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술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회선부호 설계에 관한 연구
엄준 아주대학교 IT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회선부호는 원거리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 신호의 진폭 손실을 방지하고 수신 데이터에서 클럭을 복원하여 송수신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부호로 전술통신망에서는 HDB3 부호가 사용된다. 군용 장비는 개발부터 폐기까지 장비의 수명주기가 10년 이상 장기간으로 부품 단종의 위험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통신망에서 사용되는 HDB3 코덱을 로직으로 구현하여 단종에 대한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개발기간의 단축과 신뢰성 보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현된 로직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용의 HDB3 코덱과 성능을 비교, 검증하여 동등 성능임을 확인하고, 최소의 로직을 사용하여 구현하여 FPGA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구현된 HDB3 코덱을 사용하여 개발된 군 통신 장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정리한다.
목표의 구체성과 인센티브가 과업성과 및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목표의 구체성과 인센티브가 과업의 성과 및 노력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험실 연구를 통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S대학교의 재학 중인 경영학부 학생 48명을 수업 중에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3개 단계를 거쳐 실험을 진행하고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를 논문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는 변수의 개념적 정의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과업성과 및 노력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센티브가 과업성과 및 노력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 Specificity and incentive on task performance and effor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8 College of Economics students in "S" University who were elected in class. The results used in this analyses was gathered by three-step experiments.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based on concep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from advanced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al specificity show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ask performance and efforts. Second, incentive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ask performance and efforts. And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suggestions to the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고리 매개 등온증폭법을 이용한 Enterobacter cloacae NDM-1 신속 검출을 위한 진단 기술 평가 연구
인간이 생존하는 환경 내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Enterobacter cloacae (E. cloacae)는 감염의 빈도는 낮지만 다른 중요 병원 감염균보다 임상적으로 더 위중한 증세를 보인다.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E. cloacae 는 높은 빈도로 Ambler class A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를 생성하는데 이로 인해 E. cloacae에 높은 항균력을 가지는 Oxyimino cephalosporin에 대한 내성률이 늘고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Carbapenem 계열의 항생제를 사용하는데 이 또한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Carbapenem 내성균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Carbapenem 내성균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에 대한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NDM-1(New Delhi Metallo-beta-lactamase-1)은 E. cloacae내에 있는 유전자 중 하나이며 이는 Carbapenem 계열 항생제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etallo-beta- lactamase를 생산한다. E. cloacae NDM-1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사용하거나 배양을 통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들은 결과 확인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는 추가적인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가 진행되는데 이는 기존의 PCR 검사법이 저항성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데 적합하고 앞서 말한 검사들에 비해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PCR조차도 기본적으로 수 시간이 걸리며 병원 내부의 사정을 고려 한다면 최대 몇 주가 소요될 수 있는 암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LAMP (Loop-Mediate Isothermal Amplification)는 PCR 과는 다르게 등온에서 진행하고 6종의 Primer를 사용하여 증폭 속도가 빨라 신속한 검출이 가능하다.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Primer mixture 농도, NDM-1 Template 농도, 온도와 같은 LAMP 증폭에 필요한 조건 3가지를 결정하였고 각각의 조건에 대한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1 μL의 Primer mixture에 FIP (Forward Inner Primer)와 BIP (Backward Inner Primer)는 35 pmole/μL, F3 (Forward Outer)와 B3 (Backward Outer)는 5 pmole/μL, LF (Loop Forward)와 LB (Loop Backward)는 10 pmole/μL이 들어가도록 결정되었으며 NDM-1 Template 농도는 1 ng/μL로 결정되었고 온도는 64 ℃로 결정되었다. 결정된 최적조건으로 확인 시험을 진행한 후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0.997%라는 수치를 도출하였다. 이는 정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적립된 최적조건을 이용하여 LAMP를 진행할 경우 신속한 검출을 통해 긴 대기 시간 사이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환자에게 알맞지 않은 항생제일 확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통해 항생제 오남용 문제를 최소화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예상한다. Enterobacter cloacae,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has a low frequency of infection but shows clinically more serious symptoms than other important hospital-acquired infections. E. cloac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produce Ambler class A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at a high frequency, which increases the resistance rate to oxyimino-cephalosporin, which ha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cloacae. Carbapenem antibiotics are used to treat this, but the increased use of antibiotics has also caused the problem of increasing Carbapenem-resistant bacteria. As Carbapenem-resistant bacteria spread worldwide, concerns about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re increasing worldwide. NDM-1 is one of the genes in E. cloacae, which produces metallo-beta-lactamase, an enzyme that hydrolyzes Carbapenem antibiotics. In order to identify the E. cloacae NDM-1 gen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commonly used in hospitals or methods using culture are used. However, these tests have the disadvantage of taking a long time to confirm the results.