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수업 방안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여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실제와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증가와 또 그들과 관련된 언어 문제, 경제적 문제, 그리고 자녀 양육의 문제는 매우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언어 문제는 당장 한국에서 살아가야 할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방법은 다양하지 않아서 노래를 활용한 수업은 기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기존 교재를 분석하고 노래 수업에 필요한 노래 선정 기준을 정한다. 교재 분석과 노래 선정을 하고 나서 10편의 노래를 선정한 다음 각 노래의 중요 문법과 어휘를 분석한다. 앞서 연구 되었던 노래 수업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본 뒤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맞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 수업에 적용한 다음 설문지를 통해 노래의 흥미도와 자신감의 향상 정도를 알아 본다. 그 결과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한국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여 주고 자신감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충분이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을 생기게 하고 한국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풀어준다는 점에서 노래를 활용한 교육은 충분히 그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여은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여은혜 지도교수 김 윤 태 본 연구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전반적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중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가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발달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생각한다.

      • 도시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광주광역시 전용서체 디자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여은혜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거에는 국가를 성장시키고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 중심의 브랜드 가치 향상을 가장 큰 목표로 여겨 왔지만, 현재는 ‘지역과 도시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인식하에 도시가 그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화에 대응하여 경쟁력 있는 지역의 특성화 전략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하였다. 최근, 이 같이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생존 수단으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전용서체의 개발이 활발하다. 기업을 시작으로 한 전용서체는 기업의 브랜드 정체성을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킴으로써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서의 훌륭한 도구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자체 전용서체는 도시의 브랜드 정체성을 시민들에게 인지시킴으로서 타 도시와는 차별화되는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의 훌륭한 도구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시민들에게 도시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지니며, 결국에는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찾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도시의 관광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광주광역시는 상징물 개발과정에서 대표 상징물인 심벌마크, 캐릭터 등과 함께 로고타입 형태의 전용서체를 개발하였다. 타 지자체들이 전용서체의 중요도를 미리 파악하고 자신들만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 진지한 고찰 및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의미있고 다양한 서체를 제작 및 배포하는 반면, 현재 광주광역시 전용서체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이 많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독창성 및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용서체을 통해 통합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도시 정체성을 높이고,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전용서체 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National brand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untry's past growth process has a larger goal. Twenty years after the resurgenc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21st century, the global era, regions and cities surprise the world through competit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As a result, beyond the concept of a nation, the paradigm shifts to recognize the brand value of the city as a more important factor. This has led to the era of the need for a strategy to characterize competitive regions in response to globalization. Everyone is looking for strategies and ways to survive in fierce competition, according to recent trends, one of the components of brand identity, exclusive fonts, has emerged as one of the biggest buzzwords among corporate success strategies to survive in numerous competitive environ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survival. Dedicated typefaces, starting with corporations, play an excellent rol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y engraving the brand identity of the company to consumers. This leads to a desire to purchase by delivering a familiar image to consumers, which in turn leads to an increase in sales of the company. The development of fonts for municipalities also takes place in this context. The fonts for the municipal government play an excellent role as a means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different from other cities by recognizing the city's brand identity to the citizens. This has the effect of positively changing the image of the city to the citizens, and eventually leads to the result that many people seek the city. Ultimately an effective means of promoting the city's tourism effects. In June 2000, Gwangju Metropolitan City developed a special type of logo in the form of a logotype together with symbol mark and character, which are representative symbols in the process of symbolic developmen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special fonts of Gwangju city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pictograms, which caused the problem that they could not be properly used in the digital device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n 2017, about 20 years after the year in which the font was developed, it was redeveloped into a digital typeface and redistributed for use by many.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trends, lack of design of various fonts, lack of symbolism, lack of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Many municipaliti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dedicated fonts, and clearly distinguish them from those that do not spare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dedicated font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propose design directio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s font design study to enhance urban identity and city brand imag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of the font design for the local government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seven citi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yeonggi Province, Jeollanamdo, Suncheon City, , Pocheon City, Asan City, and Goyang City)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fonts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font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propose it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plan and supplement. With the opening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Gwangju Metropolitan City will firmly establish its status as a "cultural capital Gwangju" and aim to become an Asian cultural center. They are also working hard to successfully carry out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FINA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Gwangju 2019.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as a basic material to build an integrated urban brand ident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pecial typeface design and to carry out the effective function to improve the city brand value of Gwangju through this.

