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준별 교수-학습지도방안 연구

        오성훈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에 따른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에 따른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성북구 소재 남자 인문계 K고등학교 2학년 이학공학과정의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는 동학년 수학 교사와 협의하여 구성한 ZPD 평가지와 학업성취도 검사지와 UCLA대학의 CSE Technical Report에서 제시한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처치 전에 실시한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고 실험 후에 두 집단간 독립 평균 비교를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제적 발달수준이 낮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있어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언어적 상호작용(발문, 따뜻하고 온정적인 반응)과 수준별 학습지를 제공한다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학습자들의 인지적 변화는 정서적 변화를 초래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등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근접발달영역내에서 학생들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활동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수준별 학습자료를 제공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학습과정을 치밀하게 구성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on problem solving by applying the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plan. This plan is based o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with reference to related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Hypothesis 1. There would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a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for the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Hypothesis 2. There would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attitude on problem sol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o verify the hypotheses two groups of second graders in Engineering Science course from K high school located in Seongbuk-Gu, Seoul were selected;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by the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were taught by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 The test tools to verify the hypotheses were composed of three tests; academic achievement test, attitude test on problem solving provided by UCLA CSE Technical Report, and the test on ZPD made by the committee of mathematics teachers in the same grade.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The two groups turned out to be identical in the pretest, an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verage of each group after th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a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n obvious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he lower level of students of each group with actual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attitude on problem sol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if verbal interaction (questions, a warm and compassionate response) based on ZPD and differentiated worksheets are provided for learners in teaching-learning process, it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Furthermore, these cognitive changes of learners bring about emotional changes, and have an effect on aspects of learning attitude such as problem solving. Therefore, learning activities must be accompanied by an activ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ZPD. In addition, differentiated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appropriate for learners' levels must be provided, and learning process must be organized in detail so that students can lead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 직업계고에서의 노동인권 교육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오성훈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VID-19 pandemic has left a deep scar on society by exposing the most vulnerable parts of Korean society. Meanwhile, the economic crisis that continued before COVID-19 made the labor market more unstable and had a harsher effect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en the labor market becomes unstable, the job prospect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ecome more bleak. Most of th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re highly likely to live as non-regular workers and platform workers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in a Korean society where contempt for labor is rampant, and they are likely to inherit poverty. In addition, on the roa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are expected to almost replace the middle-skilled jobs currently available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fter graduation.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s reducing the number of jobs that require manual labor, resulting in job polarization. Although the demand for high-skilled and low-skilled skills is increasing due to AI or digital technology, jobs for middle-skilled skills are on the decline. Therefore,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change of the existing vocational high school policy, which has been aimed at nurturing middle-skilled industrial man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content, and how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Seoul area through case studies of each one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vocational consignment school in Seoul area.