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의 相互關係에 관한 연구

        오주환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현대 미술의 지도적 반열로 끌어 올린 추상표현주의가 인간의 내적 감정을 집약된 추상형태로 정체되어 매너리즘으로 쇠퇴한 반면, 팝아트는 외적현실에 대한 긍정적 반응이자 수용의 결과로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간의 구분을 희석시켰다. 또한 소수의 교양계급의 전유물로부터 대중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가 근 10년 동안 절정에 달한 이유는 산업문화를 객관적 입장에서 보고 그 상황을 작품의 소재, 회화의 주제에 무한한 원천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팝아트는 물질문명으로 형성 된 주변 환경을 가볍고 무비판적으로 반영한 테크놀로지문명과 산업사회에 대한 낙천주의적 분위기로 현실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전위적인 예술이었던 것이다. 팝아트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본문에서 다뤘던 대중성, 즉 대중문화, 대중매체의 차용이다. 팝아티스트들은 통속적이고 현실적인 오브제를 선택하거나 대중에게 익숙한 상업적 이미지를 차용하여 꼴라쥬, 확대, 반복, 복제하는 표현 양식을 택하였다. 팝아트가 대중매체를 미술영역으로 끌어들여 보여준 시각적 이미지들의 전반적 특성은, 그 사회의 모든 대중이 공유하는 범속한 이미지라는 점과 다중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으로 집약될 수 있다. 그러나 팝아트는 대중문화와의 접촉으로 삶과 예술의 통합, 현실의 객관화를 이루었지만 대중매체의 무분별한 차용으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잃어버리는 상황에 도달하게 되었다. 결국, 미술시장의 합리화와 예술의 제도권으로의 영입에 따라 팝아트는 소수의 특정 엘리트 계급에 흡수되어 스스로 한계를 드러내며 또 다른 출구를 모색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팝아트는 대중문화를 견지하는 긍정적 부정적 시각과 함께 그에 따른 다양한 실험들로 미술개념을 크게 확대 시켰고, 이러한 미의식을 통해 대중매체에 대한 새로운 재인식의 중요성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20년대 말, 미국의 팝아티스트들을 고무시켜 왔던 대중문화의 매력은 비록, 그 기력이 쇠퇴하였지만, 예술 자체의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미치고 있었다. 팝아트의 중요한 모태(母胎)로써 작용한 차용(借用)의 개념은 후기 팝아트의 대표적인 양식인 하이퍼리얼리즘에 이르러 더울 활발히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다. 미술에 있어서 대상의 사실적 재현에 대한 물음에 돌파구를 마련하면서, 하이퍼리얼리즘은 더욱 구체화되고 강화된 재현성과 카메라의 메카니즘을 통해 현대사회의 일상적인 이미지들을 차용했다. 1970년을 전후하여 하이퍼리스트들은 사진을 의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하이퍼리얼리즘에서 사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 하였다. 하이퍼리어리즘은 카메라가 보는 것을 재현하고 있는데, 이는 재현되는 과정보다는 재현된 이미지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회화와 사진에서 가장 직접적인 상호 관계를 이루고 있다. 카메라의 시각이 단순한 대상묘사, 그 세부묘사를 위한 확실한 재료를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가에게 대상을 새롭게 인식하는 방법을 일깨워 주었다. 팝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의 相互關係的 공통점은 현대 미술 경제,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가장 적합한 미술의 실용성과 대중적인 이미지를 차용하거나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구상미술로 인도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두 양식간의 대중성은 서로 상이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방법적인 형상화를 추구함에 있었다. 팝아트가 사물의 단순한 외형을 차용하고 반복함으로써 예술의 無價値性을 내세운 반면, 하이퍼리얼리즘은 팝아트가 되찾은 현대적 삶에 대한 현실감각을 수용하면서 멀리는 본래 사실주의 성향이 강한 미국적 회화전통을 繼承하는데 있었다. 또한 팝아트가 구현한 대중적 산물인 사진의 이미지를 인용함으로서 사진이 가지고 있는 平面性과 日常性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하이퍼리얼리즘은 철저히 미국적인 회화로서 사진의 광학적인 메카니즘을 이용해 아주 세밀하게 그려나가는 방법론적인 양식을 취한다는 사실에 있다. 이와 같이 사진과 미술의 관계를 하나의 재현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현대적인 새로운 일루져니즘으로 향한 挑戰과 批判意識으로서 대중에게 호소하는 의식 전환을 가져왔다. 또한 팝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은 종래의 회화의 한계적 상황을 극복하고 再生的 방법을 모색하려는 결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새로운 미술사조는 당대 미술 비평가들에게 모방과 재현의 미적개념을 瓦解시키는데 一助 하였던 것이다. 팝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은 한 시대를 풍유(諷喩)하고 사라지는 하나의 미술사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21세기 현대미술의 열쇠가 되는 역할을 할 것이다.