      • Victorian hypocrisy in Oscar wilde's plays

        여은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639

        산업혁명의 발생과 그에 따른 기계화와 도시화와 같은 사회 현상으로 인해, 영국사회는 부와 권력에 의해 지배받게 되었다. 세 가지의 계급 즉, 상류계급, 중류계급, 그리고 노동자 계급 중 중류계급이 19세기 영국사회의 변화의 주요 수혜자였다. 그들은 외적인 것에 관심이 많았고,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점잖음, 위선 그리고 허식에 사로잡혀 있었다. 오스카 와일드는 시대 말의 극작가로써 그는 그의 희곡작품에서 빅토리아 시대의 귀족들의 부조리함을 지적하고 기지와 유머의 사용을 통해 그들을 풍자한다. 다시 말해, 와일드는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를 강하게 공격하고, 그 시대의 상류계층들을 그의 뛰어한 언어적 익살을 통해 조롱한다. 그래서, 와일드의 희곡 작품들의 플롯은 작품내의 언어보다 더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다. 극작가로써 와일드의 두 가지 특징은 유미주의 운동의 지지이고, 풍속희극의 옹호이다. "예술을 통한 예술"을 옹호했던 유미주의자로써 와일드는 19세기 영국 사회에 만연해 있던 실용주의 사상에 반대했다. 와일드는 예술은 어떠한 도덕적 목적에 부응해서는 안 된다는 사상을 지지했다고 할 수 있겠다. 작품상의 특징에 있어서 와일드의 작품은 19세기 풍속희극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들은 기지있는 대화를 통해 돈, 이성간의 관계 그리고 사랑 같은 풍속희극의 주요 주제들을 전개한다. 풍속희극의 형태를 띠는 것은 와일드의 작품이 사실은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에 대한 작가의 예리한 비판임에도 불구하고, 외견상으로는 단순히 희극으로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빅토리아 시대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가지고 와일드는 빅토리아 시대의 귀족들의 도덕적 가치체계를 성공적으로 묘사하였다. 이 논문은 그의 주요 작품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An Ideal Husband, A Woman of No Importance 그리고 Lady Windermere's Fan에서 와일드가 어떻게 빅토리아 시대의 위선의 의미를 조명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계급문제와 사랑과 결혼이라는 형태를 띠고 나타나는 지 보여주고자 한다. With the outbreak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succeeding outcomes such as mechan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nglish society came to be dominated by the increasing wealth and power. Of the three typical classes, the upper class, the middle class and the working class, the middle class was the main beneficiary of the changes of the nineteenth century England. They were mainly concerned with surfaces and they were obsessed with the typically Victorian respectability, hypocrisy and affectation. Wilde, as an artist of the fin-de-siècle, in his plays, pinpoints the absurdities of the Victorian aristocrats and satirizes the behaviours of them through the use of wit and humour. That is to say, Wilde sharply attacks the Victorian society and its upper-class people are ridiculed through Wilde's excellent use of verbal witticism, so that the plots of Wilde's plays are regarded less important than the language. The two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Wilde as a playwright is that his was in support of Aestheticism and that he was an advocate of the style of comedy of manners. As an aesthete who spoke for "Art for Art's Sake," Wilde was against the idea of utilitarianism which was prevalent in the Victorian society. Wilde was supporting the idea that the art should not serve any moral purpos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Wilde's plays, they best represent comedy of manners of the nineteenth century. His plays are carried out by the main themes of comedy of manners such as money, the relationship between sexes and love through the witty dialogues. The use of the style of comedy of manners helps in making Wilde's plays seem mere comedies on the surface which are, in fact, Wilde's sharp criticism on the Victorian England. With a deep insight into the Victorian England, Wilde successfully depicts the moral value judgements of the Victorian aristocrats. This thesis aims to define how Wilde, in his major plays,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An Ideal Husband, A Woman of No Importance and Lady Windermere's Fan, tries to throw light on the meaning of the Victorian hypocrisy and to show how it is revealed through the theme of the class distinction and the convention of love and marriage.