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education plan of the relevant school, and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lan document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actual statu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was confirmed through documents and statistics by analyzing the parts related to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among the data of the 『Seoul Student Labor Human Rights Survey』 conducted in 2018 by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various people related to labor righ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 have tried to find out what the various viewpoints on vocational high schools are, and to fi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by deriving the problem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conduct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nfirmed the following fact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internally in a sense of defeat and externally live in the shadow of everyday prejudice and ignorance. Field trainee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r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far from the university entrance exams that the whole nation is watching with interest. That’s why their existence, their lives, became a class of interest, even for a moment, only when they were victims of occupational accident. Second,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needs improvement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 and education method.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negative views fac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education focused on imparting knowledge on labor laws and legal rights to education for improving labor sensitivity. Second, for substantial labor righ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o that teachers can directly provide labor rights education with standard textbooks during regular class hours. Of course, there are social task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only by improving labor rights education, whi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jobs that can make use of the professionalism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practical efforts are required to remove the barriers to social inequality, such as reducing the wage gap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the employment-priority policy of vocational high schools needs to be shifted toward nurturing potential learning capabilities that can adapt to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lthough it takes a long breath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s because it is linked with the national education and labor policies, substantial vocational high school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s possible only with the wil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o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labor human rights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various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o provide labor rights education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their class position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ter relevant graduate schools such as labor graduate schools. 코로나 19 팬데믹은 한국 사회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들추어내어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다. 한편 코로나 19 이전부터 지속된 경제 위기는 노동시장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었고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욱 가혹한 영향을 끼쳤다. 노동시장이 불안정해지면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 전망은 더 암울해진다. 직업계고 졸업자 대부분은 노동 멸시 풍토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비정규직, 플랫폼 노동자로 살며 가난을 대물림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AI) 로봇은 현재 직업계고 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할 수 있는 중숙련 정도의 직무를 거의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AI 기술의 발전은 손노동이 필요한 일자리를 축소하여 일자리의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 AI나 디지털 기술로 인해 고숙련 기술과 저숙련 기술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중간 숙련 기술의 일자리는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중간 숙련 정도의 산업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온 기존의 직업계고 정책의 변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직업계고의 노동인권 교육이 단위 학교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직업위탁고 각각 1학교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노동인권 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 해당 학교의 교육계획서, 노동인권 교육계획 문서를 분석하였다. 특히 서울시교육청에서 2018년 실시한『서울 학생 노동인권 실태조사』자료 중 직업계고 노동인권 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분석하여 직업계고의 노동인권 교육 실태를 문서와 통계자료 등을 통해서 확인하고, 노동인권 교육 관련 여러 관련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편 직업계고에 대한 다양한 시선이 어떤지 알아보고, 직업계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동인권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노동인권 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직업계고 학생들은 내부적으로 패배감에 빠져있고, 외부적으로 일상적인 편견과 무시의 그늘 속에 살아간다. 직업계고 현장 실습생들은 온 국민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대학입시와는 거리가 먼 고등학생이라는 점에서 산업재해로 희생되었을 경우에나 그 존재가, 그들의 터전이 반짝 관심 받게 되는 계층이 되어버렸다. 