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currently being performed include an additional PCR test, because the existing PCR test method is suitabl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resistance genes and can obtain results faster than the aforementioned tests. However, even this PCR basically takes several hours, and considering the internal circumstances of the hospital, it can take up to several weeks, which is a gloomy situation. The LAMP performed i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CR in that it is performed at an isothermal temperature and uses six primers, allowing for rapid detection due to the fast amplification speed.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 three conditions required for LAMP amplification, such as primer mixture concentration, NDM-1 templat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ere determined,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each condition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1 μL of primer mixture was determined to contain 35 pmole/μ L of FIP and BIP, 5 pmole/μL of F3 and B3, and 10 pmole/μL of LF and LB. The NDM-1 template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be 1 ng/μL, and the temperature was determined to be 64 ℃. After conducting a confirmation test with the determined optimal conditions, the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and a value of 0.997% was derived. This means that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conditions are within the recommended range and the precision is high. If LAMP is performed using the optimal conditions accumula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apid detection will minimize the probability that the antibiotic used during a long waiting period is an antibiotic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patient, and this can be utilized to minimize the problem of antibiotic misuse.
코로나19시대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 및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분석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서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다. 세계 각국은 입국을 제한하고 국경폐쇄나 격리조치를 시행하게 되었다. 중국은 2019년 12월부터 후베이성 및 전국 기타 지역에서 코로나19가 계속 발견되었고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자택 격리조치를 시행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개인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사람과의 대면접촉을 제한함으로 인해 개인 여가활동에 제약이 되었고 여가 패턴은 가족 단위의 여가활동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서 Bowen의 가족체계이론 관점에서 본 Olson(1985)의 복합순환모델을 적용하여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 및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의 4대 도시인 1선 도시(북경, 상해, 광주, 선전)에 거주하는 20대 연령층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무작위표본추출법(random sampling method)의 의해 총 608명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화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순응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19 시대 중국 20대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커뮤니케이션과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여가를 많이 참여해야 한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a pandemic of COVID-19 on March 11, 2020. (COVID-19). From then o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hroughout the globe have enforced entrance restrictions, border closures, and quarantine procedures. Since December 2019, COVID-19 has been discovered in Hubei Province and other regions of China,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nacted countrywide home quarantine measures to limit the disease's spread. The COVID-19-caused social distancing strategy was limited to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by reducing individual activities and prohibiting face-to-face interaction with individuals, and the leisure pattern was shifted to family-level leisur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era,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lei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families, using Olson (1985)'s complex circulation model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total of 608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by random sampling from the 20-year-old population of the four largest cities in China (Beijing, Shanghai, Gwangju, and Shenzhen). SPSS 26.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o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is study methodolog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One result is that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leisure, family communication, and life happiness revealed that family leisure statistic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orientation and life contentment. In contras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family leisure and conformance orientation and life happiness. Another consequence of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eisure, it was discovered that family leisure had a statistically moderating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veness, family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o summarize the above finding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happiness of Chines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during the COVID-19 era, they must engage in a great deal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a favorable impact on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s.
