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비평에 의한 시교수법 연구 : 중학교 교과서 수록 시를 중심으로

        오수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신비평은 백철(Baek chul)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비평이론으로, 작품의 내적 구조와 분석을 중요시하는 내재적 비평이다. 작품을 꼼꼼히 읽고 작품의 의미 하나하나를 분석해내는 비평이론으로, 우리나라의 시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비평이론이다. 신비평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교육풍토와 결합되면서 본래의 본질적인 특성이 왜곡되어 수용되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신비평에 의한 지나친 분석 중심의 시교육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저해시켜왔다는 오해를 많이 받아 왔다. 이로 인해 다양한 수용미학 등을 비롯한 다양한 시교육방법이 제시되고 연구되어왔는데, 이 또한 이상적인 이론으로서 현실성 있는 교육적인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신비평에 의한 시교수법에 따른 지식교육의 중요성이 두드러지는 것이다.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하는 계획적인 행위이며,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자질, 학습수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때 지식이라는 교육의 기본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교사는 지식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지도자 및 선구자로서 지식교육을 충분히 전달할 의무가 있으며,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는 그 역할이 더욱더 크다고 하겠다. 정보의 가공과 유용, 창의적인 활용이 중요한 시대에는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학습자들에게 전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시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교사의 역할은 더욱더 크다고 하겠다. 학습자들이 시를 올바로 알고, 시를 향유하고 감상하며, 시를 창작하고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감식안을 갖도록 하고, 전인적인 인격체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며, 바른 지식을 올바르게 전달할 필요성이 두드러진다. 이에 신비평적 시교육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신비평은 엘리엇(T. S. Eliot),브룩스(Cleanth Brooks) 등을 비롯한 신비평가들에 의해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시교육에는 신비평의 지식교육적 측면이 많이 수용되었고,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에서 지식을 암기하고 분석하는 식으로 시교육을 진행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폐단이 많이 생겨나고, 반성의 목소리가 일게 되었다. 이는 신비평의 본질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 탓이다. 신비평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에서 수용되었다. 시의 내적인 구조를 분석하며 지식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신비평의 긍정적인 측면을 살리고, 학습자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시교육의 지향점을 삼을 필요가 있다. 신비평에서 중요시 여기는 지식인 심상(이미지), 비유, 역설을 잘 가르칠 수 있는 시교수법으로는 여러 방법이 있다. 학습자들이 교과서의 시를 정독하고 꼼꼼히 읽고 분석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런 안목을 기르도록 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기초개념지도, 꼼꼼히 읽기 등을 통하여, 심상(이미지), 비유, 역설 등의 시의 요소들이 시라는 유기체라는 구조를 형성하고 시라는 자율적인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가르칠 수 있다. 심상(이미지), 비유, 역설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시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형용사로 표현하기, 기억 및 연상하기, 팀인터뷰, 전문가 집단 활용하기 등 협동학습, 브레인스토밍, 시청각 자료 활용하기, 운문이나 산문으로 고쳐쓰기 등이 있다. 신비평의 본질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 교수법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시 교육 수업을 전개할 수 있다. 이론을 배우는 지식적인 측면과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접목시켜서 창의적인 수업을 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흥미도 이끌어낼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다. 또한, 김대행(Kim Dae-Haeng) 외의 실체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에서의 작품의 이해와 감상, 생각하기, 표현하기 부분을 적용하여 실제 교수-학습 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 신비평에 의한 시교수법을 학습자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해나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법의 계발이 필요하다. 이에 신비평에 의한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시교수법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New Criticism, a criticism theory, was introduced to Korea by Baek Chul. It is Internal Criticism that focuses on the analysis of internal constructs. It, analyzing the individual meanings of a poem, has had a great effect on poetry education in Korea. Since New Criticism was introduced in Korea,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has change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it. The distorted New Criticism in Korea emphasizes the analysis of poems too much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 points of New Criticism, diverse teaching methods including aesthetics of reception are studied and suggested as new teaching methods. However, the knowledge education of New Criticism is considered important again due to the fact that these methods are found to be idealistic, not realistic. Education is an action based on a plan to make learners reach to a certain leve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dering capacity, aptitude, intelligence of an individual. Knowledge, the basic factor of education, is important in this research. Teachers have to deliver knowledge to students thoroughly and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ince it is important to creatively process and utilize information these days, it is very critical to deliver the 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is very important to deliver the 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poetry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understand, appreciate, use and write poems and grow into well-rounded people, teachers should deliver correct knowledge by adequate teaching-learning methods. Here is the meaning of New Criticism. New Criticism has been developed by new critics like T.S. Eliot and Cleanth Brooks. When it was introduced in Korea, the knowledge-oriented characteristic of New Criticism was mainly accepted. In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where admission exam for College is the most important, there is no way but to teach students to memorize and analyze poems. However, it has many side effects and teachers start to reflect on the distorted New Criticism.