둘째, 서울지역 직업계고 노동인권 교육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식 차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동인권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직업계고가 처한 부정적 시선에 대한 개선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법률 및 법적 권리에 대한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에서 노동 감수성을 향상을 위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내실 있는 노동인권 교육을 위해 교사가 직접 정규 수업 시간에 표준교재로 노동인권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노동인권 교육의 개선만으로 직업계고 졸업생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적 과제가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졸업생들의 전공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둘째,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를 줄이는 등 사회적 불평등의 칸막이 제거를 위한 실질적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직업계고의 취업 우선 정책은 평생 학습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잠재적 학습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직업계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은 국가의 교육 및 노동정책과 연동되기 때문에 긴 호흡이 필요하지만, 내실 있는 직업계고 노동인권 교육은 교육부의 의지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계고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각종 직무연수 및 자격연수 과정에 노동인권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노동전문대학원 등 관련 대학원 진학 기회를 제공하여 직업계고 교사가 자신이 처한 계급적 위치의 제약을 뛰어넘는 노동인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오성훈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속가능경영과 기업이미지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문헌연구들을 통해 그 동안 기업이미지 관련 연구 및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흐름을 파악함과 동시에 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하여 업종 간 지속가능경영활동에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Triple Bottom Line 모형을 변형하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사례로 분석하여 업종에 따른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더하여 Triple Bottom Line 모형을 사용해 업종별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분석하여 업종에 따른 기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 차이를 확인해 보았지만 특별한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다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작성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고서의 큰 틀에서 차이가 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보고서의 작성 기준이 GRI에 입각해 작성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성상의 차이로는 제조업은 생산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 시 발생되는 환경물질 감축은 물론 제품 자체에도 환경적인 부분을 신경 쓰고 있는 반면, 서비스업은 직접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물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관계로 환경보전 및 환경을 생각하는 다양한 상품개발 및 활동을 통해 간접적인 환경보호 의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추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시 업종에 맞는 작성양식이 개발되어 분야에 맞게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작성 되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활동의 노력 산물이며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Vibrio vulnificus 菌의 細胞外 蛋白分解酵素의 生化學的 性狀과 흰 생쥐 生體內 反應에 關한 硏究

        오성훈 全南大學校 1990 국내박사

        RANK : 247631

        Vibrio vulnificus 菌은 培養 및 生理와 生化學的 成長條件에 의하여 "lactosepositive Vibrio"라고 稱하는 菌이며, 本 菌에 依해 感染된 患者의 皮膚症狀을 보면 甚한 痛症과 紅斑性 浮腫, 出血性 水疱, 그리고 壤死를 일으키는 것이 特徵이며 皮膚의 甚한 壞死는 結締組識이 半液體化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V.vulnificus 標準菌株인 CDC C7184 菌株틀 利用하여 本 菌이 生産하는 細胞外 蛋白分解酵素의 精製와 生化學的 性狀, 그리고 生體 皮膚에서의 作用에 대해 硏究함으로써 本 菌의 病原性의 一部를 究明하였다. 菌株를 proteose peptone 培地에서 16時間 培養한 후 上淸液에 分泌된 pretease를 ammonium sulfate 分劃, DEAE-cellulose, Superose 12, Mono Q chromatography의 精製過程을 通하여 288倍 精製하였다. 本 酵素는 電氣泳動上, 하나의 蛋白 band틀 나타냈으며 分子量은 約 69,000이고 isoelectric point는 4.6이었다. 本 酵素는 heat-labile하며 pH 8의 中性 pH에서 가장높은 活性을 보였으며 EDTA나 EGTA에 의해 酵素活性이 完全히 抑制되었다. 生體 實驗으로서 흰쥐 (Swiss white mouse ICR strain)의 眞皮內에 精製 酵素液을 10, 20, 40 units씩 注射한 후 皮膚變化를 觀察한 結果 皮膚 壤死部位가 酵素量에 比例하여 넓게 發生함을 알았다. 또한 皮膚生檢을 施行하여 H & E, van Gieson's collagen, Verhoeff's elastic 染色上, 浮腫과 皮膚壞死, 膠原質과 彈力纖維의 變性 및 血管炎을 나타냄으로써 本 酵素가 臨床的으로 보이는 皮膚病變과 類似한 反應을 일으킴을 觀察 하였다. 따라서 本 酵素가 V. unlnificus 菌에 의한 感染症에 있어서, 病理發生機轉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要因 中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Vibrio vulnifcus, a lactose- positive Vibrio, causes systemic septicemia with cutaneous lesions in humas. The mortality of V.vulnifcus infection with preexisting hepatopathy is over 50% . The skin lesions are characterized with intenseedema and pain, hemorrhagic bulla, necrosis, and showed gel - like liquifaction in dermal connective tissue. Extracellular pretense produced by V.vulnifcus is presu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local tissue necrosis and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In this study, the extracellular pretense of V.vulnifcus was purified to homogeneity and its properties were characterzed. Also, the purified enzyme was appied intradermally to know the role of the pretense in the pathogenesis of the cutaneous lesions. A strain of V.vulnifcus (CDC C7184) was cultured in a proteose peptone broth.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media was treated with 70% ammonium sulfate, and the resulting precipitates were dissolved in tris- HCI buffer, pH 8.0. It was further purified through DEAE-cellulose, Superose 12, and Mono Q chromatography to a specific activity of 371 PU/mg protein as determined by using azocasein as a substrate. The purified pretense showed heat- labile, and its optimal activity was around pH 8. It was inhibited by EDTA and EGTA, indicating the requirement of metal ions for the activity. The enzyme showed a single band with 69 KDs molecular weight on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yesis, and its isoelectric point was found to be 4.6, As in vivo study, after injecting the protease intradermally into ICR Swiss white mouse, the skin necrosis was observed, and biopsy studies were done with hematoxylin - eosin, van Gieson's, and Verhoff's stains. The area of the skin necrosis increased with the enzyme dose- related. The skin biopsy revealed edema, severe necrosis, degenerative change of dermal connective tissue with vasculitis, and cellular infil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ellular protense produced by V.vulnifcus acts a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skin lesions and pathogenesis V.vulnifcus infection.