조사료 종류 및 조사료 : 농후사료 비율이 반추위 발효성상, 미생물 성장률 및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oughage source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growth rates and rumen metabolites. In vitro experiment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Korean cattle) consuming italian ryegrass hay. In vitro fermentation incorporated italian ryegrass hay, timothy hay, and tall fescue hay (1000 mg). The 75 ml of mixture, which is composed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125 ml serum bottles.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0, 3, 6, 9, 12, 24, 48, and 72 h. In vivo experiment, 0, 3, 6, 9 and 12 h fermentation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consuming italian ryegrass. In vitro experiment results, pH values were between 6.47 and 6.93. All values were in th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rat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all fescue hay on 6 h. Acetic acid, propionic aci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italian ryegrass hay on 3 h. α-amy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italian ryegrass hay on 3 h, β-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italian ryegrass hay on 12 h. Xylanase activity, CMC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italian ryegrass hay on 0 h. In vivo experiments results, pH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lowest 9h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rates was not significantly (p<0.05) all fermentation time. Lip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lowest 6h fermentation time, β-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lowest 0h fermentation time. Xyla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goes by fermentation time, these result xylanase was roughage decomposition main enzyme. Carbohydrate composition, absorbance result was lower goes by fermentation tim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umen digestion of the roughage rapidly degrades into smaller sugars in a short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oughage : concentrate ratio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growth rates and rumen metabolites. In vitro experiment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Korean cattle)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italian ryegrass hay. In vitro fermentation incorporated T1(400mg/g :600mg/g), T2(500mg/g : 500mg/g), T3(600mg/g : 400mg/g) concentrate italian ryegrass hay ratios. The 75 ml of mixture, which is composed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125 ml serum bottles.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0, 3, 6, 9, 12, 24, 48, and 72 h. In vivo experiment 0, 3, 6, 9 and 12 h fermentation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consuming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italian ryegrass hay. In vitro experiment results, pH values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3 on 9, 12 h. Microbial growth rat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3 on 6 h. Propionic acid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1 on 24 h. α-amy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2, T3 on 24 h, lip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3 on 0h. α-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T3 on 9 h. Xylanase activity, CMC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p<0.05) all concentrates : italian ryegrass ratios. In vivo experiments results, pH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lowest 9 h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rates was not significantly (p<0.05) all fermentation time. Acetic aci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st 12 h fermentation time, propionic aci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6 h fermentation time. α-glucosidase activity, β-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9 h fermentation time, but two enzym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lowest 12 h fermentation. Carbohydrate composition, absorbance result was lower goes by 6h fermentation time these results was α-glucosidase activity, β-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6 h fermentation time.
재즈 연주에 있어 역동적인 그루브와 정확한 박자감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섭디비전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연구
재즈연주에서 섭디비전(Subdivison)의 효율적인 사용은 연주자에게 박자의 정확도와 역동적인 그루브(Groove)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리듬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루브감은 밴드의 연주력과 전체적인 음악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재즈 연주에서의 역동적인 그루브감은 수직과 수평으로 움직이는 박자와 리듬의 정확도를 기초로 만들어 진다. 리듬과 박자의 정확도 그리고 좋은 그루브감을 연출해내는 데 있어 섭디비전의 효율적인 사용은 그 중심에 있다. 음악적 용어로서의 섭디비전은 박자를 안에서 나눈다는 뜻이다. 본 논문에서는 섭디비전의 효율적인 사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첫째, 각 4분 음표 간의 리듬 세분화. 둘째, 엇 2박 3연음에서 파생되고 응용되는 각 4분 음표들 간의 연계성. 셋째, 이븐 리듬에서 파생되고 응용되는 각 4분 음표들 간의 연계성. 넷째, 재즈 그루브에 적용되는 더블 타임 필과 하프 타임 필의 섭디비전. 이상 네 가지 리듬적 개념을 채보를 통해 분석하였다. 