징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아버지는 남편으로서의 뒤늦은 회한, 큰아들은 또 한 명의 가부장적 아버지로 변화, 엄마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아를 찾는 이미지, 큰딸은 그 시대 어머니를 이해하는 딸로서 개인적, 사회적 인식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본 연구는 『엄마를 부탁해』에 대해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가부장제 문화를 교수-학습 하도록 하되,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부장제가 사라지거나 변화되는 모습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1단계, 작품 속에 담고 있는 문화 요소를 학습하는 2단계, 배운 내용을 자기화하는 3단계의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총 3차시로 나누어 각 100분의 수업 시간을 설정하여 『엄마를 부탁해』의 내용과 한국 가부장제 문화를 이해하고, 현대 한국과 중국의 가부장제가 변화되는 모습의 비교 등을 통한 실제 문화교육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바, 이를 활용함으로써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3, 4학년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한∙중 간 문화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나아가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게 되기를 기대한다.

      • 영어 말하기 과업에서 제 2언어 학습자의 과업 전 계획 수행 양상 및 영향

        왕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사전 과제 계획에서 학습자들이 어떤 전략을 사용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Levelt(1989)의 스피킹 모델과 Skehan(1996)의 방법론적 틀을 가지고 과제를 만드는 데에 사용하였으며, TBLT 과제를 만드는 시간의 중요성과 말하기 과정이 연구되었다. 발표 과제는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23명의 상급레벨의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주어졌다. 각 학습자들은 주어진 주제에 대해 10분 동안의 사전 과제 계획 시간과 3분에서 4분의 말하기 발표 시간이 주어졌다. 후에는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인터뷰와 발표 샘플은 코딩을 걸쳐 분석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여자들은 사전 계획 시간 동안 주제에 관한 내용을 발상하는 데에 주를 두었고, 따라서, 표현과 정확성은 계획 시간 동안 생각하지 않았다; 2) 학습자들은 비인지적인 방법론보다 인지적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몇은 발표하는 시간에 결과물에서 보여졌다; 3) 정서적 변수가 학습자들의 주의에 복잡하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what learners did and what strategies they used during pre-task planning. Under the framework of Levelt’s (1989) speaking model and Skehan’s (1996)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implementing task, the importance of planning time for TBLT and speaking process was explored. A presentation task was implemented among 23 advanced Korean L2 English learners. Each participant gave a three-to-four-minute speech under a given topic with 10-minute-planing time and did an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 Participants’ interviews and speech samples were cod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learners in this study placed most attention on conceptualization of ideas during pre-task planning and fluency of speech while speaking, therefore, formulization of utterances and accuracy were not attended to in pre-task planning stage; 2) learners used more cognitive strategies than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few strategies were discovered during their actual speeches; 3) affective variables influenced learners’ attention in a crucial but complicated way.

      • 에나멜 물성을 활용한 현대 장신구의 감성디자인 개발 연구

        왕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1960년대부터‘현대 장신구’는 독립적인 디자인 컨셉으로 자리매김해 오늘날까지 과학기술, 문화, 관념과 더불어 발전을 거듭하면서 디자인 컨셉의 선도자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대 장신구는‘컨셉과 감정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오랜 시간 강조해왔으며 이를 통해 핵심적인 디자인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오늘날‘감성시대’에 사람들은 마음과 정신에 따른 느낌에 더욱 주목하는데 인간과‘물(物)’간에 정신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은 디자인 영역에서 중요한 방향으로 자리매김했다. 감성과 감성디자인의 탐구는 디자이너와 사용자(감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효과적인 유대 역할을 하고‘인공물’의 심층 디자인 사고에서도 중요한 내용으로 자리한다. 재료는 감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재료 매개의 심층 개발 확장으로 해석되며 현대 장신구 발전과 혁신을 이끄는 주요한 원동력으로 줄곧 작용해왔다. 따라서 재료 물성에 관한 연구 및 이에 따른 조형 형식, 컨셉 표현에서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 줄곧 현대 장신구 영역의 중요한 연구 방향이었다. 전통 공예 소재인 에나멜은 장신구 재료로서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지만, 시대적인 요인으로 점차 쇠퇴하는 모양새이다. 특히 장신구 분야에서 에나멜 소재의 감성적 가치는 충분하나 감성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과 목적에 기반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전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감성디자인 생성과 요인을 기반으로 먼저 소재 확장과 에나멜 소재 디자인의 세계적인 수상작가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전통 에나멜의 굽는 시간, 온도, 성분을 변화시키는 소재개발 실험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색채, 질감, 형태 등 감성 표현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디자인 개발에서는 17점의 브로치와 3점의 목걸이를 대상으로 에나멜 소재의 현대 장신구 감성디자인 개발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였다. 10점의 현대 장신구 디자인 시리즈는 소재 표현에 의한‘감성이미지 제고의 의미와 시각적 전달 효과’에 대한 사고이고, 9점의 현대 장신구 시리즈는‘소재의 어의와 디자인 컨셉 간의 작용 관계’에 관한 연구이었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서 현대 장신구의 감성디자인 개발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에나멜 소재는 현대장신구 디자인에 적합하다. 에나멜은 전통 장신구 재료로서 역사가 유구하고 공예 유형도 다양하다. 따라서 시대 발전의 수요에 따라 예술적, 미적인 관점에서 에나멜의 물성을 깊이 확장하고 재료의 예술적 표현 잠재력을 발굴해야 한다. 전통 소재의 감성 우세를 현대 장신구 디자인에 더 널리 응용한다면 이 또한 전통 공예문화를 전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에나멜 소재는 현대 장신구의 감성디자인 표현에 확장성이 있다. 