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industrial civilization has made rapid stride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an affluent consuming society sprang up. Pop art expropriated various phenomena of consumer revolution in 1960s and positively reflected popular culture. Namely, it was a mediator between modern art and popularity by recognizing such a variety as a new condition of art. And It was a kind of avant garde art, by freshly reinterpreting the real world. Such a world was a mixture of material civilization through technology and an optimistic atmosphere of industrial society. First and foremos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was in a borrowing of the mass media. Pop artists selected popular, practical objets and applied popular, commercial images to their works by using expressional techniques of collage, duplicate, and repetition. Though pop art realized the unification of living and art through popular culture, it missed its original function by imprudently borrowing popular media. In the end, it revealed its limitation and had to grope for a new exit because art was incorporated into regime through the rationalization of art market. For all that, pop ar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artistic concept including affirmative or negative sides and the expropriation of a new aesthetic sense. The concept of borrowing as an important matrix of pop art was revitalized in hyper realism as a typical style of post pop art. Hyper realism found a breakthrough for representation of object in art and borrowed routine images of modern society, by using the technique of detailed representation and the mechanism of camera. About 1970s, hyper realists began to consciously use photographs, and the role of photograph secured very important weight. Hyper realism represented the sight of camera, and its importance was in represented images not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Namely, it originated in the inter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photograph. And the sight of camera enlightened painters by providing painter with way of new cognition, as well as an offer of material for detail drawing. A common feature of interrelation between pop art and hyper realism was in a concrete art based on the borrow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popular images, by considering the fitness of art to modern economy, society, culture, and politics. Nevertheless, the popularity of two styles was caused by a different critical mind and a reality of expressional method. Pop art had a worthlessness of art represent its essence, by borrowing and repeating simple shapes of objects. On the other hand, hyper realism accepted the sense for the real in modern living and succeeded to tradition of American painting as a real propensi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 characteristic of hyper realism was in a side of through American painting and an application of optical mechanism of photograph based on elaborateness. As the above facts, two styles contributed a conscious changeover of the public to photograph and art, by making a challenge to a new illusionism and appealing to the public. Naturally, their common denominator was in the representation of object and the conquest of the existing painting, by groping for a new way. Such new styles rendered services to art critics in those days, by demolishing their conception to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systematic interrelation between pop art and hyper realism based on popularity and to clarified a true meaning of pop art in our time. Two styles were indeed attractive arts because they pursued liberal ideas and got over the limitations of time and genre.