리듬의 세분화를 통한 섭디비전은 연주자가 실질적으로 연주를 하지는 않으나 4분 음표 안에서 나누어 질 수 있는 세분화된 박자를 자신의 연주에 내면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수평적으로 움직이는 4분 음표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윙 리듬에서 엇 2박 3연음을 섭디비전으로 적용할 때는 그 엇 2박 3연음을 각 4분 음표들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 4분 음표의 박자들이 수평적으로 움직일 때 한 박 한 박의 박자 사이에 존재하는 세분화된 소단위의 박자들을 섭디비전의 개념으로 분할한 후 그 안에서 움직이는 일정한 리듬의 패턴(엇 2박 3연음)을 적용하여 수평적 리듬의 연결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패턴들은 실질적으로 연주를 하지는 않으나 원래 템포의 4분 음표 박자의 움직임 안에 내포하여 진행함으로써 각 박자의 위치를 견고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블 타임의 개념은 느린 템포의 연주시에는 역동적인 그루브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빠른 템포의 연주시에는 하프 타임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서 수평적인 그루브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더블 타임과 하프 타임을 적용시킬 수 있는 재즈 그루브들은 더블 타임 비밥 스타일과 하프 타임 펑크 그루브, 재즈 발라드 연주 시 사용하는 더블 타임의 개념, 보사노바와 삼바 리듬의 관계, 그리고 보사노바 리듬을 기초로 한 이븐 8분 음표(Even 8th) 그루브 등이 있다. 다양한 섭디비전의 개념을 연주에 적용시킴으로써 연주자들은 탄탄한 그루브와 정확한 리듬을 구사할 수 있다. 섭디비전 개념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지는 타임 필과 그루브 감은 재즈 연주자들이 여러 악기의 편성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할 때 각 연주자들이 음악을 통해 펼쳐내는 예술적 표현과 생각들을 서로 교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엄준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그 속에서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 삶을 영위 해간다. 자연은 예술의 이상적 대상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예술적 활동의 모태가 되어왔다. 자연의 무수히 많은 소재와 그곳에서 느낄 수 있는 감흥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예술가들에게 관찰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현재에도 그들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의 수많은 표현대상 가운데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상징되는 꽃은 그 자체가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갖고 있기에 바라보는 이의 마음에 친근한 감정을 일으키게 한다. 이렇게 꽃이라는 소재는 신비로운 질서와 조화를 지닌 존재로서, 예술적 영감과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문화의 발전과 더불어 풍요로운 생활 속의 현대인들에게 대량생산으로 인한 획일성과 기능성을 강조하는 것이 최근 디자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소규모로 제작되는 수공예품은 생활 속에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바쁜 일상에서의 즐거움과 만족감을 제공한다. 현대도예는 한 분야로써 독자적인 조형성을 이루며 발전되어가고 있다. 이 시점에서 현대인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독창적인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도자 식기가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인은 점토라는 소재의 특성을 가지고 일상 생활에서 보여지는 한국적 들꽃을 이용하여 수공예의 아름다움과 함께 우리문화와 현대생활에 잘 어울리는 식기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러 문헌을 통해 표현소재로써의 들꽃의 특징과 종류 및 생활과 수공예에 대하여 알아보고 식기의 역사, 전통 후식에 관한 유형 그리고 꽃을 이용한 .식기사례 등을 연구하였다. 식기는 개인의 체취와 취향이 담긴 그 만을 상징하는 가장 소중한 용기로 한 나라의 전통 식생활 문화양식에 의해서 변하여 전승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 사실적 형태나 상징적 의미를 갖는 꽃은 단순한 빛깔이나 모양 혹은 향기만으로 인식되어지지 않고 꽃의 본질이 갖는 그 의미들로 표현되어 작품의 좋은 소재가 된다. 아울러 꽃을 주제로 한 도자 식기들은 한 작품의 예술적 아름다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한 시대에 융성했던 문화의 한 단면을 대하는 역할까지 한다고 볼 수 있다. 주변에서 쉽게 우리 들꽃들을 만날 수 있다. 색깔이나 모양들은 너무도 다양하고 아름답다. 인간의 도움없이 스스로 자라서 꽃을 피우며 살아가는 생명력은 매우 놀랍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톱풀, 타래난초, 둥굴레, 수정란풀, 메꽃, 토란, 달래, 더덕, 당아욱, 바위취 등을 이용하여 꽃의 모양을 단순화시켜 식기형태에 응용하거나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차별화와 독창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수공예적 소량생산 방식으로 예술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도자 식기제작을 위해 성형방법은 다양한 식기 디자인과 반복 제작을 위한 주입성형을 비롯해 물레성형과 가압성형을 병행하였다. 태토는 제작방법에 따라 주입성형에는 백색도가 뛰어난 슈퍼 화이트를 사용하였고, 물레성형에는 태토의 발색효과를 위해 백토와 청토에 화장토로 분장하고 고화도 안료(gare, U.S.A)를 5% 정도 첨가하여 변화를 주었다. 일부작품은 화장토를 바른 후 들꽃을 이용하여 음각선으로 표현하였거나 붓과 세라믹펜슬을 이용하여 들꽃을 문양으로 넣었다. 또한 가압성형에는 내화성과 강도를 고려해 조합토를 사용하였다. 시유는 투명유와 흑유를 주로 사용하여 식기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1차 소성은 1.5㎥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800℃까지 8시간 소성후 재벌 산화염소성으로 최고온도 1250℃까지 10시간 소성하였다. 작품을 만들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들꽃을 이용해 소박하면서 한국정서에 잘 어울리는 식기를 제작함으로써 우리 식생활 문화와 수공예로써의 꽃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였다. 둘째, 식기의 색깔을 계절별로 다르게 했을 때 식기가 단순히 음식을 담는 도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활력소까지도 줄 수 있음을 알았다. 셋째, 식기의 형태는 최대한 점토가 주는 부드러움과 자연스러움으로 흙이 가지는 이미지 중에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넉넉함과 관용을 질감이 그대로 드러나게 하여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공예는 아름다움과 생활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작품이다. 그러므로 공예에 나타나는 아름다움은 감상에만 그쳐서는 안되며 보다 깊숙이 생활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현대의 공예는 단순히 쓰임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균형 있는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소박함이 드러나는 자연스러움이야말로 최상의 소재요 표현이라 할 것이다. 우리 들꽃을 주제로 대량생산과 더불어 소량생산이지만 수공예적인 느낌을 살린 공방제품들이 많이 생산되어 다양한 후식기문화가 형성되기를 바란다. Humans live together with nature and they discover its harmonious order to conduct their own lives. Nature influences art and is its ideal when created at its greatest form. Furthermore, the affection and interest in nature creates the artist's role model. Nature's incessant resource in idea and inspiration has been observed by both western and eastern people. Nature has been expressed in a variety of methods for centuries. Of the many resources of nature, flower evokes the mind of the observer since it is the symbol of beauty and elegance. Therefore the flower with its mysterious order and harmony inspires the artist.