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유아양육태도와 조기교육 만족도와의 관계

        양수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 여건의 변화로 인해 부모가 자녀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나 의식이 부족한 상태인 유아양육태도 속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의 발달에 부적합한 조기교육의 원인과 실태를 알아보고, 어머니들이 조기교육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분석하여 조기교육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특별자치도내 제주시, 서귀포시 중심가에 위치한 8개 공․사립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5세 유아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전 만5세 자녀들이 과반수 이상이 조기교육을 받고 있었고,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조기교육의 부정적인 견해 보다는 현재 조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더 높이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의 연령이 30대이고 직업이 주부이며 학력이 대졸인 어머니들이 애정-자율적 양육태도를 많이 보였고, 사립유치원 어머니들이 국공립 유치원 어머니들이 더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애정-통제적 양육태도인 경우 연령이 40대이고, 학력이 초대졸이며 제주시 어머니들이 서귀포시 어머니들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거부-통제적 양육태도와 거부-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이는 어머니들은 비교적 아주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들의 연령층이 30대 이상, 직업별 사무직, 학력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해당지역으로는 자녀가 서귀포시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어머니들에 비해 자녀가 제주시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어머니들이 상대적으로 조기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형과 자율형인 경우 조기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조기교육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거부형인 경우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조기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제형도 조기교육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기교육은 현실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아들에게 있어서 꼭 필수적으로 할 수 밖에 없다는 어머니들의 유아양육태도 속에서 계속적으로 자리매김하며 진행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지역별 특성에 따라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유아양육태도가 조기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시대의 변화와 자녀의 수 감소, 교육비 투자로 인한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the causes and actual state of early education unfit to young child's development in the midst of their mot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being affected by social condition into the way of having the attitude without firm principle or consciousness of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analyzing if those mothers are different in satisfying with early education aiming to present a basic data for the extraction of the problems and solution of early education. To achieve this, 264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from 8 public.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enter of Jeju-si, and Seoguipo-si with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the subjects of a questionnaire. Below are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First, more than a majority of 5-year-old preschoolers were taking early education which was perceived as necessary thing to help with the children's current learning rather than being negatively perceived. Second, the large number of the mothers with affectionate, self-regulating rearing attitudes were in their 30s, housewives and college graduates, and they outnumbered other types of mothers in sending their children private kindergarten. The large number of mothers with affection-controlling rearing attitudes were in their 40s, 2-year college graduates and residing in Seoguipo-si. The number of mothers with rejection-controlling and rejection-self-regulating rearing attitudes was relatively small. Third,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with early education, the mothers in their 30s, office job in profession, the higher in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financial level, and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the kindergartens in Jeju-si area rather than Seoguipo area turned out higher. Fourth, mothers with affectionate and self-regulating rearing attitudes appeared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early education. While the mothers with rejection rearing attitudes appeared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early education. Mothers with controlling rearing attitudes also turned out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early educ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level. Accordingly, early education is in progress under the condition of its negative influence in nature, and mothers attitudes of accepting it as basics for young children. Together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aternal satisfaction with early education is increasing, and the trend of early education will expand affected by the change of time, decrease in number of children, investment in education expenses rather than affected by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

      • 기록-자원기반학습 모형의 적용 및 실험

        양수경 중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A Purposes and Hypotheses Nowadays Korean main archives and manuscript repositories are planning to develop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education and learning.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for archives with a focus on program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model. And the other purpose is to find out the in fluence of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The hypotheses were tested as follows: 1.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would be higher than the general learning in the history study instruction of the middle school. 