      • 한국어 학습자의 능동적 어휘 발달 양상 연구 : 초급·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오주환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휘란 의미를 지닌 것으로 다른 여러 언어 기능을 학습할 때 빠지지 않고 학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어휘는 이해 어휘인 수동적 어휘와 표현 어휘인 능동적 어휘로 나눌 수 있다. 어휘 능력의 발달은 수동적 어휘가 능동적 어휘로 전이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가 수동적 어휘에서 능동적 어휘로 전이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연구는 수동적 어휘에서 능동적 어휘로의 전이 과정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휘 능력의 발달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등급 간의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의 학습 양상과 등급 내의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의 학습 양상을 각각 비교해 보았다. 실험에 앞서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를 평가할 초급과 중급 수준의 선정어휘를 각각 60개, 57개를 추출하여 Laufer & Paribakht(1998)의 어휘 능력 평가 문항 개발을 변형하여 한국어 어휘 능력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항은 부경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 중인 초급 학습자 14명, 중급 학습자 15명,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수동적 어휘 능력과 능동적 어휘능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수동적 어휘 능력보다 능동적 어휘 능력이 먼저 발달하고, 그 양도 수동적 어휘가 능동적 어휘보다 훨씬 많았다. 그리고 초급보다 중급 학습자가 두 어휘 능력간의 차이가 컸으며 어휘 능력이 높을수록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의 능력차이가 적었다. 뿐만 아니라 중급이 초급보다 등급 내 학습자간의 어휘 능력의 차이가 크고 수동적 어휘 능력이 더 발달한 학습자가 능동적 어휘 능력도 다른 학습자에 비해 더 발달했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 교육은 실제적 사용을 통한 연습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수동적 어휘를 직접 써 보는 활동 등을 통해 능동적 어휘로 전이시킬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초급에서는 수동적 어휘를 최대한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준이 높아질수록 수동적 어휘를 능동적 어휘로 전이시킬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대로 수동적 어휘에서 능동적 어휘로의 전이 과정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휘 능력의 발달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다음 몇 가지에서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어휘 빈도 분석 결과로 제시한 품사 분류표가 기존의 품사 분류표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선정된 어휘의 품사가 명사, 동사, 형용사로 편중되었다. 둘째, 실험도구 개발에서 능동적 어휘 평가가 통제된 능동적 어휘평가에 한정하여 실험하였다. 자유 능동적 어휘평가로 작문을 통한 실험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라고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셋째, 어휘력에 영향을 끼치는 생활환경과 교육환경, 수업 태도, 성격, 교우 관계 등에 대한 질적 연구가 병행되었더라면 더 좋은 연구가 되었을 것이다. 향후 유동적이고 학습자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동일 학습자에게 시기 별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지만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의 분류한 목록이 요구된다. 이 연구 결과와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로 분류된 어휘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수업 구성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is fluent communication, and only arranging vocabulary can help understanding each other, even though it is not accurate. It is important to study words not only in mother language but also in foreign language. In their experience, most of people studying English cannot expect to communicate if they don't know about word they want to use to express, despite how well their grammar skill is or how accurate their pronunciation is. Also in educational field, it is true that teachers are taking a lot of time to teach words efficiently, so as students learning words. Recently, in Korean education only the importance of teaching vocabulary is emphasized but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s at a slow pace. Second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is limited so it is hard to expect incidental acquisition of vocabulary by reading. Level 1 and 2 learners resided under 1 year are tested of their vocabulary ability. Undoubtedly it is preliminary stage for composition of teaching plan.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passive vocabulary size measurement of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their native language.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is measured and analyzed to help prepare for composition of teaching plan. First of all, the test for assessing vocabulary skills, frequent words are selected from textbooks in this year. After then, a test is done to finding frequent words. Passive vocabulary questions developed questions from finding selected words through hint of native language. Active vocabulary questions developed questions from finding selected words through dialogue. Results show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active vocabulary to passive vocabulary is 83.5% in Level 1, 64.9% in Level 2. 2. The active vocabulary level is high in group of superior ability in passive vocabulary. 3. But there were learners measured as novice in active vocabulary from learners measured as superior in passive vocabulary.