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we live in a period where everything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This study wishes to go against this tendency in design and hopes to concentrate in creating aesthetically pleasing handmade designs that will provide the consumer with joy. Contemporary Ceramics is developing with its own individual form. Therefore an original design for tableware that combines use and decorative purposes is required at present to fulfill the aesthetical taste of the contemporary consumer. Consequently this study has used clay to make handmade tablewares with traditional Korean floral motifs. It strives to combine the Korean culture with contemporary lifestyl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aesthetical qualities of the flower in addition to the various images found in this subject. Theoretical research on tableware was conducted also along with works made by famous artists. The tableware of a culture reflects upon lifestyle and habit. It alters depending on the changes that take place in culture and society. It is also very personal as it represents the culture of a given person. The flower is not simply attractive because of its form, scent and color. The fundamentals of the forms and textures have been examined carefully for this study. Hence the flower form combined with tableware strives to look up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f this contemporary period. We are easily accessible to the flowers of our environment. The shapes and color of wild flowers are attactive. Their will to survive is great. This study has examined many different types of wild flowers- 톱풀, 타래난초, 둥글레, 수정란풀, 메꽃, 토란 달래, 더덕, 당아욱, 바위취. The shapes have been simplified to be applied to tableware and they have also been used as patterns. The study hopes to direct the consumer to purchase works that are unique and warm in quality due to the hand created touch of ceramic work. The wheel-throwing, slip-casting and press-mold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far the forms. For the slip-casting, porcelain clay was used. White stoneware and celadon clays were used for throwing. The works have been partially decorated with slips(gare, U.S.A) - 5 % color added. Some were painted with white slip and then drawn on with brush and ceramic pen. For press-molded works, a mixed body clay was used. Transparent and black glazes were applied on to the work. The work is suitable for eating. The first firing was conducted in a 1.5m electric kiln and it reached a temperature of 800℃ in 8 hours. The second was an oxidized firing reaching 1250℃. The firing was conducted for 10 hour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use of simple Korean floral motifs produced a tableware apt for our lifestyle simultaneously as adding a handmade touch to the work. Secondly, the color of the tablewares were differentiated seasonally giving light to our daily lives. Thirdly, the work was made to produce the smooth and natural qualities of clay. All the characteristics present in clay have been examined for this. Craft includes both aestheticism and lifesty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practical rather than creating something that is solely pleasing to the eye. This is the tendency of present day art. It requires to be both aesthetical and functional. Of course there are many ways of presenting aestheticism. Perhaps humbleness and simplicity creates the most beautiful piece of work. The study hopes that handmade works continue to be in the demand for most studios to produce unique and original works.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핵심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엄준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효과와 개선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 해외의 자유학기제 사례들 중 덴마크 유스터스코브 에프트스콜레의 놀이학습에 착안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교과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이 함양되도록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을 자유학기가 시행되는 서울 S중학교 1학년 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 수업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는 1개 학급 23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추가적으로 3개 학급 6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사례로 제시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진행과정과 함께 개선점을 밝혔다. 본 개발은 교사가 학생의 반응과 목소리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교수․학습방법을 수정해나갈 수 있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방법을 사용하였다. 계획 단계에서는 요구분석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고 기술교과 놀이학습 교구와 수업 평가지, 수업 효과성 검증을 위한 학생․교사 관찰일지, 영상 촬영, 면담 도구를 구성하였다. 수업 평가지는 전문가 3인의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개발하였으며, 놀이 활동과 기술교과 학습내용의 논리적 계열성과 집단의 역동, 학습 활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매 차시 끝날 때 마다 기술식 평가지를 작성하는 활동을 배치하였다. 적용․반성 단계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 A학급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계획 단계에서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학습을 1주간 2회기 동안 적용하고, 학생면담과 연구자관찰일지, 동료교사관찰일지, 동영상 분석을 통하여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반성하였다.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적용․반성 단계의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 토의를 통해 교육 자료를 수정하였으며, 학생들에게 기술교과 학습내용과 놀이방법의 설명을 보충하기 위한 사전학습 자료와 모둠별 사전학습 평가지를 제작하였다. 