깊이 있는 확장 실험을 통해 에나멜 재료의 풍부한 색채, 질감, 형태에서 독특한 예술 언어를 탐색해냈으며, 이는 장신구 디자인에서 중요한 의미와 적용성 가치를 지닌다. 디자인 개발에서 에나멜 소재 색채에 담긴 메타포 그리고 질감, 형태, 조형의 상징성이 현대 장신구 디자인의 관념, 감정을 소통함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밝혀냈다. 실험 과정에서 에나멜 소재가 개발한 자연 친화 형태를 응용해 와비사비 주제를 재현했으며 자연 미학, 심상 표현, 공감각 연상 등 차원에서 감성 이미지 향상에 주는 소재의 역할을 탐색했다. 또 에나멜 소재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어의가 디자인 컨셉 표현에 행하는 중요한 추진 역할도 도출했다. 셋째, 에나멜 소재는 다른 소재에 비해 이질 소재와의 결합에서 그 가치가 우위적이다. 에나멜 공예의 전승에는 일정한 체계가 있고 기법의 확장에는 상당한 잠재적 공간이 있다. 이런 기초 위에서 이질 재료와 뛰어난 융합성을 자랑한다. 전통 귀금속, 진주, 보석은 물론 본래 상태의 복합적인 소재와 조합해도 독특한 감성 언어를 생성하여 현대 장신구의 감성디자인을 풍부히 할 수 있다. 넷째, 에나멜 소재 언어가 지닌 상징성, 공예성, 감정성 등은 현대 장신구 디자인 개발의 주제 개념을 표현하는 데 유리하다. 다양한 기법으로 다른 소재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의 결합, 다양한 디자인 방법을 통해 에나멜은 작가의 디자인 개념을 충분히 보여준다. 본 연구는 현대 장신구 19개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자연관,‘와비사비(わび-さび) 미학’”을 중심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적색 색조 5가지, 에나멜과 금박, 진주 등 귀금속 소재를 결합한 표현형식, 에나멜 금속 테두리 다듬기 기법의 혁신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다섯째,본 연구 개발 디자인으로 상업용 에나멜 장신구 개발에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에나멜 재료의 감성 표현은 상품 주얼리의 개성과 감성에 대한 현대인들의 수요를 만족시켜 장신구 상품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 현재 에나멜 재료는 상업 주얼리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데, 국제 고급 명품 주얼리인 불가리, 카르띠에 등 명품 브랜드는 수공예와 문화예술 가치가 높아 가격이 엄청 비싼 편이다. 반면 저렴한 액세서리, 소상품 시장, 온라인 소매 분야에는 공예와 미적 특색이 부족해 브랜드 창출의 부가가치 목표가 형성되지 않았다. 현대 장신구는 장신구 디자인 영역의 전위개념과 기법 소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에나멜 재료 감성 특징이 상업 주얼리, 특히‘파인 주얼리’(Fine Jewelry)의 감성디자인에서의 중요한 가치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과정과 디자인 개발의 감성디자인 공예기법 과정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학제적인 기초연구와 장신구 작가에게 전략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재의 확장을 바탕으로 한 감성 언어와 디자인 컨셉의 감성디자인을 연결시켜 해석함으로써 에나멜 재료가 현대 장신구 디자인 실천에 응용 가능한 새로운 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업 주얼리 디자인 개발에도 그 가치와 시장 적용성을 지닌다. 지금까지 상업 주얼리 영역에서 에나멜 재료의 응용은 제한적이다. 전통 에나멜 기법은 여전히 사제들이 전승하는 공방이나 작은 작업실에 머물러 전통 표현 효과를 고수하고 표현 언어가 단일해 시장수요를 중심으로 한 실험 확장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시장조사와 결합하여 상업 주얼리 영역에서의 에나멜 소재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향후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에나멜은 전통 공예의 무형문화재이다. 시대가 발전하여 새로운 시장 환경이 형성되면서 현대 소비자들은 개성과 감성, 심미적 요구에 어울리는 주얼리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주얼리 산업에서 에나멜은 상당한 문화·디자인·경제적 개발 가치를 지니고 있다. Since the 1960s, "Contemporary Jewelry"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ndependent design concept and has continued to develop along with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and ideas to this day, becoming a leader in design concepts. Contemporary Jewelry has long emphasized its function as a "medium of concept and emotional communication," and through this, it implements core design values. In today's "emotional era,"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the feelings of the mind and mind, and ment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direction in design. The exploration of emotion and emotional design plays an effective role in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and users (auditors) and is also an important content in the deep design thinking of "artificial objects." Materials are an important medium for expressing emotions, interpreted as an in-depth development expansion of material mediation, and have been a major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Contemporary Jewelry. Therefore, it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research direction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to overcome limitations in the research on material properties, the form of formation, and concept expression. Enamel, a traditional craft material, boasts a thousand years of history as a jewelry material, but it seems to be gradually declining due to the factors of the times. In particular, the emotional value of enamel materials in the field of jewelry is sufficient, but systematic research on emotional design is insufficient. Based on these research needs and purpose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ducted material expansion and case analysis of world-class award-winning artists in enamel material design based on the generation and factors of emotional design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focusing on material development experiments that change the baking time, temperature, and ingredients of traditional enamel,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expression such as color, texture, and shape. In design exploitatio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Jewelry emotional design made of enamel was approached more systematically and strategically for 17 bpieces of rooches and 3 pieces of necklaces. The 10 pieces of Contemporary Jewelry design series was an idea of the meaning and visual transmission effect of enhancing the emotional image by material expression, and the 9-point Contemporary Jewelry series wa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eaning and design concept.