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달성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역사적인 변천과정과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옥희정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는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중 일부는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도시의 발전 방향이 전통적인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어 발전되어 왔고 특히 60년대 이후부터는 경제적인 원리가 더 중요시 되어 도시의 역사적 환경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구는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경상도 지역의 문화·행정·정치의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오랜 역사 도시로 발전하여 왔고, 전쟁 속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피해가 크지 않아 적지 않은 역사적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구만이 가지는 역사적 도시로서의 독특한 개성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의 역사적 공간 중에 특히 달성은 선사시대부터 방어에 유리한 자연 구릉지를 바탕으로 토성이 축조된 이후 대구의 대표적 공간으로 자리잡아 왔다. 고려 중엽 서(徐)씨 세거지로 전환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조선말 까지는 원래 초기 달성의 성립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공간으로 사용, 즉 구릉지라는 환경적 입지조건을 실증적 입장에서 활요한 군사 방어적인 시설이나 행정 중심지로 이용되었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달성은 정유재란 시 내부의 감영 공간 소실과 읍성이 대구의 중추적인 시설로 부각되는 계기를 통하여 이후부터는 군사적 방어 시설이나 행정시설 등 실증적 입장을 고려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었다고 보이며 이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인 공간으로서 그 존재성을 약하게 이어졌다고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상징적인 공간의 존재성은 일본헌병대가 주둔하면서 본래의 실증적인 공간으로 잠시 복귀다가 이후 공원과 신사가 들어오면서 표면적으로 상징적인 공간과 실증적인 공간을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으로 근대 말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달성은 대구 도시 형성 과정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대구의 오랜 대표적 공간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나 이를 잘 보존·활용하고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구 도시 속에서 존재하는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의 어려움으로 적극적인 보존·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 할 수 있다. 달성과 달성 주변지역의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바로 다행히 아직까지 달성을 보존 활용하기 위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구를 정체성을 가지는 도시로 정비하기 위한 지방 자치단체나 시민단체의 관심과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달성을 지난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공간 보존에 그칠 것이 아니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앞으로도 대구의 역사를 답을 수 있고 대구를 상징할 수 있는 역사적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Major citie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long history. However, some of these cities has gone under distorted development proces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direction while going through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age. Particularly, economical principles became to have more importance since 1960s, so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city started to go out of consideration. Daegu has been an important historical city operating its rule as a center of culture, administration, politics n Kyeong-sang do area from the era of the Three States to Chosun Dynasty. It also has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laces since their have not experienced severe damages despite the wa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unique characteristics in Daegu as a historical city nowadays. Among these historical places in Daegu,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based on mud castle on hill areas advantageous for defense since prehistoric age. Except for the times of being a residence of 'Seo‘ in Middle Goryeo, Dal-Seong was used as a place not so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stablishment purpose. It was used as a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utilizing environmental requirement of hill areas. And Dal-Seong was not required to have a practical position such as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after Jeong-yu Jaeran, just remained as a symbolic place based on former history. The existence of this symbolic place became an originally practical place while Japanese military police was stationed. After the parks and shrines were built in the place, Dal-Seong became the location simultaneously accepting symbolic and practical concepts until the modern times. So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in Daegu for a long time after doing a major role in formation of Daegu city. But its maintenance and utilization is not so actively done. This is because we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value of historical place existing in Daegu while having difficulties in the activ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with the hardness of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We found that there is still a positive factors to maintain and utilize Dal-Seong after situational analysis and surveys of Dal-Seong and near units. Also, efforts and concerns of civic groups or local government have been started to make Daegu as a city with its own identity. Not only considering Dal-Seong with a spatial maintenance as a historical remains of old ages, we should develop it as a symbolic place of Daegu while satisfying functions of currently utilized parks.

