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약없은 최적화에 대한 최적조건과 선 탐색

        오은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눈문에서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그 응용분야가 다양한 제약 조건이 없는 최적화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는 다변수 벡터공간에서 다뤄지는 문제로서 본 논문에서는 최소값을 찾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조건에 맞는 방향으로의 알맞은 단계의 크기를 정하는 일변수 함수 문제로 변환한 선 탐색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최소값을 갖기 위한 최적화 조건으로 일차 필요조건, 이차 필요조건, 이차 충분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최소값을 찾기 위한 과정 중, 정확한 선 탐색 방법의 수렴에 관한 이론으로서함수값 감소의 한계와 수렴성 그리고 수렴속도에 관하여 공부하였다. 정확한 선 탐색 방법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황금분할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황금 분할법의 알고리즘을 통해 해를 포함하고 있는 초기 구간으로부터 황금비율로 구간의 길이를 계속해서 줄여 나가는 과정을 연구하였고, 그에 대한 수렴이론을 수치적 실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조절효과 분석

        오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환위기 이후 고용의 형태는 점차 탄력적으로 변화하였고, 조직구조 형태도 위계적인 조직에서 수평적인 조직으로 바뀌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을 구성하는 핵심인력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중심적 사고를 가진 베이비 붐 세대가 물러나고, 일보다는 개인적인 삶, 자신의 성장 및 자기개발, 생활의 만족을 중요시 여기는 X세대, Y세대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에게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은 조직에 정서적으로 몰입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정서적 몰입이 높은 구성원들은 조직에 심리적인 애착을 갖고 있으며,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받아들이고 조직을 위해 기꺼이 노력을 기울인다. 이처럼 일과 삶의 균형은 현대 직장인들의 일터의 선택과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 요소이자 기업이 유능한 인재를 유인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수단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직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WLB 지원제도는 정부의 정책으로 실시된 가족 지원제도가 우선 지원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에 해당되지 않는 대상은 WLB 지원제도가 상징적인 의미로 남을 수 있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특성과 각 기업 여건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WLB 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에서 WLB 지원제도의 시행과 그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정서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시행이 조절하는가? 셋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유형이 조절하는가? 독립변수인 일과 삶의 균형은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의 세 가지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WLB 지원제도를 시행하는지의 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분석 한 후, 시행하는 WLB 지원제도의 유형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WLB 지원제도 유형은 일 지원제도, 가족 지원제도, 여가/건강 지원제도, 성장 지원제도, WLB 문화 지원제도의 5가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민간기업 및 공기업, 공공기관 근로자 총 908명의 응답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의 세 가지 하위변인이 모두 정서적 몰입과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일-성장 균형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이 지각하는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에서의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과 삶의 균형의 영역과 그 중요도가 일-가족 균형에서 일-성장 균형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WLB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의 시행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WLB 지원제도 중 일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가족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균형을 위해 시행된 가족 지원제도 보다 업무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가족과의 시간이 확보될 수 있는 일 지원제도가 일-가족 균형과 정서적 몰입 사이를 강화하는 더 효과적인 제도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WLB 지원제도 중 성장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경력개발, 멘토링, 코칭 등의 자기개발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장 지원제도를 통해 개인의 학습욕구를 충족하면서 그 결과가 조직의 방향성과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진 WLB 지원제도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의 삶의 만족도는 조직의 발전과 연계되며 이를 위한 WLB 지원제도 시행의 전략적인 접근을 제언하였다. After financial crisis in Korea, types of employment have been gradually changed to be flexibl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have been revised from a hierarchical organization structure to a horizontal organization structure. Recently, key personnel to consist of organization have been succeeded to next generation. After baby boomers who focus on work-oriented thought gradually resign, X generation and Y generation, focusing more on individual life,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than works, is gradually taking the places. In case of an individual level, work-life balance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to immerse people in an organization. Members, who have high affective commitment, also have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ir organization, and they accept purposes and value of their organization and make endeavor readily. Likewise, the work-life balance is a considerable factor when modern workers decide and maintain the workplace and also it could be supposed as one strategic method that corporations could attract and maintain talented people. For that, organizations operate institutional supports in order to realize the work-life balance. However, most of WLB support systems preferentially aid a family support system, conducted by a government policy, and for subjects that could not be in range of the policy could leave the WLB support system just as a symbolic meaning. It means that various types of WLB support system to match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each corporation should be operated. Therefore, focusing on domestic corporate workers this study verified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it verified operation of WLB support systems and moderating effects of their types in the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study set research inquiries. First, how does the work-life balance influence the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uld the WLB supporting system affect moderating effects to the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hird, could the types of WLB support system influence moderating effects to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work-life balance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such as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nd then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s between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affective commitment. Then, after setting a moderator variable whether WLB support system is conducted or not,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conducted types of WLB support system. This study researched the types of WLB support system by dividing into 5 subcategories such as work support system, family support system, leisure and health support system, growth support system, and WLB culture support system. This study utilized total 908 responses from workers of domestic private corporation, public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as analysis methods, it us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could give significant effects to the affective commitment. All of the three subcategories, including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had positive significance with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among them, the work-growth balan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a level of work-life balance that individuals perceived is, the more positive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has in an organization, and also it could find that the area of work-life balance and its importance spread over the work-family balance and the work-growth balance.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conducting the WLB support system could control relations between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effectiveness of conducting WLB support system on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is study found that among WLB support system conducting work support system could moderate relations between balancing work and family and affective commitment. As it showed the higher effectiveness than family support system conducted for work-family balance, this study found that work support system to secure time with family members could be more effective system to reinforce work-family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Fourth, this study found that, among WLB support system, conducting growth support system could moderate relations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It means that a programs, promoting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mentoring, and coaching, could reinforce the work-growth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s it could satisfy individual learning motivation through a growth support system, the results are related to directions of an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a part to be considered actively in order to impro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by dividing WLB support system, which has been researched insufficiently, into 5 types. In this a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satisfaction of individual life could be related to developments of organizations and, for that, it provides statistical approaches in order to conduct WLB support system.