      • 호텔 고객접점 직원의 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및 자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성훈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텔 고객접점 직원의 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및 자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고객접점 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 고객접점 직원의 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및 자발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호텔 고객접점 직원이 성취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거나 보여주는 성향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의 변화와 현재 및 미래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 행동에 대한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호텔기업의 효율적 인적자원관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을 2012년 고객만족도(NCSI)에 기재되어 있는 10개의 서울시내 특1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400부 중 395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자료 15부를 제외 한 총 380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각 변수에 대한 요인추출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요인별 측정변수들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분석을, 영향변수간의 상관분석 및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위해 SPSS Window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목표지향성의 하위 요인인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자발적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표지향성의 하위 요인 학습목표지향성, 성과접근목표지향성, 성과회피목표지향성 중 일부만이 자발적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목표지향성,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은 자발적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자발적행동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은 고객접점 직원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회사차원의 복지수준 향상과 근무여건 개선, 교육 등이 필요 하다고 할 수 있고, 인적자원관리를 담당하는 인사부에서는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있는 지원자들을 알 수 있는 면접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해서 좋은 인재들을 미리 선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호텔 기업의 가치 상승과 고객만족, 매출극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 이다.

      • IoT 기반 실시간 교통사고 감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오성훈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5년간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중 차량 단독사고의 치사율은 전체 사고 대비 4.7배 높게 집계되며, 차량 단독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로의 가드레일에 차량 충돌로 발생하는 충격과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IoT(Internet of Thing) 센서를 부착해 가드레일의 충격 감지 시 해당 지점의 영상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구조작업 등 빠른 후속조치를 통해 교통사고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교통사고 감지에 있어 IoT 센서나 CCTV가 단독으로 교통사고 감지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인식의 문제를 개선하고 더욱 신뢰도 높은 상황 감지를 위해 IoT와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활용하였다. 시스템이 설치된 해당 가드레일 구간 내 차량의 진입과 차량 충돌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IoT 센서와 다양한 차량의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차량과 사람을 참지하는 객체 탐지 모듈을 구현한다.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와 객체인식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도로에 현장적용을 한 후 차량진입과 충격감지 센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상의 상황기록 확인과 사람과 자동차 등 객체탐지 모듈의 객체탐지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센서의 충격감지 시 LED 전광판의 정보표출이 변화되는 기능과 영상 데이터의 수집 및 삭제 등에 관련된 기능을 검증하였으며,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해당 기능들을 더욱 고도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여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본 시스템은 본 시스템은 도로 안전 향상에 최소한의 역할을 하는 방안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traffic accidents that occurred on the road in the last five years, the fatality rate of single-vehicle accidents is 4.7 times higher than all acci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detect and respond to accidents that occur alone in real-time. In this study, an IoT sensor detects the impact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and the vehicle's entry is attached to a guardrail on the road. In detecting traffic accidents, IoT sensors or CCTVs are used to improve the problem of misrecognition that can occur when traffic accidents are detected independently.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converged and utilized for more reliable situation detection. When the impact of a guardrail is detected,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a traffic accident through quick follow-up measures such as rescue work by analyzing the video of the corresponding poi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mplement an object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vehicles and people based on data learning from various vehicles and IoT sensors that detect impacts caused by vehicle entry and vehicle collision within the guardrail section where the system is installed. Implement a monitoring system that manage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sensors and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The implemented system was applied on-site to actual roads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Vehicle entry and shock sensor conditions could be checked in real-time, and objects such as people and cars were accurately detected. In addition,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information display of the LED signboard when the sensor detects an impact and the function related to the collection and deletion of image data were verified. This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road safety.

