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양인실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ducation cultur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first grade students of one class in a middle school, and the research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direc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tradition from March 2008 to February 2009. Three main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using regular schooling as leisure time', 'going to 'another school(Hakwon)', and finally 'living adjusted to Hakwon(private educational instituion.'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tudents take a break from their daily routines in regular schools. They release their stress, finish their works imposed by Hakwon, and do things they can’t do at their Hakw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students have got used to Hakwon because they go there everyday, do their homework from Hakwon everyday, and their learing is managed by the Hakwon teachers. The last characteristic is to adjust their daily life according to the skedule of their Hakwon. 'Living adjusted to Hakwon' is the phenomenon that students live only for their Hakwon and getting good grades. As a result, they give up other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consider regular schools as a place to do things which they can’t do at their Hakwon. They reduce their stress which they got from their Hakwon by playing with their friends in school. The school is not the place of learning and studying, but the place where students supplement their Hakwon work and do things which they can’t do at their Hakwon. It shows that the real purpose of the school has been distorted. Secondly, students deem studying they do at their Hakwon more important than at the regular school. They are more enthusiastic about their Hakwon work than their regular school work because they are worried about getting poor marks. It’s a kind of "Hakwon addiction" not to be able to quit going to an Hakw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radicate the public opinions that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s that of compet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 education. It means that we have to try to help individual students grow into well-rounded people. Third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believe that they are able to raise their grades and solve their educational problems by managing them from their Hakwons. It implies that students and their parents rely on private education more than public education.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students and parents have to overcome the mistrust of public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교육 문화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는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중학교 1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의 연구 기간 동안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헌자료 분석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교육 문화의 특징은 학교생활에서 ‘학교 이용하기’, 학원생활에서 ‘또 다른 학교 다니기’, 가정생활에서 ‘학원에 맞추어 살기’이다. ‘학교 이용하기’는 학원생활에 지친 일상을 쉬어가고, 학원에서 못 다한 공부를 보충하며, 학원에서 못하는 일을 하는 곳으로 학교를 이용하는 모습이다. ‘또 다른 학교 다니기’는 학교와 마찬가지로 교사가 있고, 수업을 하고 매일 숙제가 주어지는 ‘또 다른 학교’인 학원에서 학습관리를 받고 ‘진짜 공부’를 하면서 학원에 중독되어가는 모습이다. ‘학원에 맞추어 살기’는 성적을 올리기 위해 다른 일상생활들을 포기하고 학원에만 전적으로 매달려 생활하는 모습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교육 문화의 특징과 의의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를 학원에서 못하는 일을 하거나 친구들과 놀면서 학원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푸는 곳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것은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학교는 더 이상 배움과 학습의 장의 아니라, 학원생활을 보완하고 학원에서 못하는 일을 하는 곳이며 학원생활에 지친 일상을 쉬어가는 곳으로 학교의 의미가 왜곡되어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학생들은 학원에서 하는 공부를 ‘진짜 공부’로 여기고 학교수업보다 학원수업에 더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성적이 떨어질까 두려워 학원을 끊지 못하는 ‘학원 중독’ 증세를 나타냈다. 이것은 학교 교육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서는 사교육과 공교육을 대립․경쟁관계로 인식하는 사회의 일반적인 여론을 불식시키고, 학생 개개인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가정에서는 다른 일상생활을 모두 포기하면서 학원의 관리가 성적 향상이나 진학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는 높은 반면,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낮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회복이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최우선 과제임을 드러내는 결과이다.