      • 자기 표현력 증진을 위한 교육 연극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2학년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오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 표현력 증진을 위하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의 교육적 현실은 교실 붕괴 등으로 대변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극복할 전인교육과 합리적 소양의 시민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부응하는 교육적 대안으로서 교육연극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극은 인간의 유구한 역사와 그 맥락을 같이하며, 인간의 표현 욕구 및 모방 본능의 직접적 표출이다. 교육연극은 이와 같은 연극의 유구성과 친 인간성을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활달한 연극적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의 표현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 사교성 등을 길러주고자 하는 교육적 조류이다. 교육연극의 이같은 효과 중에서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자기 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고자 하였다. 이는 대표적인 표현예술인 연극의 교육적 활용이 독립적인 표현 교육으로 적합할 것 같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자기 표현력은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를 자신의 몸을 통한 비언어적 표현, 말하기를 통한 음성언어적 표현, 글쓰기를 통한 문자언어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자기만의 고유한 표현을 개발하고자 애쓰고 또한 그것을 잘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Tyler가 주창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큰 원칙 내에서 이를 정교하게 발전시킨 Posner 등의 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개발되었다. 그들은 합리적 근거에 의한 교육목표의 수립, 개념지도에 의해 정교화된 의도한 학습성과들, 그리고 일반적 교수방략과 평가 계획까지를 아우르는 단원의 실제에 이르는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고 본 연구는 그에 맞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기존의 교육연극 프로그램들,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몇 몇 모델들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구안한 교수 방략의 절차에 따라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교수방략의 절차는 몸풀기, 주제 공유하기, 비언어적 표현, 음성언어 표현, 연기하기, 문자언어적 표현, 평가하기였다. 이러한 활동들의 연결고리가 되는 제재는 저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학습흥미를 고려하여 소리, 감각, 식물, 동물, 사물, 나와 우리로 선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한 단원의 학습을 2차시로 7차교육과정에 배당되어 있는 재량시간을 블록화하여 6단원을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Y초등학교 2학년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통계치가 평균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는지 알아보았다. 자기 표현력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비언어적 표현, 음성언어적 표현, 문자언어적 표현은 모두 사후 검사를 통하여 유의미한 성과(평균이 중간값 이상)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자기 표현력 증진을 위하여 교육연극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본 연구가 지향하는 범교과적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용성과 대부분의 학습에 바탕이 되는 표현력이 교육연극을 통하여 증진될 수 있음을 잠정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elementary Drama-In-Education(D.I.E.) program to improve the self expression of children and its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Corresponding to a post-humanism, we need the all-round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reasonal citizens. For a long time the play has been since the origin of mankind. In addition, it is the direct expression of human instinct of the imitation. The D.I.E. has caused by this play that enhanced the human quality. The D.I.E. can improve the expression, the creativeness, the ability of problem-solving and the sociality through the various activities. Among these effects, this study placed the focus on the D.I.E. developing self expression. Because that is traditional art of expression,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decided like forwarding. The self expression is the ability which shows one's emotion and opinion with body, speech and writing. These expressions should be unique and effectively conveyed to others. The program intended to be developed via this study is based on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goes through setting a goal in educatio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evaluating curriculum. And the concrete procedure is served as Posner and Rudnitsky who were the successor of Tyler. The education) goal of this program was set according to the reasonal ground, ILOs(Intended Learning Objectives) elaborated by the concept map. The special strategy for this program and the evaluation plan was designed for these ILOs. The strategies of the program is devised for reference to the existing D.I.E. programs and the curriculum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se strategies are filled with the funny activities. The key processes are Warm-up, Sharing the topics, Non-verbal 'expression, Vocal expression, acting, Literal expression and Evaluation. Activities of this program is integrated with topics. The topics are creat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2nd-grade-child's developmental stages and their interest, which are Sounds, Senses, Plants, Animals, Things and All-Together. In the program for developing self expression competence of children, 2 blocked-class-hours a week were assigned to one lesson, making use of two discretion hours provided a basi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The experimental group was the 2nd grade class in Dongjak-ku in Seoul. The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with 36 students of 2nd grade.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is carried out through 'self expression competence test' with the sophisticated rubric which taken after the program. To prove its validity, the results of expression competence test was analyzed which grounded in the total points distribution. After the practice of the program, non-verbal, vocal, literal expressive competence of children in subject group shows improvement. (average>2.5) Therefore, it shows that this program is more useful for development of self-expressive competence of children.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wide D.I.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expressive competence of children, enriching the other learnings.