      • 정보 그래픽 관점에서 본 서울 지하철 노선도 표현개선에 관한 연구

        오성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선도는 승객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만드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성이나 나이, 국적,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모두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알기 쉽고, 정확하며 빠르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야한다. 특히 목적을 갖고,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노선도는 대중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기 위해서 정보를 더욱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조직화하여야 하며, 여기에 미학적 질서가 집약되어야 한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그 동안 논란의 여지가 많았던 서울 지하철 노선도의 표현을 개선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지하철 노선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먼저 <제1장>에서는 정보 그래픽으로서의 지하철 노선도를 분석하기 위해 정보 디자인과 정보 그래픽, 다이어그램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보 디자인의 개척자들을 통해 정보를 디자인하는 방법론의 발달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선례들을 살펴보며 지하철 노선도와 정보 그래픽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제2장>에서는 지하철 노선도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 본 후 세계 주요 도시들의 지하철 노선도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세계 여러 나라의 노선도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았다. 먼저 런던의 지하철 노선도는 지하철 노선도의 역사 그 자체이면서 동시에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더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런던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의 혁명적인 전환점은 헨리 벡이라는 인물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헨리 벡의 지하철 노선도는 이전의 노선도와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는데, 그는 기존의 구불구불하던 선을 대각선, 수직선, 수평선으로 정리하여 일반역의 순서와 환승역의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디자인 하였다. 이후 수많은 노선도들은 이러한 개념을 기초로 디자인되기에 이른다. 현재 개성 있는 모습의 다양한 노선도들이 많이 디자인되고 있지만 헨리 벡의 디자인 컨셉은 현재까지도 교통 체계 정보 그래픽의 기준이 되고 있다. 런던의 지하철 노선도 외에 뉴욕, 파리, 베를린, 도쿄의 지하철 노선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고 각 도시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그래픽적 분석 기준과 기능적 분석 기준의 틀을 만들어 보았다. 그래픽적 분석 기준은 외적형태에, 기능적 분석 기준은 내적기능에 중점을 두었다. 그래픽적 분석 기준의 결과는 대부분 헨리 벡의 디자인 컨셉과 일치 하는 부분이 많았고 기능적 분석 기준으로는 기능성, 심미성, 정체성의 측면에서 지하철 노선도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중심으로 <제4장>에서는 서울의 지하철 노선도를 분석하고 개선점과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지하철 노선도는 많은 그래픽적 요소와 정보들을 포함한다. 정보를 많이 넣는 것은 정보 그래픽에 있어서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리처드 솔 워먼은 얘기한 바 있다. 지하철 노선도가 기능성과 심미성을 고르게 갖추기 위해서는 위의 요소들을 적시적소에 적용하는 심미안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까지는 주목받지 못했던 서울 지하철 노선도 및 서울의 교통 체계 정보 그래픽은 앞으로 개선될 여지가 많이 있는 만큼 많은 디자이너들이 참여하여 좋은 해결 방법을 만들 수 있길 기대해 본다. The subway map,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s, plays the role of conveying information to carry passengers from their stations of departure to those of destination. Thus, the subway map should be available regardless of sex, age, nationality and social status of the users. it should also be easily understandable, accurate and easily recognizable. The purposeful subway map as a means to get information not only conveys messages to the public but also organize information accurately and scientifically, into which aesthetic orders should be incorporat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bway maps from different countries to improve the Seoul subway map, which has brought about a lot of problems. First of all, in Chapter 1, the concepts of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graphics and diagrams are established to analyze the subway map as information graphics,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information design methodologies are examined through the cases of information design forerunners. These precedent cases als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way map and information graphics. Chapter Ⅱ briefly addresses the history of the subway map, followed by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subway maps from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the London subway map is portrayed in detail since it is the history of the subway map itself and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graphic design. It was Henry C. Beck who brought a revolutionary turning point to the design of the London subway map. His design of the subway amp wa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he replaced all the winding old lines with diagonal,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so that passengers could easily find the orders of general stations and transit stations. Since this design, many subway maps have been designed based upon such concepts. Currently, a variety of subways maps with their own colors are being designed, but still Henry Beck's design concepts are the very standard for world transportation system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London's subway, the subway maps in New York, Paris, Berlin and Tokyo are visi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are drawn. Based upon these findings, Chapter Ⅲ presents a frame work of graphic analysis standards and functional analysis standards. The former focuses on the outer forms, while