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 교과서 6종 국악제재 비교 분석

        양은석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음악과 교육과정 속 국악 관련 제재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체계화를 되어 양적인 면에서 성장을 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논의 되었던 ‘국악 교육의 질 제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어졌으며 새로 바뀐 영역 체계 안에서 좀 더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검정교과서를 사용하여 선택적 학습의 기회가 마련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새로 사용되는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 6종에 수록된 국악 관련 제재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기준으로 분석하고 교과서 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6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제재를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국악 교육에 교육과정 재구성에 활용되는 자료가 되고자 하며 다음 교육과정 개정 때 국악제재 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화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5년에 배포되는 5~6학년군 음악교과서의 시험본과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교사용 지도서를 자료로 하였으며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으로 교과서 제재를 나누어 그 내용과 활동의 제시 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별로 국악 제재의 비중은 최소 29.4%에서 최대 46.4%까지 차이가 났으며 각 학교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선정해야 한다. 둘째, 표현 영역 중 노래 부르기 영역은 교과서별로 수록하고 있는 제재곡의 수와 종류가 차이가 있었으며 민요가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악기 연주하기 영역은 교과서별로 제재곡 종류와 양의 차이가 적었으나 편집과 제시방법이 달라서 학교별로 선택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음악 만들기 영역은 표면적으로 수록한 제재의 차이가 있었으나 활동의 제시 방법과 영역 간의 통합 형태를 감안하였을 때 교과서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셋째, 감상 영역의 경우 교과서별로 다양한 제재곡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단순하게 듣는 감상이 아닌 느끼는 감상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영역과 활발한 통합이 요구된다. 넷째, 생활화 영역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안정된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다른 영역뿐 아닌 다른 교과와도 통합이 수월한 영역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의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도 각 교과서 집필진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제재의 양과 활동 내용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수업 방법이며 각 교과서가 가진 부족한 점은 교육과정의 재구성으로 극복이 가능하다. As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classic music is raised, the relevant content in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growing quantitatively through a systematization of the 7t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over sinc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was also applied in the 2009 revisions and the content contains mor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boundary of the newly constructed system. Also, from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2007, the authorized textbooks have been being used to give the opportunity of selective learning. Regarding this, in this study an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 music in 6 different music textbooks, which will be used by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ince 2015, are conducted based o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 music in 6 different music textbooks for providing the teachers in actual sites of education th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revising the curriculum for Korean classic music and to ultimately produce a research data, which can be helpful in qualitatively enhancing the contents of Korea classic music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study, the samples of music text books, which will be distributed in 2015 to 5th and 6th graders, and the teacher’s directions textbooks, which are provided by the publishe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levant contents are subdivided into ‘expression,’ ‘listening’ and ‘familiarization’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each subdivisions and the method of activities there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of Korean classic music in each textbook differed by 29.4% at least and 46.4% at most, so the schools must consider this when selecting the textbook. Second, for expressions division, the number and types of Korean classic songs in the singing section differed by textbooks and folk song was the most appearing type in all textbooks. Although there were less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types of songs in the playing the instrument section, the edition and way of presentation varied by the textbooks, so it requires schools to be careful in selecting the books. The contents of making music section did vary by the textbooks, but, considering that the way of presenting the activities and that the subtopics are integr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Third, each textbook has various songs for listening section, but in order to pursue the emotional listening, rather than a simple hearing, of the music, it is necessary to be combined with other sections. Fourth, the familiarization section was included in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presented in a more stabilized ways in the 2009 revision. More efforts in this section is required to revise the educational curriculum so that the section can be converged easily not only with other sections, but also with other textbook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ven under the same educational curriculum,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can be varied largely according to what the writers of each textbook pursue.