      • 종말영화 내러티브의 행위소 분석

        오은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 ABSTRACT A Study on the Actant in the Narrative of Apocalypse Movies Oh EunJeong Dept. of Mass media and Scenario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 Lee Doheum Apocalypse, which stimulates people’s instinctive feelings such as fear and curiosity towards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broadens its area from religion, literature to movies. Now it has made its own genre, which is "Apocalypse movi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y people have desire for apocalypse movies by tracing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the apocalypse, in which these movies have in common. To exclude the prejudice of the meaning in the word "Apocalypse," Greimas’ actantial model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narratives. Apocalypse movies have developed as a sub-genre of science fiction movies mixed with different genres. This study takes apocalypse movies, especially catastrophic disaster movies carry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 fiction, movies connecting with apocalypse with psychological depression, and movies portraying the dystopian view on the world. The actant in 2012 preserves family value by surviving from a catastrophic natural disaster. The actant in The Core solves the cause of an apocalypse with his ability and exposes ‘Pax Americana’ that previous science fiction apocalypse movies manifested. Snowpiercer shows a class society in a segregated space on a train and how the actant resists against the system. Oblivion looks for an alternative for a world after an apocalypse through a humanistic approach. The actants of disaster movies 2012 and The Core show heroic characteristics while the actants of Snowpiercer and Oblivion which apocalypse show tendencies of deficiency. Various acta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movie reach salvation in the end. This means an escape from the problem each actant was facing in the world the actant belongs to, and the resolution of the conflict. The consumers of the movies receive vicarious satisfaction from the images that the movies show. Also, their desire to start all over again from the problematic situations are projected. This essay calls for a semantic analysis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onsumption of apocalypse movies. 세계의 파멸에 대한 본능적인 공포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종말은 종교에서 문학과 영화로 그 범위를 넓혀가며, 종말영화라는 하나의 장르를 만들었다. 본 연구는 종말영화는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을 이용하여 종말 영화 내러티브의 내적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종말영화들이 공통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종말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적함으로써, 이 영화를 소비하는 수용자들의 욕망을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는 종말영화 중에서도 SF장르의 특징을 지닌 종말 직전의 재난 종말영화와 종말 이후의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표현한 영화들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2012>의 주체는 스펙타클한 자연재해에서 살아남음으로써 그가 추구하는 가족의 가치를 보전한다. <코어>의 주체는 자신의 능력으로 종말위기의 원인을 해결하며, 이전의 SF 종말영화들이 표방했던 팍스아메리카나를 폭로한다. <설국열차>는 기차칸으로 계급이 구분된 사회에서 주체가 혁명을 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오블리비언>은 파국을 맞이한 지구에서 주체가 기억, 감정과 같은 인간적 가치들을 다시 찾아가는 과정을 그려낸다. 재난 종말영화인 <2012>와 <코어>의 주체는 영웅적인 성향을, 디스토피적 세계관에 입각한 <설국열차>와 <오블리비언>의 주체는 결핍의 성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각 종말영화들의 다양한 주체가 지닌 이러한 성향은 결국 구원으로 귀결된다. 이것은 주체가 속한 세계가 지닌 문제로부터의 탈출과 해결을 의미한다. 수용자들은 종말영화 속에 나타난 극복과 좌절의 이미지를 통해, 실제 문제적 현실에 대한 불안을 대리해소한다. 또한, 이것은 현실 속 인간 주체가 맞닥뜨린 문제적 상황을 파멸시키고 새로운 세계에서 다시 시작하겠다는 욕망의 반영이기도 하다. 본 연구자는 종말영화의 향유에 대한 문화적 현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을 시도했다는데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오은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변인들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실시,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이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현재 서울시 노원구의 S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학년∼4학년 학생 중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주 2회(2시간)총 18차시 생활무용특기적성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학교생활만족도․행복감에 관한 검사는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모, 건강, 유연성, 자기존중, 체지방/날씬한, 근력, 스포츠 유능감 및 신체활동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사이에 있어서 신체적 자기개념은 실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구력은 실시 전 보다 실시 후가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형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 학교행사 참여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행복감은 가정환경관련 행복감, 자아특성관련 행복감, 능력관련, 행복감, 대인관계관련 행복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 행복감의 각 하위요인 사이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본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이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후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의 상관의 정도가 높아진 변화를 보여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행복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행복감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은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므로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이 그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places its purpose on searching out effects on a feeling of happiness through physic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Leisure Dancing Special Activity Program, through This rearch tries to clarify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ining School Leisure Dancing Special Activity Program by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carrying out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ing the effect on each variabl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30 female students - in second grade to fourth grade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in No-Won Gu, Seoul in 2012 - were selected. Those sample students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were given 36 hours of classes for 9 weeks. From the sampling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pre and post inspecting and analyzing "the physical self-concep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a feeling of happiness(euphoria)". extracurricular activities First, it was shown by