the latter on the internal functions. The results from graphic analysis standard application show that the output has a lot in common with Henry C. Beck's designs; With the functional analysis standards, the subway map is analyzed in terms of function, aesthetics and identity. Based up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nalysis, in Chapter Ⅳ, the Seoul Subway map is analyzed, and improvements and alternatives are suggested. The subway map contains a lot of graphic elements and information. Richard Saul Wurman once claimed that the incorporation of too much information is not a good method in information graphics. To make a subway mao with balanced functions and aesthetics, it is necessary to have an aesthetic sense that applies the above-mentioned elements at the right time and in the right place.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be improved in the Seoul subway map, Seoul's transportation system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raphics, so it is expected to bring forth good solutions by engaging many designers in the design job.

      • 회전구조물을 접목한 각형 도제주전자 연구 : 면치기 기법을 중심으로

        오성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eramic has been part in deeply our daily lives for longtime and is still with us. There co-exist from pottery to serve something as living ware to practical artcraft and objet in the comtemporary ceramic art. And area of the ceramic art is being extended now, with difficulty to classify them. The study aims to produce practical artcraft and its theme is a kettle to function fully when completing various elements harmonized as one among various wares with various forms according to use. A kettle was chosen for the theme because its various element consisting of body, mouth, lid and grip should be harmonized in the entire artistic form and keep its own function for filling and pouring after shaping and it is available for studying various forms. For theoretical backgrounds of production of the work, through general review on kettle, forms of kettle and roles of its elements were studied and then characteristics of kettle by time or form and analysis of cases of works of kettle in diverse shapes were followed for producing kettle with practicalness and unique beauty of shape. The study started from researching alternative for universal pouring method to grip a kettle by hand in different perspectives, by producing rotating structure. The idea of a rotating structure was born from products or equipment using rotating movement. For shape of the kettle, symmetrical structure, limitation of shaping by potter's wheel, was divided into several sides by angle cutting and then various forms of kettles were manufactured. By grating rotating structure made of different material, the possibilities of production of kettle with easier pouring function and its differentiated aesthetic beauty was suggested. 도자기는 오랜 세월 우리 생활속에 깊이 자리잡고 지금까지 함께 하고 있다. 무언가를 담는 용도인 생활용기의 도자기로부터 현대도예에서는 실용적인 공예품과 오브제작품이 공존하며 도자공예의 영역 또한 구분하기 까다로울 정도로 확장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용적인 공예품제작을 목적으로 하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기형중에 여러가지 구성요소가 하나의 어우러짐으로 완성되어야 기능을 다하는 주전자를 주제로 정하였다. 주전자는 몸체, 수구, 뚜껑, 손잡이로 이루어진 각각의 구성요소가 전체적인 조형적 어우러짐과 소성후 담고 따름에 있어 기능성을 충실히 갖춰야 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연구에 적합하기에 연구주제로 충분한 동기가 되었다. 작품제작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주전자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주전자의 형태와 구성요소의 역할을 알아보았고 주전자의 시대적, 형태적 특징, 현대도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주전자 작품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용적이며 독특한 형태미를 갖는 주전자 제작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전자를 손으로 쥐고 따르는 보편적인 방법에서 회전구조물을 제작하여 다른 관점에서 따름의 방법을 연구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회전구조물은 회전 운동을 이용한 제품, 기구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었다. 주전자의 형태는 물레성형에서의 한계적 형태인 대칭구조를 면치기기법을 이용한 면분할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주전자를 제작하고, 타재료인 회전구조물의 접목을 통해 주전자의 따르는 기능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조형성에 있어어도 차별화 될 수 있는 주전자제작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북한선교를 위한 인식적·실천적 차원의 콘비벤츠에 관한 대안적 연구

        오성훈 서울신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ffective missions policies for North Korea missions. The Korean church as an ethnic church must make North Korea missions, which includes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the evangelization of North Korea, its first priority. The author has been aware of problems due to the fact that various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North Korean missions, but because of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ese activities have not gained synergy but have been disunited and disorganiz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n order to focus on the capabiliti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global church for North Korean missions, the first task is to make an integrated framework of understanding about North Korea. Unification cannot be missions itself. However, unification can give the opportunity to spread the gospel all over North Korea. Therefore, the Korean