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that the textbooks is the method of teaching of individual teachers, and the shortcomings of each textbook can be ameliorated by revis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 가창활동에 대한 학생인식조사 : 연천군지역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양은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음악 가창활동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천군 지역 내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이 노래를 부르는 시간 면에서 월 1회도 노래부르지 않는 아동이 39.5%나 되었다. 또한 설문 분석결과 가창 수업에서 노래를 부르면 마음의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느끼고 기분이 좋아진다는 설문결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제재곡에 대한 아동들의 의식은 배우기는 쉽지만 재미가 없으며, 재미가 없는 이유로는 노래가 느리고 신나지 않고 높은 음들이 많아서라고 응답했다. 셋째, 학교 수업시간 중에 배운 노래를 학교와 가정에서의 활용도가 33.6%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대중매체를 통한 노래의 보급효과가 지나치게 확대됨으로 자극적이고 선정적이며 리듬이 생동감 있는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데 비하여 일부 교과서 제재곡의 가사가 아동의 의식과 거리가 멀고 리듬이 단순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넷째, 초등학교 1∼6학년 기간 중 노래방에 가 본 경험이 있는 아동이 95.4%로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64.1%의 아동은 1년에 1회이상 노래방에 출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하여 음악회에 가본 경험이 있는 아동이 37.2%이며 음악회에 한번 도 가본 경험이 없는 아동이 62.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지역적인 여건상 음악회 관람의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다섯째, 독창(중창, 합창)대회에 나가 가창 활동을 한 아동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1번 이상 대회에 나간 아동이 22.7%, 나간 경험이 없는 아동이 77.3%로 나타났다. 1년 학교행사 중 다른 교과에서는 추진하는 행사가 교내·외적으로 많으나 매년 실시하는 학예 발표회를 제외하고 음악교과에서 특히 가창활동에 있어서는 학교자체의 행사 및 교외적으로 추진되는 행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여섯째, 남자아동과 여자아동의 가창활동의 인식을 교차 분석한 결과, 심미적 체험 면, 가창수업에 대한 참여도, 교과서 제재 곡의 활용도등에서 남자아동은 여자아동에 비하여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의 측면에서 발성연습 없이 바로 노래 부르기를 한다든지, 가창수업 진행에 있어서 CD 또는 컴퓨터를 통하여 듣고 따라 부르기를 하는 것은 교사의 가창 실기 연수에 대한 경험 부족의 결과이다. 여덟째, 선행연구 고찰에서 본 2004년도 경북포항지역에서 음악교과학습의 영역별 기호도 우선순위인 가창(49%)-감상(27%)-기악(21%)순과 비교하였을 때에 본 논문에서 조사한 연천지역 에서의 음악교과 학습의 영역별 기호도 우선순위는 감상(37.2%)-기악(29.7%)-가창(28.9%)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어도 이 지역에서는 아동들의 가창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가창활동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나아가 가창활동 개선에 도움이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inging activity from 7th curriculum and there is a objective which presents a improvement program. 387 peopl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children inside the Yoncheon areas which attain the objective of research with afterwords the result which executes a question in the object it got a conclusion. First, the children with family or friend never sing became 39.5%. When also it song study and mind it was comfortable and the feeling did and comes to be good result the low it appeared. This result is because the song activity is advanced in format in the group center. Second, about a textbook song the recognition of the children answer, that It is easy to learn but is not a fun. Third, textbook song participation appeared 33.6% lowly from the school and the family. This result preference sensational songs leads a mass media and the song against a select pop music is high. And the household duties of textbook song with life of the child is not relation and it is because the rhythm is simple. Fourth, who is the experience which have been seen sing room from 1th grade to 6th grade elementary student time appeared with 95.4%. Among them 64.1% child at 1 years in sing room appeared above 1. Next rate 37.2% child went to music meeting in opposition. And 62.8% child did not see entirely in music meeting. This result the circumstance of this region chance of musical meeting viewing is not thought with the thing. Fifth, 22.7% child tried to go to a musical conference. And 77.3% child did not go to music event entirely. The event is a lot of other subjects in school. However, a lot of activity singing not be done. Sixth, awareness of man and women analyze the child's activities singing. Comfort of mind, participation, utilization was lower in the male children. The seventh, with a singing teacher's training, computer classes and was the result of the lack of experience. Finally, the research of singing activities on recognition of the child to understand about the material to be important and I hope to help improve the singing activities.