2.The learning interest of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would be higher than the general learning in the history study instruction of the middle school. B. Methods The researcher and teachers designed two lessen plans for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and general learning. To compare with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and the general learning, the researcher divided into two comparison classes of the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Daejeon. Each class were thaught by two methods for two 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SPSSWIN 12.0. C. Result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y was the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t pre-tes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interest tests were administered to subjects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t post-test, academic achievement test could notverified effect of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but the improved average was higher than general learning. And learning interest was verified effect. A response of the teacher about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was satisfied. But the students shown that difficulty on searching for archives in the teacher's opinion. D. Suggestions 1. The archival learning service must be supported with the educational theory and related with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2.The archival learning service must be offered teachers and students each teaching and learning tools such as lesson plans, steps of inquiry and analysis questions for archival information. 3.The archival learning service must have more competition than other institutions

      • 직장인의 근로형태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이용 및 섭취실태 비교

        양수경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생산직과 사무직으로 구분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이용실태 및 섭취실태와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하여 국민의 건강관리에 보탬이 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남자가 47.1%, 여자는 52.9%로 여자의 비율이 다소 높았다. 최종학력은 대졸이 가장 많았으며 결혼여부는 50.6%가 기혼자였다. 월 평균수입은 100만원-2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이 두 번째로 많았으며 가족형태는 대부분 핵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57.4%가 현재 ‘질병이 없다’고 답하였으며 앓고 있는 질병은 ‘위장질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리는 ‘특별히 관리하지 않는다’가 37.8%로 가장 많았으며 행하고 있는 건강관리방법으로 운동 및 등산이 24.3%를 나타내었다. 둘째, 건강기능식품의 정보획득방법은 TV, 라디오를 이용한 매스컴과 가족 및 친지 등의 주위의 입소문을 통한 정보수집이 많았다. 구매 장소는 건강기능식품 전문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시 제품의 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평균 구매비용은 5만원-1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소득이 100만원-200만원 미만에서는 생산직보다 사무직에서 구매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섭취경험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서 인삼 및 홍삼제품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섭취 동기는 주로 건강유지(59.1%)에 있었다. 섭취빈도는 매일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많고 섭취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학력이 고졸 이하에서 생산직보다 사무직에서 섭취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섭취 후 효과는 정신적인 안정감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개발희망 건강기능식품은 피로회복 관련제품이 가장 많았다. 향후 섭취의향은 학력은 대졸 이상, 소득수준은 100만원-200만원 미만에서 사무직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건강기능식품의 인식 및 태도는 구입 시 ‘섭취방법의 확인’이 85.0%로 높은 편이었고 ‘문구나 로고 확인’도 58.5%가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태도점수를 보였다. 건강기능식품이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과 같은 치료제가 아니다’라고 답한 비율이 73.3%로 나타나 과반수 이상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직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건강기능식품의 관심도, 사전지식, 효과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학력이 대졸 이상과 소득수준이 100만원-200만원 미만에서 사무직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과 사전지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health ca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ial and official worker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especially, to improve the nation's health care by 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use and intake of functional food for health. Firstly, we searched most of people in their twenties. The rate of female was a little higher than male's. In related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university graduate is the highest in number. Most of respondents didn't have any diseases currently but among those who have one or more disease currently, the stomach disease showed the highest rate. About the health care, the most respondents didn't care about the health care, and followed by exercise and mountain climbing. Secondly, in related with the getting source of the information of functional food for health, it was useful to get through th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or the invitation by the family and relatives. At health food store, it was the most common to buy functional food for health. While buying, they considered the efficacy of product as one of the important things. Office workers spent more money for purchasing than producers. Thirdly, the kinds of functional food for health which had been already used to customers, ginseng and red ginseng are the most interested and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took these for caring their health. About the frequency of taking health food, the rate of taking everyday showed the highest. Office workers took longer than producer. The effect after taking health food, more than half of all people who took functional food for health satisfied with the sense of stability mentally. Many people expected new product which is good at health development. Fourthly, about the cognition and attitude of purchasing health food, more than half of customers checked the method of taking food and the logo or words on product. Most buyers had the right recognition that the health food was not the medicine you can heal some diseases. Fifthly, the concern of health food, background information, the satisfaction of effect were revealed with low rate. However office workers had more interest with health food and background information than producers.

