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산화적 DNA 손상억제 효과

        오창근 중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까지도, 현대사회의 암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내재적 또는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발생되고,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방어기작을 통해 스스로를 방어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DNA 생성 및 결손된 DNA 가닥의 복원은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기인한다. 많은 연구자는 이러한 DNA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 탐색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합성화합물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암 예방적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Liliacese)에 속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근경이며, 전통적으로 해독과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토복령의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식물이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의 활성과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통해 phenolic 화합물을 정량 및 동정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와 phenolic 화합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OH- 라디칼 및 Fe2+으로 유발된 plasmid DNA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DNA 손상에 대한 저해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NIH 3T3 세포의 γ-H2AX 및 p53 단백질 발현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H2AX 및 p53 mRNA 수준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토복령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 都農統合에 관한 硏究 : 務安半島 統合 推進過程을 中心으로

        오창근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농통합은 단순히 시와 인접한 군이 행정구역상 하나의 시로 되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데 이는 지방자치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도시와 농촌이 상호공존하면서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행정구역의 설정이 필요하며, 도시와 농촌이 병행하면서 상호보완적 역할을 통해 농촌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를 맞아 1994년 초부터 논의돼 왔던 도농통합은 그간 41개의 새로운 통합 시를 탄생시켰고 그 과정에서 무안반도 통합은 네 차례나 시도되었지만 무안군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나 아직도 통합을 위한 불씨는 남아 있다. 이 연구는 그간 추진되어 온 도농통합실태를 짚어 보고 무안반도 통합추진과정을 중심으로 진정한 의미를 무안반도 통합을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도농통합의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와 병행했으며, 무안군을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무안반도 통합무산은 통합을 위한 사전준비 부족과 정치권의 일방적 추진에 대한 반감과, 무안지역 상권위축 및 농업행정 소홀에 대한 우려가 주축을 이루면서 통합반대 주민을 설득하는데 실패했다. 따라서 진정한 통합을 위해서는 주민간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때다. 농촌 사람들이 농촌을 떠나지 않고서도 안정된 일자리와 소득을 가질 수 있고 쾌적하고 편리한 정주환경속에서 보람과 긍지, 장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가지는 「촌사람」이 아닌 「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농촌을 삶터로 만들어야 한다. 아울러 통합 이후 소외감을 겪을 지역과 주민들이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통합을 위한 3개 시·군의 주민대표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주민공청회를 지역별로 내실 있게 실시하여 주민 참여를 활성화하고 통합에 대한 여론 수렴을 거쳐야 한다. 이와 함께, 목포시에서는 통합반대 주민들이 찬성할 수밖에 없는 가시적인 행정행위를 보여주고, 무안지역 주민들도 무안군의 독자적 발전보다 인근 시·군과 함께 힘을 합하면 지역경제의 발전을 지금보다 빠르게 진행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의 효율성도 극대화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 퍼지 합의모델을 이용한 WinWin 협의모델의 합의도 개선에 관한 연구

        오창근 고려대학교 컴퓨터과학기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의 요구사항 설계단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시 요구사항 협의단계에서 WinWin 협의모델은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합의값을 결정하도록 도와준다. 이해당사자들은 각각의 Win 조건을 정의하고, 이것을 품질특성별로 규명한 수치화된 값으로 만든 후, 이를 대상으로 협의하여 합의값을 도출한다. 하지만 이같은 합의값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Win 조건에 도달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본 논문은 WinWin 모델에서 이같은 합의값 도출 과정을 규명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어 전체적으로 WinWin 모델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각 이해당사자들은 WinWin 모델 내의 합의값 도출과정에서 퍼지 합의모델에서의 OCA(Opinion Changing Aversion)를 이용하여 합의값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퍼지 합의모델은 그룹 결정지원시스템을 위해 만들어진 모델로, 협의과정에서 생기는 인간의 애매한 표현을 퍼지집합을 통해 정의하고, 합의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도출해낸다. 이 모델은 평가된 신뢰도를 향상시킬 때까지 반복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OCA 도출로 WinWin 협의모델의 합의도출과정이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WinWin 협의모델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설계를 위해 보다 더 개선된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In software development, WinWin negotiation model provides a general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resolving requirement conflicts by eliciting and negotiating artifacts such as win conditions, issues, options and agreements. Stakeholders can make consensus in the negotiation table effectively with WinWin negotiation model. However, there is no formal means of assessing the consequence of tradeoff. So stakeholders cannot sure their tradeoff value as high consensus value. This paper makes the tradeoff sequence to be explainable process by fuzzy consensus model. Fuzzy consensus model is originally group consensus degree measuring model. It brings OCA values as a consensus measuring barometer. As stakeholders can iterate all the tradeoff process to conclude better consensus value, OCA can contribute to improve WinWin negotiation model.