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meaningful research results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design of Contemporary Jewelr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enamel material is suitable for modern tall design. Enamel is a traditional accessory material with a long history and various craft typ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deeply exp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enamel from an artistic and aesthetic perspective and discover the potential for artistic expression of materials. If the emotional dominance of traditional materials is more widely applied to Contemporary Jewelry design, this will also be the best way to pass on traditional craft culture. Second, the enamel material has expandability in expressing the emotional design ofContemporary Jewelry. Through in-depth expansion experiments, unique art languages have been explored in the rich colors, textures, and forms of enamel materials, which have important meaning and applicability value in jewelry design. In design exploitation, it was found that the metaphor and texture, shape, and symbolism of the sculpture contained in the color of enamel materia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communicating the ideas and emotions of Contemporary Jewelry design. During the experiment, the theme of Wabi-sabi was reproduced by applying the nature-friendly form developed by enamel materials, and the role of materials in improving emotional images was explored in terms of natural aesthetics, image expression, and synesthesia. It also drew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expression of the design concept of symbolic language held by enamel materials. Third, enamel materials have an advantage in their value in combination with heterogeneous materials compared to other materials. The inheritance of enamel technology is systematic and has considerable potential for technical promotion. On this basis, it has good compatibility with foreign materials. Even if it is combined with traditional precious metals, pearls, jewelry, and complex materials in the original state, it can create a unique emotional language and enrich the emotional design of modern jewelry. Fourth, the symbolism, craftsmanship, and emotion of enamel materials Semantics are advantageous in expressing the theme concept of Contemporary Jewelry design exploitation. Various techniques combin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ith other materials, and through various design methods, enamel fully demonstrates the artist's design concept. Through the design project of 19 Contemporary Jewel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focusing on "View of nature" and "Wabi-sabi Aesthetics" to study Five theme color tone, expression combined with precious metal materials such as enamel, gold leaf, and pearl, and innovation of enamel metal border trimming techniques.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rther becom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enamel jewelry. The perceptual performance of enamel materials can meet the personality and perceptual needs of modern people for commodity jewelry, and enhance the value of product jewelry. Currently, enamel materials have a fairly limited market share in the commercial jewelry market, and luxury brands such as Bulgari and Cartier, which are international luxury jewelry, are very expensive due to their high handicrafts and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n the other hand, the value-added goal of brand creation was not formed due to the lack of craf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cheap accessories, small product markets, and online retail sectors. Contemporary Jewelry leads the study of potential concepts and techniques in the design area of jewelry, and this study discovered an important value in the emotional design of commercial jewelry, especially Fine Jewelry, through experi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ystematically derive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emotional design craft technique process of design exploitation to provide strateg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basic research and jewelry artists. By linking and interpreting the emotional language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and the emotional design of the design concept, enamel materials presented a new route applicable to Contemporary Jewelry design practice. In addition, it has its value and market applicability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jewelry design. Until now, the application of enamel materials in the commercial jewelry area has been limited. Traditional enamel techniques still remained in workshops or small workshops passed down by priests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expression effect and lack experimental expansion research centered on market demand due to the unified expression language.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ture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enamel materials in the commercial jewelry field in combination with market surveys. Enamel i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traditional crafts. As the times develop and a new market environment is formed, modern consumers are demanding jewelry products that meet individuality, emotion, and aesthetic needs. In the jewelry industry, enamel has considerable cultural, design, and economic development value.