      • 익산시 일부 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양수경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색인 : 정규직 근로자, 비정규직 근로자, 구강검진, 치과치료 ,구강건강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 중 그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구강보건의식 및 구강검진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구강검진 후 치과치료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고용형태나 경제 상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근로자구강검진을 실시하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소재하는 6개 사업장의 근로자들을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정규직이 110명, 비정규직이 111명이었다. 조사 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법이었다. 연구성적: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자의 특성은, 비정규직근로자의 경우 여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그들 대부분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300인 미만의 사업장에 많았으며 월평균 소득과 근무기간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특성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근로자가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도도 상당히 높았으나 반면에 자신의 구강보건지식수준은 낮다고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92.0%가 근로자구강검진을 받았고 기혼자, 3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 정규직 근로자, 가계 내 소득이 높고 근무기간이 긴 근로자의 수검율이 높았다. 구강 검진 후 치료가 필요한 근로자의 80.6%가 후속 치료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후속 치료에 대해 부정적인 이유로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치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데에 있어서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전체 근로자의 75.4%가 동의하였고 남자보다 여자가, 미혼자보다 기혼자, 고졸 학력 근로자가 높은 비율로 동의하였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에는 응답자의 75.9%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남자보다 여자가,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높은 비율로 동의하였다. 결론 : 구강병의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통하여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데에 구강검진이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검진 후 치과치료에 있어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근로자가 경제적 문제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고용형태를 불문하고 그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사회적 환경에 의해 불가피하게 늘어가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건강권과 또한 구강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산업구강 보건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Keywords : regular workers, irregular workers, oral health examination, dental treatment, oral health.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orm of employment of workers to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perception of oral health examination,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se of dental treatment after getting a oral health examination, and ultimately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form of employment and living standard on oral health.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work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six companies in the city of Iksan, North Jeolla Province, which had their employees get a oral health examination. Out of the selected workers, the regular workers numbered 110, and the irregular workers numbered 111.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 Work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had higher female ratio for non-regular employees, and most of them worked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many worked for companies that employed less than 300 workers , and it showed that monthly income and duration for employment are low.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of workers, most of workers considered oral health important and had fairly high level of concern on oral health, but admitted that they had low knowledge on oral health. 92.0% of research targets have received oral health examination for workers, and they were married people, workers for companies that employed more than 300 office workers, regular workers, workers in stores with high income and who worked for long time showed higher rate of examination. 80.6% of workers, who needed post treatment after the oral health examination, were positive about the dental treatments, but most of them answered ‘not able to afford financially’ as a negative reason for the dental treatments. On a question about whether not receiving the maintenance treatments being financial difficulties, 75.4% of entire workers said yes, and more females than males, more married people than singles, and high ratio of high school graduates agreed to this question. On a question if you think non-regular workers have worse oral condition than the regular workers, 75.9% of people answered yes, and more females than males and more married people than the singles agreed to this question. Conclusions : It showed that oral health examination improves oral health of the workers through early detection on oral disease and early treatment, but regardless of employment type, it showed that many people agreed that more non-regular workers could not receive the dental treatments because of financial reasons than the regular workers. For this reason, oral health of inevitably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due to social environment, and reformation on industrial dental health program, which can ensure their rights on oral health, are in immediate need.

      • 새우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속성 멸치액젓의 제조 및 품질특성