      •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여은혜 우석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for each sub-domain of K-DST(gross motor, fine motor, cognition, language, sociality, self-help)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It is to develop a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o find out if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area.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motorik program based on the PMÜ to support the development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2. What is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3. How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Research Question 2. Is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2-1. What is the effect on gross motor domain? 2-2. What is the effect on fine motor domain? 2-3. What is the effect on cognitive domain? 2-4. What is the effect on language domain? 2-5. What is the effect on social domain? 2-6. What is the effect on self-help domain? Research Question 1.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motorik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by area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screened in K-DST was formula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e PMÜ theor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more the delayed sensory and motor functions are activated, the more positively it affects the overall developmental process for development support by domain. As a preliminary study,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after verifying the field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gram. Research Question 2. To verify the field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the psychomotorik program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development by domai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on 66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33 in the experimental group, 33 in the control group). Program applica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8 times for 9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general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in the morning and free choice activities in the afternoon. In data analysis, the tests in the areas of gross motor, fine motor, cognitive, language, sociality, and self-help a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average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verification was performed between group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developmental support of gross motor in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gross motor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gross motor domain through spatial location and balance practice, body recognition, body control, fine adjustment, and braking experience for running movem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development support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Through experiences such as fine-tuning, object manipulation, hand-finger mobility, hand strength, and eye-hand coordina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fine motor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fine motor domai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cognitive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discrimination through sensory organs, exploration of how tools work, and creative expression work.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language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language domain through expressions of feeling about space and objects, finding common rhythms, practicing word rhythms, and practicing to present new tools or objects and try on their ow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social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the sub-elements of the social domain through adaptation practice for commonality, expression work through role play, and cooperative activiti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self-help development support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self-help area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the sub-elements of the self-help area through rope knotting, movement correction, movement practice, moving tools using the body, and manipulating objects. From the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as a program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by domai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by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to match the K-DST's diagnostic areas, such as gross motor domain, fine motor domain, cognitive domain, language domain, sociality domain, and self-help domain. It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to support the development by domain. 본 연구의 목적은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를 대상으로 K-DST의 각 하위 영역(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어떠한가? 1-3.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는가? 2-1. 대근육운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소근육운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인지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언어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5. 사회성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6. 자조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1.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 협의를 거쳐 시안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PMÜ 이론을 기반으로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해 지연된 감각 및 운동기능이 활성화 될수록 전체 발달 과정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예비연구로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발달지체영유아 66명(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9주 동안 주 2회씩 총 18회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오전 실내외 활동 및 오후 자유선택 활동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에서 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 영역 검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증 실시,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토대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 위치와 균형감각 연습, 신체 인식, 신체 조절, 미세 조정, 실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제동 경험을 통해 대근육운동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소근육운동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세 조정, 사물 조작, 손과 손가락 이동성, 손의 힘, 눈과 손의 협응 등의 경험을 통해 소근육운동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소근육운동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인지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각기관을 통한 변별, 도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탐구, 창의적 표현작업 등을 통해 인지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인지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언어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과 사물에 대한 느낌 표현, 공통된 리듬 찾기, 단어 리듬 연습, 새로운 도구나 사물을 제시하고 스스로 시도할 수 있는 연습 등을 통해 언어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언어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통성에 대한 적응연습, 역할극을 통한 표현작업, 협력 활동 등을 통해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사회성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자조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로프로 매듭 짓기, 움직임 수정, 움직임 연습, 신체를 이용하여 도구를 옮기는 활동, 사물 조작 등을 통해 자조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자조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K-DST의 진단영역인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 영역에 맞추어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