      • 중국 e스포츠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왕자영요>와 한국 아이돌 생태계 비교를 중심으로

        왕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Nowadays, E-sports are becoming a global phenomenon as they grow into an industry. E-sports, in particular,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new entertainment industry, and China is no exception to this phenomenon. Winning two gold and one silver at the 18th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and winning the 2018 LOL S8 World Championship has shown the strong appeal of Chinese E-sports to the world and it has also brought E-sports to the attention of Chinese mainstream market. However, in China, E-sports has not conducted in-depth and detailed research while seek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with its own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is an obstacle to activating E-sports in China. The most important point of view in this study is a shift in view of E-sports as just a game competition, but as a pop culture or entertainment industry. Now, there must be a shift in the perspective of viewing professional league players as stars of pop culture and viewing spectators not as spectators but as fandoms, so that Chinese Esports will become a industry and business, not just a competit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al development direction of E-sports in China based on analysis of <Honor of Kings> E-sports cultural factors and focused on <Honor of Kings> E-sports and Korean idol ecosystem comparision. In the analysis of cultural factors, three major leagues in the <Honor of Kings> E-sports system are analyzed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factors and improvement of shortcomings will be presented. Accordingly, <Honor of Kings> E-sports combine technology and art to utilize and promote local culture and game culture, but commercialization and business strategy are still immature. Especially, the in-depth needs of E-sports audiences have yet to be developed as an act of 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Korean idol industry, we discovered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E-sports ecosystem in China and the Korean idol ecosystem and verified these problems again. Finally, based on cultural factors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we explored the cultural development direction of Chinese E-sports and presented the activation Plans as follows. First, Provide a vivid and more diverse viewing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s of stage design, player image and fan participation. Second, considering the cases of active players, retirees and trainees, develop more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entertainment programs to satisfy fans’ needs. Third, add emotional ties between fans and fans, fans and players, and optimizes fandom form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more communication and contents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fundamental to the study of E-sports in China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sports in China in the future. 오늘날 e스포츠는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세계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 특히 e스포츠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세계의 여러 국가에서 많은 주목을 끌고 있는데 중국도 이러한 현상에서 예외가 아니다. 제18회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따고 2018 LOL S8 월드 챔피언쉽에서 우승을 차지한 덕분으로 중국 e스포츠가 세계에 강한 매력을 보여주었고, 국내 주류 시장의 주목을 더 많이 받았다. 그렇지만 중국에서 e스포츠는 자기 문화적 특색을 가지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과정에서 심층적이고 세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중국에서 e스포츠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장애가 된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e스포츠를 단순히 게임 대회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대중문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보고자 하는 시각의 전환이다. 이제 프로리그의 선수들을 단순히 프로 게이머로 보지 않고 대중문화의 스타로, 관람객을 관람객으로 보지 않고 팬덤으로 보는 시각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중국의 e스포츠는 단순한 대회가 아닌 하나의 산업, 비즈니스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중국 e스포츠의 문화적 발전 방향을 탐구한 논문으로, <왕자영요> e스포츠를 사례로 중국 e스포츠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고 한국 아이돌 생태계를 비교를 통해 중국 e스포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적 요소 분석에서는 <왕자영요> e스포츠 체계 중 세 개의 주요 리그를 분석하고 문화적 요소의 활용과 보완할 문제점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왕자영요> e스포츠는 기술과 예술을 용합해서 지역 문화, 게임 문화 등 많이 활용하고 홍보하지만 상업화와 비즈니스 전략은 아직 미숙하다. 