      • 향토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양은석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세계시장의 글로벌화, FTA(Free Trade Agreement) 체결, UR(Uruguay Round)협상 타결에 따른 농산물 개방과 자치단체의 재정력 취약(임경수), 인프라 부족, 인구감소와 노령화 등 여건 하에서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걸맞은 향토부존자원의 발굴, 육성은 유의미하고 민선자치 30여년의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이다. 향토 지역사회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추진으로 산업화, 도시화됨에 따라 유능하고 교육받은 젊은 층과 출산 적령 여성의 도시 이주는 생산인력의 절대감소와 생산력 위축, 농가의 승계단절에 농촌의 노령화와 인구감소, 지역공동체의 쇠퇴와 붕괴를 초래했다.(정기환) 게다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재정능력과 인프라, R&D 등이 취약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발전과 지역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또한 묘연한 실정이다. 이에 오늘날 향토자원의 중요성과 가치가 대안으로 대두하고 있다. 프랑스 보로도 포도주, 금산추부깻잎, 경북 성주참외, 전북 순창 고추장, 전남 완도 전복, 사업시작 15여만에 전국 최대산지 문경 오미자, 밀양깻잎, 치즈 거부감 우유두부로 판매 반세기만에 국민먹거리화 임실치즈(서유진, 2019.4.20) 등 향토자원에 부(富)가 있고 농촌에 미래가 있으며 지방화시대 지역경제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사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여건과 인프라, 산업환경, R&D 등이 취약한 실정에서(임경수) 지역의 특성에 걸맞은 향토자원을 발굴, 육성하여 향토자원 성공사례화한 지역 즉 금산추부깻잎, 밀양깻잎, 문경 오미자, 완도 전복을 분석하고 성공요인을 도출, 국내 1,011점(2013년 농림축산식품부 향토자원 발굴)에 달하는 향토산업 육성에 방향제시와 직접적으로 지역의 주민, 자치단체와 농협, 지역 관련기업, 농업기술센터, 연구소, 기관들이 클리스터 구축, 6차 산업화를 통해 주민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 삶의 질 향상, 지역경쟁력을 강화, 지역경제활성화 방안을 모색 하는데 있고 이를 위해 향토산업의 지역성, 전통성, 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바탕으로 향토사례의 성공요인을 향토자원으로서 지속적인 생산가능성,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산업클러스터 형성 가능성. 향토자원과 2차, 3차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6차 산업화 가능성 측면으로 구분, 농, 수산물의 고품질 친환경 생산과 안정성 확보, 지식재산권 보호, 향토자원의 품질향상, 판매촉진, 소비자의 알권리와 이익보호 등을 위한 GAP.ASC 인증, 상표등록 브랜드화, 지리적표시 인증과 등록, 사업추진을 위한 클러스터화, 6차 산업화 등의 내용을 고찰 분석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사업의 성공적인 지속성, 사업의 구조적인 문제와 개선방안을 파악 바람직한 지역경제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recent globalization of the world market, FTA (Free Trade Agreement), and UR (Uruguay Round) negotiations, the o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local governments' financial weakness, infrastructure shortage,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etc. Discovering and nurturing endowed resources is meaningful and is a source of new competitiveness for 30 years of popularly elected self-government. As the local community is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migration of competent and educated young people and women of childbearing age to the city has resulted in an absolute decrease in productive manpower and atrophy in the productive capacity, and the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s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succession of farmhouses. , caused the decline and collapse of the local community. (Jeong Ki-hwan) In addition, the financial capacity, infrastructure, and R&D, etc. of the local government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re weak, so it is unclear how to create high added value, strengthen regional development,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ccordingly, the importance and value of local resource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day. There is wealth in local resources, such as French Borodo wine, Geumsan chubu sesame leaves, Gyeongbuk Seongju melon, Jeonbuk Sunchang gochujang, Jeollanam-do Wando abalone, Mungyeong omija, the largest producer in the country after 15 years of business, Miryang sesame leaves, and Imsil Cheese, sold as milk tofu for the first time in half a century with cheese rejection (Yujin Seo, 2019.4.20). This is a case that reminds us that there is a future in rural areas and the importance of the local economy in the era of loc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nurture local resour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financial conditions, infrastructure, industrial environment, and R&D of the local government are weak. Mungyeong Omija and Wando abalone were analyzed and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provid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industry reaching 1,011 points (excavation of local resource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 2013) and directly providing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 local related companies,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research institutes, and institutions are seeking ways to increase residents' income, create jobs, improve quality of life,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cluster construction and 6th industrialization. To this end, the success factors of local cases based on the locality, tradition, and added value creation potential of the local industry as a local resource are the continuous production potential, an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n industrial cluster through