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家庭의 心理的 環境과 高等學校 學生의 無氣力 症候와의 關係

        오세춘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무기력 증후가 가정의 심리적 환경인 가족의 불화 김장도와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행동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무기력 증후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의 불화긴장도 수준과 고등학생들의 무기력 증후와는 관련이 있는가? 셋째, 불화긴장도 수준과 고등학생 관련 변인(성별, 계열별, 지역별, 부모 학렬별)간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무기력 증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부모의 행복도 수준과 고등학생의 무기력 증후와는 관련이 있는가? 다섯째, 부모의 행복도 수주과 고등학생 관련변인 (성별, 계열별, 지역별, 부모 학력별)간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무기력 증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를 밝히기 위해 김포와 인천, 서울에 소재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 1,30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생이 664명, 실업계 고등학생이 561명이고, 지역별로는 김포지역이 338명, 인천이 435명, 서울이 402명이다. 또한 성별로는 남학생이 563명, 여학생이 662명이다. 총1,30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자, 무성의 응답자 75명을 제외한 1,225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t-test와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측정도구는 '가족의 불화긴장도 측정도구', '부모의 행복도 진단검사', '애퍼시 경향성진단 척도' 등 세 종류이다. '가족의 불화긴장도 측정도구'는 金興圭가 개발하여 金貴淵(1988)이 사용했던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는 a=.78 이었다. '부모의 행복도 진단검사'는 Roach등의 '결혼만족도 척도'에 대한 국내 사용 타당화 연구의 검증을 거쳐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신뢰성 있고 타당한 도구라고 인정된(劉英洙 외 1986) 46개 번역 문항중 30개 문항을 선택하였다. 이들 문항들은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 진단척도로서 신뢰도 계수 a=.70 으로 밝혀진 도구이다. 마지막으로 '애퍼시 경향성진단척도'는 金興圭(2001)가 개발한 '애퍼시 경향성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연구문제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기력증후의 10개 하위요인 중 의욕상실, 대인관계갈등, 수업기피 요인에서 성별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밝혀졌고, 인문계와 실업계 학생간에는 10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차이있는 결과가 나타남으로서 인문계 학생보다는 실업계 학생의 무기력 증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지역별로는 대도시(서울·인천)보다는 소도시(김포)의 학생들이 의욕상실, 자아존중감 결여, 진로문제갈등, 대인관계갈등, 수업기피, 소극적 행동 요인면에서 무기력증후 현상이 상대적으로 높게 밝혀졌고, 부모으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자녀가 느끼는 무기력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불화긴장도 수준과 무기력 증후간에는 10개 하위요인 중 '의욕상실' 요인을 제외한 9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가족의 불화긴장도 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교 자녀들이 허무주의에 빠지고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이 떨어지며 진로문제와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많이 느끼고, 수업기피, 무기력, 무감동, 소극적행동과 자기 부전감 등의 심리적인 무기력증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 수준과 무기력 증후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행복도 수준이 높을수록 무기력 증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즉, 부모의 행복도 수준이 낮으면 그들 자녀들은 무기력증후의 10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부모의 행복도 수준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무기력 증후를 나타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들의 무기력 증후의 하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의 불화긴장도와 고등학생들의 무기력 증후의 하위요인과는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와 고등학생들의 무기력증후의 하위요인과는 모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의 불화긴장도가 높을수록 고등학생들의 무기력증후는 함께 높아지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가 높을수록 그들 자녀의 무기력 증후는 상대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lethargy of high school stuedents had any relationship with family troubles, part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and parents well-being perceived by th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what types of lethargic symptoms do high school students suffer? Second, what si the relationship of family discord to high school student lethargy? Third, is the lethargy of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by interaction between family discord and their own variables including gender, academic area, geographic region and parent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arents well-being to their lethargy? Fifth, is the lethargy of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by interaction between parents well-being and their own variables including gender, academic area, geographic region and parent educational backgrou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0 students from regular and business high schools in Gimpo, Incheon and Seoul. 664 students attended regular high schools, and the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numbered 561. By geographic region, 338 were from Gimpo, and 435 were from Incheon. 402 students were from Seoul. By gender, 563 students were boys and 662 students were girl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1,225 students were chosen for analysis, except 75 incomplete answer sheets.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Pearson'r were employed. Three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One was Kim Heung-gyu's family discord inventory, which was used by Kim Gui-yeon(1988). This instrument was utilized in this study with no modification, and its reliability coefficient was a=.78. Another one to diagnose parents well-being was 30 items selected form Yu Yeong-ju, et al.(1986)'s 46-item translated version of Roach's Marriage Satisfaction Scale. That version tumed out to be reliable and valid as an instrument to measure marriage satisfaction after the original scale was tested to see whether it's applicable to our nation. The selected items were designed to track how children perceived their parents' well-being, and its reliability coefficient was a=.70. The third one was Kim Heung-gyu(2001)'s Apathy Disposition sca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10 lethargy sub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sparities between the boys and girls in demotivation, interpersonal conficts and class avoidance. The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fferent from the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in every 10 factors, and the latter group experienced severer lethargy. By geographic region, the students from the smaller urban community(Gimpo) were relatively more lethargic than those from the larger urban region(Seoul and Incheon) in terms of motivation, self-esteem, care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participation and behavior. And the students whose parents were better- educated underwent higher lethargy. Second, family discord level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every lethargy subfactors execpt demotivation. The students whose families had more troubles became more nihilistic and lethargic in light of confidence, self-esteem, career choi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y avoided taking classes, become apathic and inactive, and considered themselves more imperfect. Third, the well-being of the parents perceived by the stud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lethargy. Those who found their parents to lead a happier life were less lethargic. And those who considered their parents not to be happy experienced more lethargy in terms of every 10 factors. Fourth, as for connections between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and lethargy subfactors, family discord had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ubfactors, and the well-being of the parents perceived by th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lethargy subfactors. Therefore, it's found that severer family troubles resulted in aggravation their lethargy, and that they become less lethargic when they thought their parents led a more satisfactory life.