특히 문화실천 행위로서 e스포츠 수용자의 심층 니즈는 아직 개발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 아이돌 산업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국 e스포츠 생태계와 한국 아이돌 생태계의 유사점을 많이 발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다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요소 분석과 비교 분석을 토대로 중국 e스포츠의 문화적 발전 방향을 탐구했고 다음과 같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대 디자인과 선수 이미지 그리고 팬이 참여하는 각도를 통해 더욱 생생하고 다양한 관람 경험을 선사한다. 둘째, 현역 선수와 은퇴 선수 그리고 연습생의 경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오락 활동과 예능 프로그램을 더 많이 개발해 팬들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셋째, 팬과 팬 그리고 팬과 선수 간의 정서적 유대를 더하고 더 많은 소통과 콘텐츠 개발을 통해 팬 형성과 양상을 최적화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국에서 다양한 e스포츠에 대한 연구의 밑바탕이 되고 중국 e스포츠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MMORPG <의천선협전>의 공간 디자인 연구

        왕경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As for setting of game scene, we shall firstly determine the style of game, and then know main story line of game; find out the important scene site through analysis on story line, and then design the required design drawing according to the demand of game. My direction of graduation design mainly aims at designing game scene and making building scene of game wi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 culture through 3D technology. I intend to take Jin Yong’s famous work Heaven Sword and Dragon Sabre as model to make a game scene with feature of the end of Yuan Dynasty to show the atmosphere of story and Chinese social feature at that time. Because I take swordsmen’s story as model, my graduation design will be mainly expressed through game scene which is a modified or processed version of the scene appearing in the novel. As an important part of game, the game scene can guide the game players to know the story line of game. Besides, in the process of playing game, it is more convenient for players to know the development of story in the game scene through exploration on the places where the game protagonist once resided or lived. The research content of this paper mainly includes two aspects: one is the reflection of Chinese swordsman style in the virtual game scene, and the other is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reflected through game scene. My direction of graduation design mainly aims at designing game scene and making building scene of game wi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 culture through 3D technology. The design for game scene is not merely a picture or an independent scene; it includes story line of game and it is also a kind of expression art through which the atmosphere of game is created. Therefore, when we make game scene, except for seeking for lifelike and beautiful architecture, we shall also consider the practicability of architecture in the game. Although we must pay attention to aesthetic research about scene design in order to attract players, the excessively complicated design will also make players feel bored. A complete scene needs combination of model, material and lighting so as to realize better reflection; therefore, the person who makes the game scene shall consider many aspects of problems as for final result of work. A good game scene can represent the maker’s line of originality and als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ory. The design of game scene has following functions: To show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game is used to describe the time and space of whole game and it gives a direct display to players about the time and place where the story happens.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have different styles and features, and the architectural style can show current historical features. To create emotional atmosphere: The special point of design of game scene lies at the situation that the design of game scene shall start from game role and create a specific emotional atmospher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story, so as to show the game role’ To set off the rol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or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tory, it is able to give an intuitive display on change of story through change of scene. The spatial design in game scene can show the change of whole game atmosphere as the development of story. In this way, the players can have a more direct feeling on development of story and the game story can be continu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that there lacks of independently researched and developed large-scale online game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current Chinese online games, the game designer shall develop more games with Chinese national characteristics to attract players’ene, and the players can also know Chinese culture in the process of playing game. In this way, the game designer can realize the purpose of publicizing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game.