      • 전력산업의 구조개편과 경쟁시장에서의 가격산정 방법 고찰

        오주환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력산업은 정부기관이나 규제 기업으로서 독점적인 체제로서 운영되었으나 정치 사회적인 개방화 추세에 따라 통신, 운수, Gas 등의 다른 산업분야와 마찬가지로 구조개편과 더불어 민영화되면서 시장이 개방되고 경쟁에 의한 시장체제가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구조개편 사례로 영국 (England & Wales), 미국, Norway와 Australia에서의 구조개편 과정과 서로 상이한 계통운영 및 시장운영 유형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전력산업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향후의 개방된 전력산업 시장에서의 계통운영과 경쟁시장운영 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의 개방 후 경쟁체제하의 계통운영에 대한 제약조건과 경매에 의한 가격결정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가격 결정에 이용되는 수학적 방법론을 파악하였으며, 복잡해진 가격결정과 계통운영을 위한 Program의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개편된 시장환경에 대비하여 필요로 하는 전력계통 분석 및 운용방안과 아울러 경매시장 관리와 가격결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aElectricity industry was maintained as monopoly structure by the government owned or strictly regulated private utilities. However, electricity utility industries around the world have moved towards restructuring by deregulation and competitive market pool following the several major regulated industries, such as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gas & oil. These deregulation have been accelerated by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privatization. In this paper, the review for the implementation of restructuring electricity industry in experie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 Wales, U.S.A., Norway and Australia, is presented focusing on their restructuring approaches and comparison of different models in network operation and auction market operation. This paper also reviews the parameters for pricing under various constraints of transmission network and bidding prices by auction in the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As the result of review, it is suggested to study and develop the software for the pricing methodology as well as the analysis of transmission network under the auction market introduced after the deregulation of electricity industry.

      • 경쟁압력과 이해관계자 압력이 중소기업의 환경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오주환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xternal factors to make small and medium companies(SMEs) impl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their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built a research model on environment management that is appropriate for SM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competitive challenges and stakeholder’s pressure -> willingness of chief executive officer of SMEs -> spreading environmental awareness, constructing internal environment system, and collaborating with external networks -> environmental performance -> firm’s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11 hypotheses.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oth competitive challenges and stakeholders' pressure are statistically important external factors that make CEOs of SMEs adopt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Second, it is revealed that spreading environmental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a priority rather than reorganizing internal systems or using external networks in SMEs. Finally, it is found that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SMEs is closely linked to enhancing their corporate performance.

      • 컨설팅 유형간 성과 비교 및 정부지원컨설팅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컨설팅을 중심으로

        오주환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소기업청 자료(2015)에 따르면 2013년도 기준으로,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에서 중소기업이 99.4%와 77.8%를 차지하는 반면 생산액과 부가가치에서는 47.6%와 46.8%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영세한 규모 및 낮은 생산성이라는 어려운 현실에 직면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증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은 고용 증대, 지역경제 개발, 중산층 확대, 경제적 활력 제공 등의 역할 수행을 통하여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의 안전화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주체이다. 기업 경영은 인적, 물적, 기술적 자원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용할 때 목표달성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있어 경영자원의 확보는 매우 어려운 과제이며,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설팅지원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효율성 및 이해관계자들의 만족도는 높지 못한 편이다. 또한 컨설팅 공급자인 국내 중소 컨설팅사들은 외국계 컨설팅사에 비하여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컨설팅 수요자인 중소기업 경영자들은 자신들의 모든 문제를 컨설턴트가 해결해 줄 것이라고 믿고 의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지원컨설팅 생태계 내의 모든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다면적인 검토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일반컨설팅과 정부지원컨설팅 간의 컨설팅성과품질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후,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컨설턴트역할품질 및 정부정책품질이 기업몰입품질과 컨설팅성과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컨설팅과 정부지원컨설팅을 모두 경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9.0 및 AMO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측정모형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컨설팅과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컨설팅목표달성도, 투입자금 대비 컨설팅성과, 컨설팅서비스완료수준은 정부지원컨설팅이 일반컨설팅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컨설팅결과물 품질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컨설턴트역할품질(자세, 전문성, 사후지원)은 기업몰입품질(컨설팅 산출물에 대한 이해도, 조직 구성원의 협조와 지원, 컨설팅 결과에 대한 경영자 실행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정부정책품질(컨설팅범위, 컨설팅기간)은 기업몰입품질(컨설팅 산출물에 대한 이해도, 조직 구성원의 협조와 지원, 컨설팅 결과에 대한 경영자 실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컨설턴트역할품질(자세, 전문성, 사후지원)은 컨설팅성과품질(컨설팅목표달성도, 투입자금 대비 컨설팅성과, 컨설팅결과물 품질, 컨설팅서비스완료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정부정책품질(컨설팅범위, 컨설팅기간)은 컨설팅성과품질(컨설팅목표달성도, 투입자금 대비 컨설팅성과, 컨설팅결과물 품질, 컨설팅서비스완료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부지원컨설팅에 있어, 기업몰입품질(컨설팅 산출물에 대한 이해도, 조직 구성원의 협조와 지원, 컨설팅 결과에 대한 경영자 실행 의지)은 컨설팅성과품질(컨설팅목표달성도, 투입자금 대비 컨설팅성과, 컨설팅결과물 품질, 컨설팅서비스완료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기업몰입품질은 컨설턴트역할품질 및 정부정책품질과 컨설팅성과품질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 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을 하면 컨설턴트의 역량이 기업의 몰입이나 컨설팅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정책품질은 기업의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컨설팅 결과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의 컨설팅지원사업은 여전히 기업의 경영환경을 개선하는 주요한 수단이라고 이해되며, 향후에는 중소기업 컨설팅의 질을 좌우하는 양질의 컨설턴트의 양성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