        양수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a shrimp processing byproducts(head, shell and tail) as a fermenting accelerator, and to investigate its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Four types of sauces were prepared with 0, 10, 20, and 30%(w/w) addition of shrimp byproduct and fermented at 24±2℃ for 360 days. During fermentation, all four type sauces decreased moisture content(67.5~68.0% to 64.0~64.8%) and pH(5.52~7.10 to 5.03~6.58), but showed increase in their crude protein(7.0~8.2 to 10.8%)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40~75 to 180~200 mg/100 g of sauce). The ratio of amino nitrogen to total nitrogen contents of control(0%) and sauce with 10% shrimp byproducts(10% sauce) were maximized at 270 days, whereas 20% and 30% added sauces were at 180 days. Endoprotease and exoprotease activities of anchovy sauces added with 20% and 30% of shrimp byproducts tend to higher than those of control(0%) and 10% addition. Proteolytic activities of sauces at pH 9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at pH 6. Amidolytic activities for LeuPNA decreased remarkably during fermentation, and control(0%) was almost lost their activity at 180 days, while additional sauces were relatively stable. These suggest that alkaline protease of anchovy and shrimp byproducts as a endoprotease was more contributed on the fermentation of salt-fermented sauces. The prote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sauces indicated 2 groups of peaks(peak 1, >70,000 da and peak 2, 3,000~29,000 da).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peak 1 tended to decrease all of sauces, but peak 2 increased rapidly from 30 to 270 days. Optimum fermentation periods of control and 10% sauces were 270 days and those of 20% and 30% sauce were 180 days. The results suggests that shrimp byproduct can be used accelerator of salt-fermented sauce. Nutritional quality of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shrimp processing byproduct as fermenting aids was characterize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anchovy sauce. Four types of sauces were fermented with 0 and 10% addition of shrimp byproducts (24±2℃, for 270 days), and 20 and 30% addition of those (24±2℃, for 180 days), respectively. Extractive nitrogen content (1,431 to 1,569 mg/100g) of anchovy sauces increased as additional ratios of shrimp byproduct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mmission test, the taste of all anchovy sauces was influenced by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such as mainly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Regardless of additional ratios of shrimp byproducts, all sauces were similar in total amino acid content (9,848~10,324 mg/100 g), which were 2 times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commercial sauce. Proline, val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sauces tend to decrease as the additional ratios of shrimp byproducts increased, whereas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lysine contents increased. Increase of some amino acids and mineral content of sauces by increasing of additional ratios was due to release from shrimp byproduct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cores of color, flavor and taste of the sauce added with 20% shrimp byprodu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uces(p<0.05). In the useful utilization aspects of seafood processing byproducts, shrimp byproducts were good resource for accelerated fermentation and nutritional improvement in preparation of fish sauce. 멸치 (Engraulis japonica)는 밴댕이와 함께 청어목 (Clupeiforms), 멸치과 (Engraulidae)에 속하면서, 남해안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일시에 대량으로 어획되고 있는 대표적인 회유성 어류 중의 하나이다 (1). 이와 같은 생태학적 특성을 가진 멸치는 다량의 단백질, lysine 및 taurine과 같은 양질의 아미노산, 칼슘 및 인과 같은 유용 무기질, 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및 docosapentaenoic acid (DHA, 22:6n-3) 등과 같은 n-3 계열의 고도 불포화지방산, 비타민 E 등과 같은 영양 및 건강 기능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2). 뿐만이 아니라, 멸치는 유리아미노산, ATP 관련물질, trimethylamine oxide (TMAO) 등과 같은 맛성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3,4), 영양, 건강 기능성 및 기호성을 특성으로 하는 수산가공품의 원료로서 잠재적 이용가치가 매우 우수한 수산가공자원이다. 그러나, 멸치는 육질이 연약하고, 내장 부위에 활성이 강한 단백분해 효소의 존재 등으로 인하여 (5,6), 타어종과 달리 다양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거의 전량이 미생물과 효소활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자숙공정을 채택하고 있거나 아주 신선한 상태에서 솔비톨 등의 첨가에 의해 수분활성을 낮추어 소건품의 형태로 제조하고 있는 마른멸치와 이들 미생물과 효소 활성을 이용하는 젓갈, 액젓 등과 같은 수산발효식품의 소재와 같이 아주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7). 멸치의 주요 가공품인 멸치액젓은 멸치에 다량의 식염을 가하여 부패를 억제시키면서 효소의 자가소화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료를 분해, 숙성시켜 여과한 액상의 전통 수산발효식품이다 (8). 이와 같은 멸치 액젓은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조리하여 자급자족하여 왔으나, 근년에는 맞벌이 부부의 대거 등장, 생활수준의 향상, 주거환경의 변화, 경제적인 여유, 편의성 추구, 김치산업의 신장 추세 및 천연식품이라는 측면에 의해 가정에서 조리되기 보다는 대부분이 시판제품을 구입하여 소비하는 패턴으로 변화하였고, 이로 인해 멸치액젓은 주요 수산가공품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한편, 멸치의 생산량은 2000년을 제외한다면,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년간23만-27만톤의 범위로 다량 생산되어 마른멸치와 같은 자건품과 젓갈 및 액젓과 같은 수산발효식품의 원료 수급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2003년 이후 유가상승, 인건비 증가 등과 같은 고정성 경비의 증가, 인공 어초사업, 양식어업의 증대 및 연안지역의 개발 사업에 따른 해수의 유동과 해저지형의 변화 등으로 인한 멸치의 산란, 서식장 등과 같은 생태계 변화로 어획량이 감소하는 등으로 인해 2004년에는 19만여톤을 생산하는 정도에 그쳤고, 2005년 또한 멸치 어획 작업이 부진하여 2004년보다 낮을 전망이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계속되리라 예측된다 (9) (Fig. 1). 따라서, 멸치액젓 시장은 원료의 단가 상승으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도 동반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연히 국내산 멸치액젓의 가격에 비하여 저렴한 중국산 및 태국산 멸치액젓 등과 같은 수입산 멸치액젓이 다량 수입되어 시장을 혼란하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의 대책이 절실하다. 또한, 멸치액젓과 같은 어류액젓은 다른 수산가공품의 생산에 비하여 숙성기간이 수개월간 또는 수년 소요되어 상품으로서 경제성 추구가 용이하지 않다 (10). 따라서, 멸치액젓의 수입 억제 및 숙성 기간 단축을 위하여는 멸치 대신에 일부의 저렴한 원료를 대체하거나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이용하여 단가를 저하시키고 숙성기간을 단축하면서 품질이 우수한 멸치액젓의 제조방법 및 특성이 구명되어야 한다. 한편, 새우는 단백질과 칼슘,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 엑스분 함량도 많아 예로부터 여러 가지 요리 재료로 사용하거나 젓갈의 원료로 널리 이용되어 온 고급 수산자원이다 (11). 