      • 그림책이 유아의 편견 해소에 미치는 영향

        양인실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갖고있는 인종, 동물, 외모, 음식에 관한 편견의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그림책을 제시한 후에 나타난 반응과 비교 분석하여, 그림책이 유아의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예비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이 가장 많이 갖고있는 편견영역인 인종, 외모, 동물, 음식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 2. 그림책이 유아의 외모에 대한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 3. 그림책이 유아의 동물에 대한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 4. 그림책이 유아의 음식에 대한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대상은 중산층의 두 유아교육기관(A & H)에 재원중인 유아 80명이며 이 중 A기관에서 선정된 50명은 예비조사에 참여했고 H기관에서 선정된 유아 30명이 최종적인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구안한 5점 척도의 설문(부록 1)과 아동문학 전문가에 의해 선정된 각 편견 영역별로 4편의 그림책 (인종 : 꼬마검둥이 삼보 / 외모 : 뚱보 천사 / 동물 : 크릭터 / 음식 : 난 토마토 절대 안 먹어)이 사용되었다. 측정은 본 연구자가 직접 유아를 대상으로 준비된 5점 척도에 의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test분석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 처리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편견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간의 유의 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8.18, p<.001). 한편 성별이나 연령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성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령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에 따른 편견 해소 효과 차이를 검증한 결과 만5세 유아의 경우가 만4세 유아의 경우보다 편견 해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t=-12.37, p<.001). 둘째, 그림책이 유아의 외모에 대한 편견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0.77, p<.001). 한편 성별이나 연령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이 유아의 동물에 대한 편견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0.43, p<.001). 한편 성별이나 연령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이 음식에 대한 유의 편견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4.45, p<.001). 또한 성별이나 연령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동화가 어린이의 삶에 영향을 준다는 Bettelheim(1967)의 주장과 그림 동화의 심리학적 기능을 규명한 김경중(2001)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아동문학 또는 유아문학이 유아에게 미치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문학매체의 효과검증연구 중에서 그림동화책이 유아가 갖고 있는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그림동화를 제시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나타나는 지속적인 효과에 관해서는 연구기간의 한계 상 밝히지 못한 점이 아쉽다. 추후 연구에서 이에 대한 시험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of prejudice about races, physical appearances, animals, and foods which young children have in daily lives, to analyze their responses after related picture books are presented, and to research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prejudice dissolution which picture books make.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bout prejudice realms such as races, physical appearances, animals, and foods which young children mainly have in preliminary inquiry. 1.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racial prejudice dissolution which picture books make. 2.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prejudice dissolution which picture books make. 3.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animal prejudice dissolution which picture books make. 4.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food prejudice dissolution which picture books make. The research subjects are eighty young children in two middle class schools(A &H) for young children, and fifty young children in A school took part in the preliminary inquiry and thirty young children chosen in H school participated in the final test. The tools used in the test are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ised for the purpose the test and four kinds of picture books about prejudice realms chosen by the experts on young children literature. The surveys are conducted in the in the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which were prepared for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s we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T-test analysis. The results which were analyzed and proc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racial prejudice dissolution by picture book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0.1 between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t=-8.18, p<.001). And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racial prejudice dissolution by picture books, whe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is examined, has few differences in the gender group, but has some statistic differences in the age group. According to the examination's result about prejudice dissolution effects by age group, the prejudice dissolution effects of full five-year old children are greater than those of four-year old children. Second,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physical appearance prejudice dissolution by picture book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0.1 as the prejudice extent decreased in the post-examination more than in the pre-examination(t=-l0.77, p<.00l).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it has fe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is examined. Third,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animal prejudice dissolution by picture book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0.1 between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t=-l0.43, p<.00l).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it has few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is examined. Fourth,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food prejudice dissolution by picture book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0.1 between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t=-4.45, p<.00l).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it has few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is examined.