      •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적 활용 연구 : 구축 목적 및 내용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주환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urposes and contents of smart factory building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mart factory.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s two types of purposes of smart factory building as follows: (1) improving productivity, (2) increasing flexibility. In this study, three aspects of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were suggested like this: (1) automation area (facility automation vs. work automation), (2) big data system focus (radical transformation vs. incremental improvement), and (3) value chain integration area (internal value chain integration vs. external value chain integration).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firm size moderates the purposes - contents -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mart factory relationship.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1 manufacturing companies. More specifically, out of 151 companies, 100 are small-and-medium-sized enterprises and 51 large-sized enterprises. All questionnaires were targeted at companies with Smart Factory level above level 2.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ing Smart PLS statistical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s of smart factory building including increasing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had positive impacts on all of the contents of smart factory building. Second, all of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continuous use of smart factory except big data system for incremental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process. Third, the impacts of smart factory building purposes implementation on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purpose is productivity improvement or flexibility. Fourth, it was founded that firm siz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purposes - contents -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mart factory in such a way that large-sized firms tend to empathize the link between flexibility and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for continuous use of smart factory, while small-and-medium-sized-firms emphasizing the link between productivity and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resenting current smart factory deployment cas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has made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is field in that it established and verified a research model for the smart factory building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working-level perspective, corporate practitioners also need to have a different approach to smart factory building, which should be emphasized depending on whether their purpose of building smart factory is to increase productivity or flexibility. In particular, s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it is deemed necessary for firms to implement a smart factory building strategy suitable for their firm size. Key words: Smart Factory, Smart Manufacturing, Productivity, Flexibility, Automation, Big Data System, Value Chain Integration, Continuous Usage.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 -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을 두 가지 요인 - (1) 생산성 향상, (2) 유연성 향상 - 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이 다음의 3가지 측면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 - (1) 자동화 영역(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2) 제조 빅데이터 기술 활용영역(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생산 프로세스의 점진적 개선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그리고 (3) 가치사슬 통합 범위(내부통합, 외부통합) -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어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이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업규모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 -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151개 표본기업들을 대상으로 Smart PL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 151개 기업들 중 중소기업 100개, 대기업 51개이다. 스마트 팩토리 수준단계는 모두가 스마트 팩토리 2단계(기초단계) 이상의 업체들을 대상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및 유연성 향상이라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모든 구축 내용 변수들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들로서 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내부 가치사슬 통합, 외부 가치사슬 통합은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구축 목적이 생산성 향상이냐 혹은 유연성 향상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기업규모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기업규모에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목적과 구축 내용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사례연구 중심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현황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스마트 팩토리 구축전략에 대해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이론적 공헌을 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업 실무담당자는 자사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이 생산성 향상 혹은 유연성 향상이냐에 따라 역점을 두어야 할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을 상이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에서 기업규모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기업규모에 맞게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전략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