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poems and deliver of knowledge are the positive features of New Criticism. Teachers need to help students develop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ile utilizing the positive features of New Criticism.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teach image, metaphor, and paradox considered important in New Criticism.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poems in diverse ways reading and analyzing poems carefully. Teachers could teach students that image, metaphor, and paradox construct a poem and exist as a poem, an autonomous subject.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teach image, metaphor, and paradox considered important in New Criticism: expressing with adjectives, remembering and associating, team interview, cooperation study, brainstorming, using audiovisual materials, rewriting a verse into a prose. It is possible to have efficient and creative poetry education with diverse teaching methods based on New Criticism. When knowledge and activities of students are combined, students could have interest in poetry and develop creativity.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poems, thinking and expressing in teaching-learning method of Kim Dae-Haeng could be used in real clas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eaching methods based on New Criticism in order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reativity. Efficient and creative poetry teaching methods based on New Criticism is very important.

      • 원자력발전소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오수정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원전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총 117명이며, 7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불안정성 등 3개 범주로 구분한 심리적 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살펴보면, 원전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중 가장 높은 평균치를 보인 것은 의사결정참여 요인이었고, 심리적 불안정성은 인지, 정서, 행동불안 순이었다.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 요인은 안전사고 경험 · 자신이 사고를 낸 경험 · 교대근무 유무, 근무처, 고용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방사능 근무 유무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 요인의 상관관계에서는 의사결정참여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전 근무자들이 의사결정참여를 부적 스트레스로 인지하기보다는 의사결정참여에 대한 기회의 요구와 함께 사고대처 등에서 의사소통을 중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되어진다. 심리적 불안정성의 하위차원을 설명하는데 있어 어떤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원전근무자들은 안전사고가, 방사능 구역 근무자는 환경문제가, 안전사고 경험자 · 자신이 사고를 낸 경험이 있는 근무자는 조직에서의 역할이 유의한 설명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무자들의 스트레스원에 따른 조직적 차원의 해결방향 모색과 함께 효율적인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적절한 심리적 개입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is a study regarding the factors i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unstability of workers at a nuclear power plant setting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7 workers and were measured the 7 factors in job stress and 3 categories(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areas) in the psychological unst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participation on decision making scores were the highest factor in job stress and the factors in psychological unstability wer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There factors were significant deference related to the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 accident experience caused by the subject, shift-duty, subcontractor, and the permanent or temporary employees, however whether or not the subjects work in nuclear-related was not significant. Job stress factors without participation on decision making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unstability, so this result draw an inference that subjects regarded participation on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in coping accident with needs about participation on decision making.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occupational accident wa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factors in psychological unstability on 117 subjects. Harm of environment was significant the subjects work in the nuclear-related area, role of organization was significant in both experimented occupational accident and caused by the subject. Based on results in this research,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rational solution in organizational dimensio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about release of stress.