      • 제주해녀 생애사 연구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양인실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는 해녀에 대한 유산 가치와 세대전승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해녀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 동안 해녀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해녀들의 생애와 사유구조에 주목하여 보았다. 해녀의 삶은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해녀 이해에 대한 스펙트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제주해녀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고령화도 현실화되고 있다. 이것은 해녀담론에서는 일종의 위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제주해녀 관련 양적 연구는 꾸준히 축적되어 왔지만, 해녀 개인의 삶에 집중한 생애사로서의 질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제주해녀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해녀들의 생애와 삶, 그녀들의 사유를 통해 접근할 때 가능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두 해녀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삶, 삶에 대한 태도, 사유구조와 가치관 등을 분석하였다. 현대 사회학계를 대표하는 부르디외는 개인과 사회와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천은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의식의 소산인 아비투스와 장의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회학적 이론과 개념은 인간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위치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키워드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 개념은 사회의 구조적 요인을 간파하여 연구자들에게 사회학적 사유와 분석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이 되고 있다. 아비투스란 인간 행위를 상징하는 무의식적 성향을 뜻하는 말로, 개인의 성향이 환경이나 배경, 가치관과 종교 등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용어이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아비투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또한 장이란 개념은 복잡한 사회에 대한 부르디외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서, 사회생활의 시·공간적 영역을 의미한다.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와 장의 조응이 하나의 구속이자 억압이지만, 개인의 주관적 의식과 사회적 조건을 연관의 맥락에서 상황을 바라보게 하였다. ‘생애사(life history)’는 개인의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것을 기록하는, 대표적 질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자는 두 명의 해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고 텍스트로 만들어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해녀들의 무의식적인 아비투스를 네 가지로 구조화하였다. 해녀들의 집단적 아비투스로는 첫째, “물에 놀레 가게” 라는 놀이와 학습의 아비투스이고, 둘째, “바당은 공거여”라는 감사와 무욕의 아비투스이다. 셋째, “살암시민 살아진다”라는 초월적 사고가 드러난 언어로서 순응과 경외의 사유방식, 넷째, “벗이영 둘이 해삽쥬”라는 협동의 공동체 의식이다. 또한 두 해녀의 생애를 통해 나타난 해녀들만의 ‘아비투스’와 ‘장(場)’의 축소와 확장, 그리고 다시 재생산되는 장에 대한 사례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해녀에 대한 접근방법이 많을수록 활용과 보전의 가능성도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해녀 공동체 영역의 확장과 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들의 삶을 대하는 태도와 아비투스가 체화되어 전승되어 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그녀들의 삶에 녹아 있는 아비투스와 삶의 영역인 장에 대한 고찰로 해녀연구의 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녀 생애사에 대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지속가능한 해녀의 전승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eople still has not understood or empathized with the life of Haenyeo while they have recognized the value and necessity of generation inheriting of Haenyeo. So,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structure of thought on Haenyeo,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study of Haenyeo in general. Because how you understand the life of Haenyeo will bring different spectrum on that. According to statistics, Jeju Haenyeo are rapidly decreasing and getting old. This is a crisis in Haenyeo culture. Amid this sense of crisis, quantitative research on Jeju Haenyeo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but qualitativ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private life of Haenyeo have not been practiced much so fa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Jeju Haenyeo will be possible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lives and their thoughts. I have analyzed life, private structure, and attitude toward the life focusing on the ‘life history’ of the two Haenyeos by applying French sociologist Bourdieu’s concepts of ‘Habitus’ and ‘Champ’. Bourdieu, who represents modern sociology, tried to comprehend the problem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s theory and practice are indistinguishable, he first argued for the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the product of unconsciousness. This concept provides an important keyword that allows humans to reflect on being influenced by their social context and position.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with giving an insight through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could b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ological thinking and analysis for researchers. ‘Life histor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records an individual's past life in his/her own words. I interviewed two Haenyeos and analyzed the data which was made from the record-written texts. Then, I have structured the unconscious Habitus of Haenyeo into four types. There are collective Habitus of Haenyeo cases. First, the Habitus of play and learning called “Let’s go play in the water.” Second, the Habitus of appreciation and freedom from avarice, “Badang is for free.” Third, as the language exposed on the transcendental thinking, “Just let it be as you live.” It is the way of thinking of obeying and awe. Fourth, the sense of community of cooperation called “Have to do with friends.” It also presented examples of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Habitus’ and ‘Champ’ of the Haenyeo, which appeared throughout the lives of the two Haenyeo,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tage. Since I believe that the more approaches to Haenyeo, the more we obtai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 haven’t limited the area but paid attention to expansion and change of the community of Haenyeo. Through the process, I was able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ir lives and Habitus that has been embodied and passed down. I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Haenyeo research by considering the ‘Habitus’ and ‘Champ’ in their lives. In this process, various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life history of Haenyeo will help find a sustainable transmission plan for Haenyeo.