      • 고려시대 교방(敎坊)의 사적(史的)연구

        설비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eriod and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Goryeo Gyobang system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o clarify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 Gyobang. Goryeo Kyobang is not only influenced by Song Won Kyobang, who existed in China at the same time, but also traces of Tang Kyobang. Since Kyobang was established and institutionalized in the Tang Dynasty,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the origin of Kyobang on the Korean Peninsula is Chinese Kyobang,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Tang, Song, and Yuan music organization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Silla and Tang exchanges between Silla and China were carried out frequently, and that the Silla and Tang exchanges between Silla and China were carried out frequently. In addition, compared with Goryeo's,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system was adopted, but it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ing and purpose of the system was used.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려 교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반도에 교방 제도가 유입된 시기와 배경을 살펴보고, 고려시대 교방의 변천과 성격을 밝히는 데에 있다. 고려 교방은 같은 시기 중국에 존재했던 송(宋)·원(元) 교방의 영향은 물론 그 이전 시기인 당(唐) 교방과의 연관성도 나타난다. 교방은 중국의 당(唐)시기에 설치되고 제도화되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교방의 연원을 중국 교방으로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한반도로 유입된 당악은 물론 당(唐)·송(宋)·원(元)대의 음악기관인 교방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중국 교방 제도를 검토하고 신라 중·하대와 중국의 음악 교류를 국내·외 사료를 통해 교방 제도의 한반도 유입 시기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신라 중·하대를 검토한 결과 신라와 당 사이의 교류가 빈번했었던 만큼 당(唐)대의 음악기관인 교방 역시 신라에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또한 중국 교방 검토를 토대로 고려 교방과 비교해 본 결과 중국 교방의 제도를 수용하였으나 시기나 쓰임에 따라 변용하여 운영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고려 교방의 변천을 살피기 위하여 관현방(管絃坊) 설치 이전과 이후로 시기 구분을 하였고 설치 이전 시기는 태조(太祖)∼현종(顯宗) 시기, 덕종(德宗)∼문종(文宗)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설치 이후 시기는 순종(順宗)∼원종(元宗) 시기, 충렬왕(忠烈王)∼공양왕(恭讓王) 시기로 구분하였다. 관현방(管絃坊)이 설치되기 이전 교방은 궁중 의례나 행사에서 가무를 주관한 것으로 파악되며 설치 이후에는 교방에서 담당했던 역할을 관현방(管絃坊)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보아 교방의 기능이 축소 혹은 이전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관현방(管絃坊)이 점차 교방의 기능을 흡수 혹은 대체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측되며 이후 교방은 주로 여악(女樂)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능이 축소된 교방은 원(元) 제국의 등장과 함께 다시 한번 변화를 맞게 된다. 이는 원(元) 교방의 위상 변화와 결을 같이 하는 것으로 원(元) 제국에서는 교방의 구성원 중 하나인 교방사(敎坊司)의 품계를 종5품에서 정4품으로 순차적인 개편을 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조치가 이루어지는 이 시기 고려에서는 관현방(管絃坊)과 동일한 조건의 창기(倡妓)를 선발하여 교방에 충당한 점, 관현방(管絃坊)으로 이전됐던 교방의 역할이 교방에서 다시 나타나는 현상이 포착된다. 이처럼 원(元) 제국 등장 이후 고려 교방의 위상 변화와 관련된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원(元) 제국 내에서 교방의 지위 강화에 따른 일련의 조치가 고려에도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 아닐까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