      • 김의 저장 중 지방질 산화 및 산화방지 성분의 변화

        오수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김의 품질 안정성 모색 및 식품학적 우수성과 기능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김을 여러 저장 조건에서 저장하여 김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 및 색소성분과 산화방지 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김은 포화 염 용액을 이용해 수분활성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한 (Aw 0.11, 0.30, 0.51, 0.75, 또는 0.89) 데시케이터에서 40℃ 하에 빛을 차단하여 15일 동안 저장하였으며, 그 중 일부 시료는 빛 존재 하에서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및 저장 조건에 따른 김 지방질의 산화 정도는 김의 지방질을 추출하여 과산화물값, 공액이중산값 및 지방산 조성으로 평가하였고, 김의 색소성분으로 클로로필, 피코빌린,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 김의 산화방지 성분으로 폴리페놀 화합물, 토코페롤, 포피란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김 지방질의 과산화물값, 공액이중산값은 저장 기간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가 증가할수록, 빛이 존재함에 따라 더욱 빠르게 증가하였다. 저장 중 김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저장 기간에 따라 팔미트산의 상대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상대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김의 클로로필 a는 저장 중 분해되었으며, 빛의 존재 및 수분활성도의 증가는 그 분해속도를 증가시켰다. 피코빌린 함량 역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빛의 존재 및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코빌린의 분해속도도 증가하였다. 카로티노이드, 폴리페놀 화합물, 토코페롤, 포피란 또한 저장 기간에 따라 산화되어 분해되었으며, 빛의 존재 및 수분활성도의 증가는 산화방지 성분들의 분해속도를 증가시켰다. 김 지방질의 과산화물값, 공액이중산값과 색소성분 및 산화방지 성분과의 상관관계에서 김 지방질의 산화는 토코페롤의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과산화물과 공액이중산의 생성속도는 색소성분 및 산화방지 성분 중 피코빌린과 폴리페놀 화합물의 분해속도에 의존성을 보였다. 김의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저장 수분활성도를 낮추는 것과 빛의 차단이 필수적이며, 김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준 토코페롤을 보강하는 것이 김의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오수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의 이해를 통하여 미술 문화를 향유하는 즐거움을 가지게 하고,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을 모델링함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지구환경 문제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최대의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환경보전을 위한 동시대적 대안으로서 친환경 건축물을 건축 경향으로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태계 파괴로 직결되는 기존의 건축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과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이나 지역적인 전통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두어 역사적 맥락을 내포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경을 고려한 대안적 건축의 한 형태로 친환경 건축물의 역할과 기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역량에 근거하여 지역 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역사적 의미로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을 제작함으로써 ‘친환경 건축물의 이해와 융합교육의 발전 가능성’, ‘창의·융합적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이라는 대주제 안에서 지역과 지형, 문화를 탐색 및 선정하고, 주거형, 랜드마크형, 예술·문화 복합형 등의 건축물 유형에 따라 매체나 규모, 형태 등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선택하여 제작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깨닫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친환경 건축물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친환경 건축물의 정의와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국내·외의 친환경 건축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친환경 건축물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고, 전국 소재의 미술 교사 16명과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과 같은 수업이 현장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역사적 의미와 친환경 건축물의 유형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지형적 의미에 의한 주거형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지형에 관련된 다양한 역사적 의미에 대해 탐구하여 그 맥락을 내포한 주거형 친환경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지역적 의미에 의한 랜드마크형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지역의 역사적 의미 혹은 지명, 기념적 의미를 상징하는 랜드마크형 친환경 건축물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문화적 의미에 의한 예술·문화 복합형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지역의 문화적인 특성에 중점을 두어,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내포한 예술·문화 복합형 친환경 건축물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결과물과 사후 설문지를 토대로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역사적 의미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물 모델링 프로그램의 적용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친환경 건축물의 역사적 사실과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둘째, 독창적 아이디어 구상 및 입체 조형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셋째,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정체성 의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타 교과영역과의 연계성, 표현 매체와 수업 시수, 물리적 공간 등의 한계가 존재하여, 본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역사교육과 연계를 통한 다양한 통합프로그램 개발, 둘째, 건축물 모델링을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 방법 제시, 셋째, 친환경 건축물 및 도시 탐방 기회 확대이다. 창의적이고 완성도 높은 친환경 건축물을 제작함과 동시에 역사적 의미를 탐구한 내용을 포함하는 활동은, 아이디어 탐색 및 아이디어 구상에서부터 다양한 매체를 통한 건축물 모델링 입체 작업까지 이루어져 대다수의 학습자들에게 간단한 작업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이 장소의 역사적 사실이나 의미, 특징 그리고 매체 등을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선택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모둠 작업을 통하여 협동심을 함양하며, 다양한 표현 매체를 접해봄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법인세율 및 개방도의 변화가 법인세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Laffer curve를 이용하여