우리나라 새우의 생산량은 1998년에 42,000여톤이었고, 이후 감소하여 27,000-38,000여톤의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2003년과 2004년에는 증가하여 46,000여톤과 43,000여톤을 유지하고 있다 (12).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새우의 소비량 역시 식생활의 서구화, 다양화 및 고급화되어 가는 추세에 발맞추어 생것, 젓갈, 건제품 및 냉동품의 형태로 다량 유통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추세이어서 현재 우리나라 생산량으로는 부족하여 다량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새우 수입량은 1998년에 15,000여톤으로 우리나라 생산량의 약 36%에 해당하였으나, 년도가 경과함과 더불어 점차 증가하여 2003년과 2004년에는 각각 51,000여톤 및 58,000여톤을 수입하여 우리나라 생산량의 각각 111% 및 134%에 해당할 정도로 급격히 증가 추세에 있다 (Fig. 2). 하지만, 이와 같이 현대인이 즐겨 식용하고 있는 새우의 경우 저장 및 유통 중 세균의 육단백질 분해생성물인 수용성 물질 (tyrosine, tyrosine 유사물질인 dihydroxy phenylalnine)이 산소와 자외선의 존재 하에서 산화효소인 tyrosinase에 의해 산화 생성하는 melanine으로 인해 흑변 현상이 두흉부, 꼬리 및 관절 등에서 자주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한다 (13). 이로 인해, 새우는 어체 그대로 이용되는 젓갈을 제외하고는 품질저하 억제를 위하여 생것, 건제품 및 냉동품 등과 같은 가공품의 제조시 대부분이 두부와 껍질을 제거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새우가공 중 다량 발생하는 부산물 중 두부에는 다량의 엑스분 (14,15) 및 발효 속도가 빠른 endo type의 효소와 맛성분 강화에 기여하는 exo type의 효소가 적절히 구성되어 있어 여러 가지 엑스분 추출 소재 및 액젓의 발효조제 등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6-18). 하지만, 현재 새우 가공부산물은 단지 일부 만이 사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폐기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멸치액젓에 관한 연구로는 숙성 및 가공조건의 구명을 위한 시도 (19-21), 어획시기가 다른 원료로부터 제조한 액젓의 품질특성 비교 (22,23), 영양성분, 맛성분 및 향미성분 구명을 위한 시도 (24-28), 품질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 (29-31),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32-34),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35-37), 저염화 기술 개발에 관한 시도 (38-41), 효율적 이용에 관한 시도 (42-46), 기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47-51) 및 어취 개선을 위한 연구 (52) 등이 수행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숙성 기간 단축에 의한 액젓의 경제성 추구를 위하여 상업적 단백질 분해효소, 코지 (koji), 단백질 분해 효소 함유 소재의 첨가 등에 의한 속성 멸치액젓의 제조를 시도 (52-57)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이 시도한 속성 발효 기술의 경우, 발효 속도에만 기준을 두어 대부분이 endo type의 효소로 이루어져 있는 소재를 적용함으로 인해 다량의 소수성 아미노산의 노출로 쓴맛이 증가하는 것, 지속적인 효소반응을 억제시키기 위한 열처리 공정이 필요한 것, 그리고 관능적으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데는 부족함이 있어 아직 산업화된 경우는 없다. 따라서, 발효 속도가 빠른 endo type의 효소와 맛성분 강화에 기여하는 exo type의 효소가 적절히 구성되어 있으면서, 영양성분과 기호성이 우수한 새우가공 부산물 (58)을 이용한 멸치 액젓의 발효기간 단축, 영양 및 기호성 증진을 시도하는 경우 그 의미는 상당히 크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우가공 부산물의 단백분해효소, 영양 및 기호 특성을 이용하여 기호성 및 영양성이 우수한 속성 멸치액젓을 제조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1)멸치 액젓의 속성 발효제로서 새우 가공부산물의 특성 검토, 2)새우 가공부산물 첨가 멸치액젓의 제조 및 3)제조한 속성 멸치액젓의 생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4) 아울러 이들 속성 멸치액젓의 생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대하여 시판 멸치액젓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품질우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양수경 제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hild play for the elderly to prevent dementi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to construct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children based on child play?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Hypothesis 2-1.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2. The ment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3. The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learner questionnaire, expert Delphi survey, and FGI demand analysi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In the analysis phase, the goal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was set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find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riving implications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the design phase, the targets were established for each session of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by reflecting the extracted elements of the analysis phase, and sub-components for the goals were set for each session. In the development stage, teaching material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ogram, and the suitability was verified for the detailed a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target statement for each activit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and is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as a step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ogram. The final dementia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pre- and post-test results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and covariat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intained or improved by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mental health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were also improved. Eve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xperience report, testimony, and satisfaction survey for the entire contents of each session or program,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ctivate cognitive function through movement, create vital energy of mental health, and perform daily life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the analysis of meanings such as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dementia was changed and the results were positive for healthy aging and quality of life.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verifi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it was proved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that it is a program that helps elderly aged 65 and older to prevent dementia. Therefore, the elderly will participate in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ementia by positively utilizing leisure time such as maintaining mental health, providing continuous services, and interests with families.