a thorough analysi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dancing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elds; appearance, health, flexibility, self-esteem, body fat, muscular strength, sports competence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school dance education activities than non-participation students. Even though endurance was lower after conducting training program than before, it was analyz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reveal that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school dancing activity program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in the form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Second, it was analyz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on peer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compliance with the rules, and participating school events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program. Third,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progra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a feeling of happiness - home environment-related euphoria, euphoria related to self-characteristics, ability-related euphoria, euphoria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result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sub-factors among physical self-concep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sid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showed higher degree of change of correl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before. Finally, the feeling of happines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 of leaving Sub-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appiness as dependent variables to evaluate the effects on euphoria by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after the extracurricular school dancing program. With the above resul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Significant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Physical self-concep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e can see that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acts as the role of medium.

      •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 및 교육연극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오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apid paradigm shift is being processed in the arena of education. The social and academic flows that seek convergence rather than distinction, consilience rather than hierarchy, are the main indicators of the transformation in education. The Educational Drama shows this paradigm shift symbolically and substantially. The artistry and amusement of the Educational Drama bring out the learner’s spontaneous response among a variety of educational stimuli. Moreover, the socio-educational and empirical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acquirement of the aims of the various kinds of curriculum, the cultivation of social skills, and the advancement of expression skills as many empirical studies disclose. In this manner, the Educational Drama serves as the primary medium and activity that provides active and significant hands-on experiences along with the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articular academic ground of the Educational Drama and its principles of practice are taking on the aspect of the trans-discipline, and hence attempts to substantiate it. To do so, this study manifests the peculiarity of its trans-discipline and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the Educational Drama in the field through literature study on its preceding research and the principal theory, close observation on class actively employing the Educational Drama, and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Also, I conducted the survey of 5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the questionnai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based on class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urvey, I explo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 about the Educational Drama amo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ing on their annual working career, and training in the Educational Drama.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under this research purpos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trans-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expressed in the field? 1-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2-2. What are the goals of the Educational Drama? 3-3. How does the disciplinary transformativeness of the Educational Drama emerge? Second, what are the trans-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2-1. What are the academic grounds of trans-discipline? 2-2. What are the goals of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2-3. What are the principles of practice of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Third, how is perceptions about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3-1. how is perceptions about both factors and items of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3-2. Are the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by the training experience, whether or no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When it comes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Educational Drama came out as more lively empirical results. First, the Educational Drama clearly shows the trajectory of the transformative paradigm featuring the dismantlement of boundary and dispersion. The students break the limited frame of thoughts and create a variety of metaphors by variously leading class with the power of imagination. Also, they spontaneously perform the high level of learning as if unwittingly just playing on the basis of the dismantlement of boundary between play and learning.