        오수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Laffer curve를 이용하여 법인세율과 법인세수의 관계를 실증분석함과 동시에 경제사회여건의 변화가 Laffer curve 곡선 내 적정세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OECD 30개 국가를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09년까지의 세율, 세수, 1인당 GDP, GDP대비 무역액, 실업률 에 대한 패널자료를 구성한 후 비선형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에 STATA 12를 사용하였다. 분석기간 내의 OECD국가의 세수입 중 법인세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보면, 개인소득세의 세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있으나 법인세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로 말미암아 알 수 있는 것은 법인세율을 인하함에도 세수가 증가하는 이러한 현상은 세율인하라는 변수 이외에 경제사회여건의 변화가 법인세수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근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예상한바와 부합함과 동시에 법인세율과 법인세수는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경제가 성장할수록 그 상관관계는 약화됨을 보였다. 또한 Laffer curve내 적정세율의 이동경로가 하방하고 감소되며 동시에 세율에 대한 기울기가 점점 가팔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가의 개방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본의 이동성이 높아짐에 기인하며 이러한 현상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제성장 및 개방에 따라 법인세의 비중을 낮추는 OECD국가들의 조세정책은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R 기반 센서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 설계 및 구현

        오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 기술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다. 자동차, 스마트폰, 에어컨, TV 등 주변에 많은 장치들이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있고, 센서 데이터들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그 자체로도 사용자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게 되면 더욱더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날씨를 예측하고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또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같은 보드들의 발달과 보급으로 손쉽게 다양한 센서를 직접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으며,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활용 도구를 연동하여 활용하면 센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수집한 데이터들은 다양한 연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마이닝의 데이터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에는 컴퓨터 관련 전공자가 아니거나 처음 접해보는 경우 사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 데이터를 수집하더라도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거나 경험이 없으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센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 구축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수집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각 센서 별로 모듈을 구축하였고, 간단하게 원하는 센서를 호출하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또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함수의 이름을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고, 함수에 들어가는 인자들을 간소화하여, 최소한의 정보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센서 데이터 수집은 C 언어를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과정을 R 프로그래밍언어를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A vast amount of data has been generated by develop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wireless internet. Most electronic devices include sensors which generates various data. These data can be us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real-time. Furthermore, we can obtain useful knowledge by analyzing accumulated sensor data. The weather center is a representative cas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evice control boards provide an environment to collect sensor data. By using a device control board and database tool, we can construct a database which includes various sensor data. These accumulated sensor data can be used for data mining. However, these tools are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utilize by beginners. Furthermore, data analysis needs hard coding to implement various algorithms. To consider these issues, our goal is constructing a library to collect and analyze sensor data. By constructing modules for each sensor, we provide convenience for data collection step. For the data analysis step, we reduced the number of function arguments (which are used in function call) for simplification. To construct a more understandable library, we defined function names as general words. The sensor data collection par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sensor data analysis part is constructed using the R programming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