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정남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과 부산, 울산 지역에 근무하는 이용시설 및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와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20년 2월 17일부터 배부하여 2020년 3월 7일까지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38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 중에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전문대졸 이하’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학력 등 능력에 비해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대우가 공정하다고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에게 알맞은 직무와 적절한 대우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소속기관이‘공공기관’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사회복지이용시설’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담당하는 업무의 특성상 상당한 정도의 직무 스트레스와 개인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여러 방안들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직무관련 요인 중 근무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이 만족할 만한 근무환경을 조성한다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직무만족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나 영향이 없을 때에는 타 직장에 대한 이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이 직무수행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조직관련 요인 중 임금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에게 임금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공정하고 적절한 급여 제공이 사회복지사들의 업무에 대한 의욕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지사들의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조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결근율도 낮추어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방안들이 필요해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경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 관련 기관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종사자들이 담소 또는 휴식 등을 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의 개선·정비가 필요하고 또한 일정한 휴식시간을 명확히 부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혼 여성들이 일과 생활을 균형 있게 병행할 수 있는 탄력근무제가 시행·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사회복지사에게 주기적이고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원 교육이나 연수시에 조직 내 인간관계 증진 훈련 프로그램,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감성조절 훈련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 직무만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최고관리자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지, 격려, 슈퍼비전을 직원들에게 자주 제공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매년 공무원들이 받는 근무평가의 결과인 성과급 상위 등급자와 5년 이상 장기 근속자에게 2~3개월의 안식월을 제공하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해 보인다. 여기서 2~3개월 안식월의 산정근거는 공무원의 법적 연가일수의 3~4배 기간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출산휴가자와 육아휴직자의 대체인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장기간 업무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근무환경만족도, 직무만족, 임금만족도, 조직몰입, 승진기회, 취업 기회, 사회적 지지

      • WTO/DDA 서비스협상에서 방송시장 개방에 관한 연구

        오정남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WTO가 무역자유화를 추구하는 것은 시장 개방이 모든 국가에 이익을 준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이러한 시장 논리를 바탕으로 한 개방과 규제완화의 흐름은 방송시장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다자간 협상 뿐 아니라 최근의 한미 FTA처럼 양자간 협상에서도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한편 방송시장 개방논의는 물품이나 의료, 금융 등의 서비스 개방과는 차별화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즉 방송이 가지고 있는 공공재적 성격과 파급력은 이미 개방이 시작된 분야와는 다르며, 특히 경제 논리와 함께 문화적 정체성 또는 문화 다양성이라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다. 여기에다 지금까지는 방송시장과 통신시장의 개방 논의가 따로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의 융합 추세로 볼 때 더이상의 분리된 개방 논의는 어렵게 되었다.

      • 교사의 조직몰입 영향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오정남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의 정체성 위기라는 현 시점에서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직몰입 정도를 측정하여 조직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조직 몰입 영향요인들과 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성공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몰입의 효과로서 교사효과성과 업무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있다. 첫째, 교사의 개인특성 요인, 조직문화 관련 요인, 역할특성 관련 요인 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구명한다. 둘째는 교사의 조직몰입과 교사효과성 및 업무효과성의 관계를 구명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하는 가설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즉,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 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넷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과 교사효과성 간의 관계, 다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과 업무효과성 간의 관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적 연구는 정부기관의 보고서 및 각종 통계자료, 연구논문, 기타 단행본을 수집 및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는 기존의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설문 항목을 토대로 만든 설문지를 이용한 실태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 조직몰입의 영향요인과 조직몰입의 성과 등을 분석하고자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사들로만 설문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는 2009년 5월부터 11월까지 경남, 울산, 부산 지역의 국공립 ․ 사립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경남 19개 학교, 울산 2개 학교, 부산 30개 학교를 선정하여 총 51개 학교에 설문지 300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가 회수된 학교는 경남 12개 학교, 부산 15개 학교로 총 27개의 학교에서 총 145부가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적으로 139부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특성(자기효능감, 통제위치)이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특성은 앞의 선행연구에서는 조직몰입에 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조직몰입과 효과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은 교사효과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은 업무효과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학교는 교사에게 교직몰입과 조직몰입 양자를 동시에 요구하는 조직이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의 효과성도 높아진다. 셋째, 조직 몰입의 관련변인으로서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많은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다면적 접근을 통한 ADHD 아동의 상담사례