      • 뉴욕소재 뮤지엄의 설립 및 후원형성 관계와 그 특징에 관한 영향연구

        옥희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뮤지엄은 수집, 연구 보전, 전시의 전통적인 역할부터 대중들을 위한 여가생활, 위락공간, 대안적인 교육 공간 등 다 기능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뮤지엄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타의 조직과 마찬가지로 뮤지엄의 재원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공공기관으로서 비영리 기관인 뮤지엄은 재원의 확보에 많은 난관에 직면해 왔다. 오늘날 미국과 다른 풍토에서 성장해온 유럽 뮤지엄들도 점차 자체적 재원 조성이나 수익활동의 필요성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뮤지엄의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재원조성의 한 방법으로서의 후원형성과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내에서도 뉴욕(New York City)에 위치한 주요 뮤지엄을 중심으로 그 설립과 후원형성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사례를 통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의 장단점을 근간으로 국내 뮤지엄의 후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한계점 등을 통하여 후원문화 형성의 지표를 마련하는데 초석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 그리고 방법 및 범위를 밝혔다. 제 2장에서는 뉴욕소재 박물관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뉴욕 소재의 뮤지엄의 설립과 후원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회·경제적 배경과 그에 따른 시대적 상황을 종합, 정리 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뮤지엄 설립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거대한 개인 자본가의 뮤지엄 설립과 후원의 영향관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뉴욕에 소재한 메트로폴리탄 뮤지엄(The Metropolitan Museum), 구겐하임 뮤지엄(Solomon R. Guggenheim Museum), 휘트니 뮤지엄(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그리고 뉴욕 현대미술 뮤지엄(MOMA,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을 중심으로 설립과 후원형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제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정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뮤지엄의 설립과 후원의 영향관계 특징을 분석, 연구 하였다. 뉴욕의 뮤지엄은 유럽의 뮤지엄과는 달리 그 설립초기에서부터 자본 세력의 영향을 긴밀하게 받아왔다. 현재의 후원양상 또한 이전의 개인기업의 지원에서 거대 기업의 지원으로 옮겨가는 양상을 보이며, 여전히 자본 세력의 영향권 안에서 후원문화가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다양한 후원형식의 등장 함께 상업적인 경영 방식을 보여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후원방식의 운영은 후원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낳는 동시에 뮤지엄의 자본주의화·상업화로 전락하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앞서 조사, 분석한 자료들을 총체적으로 요약 정리하여 모범적인 후원문화를 형성한 원인과 비판점등을 분석 하였다. 자료 수집과 정리, 문헌 중심의 연구를 통해 역사적·사회적·경제적인 맥락에 따른 뉴욕시의 뮤지엄 설립과 후원 형성 영향관계 살펴보고, 이를 이론적 배경으로 뉴욕시 내에서 뮤지엄이 어떻게 성립되게 되었으며, 후원의 변천이 어떠한 흐름으로 전개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오늘날 뮤지엄은 자체적 재원 조성 능력을 위해서 기업의 스폰서십을 적극 적으로 유치하고, 후원회원의 숫자를 늘리는데 고심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후원형식을 개발하고 대형관람객을 만드는데 만전을 기하며 수익을 올리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것은 곧 대중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문화의 장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이기도 하다. 그러나 뮤지엄의 권위가 타락했다는 비난과 대중들에게 즐거움과 공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공공 뮤지엄이 상업화로 물들어가고 있다는 위험성이 제기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뮤지엄의 운영을 위해 다양한 후원활동을 전개하여 제정을 확보하는 동시에, 뮤지엄은 대중을 위한 공공성 유지를 위한 노력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하여 보다 구체적인 사례연구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전망해 본다. Museums are playing multi-functional roles such as traditional roles including collection, research, preservation, and exhibition, serving as the space for the masses' leisure life, entertainment, and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modern society. In order to perform these various functions and roles, the financial resources is a requisite to the museums like the other organizations. The museums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in obtaining financial resources as a non-profit institution and a public institution. Today, even the European museums which have grown up in a different climate from the USA, gradually became to need financial resources or activities of high profitability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sponsorship and characteristics of museums as a way of fund raisi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museums. This study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establishment of and sponsorship for major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located in New York City, USA, on a case by case basis. Thus, it intended to grope for the sponsorship promoting measures for the museums at home on the ba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dentified in the contents of study to lay groundwork for preparing an index of creating sponsorship culture in view of resultant problems and limitations. Chapter 1 clarified the purpose, background,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2 identifi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alities of museums in New York, and organized all the social, economical background and resultant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ich have influenced on museum establishment of and sponsorship. Chapter 3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tablishment of and sponsorship for museums by gigantic individual capitalis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2.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Metropolitan Museum, Solomon R. Guggenheim Museum,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nd MOMA(Museum of Modern Art) located in New York. Chapter 4 analyz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stablishment of and sponsorship for museum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ata organized in Chapter 2 and 3. The museums in New York have closely been influenced by powerful capitalists from the beginning of establishment differently from the European counterpart. The current phase of sponsorship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support of previous individual company to that of big one, which indicates that sponsorship culture has been still creat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powerful capitalist. Accordingly, commercial way of management has surface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of various types of sponsorship. This successful way of sponsorship gave birth of a new paradigm, simultaneously making us worry that museums might be degradingly capitalized and commercialized. Finally, Chapter 5 summarized to put the data investigated and analyzed above together on the whole, to analyze both the way how exemplary sponsorship culture was created, and critical points. Studying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literatures, it consider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stablishment of and sponsorship for museums in New York in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it examined how the museums have been established in New York, and how sponsorship for them has been changed to date. Today, museum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drawing sponsorship from compani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sponsorship positively in order to foster the ability to raise fund themselves. That is, they are struggling ever so much to develop various type of sponsorship, enlarge the scale of visitors, and raise profits, which can be regarded as a series of effort to provide a space for better service and culture to the masses. But it is criticized in that the authority of museums has been degraded and that the public museum which has to provide pleasure and public education to the masses may be in danger imbued with commercialization. In conclusion, the museums should be interested in keeping their public nature for the masses, while obtaining financial resources by engaging in sponsorship activities to make themselves more effectively operated. Also, m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for this purpose: it is expected that case studies and in-depth analysis will be continued in detail based o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