church taking a leading role for overcoming the division is an essential act of Christian missions. With this conviction, the writer researched Konvivenz as an alternative for achiev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ord Konvivenz comes from a word in Spanish meaning "living together (coexistence)", and is the basic structure and central principle of the missiology of the German missiologist Theo Sundermeier. Konvivenz is characterized by a community that learns from each other, helps each other, and celebrates together. Building this kind of Konvivenz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clearest goal, policy, and strategy for North Korea missions in order to heal the people's wounds that have intensified in the midst of the pain of division, and for the Korean people to complete Jesus' Great Commission. If North and South Korea can build a Konvivenz community together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surely be a great opportunity and blessing for the Korean people. What must be resolved first in order to reach this objective is overcoming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at are deeply rooted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This is the cognitive dimension of Konvivenz . Understandings of North Korea divided into conservative and liberal views have not been able to find points of agreement in approaches to unification and mission strategies. Moreover,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objective of restoring North Korea with God's love, in reality hostility and jealousy over strategies and methods have been repeated. The writer has understood this as a chronic problem in the field of North Korea mis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Hiebert's epistemological shifts. According to his definition, we can discover that the existing external approaches to North Korea have been built upon the foundation of the epistemology of positivism, which became the basis for modernism, competitive individualism, and western colonialism through insisting on the objectivity of truth. And intrinsic approaches are based on the foundation of instrumentalism, which focuses on the relativity of truth, challenges the arrogance of western thought and cultural egocentrism, and easily accepts differences. This discovery shows the necessity of an epistemological shift regarding North Korea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Hiebert asserts the necessity of an epistemological shift in order to witness to Christ effectively in the midst of a modern pluralistic world. He compares how various epistemological methods show different responses to the nature of knowledge and knowledge systems. As a result of his study, he presents critical realism as the approach that should be taken to post-colonial missions. Dealing with cultural, religious, and theological pluralism with a deep conviction of the truth, but abandoning arrogance and paternalistic attitudes, is the attitude of the critical realist sharing the gospel in the midst of a pluralistic society. The critical realism rediscovered by Hiebert through missiological insights is a foundation for a new approach to creatively integrate existing approaches to North Korean society and resolve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and the present writer calls this mission anthropological alternative the "hermeneutical approach". The hermeneutical approach is an approach that allows North and South Korea to be seen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the value and appropriateness of unification, rooted in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reminds us that North and South are the same ethnic group. Therefore, this insight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restoring the community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society more objectively. People who understand North Korea through the hermeneutical approach have the tolerance to recognize the older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North Korean defectors' hatred toward the Kim Jong-Il regime, or left-leaning progressive ideology as aspects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 more accurately. Therefore, the hermeneutical approach makes possible a creative synthesis of the understandings about North Korea of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church that have been divided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viewpoints. Also, a site where this cognitive dimension of Konvivenz can develop into the practical dimension i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specially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North Korean society on the whole is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in which economic factors are rising to importance out of the existing serious political bias. This kind of change in North Korea is being forced for the survival of the Kim Jong-Il regime rather than from personal choice. And if we judge that North Korea's change is a change from below through active unofficial economic activities using bribes, and also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