완성 단계에서는 계획 단계에서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에 수정․보완된 자료를 적용하여 완성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완성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학습을 4개 학급 91명에게 적용하고, 학생면담과 연구자 관찰일지, 동료교사 관찰일지, 동영상 기록, 공개수업 참관일지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이다. 기술교과 교육과정은 성취기준 중 핵심 성취기준 선정과 핵심내용 선정을 통하여 재구성 되었으며, 핵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교과 핵심역량 중 핵심 성취기준의 성취가 가능하고 놀이학습 방법으로 함양 가능한 역량으로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이 선정되었다. 이를 위한 학생들의 학습은 덴마크 유스터스코브 에프트스콜레의 놀이학습에 착안하여 6차시 동안 모둠 순환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의 학습은 사전학습, 모둠별 사전학습 평가, 모둠별 놀이학습,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이다.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은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문제의 확인 능력,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 해결책의 평가 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문제의 확인 능력은 자발적 참여와 반복학습, 교사 중심의 학습내용 설명을 통하여 향상되었으며,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은 정보의 탐색과 협력활동을 통해 향상되었다.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은 실천적 지식의 함양과 체험학습을 통해 향상되었으며, 해결책의 평가 능력은 규칙과 보상에 따라 향상되었다. 셋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이다.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으로는 문제의 확인 능력 향상을 위하여 놀이보다는 학습을 위한 학생 참여와 흥미 있는 놀이학습자료 개발, 학습 후 교사 중심의 핵심내용 정리가 필요하며,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 향상을 위하여 최소한의 통제와 교과서 중심 수업에 대한 고정관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 향상을 위하여 시간 구성과 난이도 구성의 개선이 필요하고 해결책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하여 결과의 보상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2016년도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되는 시점에, 중학교 현장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외국의 수업 사례를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진행과정과 함께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및 개선점을 밝힌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and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ings to improve. Firstly, how is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developed? Secondly, how does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influenc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especially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Thirdly, what should be improved in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to build up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learning by playing of Usterskov efterskole in Demark, one of known examples in foreign countries, among revised core competencies in technology curriculum in 2015, it was restructured to build up problem solving skills. First of all, 91 first graders in S middle school in Seoul where free semester is implemented at the moment,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survey on demand for the classes during the free semester to draw implications. Based on this,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by action research of one class with 23 students. In addition, this was applied to other 3 classes with 68 students in total, which verified efficacy of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Along with this, to make it available for other teachers at school, improvement points were discussed. Progress process of technology curriculum is also revealed. This study utilized action research, in which teachers are able to reflect the responses and voices of students to consistently amend pedagogy and learning method. In the design phase, referring to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action research,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kits for learning by playing, lesson evaluation, journal of students and teachers for the verification of efficacy of lesson, videotaping, and interview were prepared. Lesson evaluation sheet was developed by 3 experts during process of verifying the efficacy of lesson, and considering playing activities, logical sequence and group dynamics of lesson contents, and time allotted for lesson, a program was mapped out. Also,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evaluation paper to be reminded of what they have learned and felt by activities consistently. In the application and reflection phase, a lesson plan developed in design phase was applied to one class with 23 students twice for a week and student interview,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co-teachers, video analysis were done to reflect the problem of lesson. In com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stage, problem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age were complemen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experts to correct teaching materials and preview material and preview evaluation material by modules were made to complement the content and explanation of activities for students. In completion phase, applying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material onto the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developed in design phase, final lesson plan was developed. This was applied to total 4 classes with 91 students. Student