      • Caenorhabditis elegans Fanconi anemia D2 유사체의 유전체 안정성과 endocytosis에서의 기능 연구

        양인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Fanconi anemia (FA)는 autosomal recessive cancer susceptibility syndrome으로서 다양한 선천성 이상과 진행성 골수기능 부진의 특징을 갖는다. FA proteins은 11 개의 독특한 complementation groups (A, B, C, D1, D2, E, F, G, I, J와 L)으로 구성된다. Multisubunit nuclear complex에서 모인 여섯 개의 FA proteins (A, C, E, F, G와 L) complex는 downstream인 FANCD2 protein의 activation (monoubiquitination)에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1 개의 FA proteins중 Caenorhabditis elegans에서 유일하게 conserved되어 있는 FANCD2 homologue (fcd-2)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면역염색반응과 fcd-2 gene expression을 통한 RNA-mediated interference (RNAi)를 이용하였다. fcd-2-depleted animals는 coelomocyte의 기능 이상에 의한 endocytosis defect와 그로 인하여 pseudocoelomic cavity에서의 yolk protein accumulation 현상을 보인다. 그 외에도 DTC migration-defective와 bag of worms phenotype을 나타낸다. ced-1::gfp mutant strain을 사용하여 germ line에서 programmed cell death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것은 human FANCD2가 불필요한 apoptosis를 막는 기능을 하는 것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FANCD2 homologue (fcd-2)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 반응을 관찰, FCD-2가 germ cell과 oocyte, sperm, 그리고 embryonic cell의 핵 주위의 cytosol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UV를 사용하여 DNA damage를 준 뒤, 시간 경과 별로 anti-phosphohistone H3 immunostaining하여 mitotic phase의 cell 수를 counting하였다. fcd-2(RNAi) strain의 mitosis phase cell 수는 항상 wild type에 비하여 많았으나, UV가 가해진 6 시간 뒤에는 갑자기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이 현상은 FCD-2 protein의 G2 checkpoint 기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hydroxyurea를 처리하여 DNA replication을 inhibition 시키면 S phase에서 멈추지 않고,. fcd-2(RNAi) strain에서는 비정상적으로 mitotic phase로 넘어가는데, 이러한 빈도는 p53(cep-1) mutant에서 더 증가하였다. 이것은 P53와 FCD-2 protein이 S phase에서 cooperation 한다는 것을 뜻한다. fcd-2-depleted animals은 wild type에 비해 증가된 apoptotic cell 수를 나타내는데, 이 apoptosis의 증가는 p53-dependent 하였다. 결론적으로 Caenorhabditis elegans Fanconi anemia D2는 endocytosis와 SG2 phase checkpoint에서 작용하며, 그 결손은 p53-dependent apoptosis를 일으킨다.Fanconi anemia (FA) is an autosomal recessive cancer susceptibility syndrome characterized by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and progressive bone marrow failure. FA proteins are composed of 11 distinct complementation groups (A, B, C, D1, D2, E, F, G, I, J and L). Six of the FA proteins (A, C, E, F and L) assembled in a multisubunit nuclear complex are required for the activation (monoubiquitination) of the downstream FANCD2 protei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of a FANCD2 homologue in Caenorhabditis elegans (fcd-2), which is the only one protein conserved in C. elegans among the 11 FA proteins, we performed immunostaining and fcd-2 RNA-mediated interference. fcd-2-depleted animals manifested defective yolk protein uptake by coelomocytes, which implies impaired endocytosis. In addition, fcd-2(RNAi) worms showed phenotypes of DTC-migration-defects and bag of worms. Using CED-1::GFP as a marker of germ cell death, we demonstrated that programmed cell death in the germ line was increased by RNAi of fcd-2 gene expression. FCD-2 was localized in the cytosol of germ cells, oocytes, sperms and embryonic cells by immunostatining.When germ cells at mitotic phase were detected by immunostaining for phosphohistone H3, the cell number in a gonad arm was increased by RNAi of fcd-2 and was abruptly decreased at 6 hr post UV-irradiation, suggesting a G2 checkpoint function of FCD-2. When DNA replication was inhibited by hydroxyurea treatment, RNAi of fcd-2 produced nuclei at mitotic phase with aberrant chromosomes and the frequency of chromosomal aberrancy was further increased in the p53(cep-1) mutant, suggesting that FANCD2 is a checkpoint protein during S phase and cooperates with p53. Furthermore, the increased apoptosis in fcd-2-depleted was dependent on p53.

      • 朝鮮朝 散文學에 나타난 女人像의 硏究

        양인실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박사

        RANK : 247631

        I would trace to analyze the image of women in literature of Yi dynasty Kingdom of Korea. We generally think of the image of women who was lived by Passive and she lived in submission at that time of course. We should to agree that the society of Yi dynasty is Confucianism and feuda age so that the women of Yi dynasty could not contribute to social work but some timest we could not judge all about their life. because, we would trace about the literature, surely we only knew the women's life in Yi dynasty through the literature specially novles. In this manuscript, I would like to explain the image of women in Yi dynasty through the Yi dynasty literature. first of all, we must care many non-fiction so that we could realize and understand the image of woman in the literature, through the many a non-fictions, we could understand and approach the study of image of the women in the Yi dynasty literature, next about the letters literature Dr, Kim il kun who is a professor at Kun Kuk university, in Seoul, found out over 300 letters every where in the Korea until now days, we could see one thing here, most letters literature have been wrote from queen or high clasess women to kisaengs who where serving guest in the restaurants and specially inns for men, non-fictions include literature of letters diaries and essayistics, the image of women in the literature Yi dynasty is more clear, real, and practical speculative sentence, because of the almost non-fictions were written by author himself or other people a virtual image and a real image reflected the image of women in the literature same time are activity and wisdom, on other side, the women of Yi dynasty are the devotion for homes, society and their nation for a long time during all Yi dynasty kingdom of Korea. Generally speaking, they have to serve every part of the world, In the long time of the Yi dynasty. they have been served the devotion the home suarly home is a castle in the family life and they served theirs husband, children,, and other family they suarly believed that devotion of family is a kind of love. Only a few men and women did not underst and theirs love, but almost classical who are high classical in society at then are suarly firmed that their love sort of big power for home and socity, of course it is very important. We can see it through the letters literature and campare the image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non-fiction show us most of love story and family life at home but on other hand, they have been written to desire for something at that time. It is very important for men to use theirs circumstances. It is true that the circumstances have connection with human being wisdom, it is not with in the literature the women of Yi dynasty are very clear in this point of view, because they could lead family, husband and their children well, we could believe that have wisdom, devotion, faith for the future last step here, also we could remember one of philosopher saying "men would think a universe in a sand and, men would see life in a flower". When they see them, we should agree his comparing.