linkage with the local industry. Divided into the 6th industrialization potential aspect through the linkage between local resources and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nd high-quality eco-friendly production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stability of water,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quality improvement of local resources, sales promotion, protection of consumers' right to know and interest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d analyze the contents of clustering and the 6th industrialization,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successful continuity of the project, structural problems of the project and improvement plans, and to propose a desirable wa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 Correlation of ultrasonographic minor markers and maternal serum biochemical markers in the prediction of down syndrome according to fetal gender in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양은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임신 제 이삼분기의 성별에 따른 초음파 부수소견 및 모체혈청 생화학적 검사와의 상관관계목적:임신 제 이삼분기에 양수검사를 시행하여 확진된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성별에 따른 특징적인 초음파 부수소견을 임신중 모체혈청 생화학적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연구대상 및 방법:1994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제 이삼분기에 유전학적 초음파 및 모체혈청 생화학적 검사와 양수검사를 시행한 총 2570예 중 태아가 다운증후군으로 확진된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산모가 시행한 모체혈청 생화학적 검사결과를 성별에 따른 초음파 부수소견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결과: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남아 및 여아 태아 모두에서 목덜미 두께(nuchal fold thickeness)가 6mm 이상인 군이 아닌 군에 비하여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multiples of the Median (MoM)값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다른 부수소견과 alpha-fetoprotein(AFP),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hCG) and estriol(uE3)와는 남,여 태아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수소견들 중 연속변수들은 뇌실 확장증(ventriculomegaly), 신우확장증(pyelectasis), 대조 확장(mega cisterna magna), 짧은사지(short long bone), 목덜미 비후(thickened nuchal fold)으로 정하였다. 이중 목덜미 두께만이 hCG (MoM)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pearman ρ= 0.316, p <0.05),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도 모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아, Spearman ρ= 0.324, p <0.05 ; 여아, Spearman ρ= 0.307, p <0.05). 다른 연속변수들은 모체혈청 생화학적 검사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결론:본 연구는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태아에서 초음파 부수 소견 중 목덜미 두께와 모체 혈청 생화학적 검사 결과 중 hCG(MoM)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태아의 성별을 구분하여도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음은 임신 제 이삼분기에 유전학적 초음파와 모체 혈청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함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 품질속성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 - e-러닝을 중심으로 -

        양은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객만족 및 인지품질 측정도구인 Kano 모델은 신제품개발 프로세스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품질의 동태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e-러닝에 관한 사례를 활용하여 Kano가 리모컨의 사례를 통해 주장한 품질의 동태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2년에 진행한 Kano 설문과 동일한 구성으로 2015년에 다시 한 번 설문을 진행하여 e-러닝 품질속성에 대한 3년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품질의 동태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된 33개의 품질속성에 대해 Delone and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의 품질 기준을 적용하여 1단계 분류를 실시하고, 2차적으로 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의 서비스품질 5가지 차원을 기준으로 분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빈도에 따른 품질속성 분류를 통하여 품질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고객만족지수(SI)와 고객불만족지수(DI)를 산출하여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Kano가 TV 리모컨 사례를 통해 주장한 품질의 동태성이 일정부분 확인되었지만,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맨홀 뚜껑에 장착된 낮은 두께의 매립형 전방향성 안테나 설계

        양은석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low profile circular patch loaded monopole antennas suitable for embedded use in a manhole cover. The antennas consist of a center-fed circular patch and two identical shorting plates connected between the patch and the antenna’s ground plane. Also,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the impedance bandwidth of a parallel resonant antenna using series stubs and applied it to the design of an antenna. The antennas are installed into a circular groove formed on a manhole cover and covered by a plastic cap. The antennas are designed to operate at around 920 MHz. The overall antenna sizes are 68 φ × 13.4 mm3. The simulated and field test results show that the antennas have a good gain and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for embedded use in a manhole cover that is placed on the ground surface. The antennas can be used for a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pipes, sewer pipes, gas pip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