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creative and ample ideas flow out. Second, the Educational Drama triggers the more accidental and unanticipated learning results than any other scenes of class. The students, above all, become active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its concomitant positive perception is transformed into thoughtful views on their peers. Based on such a meaningful perspective on self and the other, they almost perfectly accomplish the goal of a given class by applying the subject of course with unlimited imagination and its variations. The learning of proverb, the mathematics of the calculation, the understanding of texts, the capacity of empathy, and so on are fluently expressed through their own languages and writings around the end of the dynamic class. Third, the Educational Drama itself includes the transformative educational curricula. It encompasses the diversity against the limitation of the modern education, the circularity in which the starting point and ending point of activity interlock one after another, the relations of contextualization and sense of existence, and the rigor of applying its scheme to the field. In the second question, the trans-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are more abundantly and definitely revealed than their theoretical aspects. Above all,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the Educational Drama involves empirical philosophy, social constructivism, the principle of theatrical aesthetics, knowledge-ecological transformation, phenomenological interaction. The goal which the Educational Drama commonly arrives besides the goal of a given class is also unveiled. First, the Educational Drama expands the student’s meta-perception ability by recognizing themselves playing a given role and themselves the way they are, and its accompanying advancement of self-comprehension. Second, the social abilities are developed by sympathy with the other and indispensible process of discussion and negotiation for the activity. Third, diverse expression skills are advanced by multiply making use of body, space, and language, and in particular, the advancement of expression skills of pre- and post-activity are shown even in one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s the several principles of practice of the Educational Dram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lexibility of the current of class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even among the veterans of the Educational Drama, in spite of those differences, the main principles of the practice from the actual class are uncovered, which are the learner’s active spontaneity, the creativity against inertia, the presence through utilizing body and materials of the moment, the principle of practice of diversity that should consider the students’ own inside within the both aspects of performance and theatregoing, as well as the other’s position. When it comes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hree ways. The academic background of Educational Drama is made up of background theory, practical theory and related arts. The goals of Educational Drama are the improvement of expression, relationship,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it is added to the other goals from the survey. The principles of practice are active spontaneity, aesthetic originality, existential phenomena and interactive plurality. Seco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s who have the training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Drama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oundation of, the goals of, and the principle of practice of the Educational Drama. Third, teachers answers in the affirmative about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al Dram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as mentioned above, the Educational Drama, fir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ic trans-discipline which features comprehensive disciplinary foundation, and multiple goals and the principle of practice within it. The Educationa Drama is enlarging its subject, goal, technique and branch through the transmission, transaction and transformation of several disciplines. Second, it can be diagramed with the wheel shape because Educational Drama moves continuously, tangly and dynamically. In the brim of the wheel of Educaional Drama, there are background disciplines; pra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social constructivism, drama aesthetics, knowledge-ecology and existential phenomenology. It centers at the improvement of expression,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with the four spokes of principles of practice. Third, the Educational Drama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a timely method of class and creative educational goal thanks to the post-modern paradigm and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Third, the Educational Drama is perceived as a meaningful fie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ally methodological technique that emerged from principles of practice. Teachers who have the chance to learn and train the Educational Drama are more positive. And lots of teachers hold out for the chance to learn Educational Drama in their answers in the interview and the survey. Fourth, the Educational Drama makes achievement of both pertinent instruction and creative educational goal possible. This means that Educational Drama is systemic discipline which can obtain good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and the subject. Fifth, the Educational Dramais regarded as a future-oriented, students-centered, and authentic way of class for teachers. Sixth, the teachers who are unaware of the Educational Drama have various inclinations and limitations on it. Meanwhile, I suggest the propositions and follow-up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result of the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meta-analysis needs to be don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Drama in the classroom of Korea. Delving into how the denotation of the Educational Drama would be unfolded toward which direction and pattern will shed light on the reflections of recently increasing empirical studies of the Educational Drama. Second, the studies based on full blown ethnography, naturalistic research, and foundation theory of the Educational Dramaclass should be conducted. The qualitative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studies in earnest for particularly dealing with the trans-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Drama. Third, the model of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performing the Educational Drama needs to be developed. This is because the lacks or limitations of the instructive system of the training of the Educational Drama despite many demands for it from the teachers in the field. Fourth, it is required to study particular peculiarity of Korean Educational Drama. Th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Drama composed of Korean’s own excitement, the dramatic feature, and the trans-disciplinary characteristics provides an illuminating insight on the educational lively field. 