      • 우선순위 매핑테이블 기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설계

        오세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자동차 내부에는 수많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ECU들은 그 특성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들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와 세계의 많은 자동차 업체들이 자동차 내부의 네트워크에 관한 표준화를 추진하여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라는 업체 표준을 탄생시키고 또한 이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표준으로 등록시켜서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기술의 확보는 물론 낮은 가격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손쉽게 공급받게 되어 각 업체들의 개별적인 기술개발의 노력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되었다. 차량용 전장품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CAN의 최대 통신 속도인 1Mbps로는 통신 대역폭이 부족하게 되었으며 특히 메시지가 있을 때만 전송을 하는 이벤트 기반(event trigger)의 우선순위 관리로는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처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어 CAN 네트워크 이외에 추가적으로 스위치, 센서, 액추에이터 및 각종 상태정보의 고속 공유를 위해서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10Mbps 속도를 지원하는 새로운 차량용 고속 네트워크 표준인 FlexRay가 등장하게 되었다. 자동차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개별적 네트워크들이 혼재함에 따라 서로 다른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등장했는데 이러한 이종 네트워크간의 데이터를 교환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ECU가 게이트웨이이다. 게이트웨이의 기본 목적은 차량 내부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연결해서 필요시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변환하고 전달해 주는 것으로써, 게이트웨이의 주요 기능은 메시지의 변경(translation), 라우팅(routing), 실시간 처리, fault tolerance 등으로 이러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또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로만 데이터를 변환해 전달하는 1:1 게이트웨이 기능에는 많은 연구가 되었지만, 상대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입력을 복수개의 네트워크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1:n 게이트웨이에 대한 메시지의 효율적인 변환 및 전송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입력을 복수개의 네트워크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1:n 게이트웨이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게이트웨이 설계에 있어서 이종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교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매핑 테이블의 구조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우선순위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새로운 게이트웨이 알고리즘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게이트웨이 구조는 특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입력이 복수개의 이종 네트워크로 동시에 변환 및 전달이 가능하고 전체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게이트웨이 내부의 테이블 만을 변경하면 쉽게 적용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시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게이트웨이에서 1:n 네트워크로의 변환 및 전송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CAN 네트워크로 복수 데이터를 출력할 때 기존의 FIFO방식이 아닌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설계 시에 부여하는 새로운 우선순위에 의거해 출력순서를 바꿀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모든 데이터의 변환, 출력과 관련된 처리과정은 표준화된 매핑 테이블의 구조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변환되는 데이터의 구조 변경이 필요할 시 모든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매핑 테이블들만을 변경함으로써 간단히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 기반인 CAN과 타임 트리거 기반인 FlexRay 네트워크에 대한 개별적인 입력, 변환, 출력 알고리즘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추가될 경우에도 본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 동맥경화증이 유발된 ApoE(-/-) mouse에서 疎風活血湯과 洋藥(Clopidogrel or Aspirin)의 병용투여 효과에 대한 연구