interview,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co-teachers, record of video material, and observation log of open class wer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n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among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in technology curriculum,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was restructured by selecting achievement standard and core contents. Among core competencies in technology curriculum revised in 2015, as an achievement standard and leaning by playing method,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was selected. Entire study plan consists of 6 modules and each module consists of preview, evaluation of preview materi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n technology. Secondly, influence of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on building up problem solving skills was analyzed in an order of problem recognition skill,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realization ability of one’s own idea, problem evaluation skill. Problem recognition skill improv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reviewing materials, and teacher-centered explanation process.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improved by investigating information and cooperative activities. Also, realization ability of ideas improved by building up practical knowledge and filed study. Problem evaluation skill improved by enforcing rules and implementing reward system. Thirdly,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sugges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and reviewing core contents leading by teacher after the lesson are needed, rather than improving problem recognition skills. Minimized control and anxiety over stereotypical textbook centered lesson should be improved for the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Reassigning time slot and difficulty level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realization ability of ideas. Compensation for the outcome should be improved for the better problem evaluation skill. This study draws implication, at the moment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on a national scale in 2016 by providing an example of revised technology curriculum in 2015, which will start implementing from 2018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technology curriculum.
유기인계 농약, 피리미포스-메틸과 메티다티온의 면역독성 및 기작
Organophosphorus (OP) pesticides have largely replaced the us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ave been widely used in agriculture and houses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ir rapid breakdown in water and their low environmental persistence. As a result of broad usage, consumers are directly or indirectly exposed to organophosphorus pesticides through several food groups including meat, dairy products, fruits, vegetables, dried foods, and most processed foods in which a significant amount of pesticide residues have been found. However, thus fa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the immunotoxic effects of OPs. In the present study, Balb/c mice were used to determine the immunotoxic effects of OPs, methidathion and pirimiphos-methyl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in vivo showed that methidathion dosag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ody weight, relative thymus and spleen weight, and thymus and spleen cellularities of Balb/c mice. Pirimiphos-methyl treatment also showe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relative thymus weight, and thymus cellularity of Balb/c mice, but high dose treatment (120mg/kg) of pirimiphos-methyl significantly decreased relative spleen weight and spleen cellularity of Balb/c mice. On the other hand, LPS-proliferation response of splenocytes was not affected by methidathion and pirimiphos-methyl exposures. However both methidathion and pirimiphos-methyl dosages reduced ConA-stimulation response of splenocytes and antibody production to SRBC. The result indicate that long-term exposure at high dose of pi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is affected on spleens of Balb/c mice and is immunosuppressive. Pi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were assayed in vitro for their immunosuppressive effects to spleen cells, especially T cells. Results showed that pirimiphos-methyl was cytotoxic to splenocytes at concentrations of more than 2 μM but methidathion had a little cytotoxic effect only at 50μM. Pirimiphos-methyl increased DNA fragmentation of splenocytes at cytotoxic concentrations. Pirimiphos-methyl depressed ConA-and LPS-proliferative responses, IL-2 production, CD28 expression in splenic T cells, and CD40L expression in splenic CD4 T cells. However methidathion had a weak depressive effect on the same immunotoxicological parameters only at high concentration, 50μM. The results indicate that pi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perform a immunotoxic effect by having some effects on viability and functions of splenic T cells and pirimiphos-methyl is more toxic than methidathion to immune cells although pirimiphos-methyl has higher LD_(50) value.