급격한 패러다임의 대변환이 사회적, 역사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구별보다는 융합을, 위계보다는 통섭을 꾀하는 사회적, 학문적 흐름은 변환의 주요 지표들이다. 교육연극은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상징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교육연극의 예술성과 유희성이 학습자에게는 여러 가지 교육적 자극 중에서도 자발적인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사회심리학적이며 경험주의적 요소는 여러 경험적 연구들이 밝히는 바와 같이 각종 교과의 학습목표 습득, 사회적 기술의 함양, 표현기술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듯, 교육연극은 변화된 교육 패러다임에 걸맞는 적극적이고 의미 있는 현장 경험을 제공하는 주요 매체이자 활동으로 자리잡았다. 본 연구는 교육연극 특유의 학문적 기반과 행위원리들이 현장 내에 정착하면서 변용학문적인 양태를 띄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주요 이론에 대한 문헌 고찰, 교육연극을 적극활용한 수업의 면밀한 관찰 및 교사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을 밝히고 현장에서의 교육연극의 질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수업관찰 및 심층면접을 토대로 한 교육연극의 특질들을 설문 문항화하여, 수도권 500여명의 교사들에게 설문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설문지의 분석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연극 연수 경험에 따라 교육연극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교육연극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의 특성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현장 교육연극의 수업은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가? 1-2. 현장 교육연극의 수업은 어떤 목표를 이루는가? 1-3. 교육연극의 교육과정적 변용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은 무엇인가? 2-1.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은 어떤 학문적 기반을 가지는가? 2-2.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의 목표는 무엇인가? 2-3.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의 행위원리는 무엇인가? 셋째,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의 항목과 요인에 따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2.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에 대한 교사의 교육연극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현장 교육연극의 특성은 훨씬 더 생생한 임상적 결과로 드러났다. 첫째, 교육연극은 경계의 해체와 이산(離散)을 특징으로 하는 탈근대 패러다임의 궤적을 그대로 드러내었다. 수업을 상상력의 힘으로 변주하면서 제한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다종다양한 은유를 만들어내었고, 놀이와 학습의 경계가 해체되면서 학생들이 부지불식간에 놀이하듯, 높은 수준의 학습을 자발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창적이고 풍부한 아이디어들이 솟아나왔다. 둘째, 교육연극은 그 어느 수업장면보다도 돌발적이고 예측하지 못했던 학습 결과를 나타냈다. 학생들은 우선 스스로에 대한 탐색과 인식에 적극적이게 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동료에 대한 사려 깊은 시선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자아와 타자에 대한 의미 있는 안목의 바탕 위에 제한이 없는 상상과 변형의 방법으로 해당 주제를 실어내면서 해당 수업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거의 완벽하게 완수하였다. 속담 익히기, 수의 연산, 텍스트 이해, 공감능력 실현 등이 역동적인 수업의 말미에 학생 자신의 말이나 글로 유창하게 표현되었다. 셋째, 교육연극은 그 자체로 변용적인 교육과정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었다. 모던 교육과정의 제한성에 대비되는 다양성, 활동의 시작점과 끝점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순환성, 맥락화와 실존감으로 엮어내는 관계성을 가지면서도 자체 체계를 준용하면서 엄밀함을 놓치지 않는데서 이런 변용학문적 특성은 드러났다. 연구 문제 2에서는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이 이론적 배경에서 드러난 양태보다 더욱 풍부하고 명확하게 드러났다. 우선 교육연극의 기반영역인 학문적 배경으로는 경험주의 철학, 사회적 구성주의, 연극미학의 원리, 지식생태학적 변용, 현상학적 교감이 드러났다. 교육연극이 해당수업의 목표 이외에 공통적으로 도달하게 되는 목표 또한 밝혀졌다. 우선 교육연극은 자신이 아닌 다른 역할로 활동하는 동안, 역할을 하는 자신과 본연의 자신을 인지하게 됨으로써 자기이해력이 크게 신장되어 메타인지능력을 확장시켰다. 둘째, 타인과의 공감 및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협의 및 조율 과정을 통한 관계능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몸, 공간, 언어를 입체적으로 구사하며 여러 가지 표현기술이 증진되었는데, 특히 한 개 수업 안에서도 전활동과 후활동에서의 표현력 신장이 나타났다. 교육연극은 또한 몇 가지 행위원리가 발견되었다. 교육연극의 숙련자들조차도 교육경력에 따라 수업 흐름의 유연성에 차이가 있었지만, 그런 차이에도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자발성, 관성적이지 않은 독창성, 그 순간의 몸과 사물의 활용을 통한 현상성, 수행과 관극 양면에서의 학생 자신의 내면과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해야하는 다원성의 행위 원리는 실제 수업에서 발견한 주요 행위원리들이다. 연구문제 3의 결과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교육연극의 세 가지 영역-기반학문, 목표, 행위원리-이 더욱 정교한 요인들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기반학문은 배경학문, 실천학문, 관련예술로, 목표는 표현력, 관계능력, 메타인지 능력에 더하여 ‘자기효능감’이라는 한 가지 목표 요인이 추가되었다. 교육연극의 행위원리는 능동적 자발성, 심미적 독창성, 실존적 현상성, 상호적 다원성의 네 가지 원리로 요약되었다. 둘째, 교육연극의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들일수록 교육연극의 기반영역, 목표, 행위원리를 더 유의미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 통계적 사실에서 드러났다. 셋째, 수업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밝혀진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의 3가지 영역-기반 학문, 목표, 행위원리-에 대해 일선 교사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살펴 볼 때, 교육연극은 첫째, 기반학문 영역들 간의 전달, 교류, 변혁을 통해 새로운 학문체로 진화한 변용학문체이다. 다학문의 다발로 시작하여 간학문적 통섭의 과정을 통해 탄생한 교육연극은 부단한 진화의 과정을 현재에도 보이고 있으며 대상, 목적, 기법, 갈래 등등에 따라 외연적 확장을 거듭하는 중이다. 둘째,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은 기반학문, 목표, 행위원리가 역동적으로 얽히고 움직이고 있는 수레바퀴 모양으로 도식할 수 있다. 교육연극 수레바퀴 바퀴 테두리에는 실천주의 교육철학, 사회적 구성주의, 연극 미학, 지식생태학(통합주의적 교과교육), 실존주의적 현상학 등의 기반학문이, 바큇살에는 능동적인 자발성, 심미적 독창성, 실존적 현상성, 상호적 다원성의 4가지 행위원리가 바퀴 중심의 메타인지능력, 관계능력, 자기효능감, 표현력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셋째, 교육연극은 현장의 초등교사들에게 유의미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행위원리에서 드러난 방법론적 기술들이 환영 받고 있다. 교육연극에 대한 교사들의 이러한 인식은 연수 경험을 가진 교사들일수록 높았으며, 교사들은 강하고 빈번하게 교육연극 관련 연수에 대한 요구를 주관식 응답에서 제기하였다. 넷째, 교육연극은 탈근대 패러다임과 시민사회의 성숙 및 발전에 따른 시의성 있는 수업 방법과 창의적인 교육 목표의 달성을 이루게 해 준다. 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 주제를 다뤄 성과를 내올 수 있는 학문체계인 셈이다. 다섯째, 교육연극은 교사들에게 미래지향적이고 학생중심적인 진정성 있는 수업의 바탕이라고 인식되고 있었다. 현장의 교육연극은 역동적이고 학생중심적인 미래형 수업으로 현현(顯顯)되었다. 여섯째, 교육연극에 대해 잘 모르는 교사들에게 있어 교육연극은 여러 가지 편향과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극예술에의 자신감 저하, 심리적 거부감, ‘기법’에 불과하다는 인식 등이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교육연극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변용학문체이며, 수레바퀴 모양의 역동과 진화를 보이면서 탈근대시대 현장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도출한 본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통상 교수-학습 기술이나 기술(technique)로 여겨지는 교육연극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체이며, 특히 탈근대 패러다임을 시의성 있게 반영한 변용학문임을 밝혔다. 둘째, 본 연구는 교육연극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드러내었다. 