      • 超認知 訓練이 初等學生의 數學問題解決에 미치는 效果

        오창근 慶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Main hypotheses to be examined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etacognitive trai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such training. (2)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tacognitive training condition and level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will be appeared in score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3) Posttest score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will be higher than pretest scores of them. (4)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tacognitive training condition and testing time will be appeared in score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0 third grader children selected randomly from one elementary school. 30 were in high-level and 30 were in low-level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15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each according to mathematical achievement levels. A mixed, between-subjects, within-subjects, design was used. Two between-subjects factor were metacognition training condition (experimental·control) and level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high·low). One within-subjects factor was testing time (pretest·posttest). Several measures were used. 10 prediction test questions assessed the prediction skill on the degree of one's own solving possibility before solving. 10 evaluation test questions assessed the evaluation skill on the degree of confidence about one's own answers after solving. And 10 near transfer and 10 far transfer test questions assessed how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one's own solving.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eiving metacognitive trai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howed more significant evaluation skill on the degree of confidence about their answers after solving than those receiving no such trainin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prediction and transfer skill. (2) Metacognitive trai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mproved more significantly children's skill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than before such intervention. (3)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tacognitive training condition and level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or testing time didn't appeared in scores of prediction, evaluation,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 해외건설현장 프로젝트관리 정보시스템(PMIS) 구축

        오창근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현장에서는 일찍부터 프로젝트 참여자 간 데이터 공유를 위해 프로젝트관리정보시스템(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PMIS는 네트워크가 안정적인 국내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이 열악한 해외건설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ISP 방법론을 활용하여 현재 운용되고 있는 해외 PMIS의 문제점과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해외 PMIS 구축 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해외건설 현장에는 NAS 서버를 활용하여 PMIS 서버를 구축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일단 로컬 서버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 상황이 개선되면 한국 본사 PMIS 서버에 자료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일곱 개의 이슈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해외 PMIS 서버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적합한 하드웨어를 규격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해외건설 현장의 PC와 해외 PMIS 서버 간에 CS 방식으로 데이터를 연동할 것인지, 웹 방식으로 연동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세 번째, 가장 효율적인 개발 Tool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해외 PMIS 서버에 본사 PMIS 서버에 구현된 기능(메뉴)을 모두 구현할 것인지, 해외현장에서 꼭 필요한 일부만 구현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다섯 번째,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여섯 번째, VPN 장비를 선정하고, VPN 구성 방식 중 SSL 방식이 효율적인지, IPsec 방식이 효율적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구축된 A사의 해외 PMIS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독립 운영이 가능하고, 네트워크가 끊어지면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즉시 해외 PMIS와 본사 PMIS 간에 자료가 동기화되고 있다. 또한, 해외 PMIS 서버와 본사 PMIS 서버 간에 보안성을 확보하여 안전하게 자료가 송수신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가 열악한 해외건설 현장에 사용할 PMIS를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가”라는 건설업계의 질문에 대한 IT업계의 첫 번째 응답이라는 의의가 있다. 아울러, PMIS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이러닝, ERP, CRM 시스템 등 다양한 IT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Early in the construction sit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has been used to share data among project participants. However, since the PMIS developed so far has been developed considering the use of the network in a stable domestic construction site, it is difficult to use it in an overseas construction site where the network environment is poo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blem and system status of overseas PMIS currently operating using ISP methodology, and present desirable PMIS construction model. In other words, the PMIS server is constructed by using the NAS server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site, and once the generated data is stored in the local server, it is transmitted to the PMIS server of the head office in Korea when the network situation improves. Seven issues were derived to realize this. First, the hardware requirements of the foreign PMIS server are specified and the appropriate hardware specifications are presented. Second, we examined whether data between PCs of overseas construction sites and overseas PMIS servers would be CS-based or web-based. Third, we proposed the most efficient development tool. Fourth, we examined whether to implement all the functions (menus) implemented in the PMIS server at the headquarters in overseas PMIS servers or to implement only a part necessary for overseas sites. Fifth, the licensing management method of developed software was examined. Sixth, we selected VPN devices and examined whether SSL method is efficient and IPsec method is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view, the company's overseas PMIS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in the local network. As soon as the network is disconnected, data is synchronized between the overseas PMIS and the main office PMIS. In addition, security is ensured between overseas PMIS server and main office PMIS server,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securely. This study is the first response of the IT industry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question, "How should PMIS be used for a poor network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construct various systems such as e-learning, ERP, and CRM system in an environment where network is unstable as well as PMIS.