LiCoPO4 상이 형성된 층상 양극활물질의 농도와 열처리 온도에 따른 전기화화학적 특성
LixCoPO4 상이 형성된 LiNi0.86Co0.1Al0.04O2 양극 활물질은 Co3(PO4)2 nanoparticles의 각각의 농도와 열처리 온도로 합성되었다. 이러한 얻어진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와 수분 분석, 열 안정성 등의 특성평가가 이루어 졌다. 3wt%로 이루어진 코팅 물질은 초기 방전 용량이 감소가 없는 것을 보여주며(193mAh/g), bare 양극 활물질(초기 방전 용량 193mAh/g, 용량유지률은 44%)과 비교되게 1C로 40 cycles후에서 90%의 용량 유지률을 보이면서 많은 향상이 있었다. 농도와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을 700'C, 800'C, 900'C 2~7시간동안 다양하게 하였다. 700'C 7시간동안 코팅된 양극 활물질과 700'C 5시간동안 열처리한 물질을 전기화학적 특성과 수분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700'C 7시간동안 열처리 후에 P 이온은 Particle 표면에 700' 5시간동안 열처리된 활물질과 비슷한 코팅 두께를 보여준다. 그러나 더 높은 열처리 온도에서는 P 이온이 bulk particle 안으로 더 깊게 확산됨과 관련 있게 전기화학적 특성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 을 알 수 있다. 코팅된 샘플은 40%의 상대습도 공기 중에 노출하여 Li2CO3와 LiOH의 양을 알아보았을 때 700'C로 열처리한 물질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800'C와 900'C로 열처리 온도를 올렸을 때 Li2CO3와 LiOH의 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700'C 7시간동안 열처리한 샘플은 총 열량이 240J/g 으로 5시간 열처리한 샘플 380J/g과 비교되게 감소되었으며 bare샘플 980J/g 현저히 비교되게 감소된 것 을 보여 열적 안정성 또한 코팅에 의해 크게 감소되는 것 을 보여준다. LiNi0.8Co0.1+xMn0.1-xO2 는 LiOH∙H2O와 Ni0.8Co0.1+xMn0.1-x(OH)2를 화학양론적으로 혼합하여 800'C 15시간동안 소성하여 얻었다. 이 활물질를 이용하여 4.3V 충전전후에서 공기 중 노출상태와 전해질 90'C에서 시간을 달리 보관하여 상태를 비교하였다. 중심 메탈 Co가 증가할수록 3a 리튬 사이트에 Ni2+가 감소하였고 LiOH와 Li2CO3 불순물상도 감소하였다. 4.3V 충전 후 90'C 에서 보관하면서 Ni와 Mn의 산화상태의 변화는 X-ray absorption near edge spectra (XANES)를 사용하여 알 수 있었으며, Ni4+는 Ni3+로 산화상태가 감소하였고 Mn4+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양극 안에 잔여 Mn3+ 이온은 전해질로 녹여졌다. 게다가 90'C에서 7일 동안 보관된 양극 활물질은 스피넬상(Fd3m)으로 변화였다. 90'C 에서 많은 양의 메탈이 용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iNi0.8Co0.1Mn0.1O2에 Al2O3와 Co3(PO4)2 nanoparticles로 코팅하였다. 이 결과 Co3(PO4)2가 코팅된 양극은 bare와 Al2O3가 코팅된 양극과 비교하여 메탈 용출이 굉장히 감소하였고 비가역용량도 5%로 감소하였다. LixCoPO4 phase-grown LiNi0.86Co0.1Al0.04O2 cathode material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ating concentration of precipitated Co3(PO4)2 nanoparticles and the annealing temperature. Thes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moisture uptake, and thermal stability. Among the various coating concentrations, 3 wt % coating showed no decrease in the first discharge capacity 193 mAh/gand a much improved capacity retention 90%at a 1 C cycling rate after 40 cycles, compared to the bare cathode 193 mAh/g and 44% for first discharge capacity and capacity retention, respectively. Using this concentration, the annealing time was varied from 2 to 7 h at 700, 800, and 900°C. The coated cathode annealed at 700°C for 7 h showed comparabl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moisture uptake to that annealed at 700°C for 5 h. Even after annealing at 700°C for 7 h, P ions remained on the particle surface with a similar coating thickness to that at 700°C for 5 h. However, increas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led to a further decrease in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was related to deeper diffusion of P ions into the bulk particle, which likely formed a solid solution consisting of bulk elements and P elements. The amounts of Li2CO3 and LiOH formation of the coated samples upon exposure to air with a relative humidity of 40% showed a similar result when annealing at 700°C, but increas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to 800 and 900°C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amount of Li2CO3 and LiOH. Thermal stability was also greatly improved by the coating, and the sample annealed at 700°C for 7 h exhibited a decreased total heat capacity 240 J/g compared to the 5 h annealed samples 380 J/g even though those values were much smaller than the bare sample 980 J/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