현장의 초등교사들은 교육연극이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분야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현장(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수행하기를 원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인 연구자의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지만, 혼합연구의 틀에서 수업관찰,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의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넷째, 교육연극은 영국에서 태동하여 주로 유럽, 구미 분야에서 이론과 실행이 검증된 분야로서, 한국에서의 교육연극 실행의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따라서 구미(歐美)의 교육연극과 대별되는 특징을 찾는 비교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에 대한 적극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연극이 변용학문체이기에 교육연극의 장점과 미덕을 세세하게 밝히는 실질적인 사례가 될 수 있는 질적 혹은 질적 우위의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연극을 의미 있게 인식하고 연수와 실행 의지도 높은 교사들을 위한 교육연극 실행가 양성 커리큘럼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연극 실행가를 양산하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에는 변용학문적 교육연극의 기반 영역, 목표 영역, 행위원리 영역이 두루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현장과 다양한 형태의 교육연극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교육연극과 관련한 메타분석(meta-analysis)이 필요하다. 다양한 대상과 목적, 기법, 갈래할 수 있는 수많은 뿌리줄기(Rhizome) 교육연극의 관계와 양상을 전체적인 안목에서 탐구한다면, 교육연극의 외연이 어떤 방향과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한국 교육연극의 특성을 밝히는 비교학문적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중심과 주변의 분리를 거부하는 탈근대적 관점에서 교육연극은 더 이상 이식적(移植的)일 수 없으며 한국적 문화와 특수성을 반영하여 변용되고 있을 것이 때문이다.

      •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이 커뮤니케이션과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오은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studyattemptstoinvestigatehow toimprovecollaborationand learning performance in CSCL environment.This study focused on supportforsocialrelationship among group members more than on technicalsupportforCSCL environment.Itisassumed thatway of assigningroleoftheparticipantsduringcooperativelearningactivities may affecttheircommunication efficiency as wellas shared mental modelbuilding. Even though assigning role may be considered as one of the triggering factors on collaborative learning, robustful studies about influences of assigning role have not been actively -64- conducted. CSCL environment requires more detailed mediation activities and advanced assigning role systems than face-to-face environment.Therefore,itisnecessary toconductastudy regarding assigning role type.Based on a rationale of assignment-oriented feedback and motive-driving feedback in CSCL environment suggested by previous study,the assigning role type was mainly divided into twofold: assignment content-related role and social relationship-related role.In addition,this study examined whether assigning role type may affect communication and shared mental models. Thesubjectinthisstudyarerandomlyassignedtothreegroups:the experimental group(assignment contents-related group),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sultsofthestudyareasfollows: First,The amountofcommunication has significantdifferences in socialrelationship-related group,assignment contents-related group and controlled group: 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ve the highest amount of communication and then assignment contents-relatedgroupfollowedbycontrolledgroup. Forcommunication contents,therewassignificantdifferencebetween a percentage of assignment-related discussion messages and a percentage of group mediation messages. The 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5- assignment-related discussion messages while assignment contents-relatedgrouphasthehighestpercentageofgroupmediation messages. Second,assigned role type makes significantdifferences in shared mentalmodelsduring CSCL mediationactivities.Inaddition,assigned role type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much and what subjects are communicated during CSCL mediation activities.Each group has differentdegree offorming shared mentalmodels.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s the highestaverage grade ofconcept map and then contents-related group followed by controlled group. Onlysocialrelationship-relatedgrouphassignificantlyhigheraverage grade ofconceptmap than thatofcontrolled group.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grade of concept map between assignmentcontents-relatedgroupandcontrolledgroup.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 간의 협력활동을 활발히 하고, 학습 결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CSCL환경에 대한 기술적 지원보다 그룹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감정 형성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갖는다. 사회적 감정 형성을 위한 전략들 중에서 협력학습시 역할분담은 그룹의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역할분담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역할분담이 협력학습에서 효과적인 전략으로 간주되고 있기는 하지만, 역할분담의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는 것이다. CSCL환경에서는 면대면 환경보다 더 세밀한 조정 활동, 역할분담 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어떠한 유형의 역할을 주느냐의 역할분담 유형의 문제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겠다. 역할분담 유형은 CSCL환경에서 임정훈이 제시한 교수자에 의한 과제 지향적 피드백과 동기 유발적 피드백의 제공원리에 근거하여 과제내용 관련역할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로 나누었다. 그리고 역할분담 유형이 커뮤니케이션과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과제내용 관련,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이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과제내용 관련,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이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여대 2학년 세 개 반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제 실험 집단과는 다른 세 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으로 선정된 세 개 반을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하여 세 개 반 학습자들을 각 집단에 무선 배치한 후, 학습내용과 웹 토론 경험에 대한 사전검사를 통하여 집단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하여 'Nvivo2'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양은 집단별로 평균 메시지수를 비교하였고,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은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전체 메시지 수에 대한 측면별 메시지 수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로 그린 개념도를 평가기준에 의하여 채점하여 각 집단별 개념도의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의 양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에서는 과제 관련 측면의 과제 관련 토론 메시지 비율과 그룹 조정활동 메시지 비율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제 관련 토론 메시지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 역할 집단이, 그룹 조정활동 메시지에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의 메시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공유정신모형의 형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개념도 점수 평균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다. 