      • 컨버전스 모델링과 정량적 평가 기준

        오창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 popular convergent services are being made mostly out of IT related services and devices. To help understand the underlying principles making convergent services the paper suggests a logical view of converging process. A service is assumed to consist of unit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algorithmicoperations to form a new convergent service. Convergence operations for a couple of unit services are typed according to whether the unit services are modified. Internal convergence leads to a new service from a combination of sub units of the two unit services. External convergences do not alter original unit services but simply combine them to form a new service. The paper alsosuggests several measurements to evaluate the convergent services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services used to create the new convergent service.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고려하는 서비스(Service)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 기술의 단계는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고, 새로운 서비스탄생의 과정은 개발보다는 기존의 서비스 간의 상호 보완 및 업데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수많은 서비스가 융합(Convergence)을 통하여 개발되고 있으나, 서비스 간의 융합에 대한 개념은 아직 정확한 공학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융합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부재함으로써 융합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의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를 이해하는 수단이 미비하여 서비스의 분석에도 한계가 나타난다. 충분히 이해되지 못한 융합은 오히려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서비스와 차별화되지 않으면서 복잡성만 증가된 서비스가 개발되기 쉽다. 융합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다양화를 충족시키는 것 이상으로, 융합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예측하고 설계된 융합에 대한 평가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융합서비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부 기능들의 관계를 살펴본다. 서비스는 단위서비스들의 조합으로 가정하고, 단위서비스들의 알고리듬적인 조합에 의해 새로운 융합서비스가 발생된다고 정의하였다. 융합에 참여하는 서비스 카테고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융합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수식을 개발하여 융합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였다. 융합 과정을 모델링하여 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융합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인 융합서비스의 설계를 기대한다.

      • 고속파쇄기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화 연구

        오창근 관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가동 중인 약 350개소의 하수처리장에서 1일 평균 7,631 ton/day의 하수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하수 종말처리시설의 신․증설 등으로 2011년에는 460개소에서 10,259 ton/day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11년 말까지 하수슬러지의 육상처리시설 완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런던협약에 의해 하수 슬러지의 해양배출에 규제가 강화 되고 국내에서는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2003년 7월부터 처리용량 10,000 ton/day 이상의 하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직 매립이 금지 되어 슬러지 감량화 및 자원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속파쇄기를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생슬러지와 농축슬러지 두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가용화율을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전체적인 슬러지 감량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NaOH의 주입농도에 따른 회분식 가용화 효율을 비교 해본 결과 주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3%의 가용화 효율로 파쇄기만을 가동하였을 경우에는 거의 가용화가 이루어 지지 않지만 생슬러지의 경우 NaOH를 0.05N~0.15N을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27.1%~42.3%의 가용화 효율을 보였으며, 농축슬러지의 경우 NaOH를 0.05N~0.15N을 주입하였 때 29.8%~46.2%의 가용화 효율을 보여 가수분해 촉매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생슬러지보다 농축슬러지의가용화 효율이 5~6% 높게 측정되었으며 전처리로 사용된 NaOH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가용화 효율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슬러지 감량화기의 연속 실험 결과 가용화 증가율은 평균 88.2%를 나타내었다. 국내 대부분의 하수처리장 유입하수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 대략 60∼130 mg/L 정도로 유기물 농도가 낮아 처리가 잘 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유기성 슬러지를 가용화 하여 미생물의 탄소원으로 생산/공급함으로써 기존 하수처리장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탄소원 대체효과와 슬러지 절감에 의한 경제적인 이익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