      • 공유리더십의 선행요인과 성과변수에 대한 연구

        양인실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직 내에서 한 사람의 리더가 존재하는 상황과 둘 이상의 리더가 공존하는 상황 중에서 어떤 상황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들은 공유리더십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의 선행요인,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절요인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공유리더십을 중심으로 선행요인으로는 상사의 코칭을 설정하였고, 성과변수로는 조직성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유리더십과 성과 변수 간에 매개요인으로 생산적 에너지를 선정하였고, 조절 변수로는 혁신적 조직문화를 선택하였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개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전국 174개 점포의 직원 3명을 선정하여 52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학력, 연령, 직위, 근속 등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설문 측정항목들의 타당성 분석을 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값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항목들은 타당성과 신뢰성이 모두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와 종속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수들 간의 관련성 측면에서 모든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코칭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이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에 대한 직접효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되었고 조직성과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식된 재무성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이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보면,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와의 관계에서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성과와 인식된 재무성과에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왔다. 또한 생산적 에너지가 성과(조직성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과 생산적 에너지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대한 매개효과는 완전매개 하였고, 코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 하였다. 그러나 코칭이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에 대한 매개효과는 기각이 되었다. 이는 코칭이 인식된 재무성과에는 직접효과만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 생산적 에너지에 대한 매개효과는 부분매개 하였고, 코칭과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관계는 생산적 에너지에 의하여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공유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생산적 에너지에 의하여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하였고, 공유리더십과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코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의한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조직문화는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역할을 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공유리더십의 선행변수 및 매개변수를 찾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종속변수들을 사용하여 공유리더십의 효과를 광범위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코칭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위하여 객관적인 규명을 하기 위해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경험적 연구를 축적하여 측정지표를 정교하게 해야 할 것이다. 결과 변수인 재무성과의 지표를 향후에는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성과 변수를 더욱 다양하게 활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searchers have gradually raised their interests in the studies of shared leadership to find answers about whether a situation where a leader exists in an organization is desirable or a situation where more than two leaders coexist in an organization is desirable. The study comprehensively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for antecedents of shared leadership, its influence on outcome variables and moderators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it. In other words, the study set coaching from a boss as an anteced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outcome variable. It also set productive energy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utcome variables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s a moderator. A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and then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were set based on it.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22 employees- that is, 3 employees each from 174 branches of a financial institution. The study used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years of service, and department, etc. as control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in the survey, and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through Cronbach’s alpha.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ment items used in this study had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ll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terms of their relevance. In this study,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In the result on the influence of coaching, it showed a hypothesis that coaching migh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was accepted, and it also suggested that coaching had a direct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coach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s. In the result o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it show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ive energy. It was also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Also, productive energy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s (both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In the research outcome on a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it was indicated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productive energy, a mediating effect on shared leadership had a complete mediation, an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ared 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on. However,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a mediation effect of shared leadership was not accepted. It meant that coaching only had a direct effect on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s. In the research outcome on a mediating effect of productive energy, it was indicated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on productive energy had a partial mediation, an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accepted due to productive energy.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had a complete mediation due to productive energy, an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accepte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was not accepted. It wa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played a role as a controller when it had an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The research outcome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ntecedents and parameters of shared leadership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extensively using a variety of dependent variables. To clarify the effect of coaching and identify it in an objective way, it is necessary to review empirical studies on coaching programs and set clear measurement indicator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indicator of financial performances that are consequence variables by using performance variables in various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