각 집단간 개념도 평균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만이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통제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개념도 평균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 요가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오은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요가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 현재 요가 수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요가 지부 5개소에서 표집한 251명의 표본을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외모와 근력요인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스포츠 유능감과 근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련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스포츠 유능감, 유연성, 자기존중감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자신감요인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련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가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리적 행복감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가 수련 참여자의 심리적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신감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은 외모와 유연성, 자기존중감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요가 수련 참여자의 심리적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감 요인과 쾌락적 즐거움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은 자기존중감과 유연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가 수련 참여자의 심리적 하위요인 중 자아실현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은 유연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ga training participant. In order to obtain the purpose, total 251 who are participated to in the yoga training were recruited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Questionnaire was used for survey of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y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ppearances and muscular strengths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in ages while variables in income levels were sports competence and muscular strengths. In addition, sports competence, suppleness, and self-esteem were regarded as variables in training experience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regar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lf-confidence was observed as a variable in age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levels. In addition, a feeling of self-realization and hedonic enjoyment were variables in training perio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yoga training participants' physical self-concept on psychological well-being, physical self-concept had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whole.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yoga training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subordinate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confidence factors were appearances, suppleness, self-esteem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 feeling of flow and hedonic enjoyment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yoga training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elf-esteem and suppleness. Also, in psychological subordinate factors of yoga training participants, the subordinate factor of physical self-concept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 feeling of self-realization was suppleness.

      •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학교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오은정 창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between a Group-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a Group-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on the Self-esteem,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Oh, Eun J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a group-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GPP) and a group-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GCE) on the self-esteem,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compare these effects. To achieve this aim more effectively, the following sub-questions were asked and inquired. (1) Do both GPP and GCE have som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se effects of two programs? (2) Do both GPP and GCE have some effect on the resilience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se effects of two programs? (3) Do both GPP and GCE have som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se effects of two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chool maladjusted students of two academic high schools who consisted of (ⅰ) 1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PP, (ⅱ) 1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CE, and (ⅲ) 15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d in these two programs, that is, called a control group. Each of these two programs was put into operation twice a week during 10 sessions and one session time of these two programs was roughly 50 minut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F and Scheff verification were mainly applied to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s of these two programs on the self-esteem of those students, GPP was prove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those students. Second, in the effects of these two programs on the resilience of those students, GPP was prove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resilience of those students. Third and lastly, in the effects of these two program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ose students, these two programs were prove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ose students. In the sameness/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these two programs, GPP was more effective than GCE.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GPP rather than GCE needs to be put into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steem,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if it’s possible. Key Words: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 group-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group-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self-esteem,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