        오세춘 경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동맥경화증은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혈류질환인 뇌경색과 같은 순환기계통질환의 중요한 원인이다. 동맥경화증은 과다한 혈소판 응집과 혈액응고 및 혈중 지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데, 혈관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여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혈소판이 내막에 부착되고 내막의 하부에 섬유화가 발생하므로 죽종이 형성된다. 이에 저자는 동맥경화 동물 모델인 ApoE(-/-) mouse에 疎風活血湯과 Aspirin, Clopidogrel을 병행투여 항혈소판제 및 항혈전제의 단점과 효능을 보완하고 동서의학적인 연구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ApoE(-/-) mouse를 대조군(Control군, n=5), Clopidogrel 투여군(CP군, n=5), Clopidogrel과 疎風活血湯 투여군(CPS군, n=5), Clopidogrel과 Aspirin 및 疎風活血湯 투여군(ACPS군, n=5)의 4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처음 2주간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공급하고 후반 2주는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공급하면서, Control군은 생리식염수를, CP군은 Clopidogrel 25㎎/㎏을, CPS군은 Clopidogrel 25㎎/㎏과 疎風活血湯 100㎎/㎏을, ACPS군은 Clopidogrel 25㎎/㎏과 Aspirin 5㎎/㎏ 및 疎風活血湯 100㎎/㎏을 투여하였다. 실험결과 1. 장기의 조직학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간과 대동맥 조직에 있어서 Control군에 비해 CP군, CPS군, ACPS군 모두 현저한 호전을 보였다. 2. 혈청 지질 수치를 살펴본 결과, 혈중 triglyceride에 있어서 Control군과 CP군에 비해 CPS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혈청 효소 수치를 살펴본 결과, 혈중 AST에 있어서 CP군에 비해 CPS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소풍활혈탕과 양약(Aspirin, Clopidogrel)의 병행 투여가 Clopidogrel 단독 치료보다 더 좋은 치료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The major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 from complications of atherosclerosis. Recent studies show that important initiating event for atherosclerosis may well be an injury in the endothelium of the artery wall which event culminates in the formation of a fibrous plaque. Rupture of fibrous plaque leads to thrombus formation and occlusion of the vesse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atherosclerosis effect of Sopunghwalhyeoltang on the apoE(-/-) mouse fed with atherogenic diet. Methods & Material The male apoe(-/-) mouse(20g)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n=5) according to the treatments given for 4 weeks. ; only atherogenic diet (Control group), atherogenic diet plus clopidogrel 25㎎/㎏ (CP group), atherogenic diet plus clopidogrel 25㎎/㎏ and Sopunghwalhyeoltang 100㎎/㎏ (CPS group), atherogenic diet plus clopidogrel 25㎎/㎏ and aspirin 5㎎/㎏ and Sopunghwalhyeoltang 100㎎/㎏ (ACPS group). Results 1. Photomicrographs of liver and abdominal aorta tissue showed lower injury accumulation in CP, CPS & ACPS group then the Control group. 2. In the CPS group, triglyceride (T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and CP group 3. In the CPS group,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P group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mbination treatment with Sopunghwalhyeoltang and western medicine (Clopidogrel or Aspirin) may have a therapeutic effect than treated with Clopidogrel along. Key words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Sopunghwalhyeoltang, Clopidogrel, Aspirin, atherogenic diet

      • IIoT 적용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MQTT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오세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근래에는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스마트공장과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설비들의 모니터링은 물론 이를 이용한 지능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다양한 IoT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스마트공장과 같은 산업용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몇 가지 핵심기술 분야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경량의 IoT용 프로토콜 분야인데 현재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MQTT 프로토콜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MQTT 기술은 일반 IoT 부문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산업용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특히 특정 설비의 고장발생에 따른 이상 경보 전송 및 이에 따른 관련 설비 전체의 비상정지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이러한 메시지들의 우선순위 처리가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IoT용 MQTT 기술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메시지의 우선순위 기능을 추가한 IIoT용 MQTT에 관한 연구도 일부 진행은 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MQTT의 표준 규격을 변형한 방식이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때 함께 연동하여 사용되는 다른 소프트웨어들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또한 우선순위별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MQTT 내부에 우선순위 종류만큼의 별도의 메시지 큐들을 구성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큐 관리로 인한 복잡성이 발생하여 많은 CPU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QTT 표준을 준수하면서도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제안과 단일 큐를 사용하면서도 매우 빠른 처리가 가능한 ‘multi-scanned priority sorting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 제안들을 기존의 MQTT에 추가하여 검증함으로써 기존 MQTT의 문제점이었던 실시간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우선순위 기반 IIoT용 MQTT 이외에 다양한 IoT 기술들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의 초기단계인 지능형 공장 설비 관제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함으로써 제안하는 우선순위 기반 MQTT에 대한 현장 적용 실효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스마트공장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열악한 경영환경으로 인해 스마트공장을 쉽게 도입하지 못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스마트공장의 도입 방식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능형 공장 관제시스템의 구현에 활용되는 주요 기술들은 현장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노드의 설계기술, 센서 노드들에서 처리된 다양한 정보를 상황실로 전송하거나 상황실에서 새롭게 설정한 각종 센서의 설정 값들을 개별 센서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MQTT 기술과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손쉽게 표시하며 센서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흐름을 만들기 위한 Node-RED 기반의 시스템 흐름 제어 설계기술 등이다. 또한 개별 센서 노드들이 이상상태를 판단할 경우 이를 긴급하게 상황실로 알리고 필요시에는 상황실에서 원격조정을 통하여 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격 카메라 시스템도 함께 구현하였다. 이렇게 IIoT에 적합한 우선순위 기반 MQTT와 관련한 연구를 실시하고 또한 이를 관제시스템의 구성에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제안된 알고리즘이 실시간성을 필요로 하는 산업용 시스템에서 매우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유사한 산업용 분야에서도 제안된 알고리즘이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하고 구현된 관제시스템은 중소기업 현장에서 스마트공장의 첫 단계인 지능형 관제시스템을 저가격으로 쉽게 구축을 할 때 매우 좋은 참고 모델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