        오정남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case study, apply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a male sixth-grade student L who has been diagnosed with ADHD. The student is easily distracted, drawing cartoons and leaving his seat without permission during classes. He also displays difficulty in controlling his emotions, as shown by sudden bursts of anger and annoyance, and is experiencing much problem in peer relationship due to such inappropriate behaviors as hitting and harassing friends. 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atic behaviors, a multidimensional program has been conceived, which uses as its basis personal counseling, combining and incorporating such techniques a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social skills training, and involves participation of parents, homeroom teacher and peers who hav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the student as collaborators of treatment. The counseling was administered for a total of twenty sessions,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ent L in the current study, carelessness and impulsively overactive behavior was noticeably decreased. HPR scale score that measures ADHD symptoms through KPRC children's self-report and teachers' evaluation profile, K-ARS tool that measures core symptomatic characteristics of ADHD, Conners evaluation scale, and ACTeRs scores all decreased markedly. In addition, at the point of completing the counseling, the student played soccer with his peers and got along well with them, an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harassing and bothering friends was dramatically reduced. The incidence of leaving his seat during classes was also reduced, and such distracted behaviors as doodling or picking on an eraser showed improvement so that he was able to complete given tasks well. Second, ERS scale score, which reflects self-confidence,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and adjustment and flexibility towards environment, was vastly increased and the effect was lasting four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counseling. Before beginning the counseling, the student thought computer games and money for it as the most important. Immediately after the last counseling, however, he considered his mother as the most valuable being, gaine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the increase in closeness to his mother, came to perceive himself positively and his self-confidence went up. Third, it was shown that h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d to a large degree. Whereas he perceived himself as a little different from most of other kids and felt belittled by friends before the counseling as shown by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after the counseling, his peer relationship showed changes toward more proactive and positive direction; for example, he commented that he would now simply laugh if his friends teased him. Additionally, not only did overall discomfort level pointed out through KPRC profile decrease largely, but also ERS scale score that measures aspects of self-confidence,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and adjustment and flexibility toward environment increas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improvement in aspects such as excessive behavior and impulsiveness that can negatively impact peer relationship and cause conflict, relationship with his peers was vastly improved. Peer relationship test and Iowa social skills scale utilized by teachers also supported the notable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hip. Behaviorally, the student spent the most of time by himself playing games and his peer relationship was mainly through games before the counseling, but after receiving counseling, he showed such positive changes as playing soccer together or participating in games. The valu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the fact that a multidimensional program was conceived and applied to a ADHD child with a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and its effects were elucidated. The program consisted of personal counseling through incorporating and combining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and involved participation of parents, teachers and the child's peers as collaborators of treatment.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treatment intervention by school can improve main symptoms of ADHD in meaningful ways. 본 연구는 ADHD로 진단된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L군에 대해 다면적 접근을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L군은 수업 시간에 만화를 그리거나 자리를 이탈하는 등 주의가 산만하고, 갑자기 화를 내거나 짜증을 많이 내는 등 감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친구를 때리거나 집적이는 행동이 잦아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이 많은 아동이다. L군이 나타내는 이러한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지·행동기법, 사회기술훈련 등의 상담기법을 통합 절충한 개인상담을 기본으로 하고, 아동에게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 담임교사 및 또래를 치료의 협력자로 참여시키는 다면적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총 20회기에 걸쳐 상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면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L군을 상담한 결과 부주의와 충동적 과잉행동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KPRC 아동보고형과 교사평정용 프로파일에서 ADHD 증상을 측정하는 HPR척도 점수와 ADHD의 핵심적인 증상적 특징을 측정하는 도구인 K-ARS, Conners 평정척도, ACTeRs 등의 점수가 현저하게 낮아졌다. 또한 상담을 종료한 시점에서 L군은 또래들과 축구를 하며 잘 지내게 되었으며 친구를 집적이거나 방해하는 행동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수업 도중에 자리를 이탈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수업 시간에 만화를 그리거나 지우개를 뜯거나 하는 산만한 행동이 개선되어 주어진 과제를 잘 완수하게 되었다. 둘째, 자신감,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감 및 환경에 대한 적응성과 융통성을 의미하는 ERS척도 점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었고 상담을 종료한 4주 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L군은 컴퓨터 게임과 그 게임을 하기 위한 돈을 제일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상담을 종료한 직후에는 어머니를 가장 소중한 존재로 인식하였고 어머니에 대한 친밀감이 증가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되었으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되었고 자신감이 높아졌다. 셋째, 대인관계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완성검사에서 상담 전에는 친구들이 자신을 무시하며 대부분의 아이들이 나와 조금 다르다고 지각하였으나, 상담 후에는 나의 친구가 나를 놀리면 웃어줄 것이라고 하는 등 또래관계가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PRC 프로파일에서 지적된 전반적 불편감의 정도가 크게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ERS척도 점수가 측정하는 영역인 자신감,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감 및 환경에 대한 적응성과 융통성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교우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거나 마찰을 초래할 수 있는 과잉행동, 충동성과 같은 측면들이 크게 호전됨으로써 또래와의 교우관계가 크게 개선되었다. 교사평정용 또래관계검사, 교사용 Iowa 사회적 능력척도 등에서도 또래관계가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L군은 상담 전에는 주로 게임을 하며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또래와의 관계도 게임을 매개로 하였으나, 상담 후에는 축구를 하거나 놀이에 참여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유병률이 대단히 높은 ADHD 아동에 대해 학교에서의 치료적 개입이 ADHD의 주요 증상을 의미있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상담 기법들을 절충 통합하여 개인상담을 함과 동시에 부모와 교사, 또래를 치료의 협력자로 참여시키는 다면적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혀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