      • 피부미용샵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감정반응,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수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뷰티서비스의 고급화와 다양화로 인해 업체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뷰티서비스의 자체기술만으로는 차별화를 달성하기 어려워지면서 뷰티서비스의 환경적 요소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스케이프의 구성요인으로 공조환경, 청결성, 매력성, 심미성, 편의성을 도출하여 피부미용샵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감정반응과 고객만족이 재방문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규명하여 피부미용샵의 경쟁력 제고와 서비스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여 매출증대와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성인남녀 20-50대 4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5일 ~ 10월 20일 까지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과 구성개념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에 대한 고객감정반응,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𝑡-test(검증)과 χ²(Chi-square) 검증, One-way ANOVA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간의 관계분석을 위해 Regression(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첫째,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긍정적인 감정에서 심미성, 공조환경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물의 실내·실외 인테리어나 주변 요소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부정적인 감정에서 공조환경과 심미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쾌적함, 배경음악과 소음 관리의 필요성과 실내장식의 어울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만족에서 심미성과 공조환경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장식에 어울림을 줄 수 있는 것과 건물의 실내·실외 인테리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재방문 의도에 편의성, 심미성, 공조환경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부미용샵 이용 고객들은 피부미용샵의 편의성과 심미성, 그리고 공조환경이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고객감정반응은 고객만족에 부정적 부(-)의, 긍정적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피부미용샵의 서비스 스케이프 구성 요인들의 꾸준한 관리와 노력으로 고객의 감정경험을 잘 이끌어냄으로써 항상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지속적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고객감정반응 (긍정적/부정적)은 재방문에 긍정적인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심리와 감정을 즐거움으로 유도함으로써 피부미용샵을 방문하는 고객으로 하여금 지속적인 만족감과 감정경험을 관리하여 고객이 다시 찾을 수 있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일곱째,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고객 특성을 반영한 맞춤화된 인테리어와 다양한 뷰티서비스 관리를 통한 고객만족과 고객의 홍보가 재방문으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s the competition among beauty service providers becomes keener due to the sophisti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beauty services, it is more difficult to actualize differentiation by beauty service itself,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beauty service is of growing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responses and satisfaction of skincare shop customers as major influential factors for revisit in an effort to devise how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kincare shops and their differentiated services to ensure sales increase and competitive edge. Attractiveness, cleanness, convenience,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environment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 factors of servicescapes. A quantitative study was implement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survey on 400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through 50s across the nation from October 15 to 20,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0 for Windows. To verify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s, a factor analysis was made, and x2(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motional responses of the customers toward the servicescapes of the skincare shops visited by them,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scapes of the skincare shops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environment among positive emotions. It implies that the sustained maintenance of the building's internal design, external decoration and surrounding environ- ments is necessary. Second, the servicescapes of the skincare shops exercise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among negative emotions. It implies that well-matched interior decoration, pleasantness and the management of background music and noises are all necessary. Third, the servicescapes of the skincare shops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environment among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It implies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decoration of the building should be maintained on a continual basis to make them well matched. Fourth, the servicescapes of the skincare shops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ce,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environment among revisit intention factors. It shows that customers who use skincare shops have a stronger revisit intention when the convenience, aesthetics and air-conditioning environment of the shops are better. Fifth, customer emotional responses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the sustained mainten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scapes of skincare shops is necessary to manag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customers successfully to give satisfaction to them all the time. Sixth, customer emotional responses(positive/negative)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Customers who visit skincare shops should be helped to feel good and pleasant to keep themselves satisfied,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s should be managed well on a continual basis to ensure their revisit. Seventh, customer satisfaction exercis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Customized interior design and various beau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to induce them to publicize of their own accord, to be satisfied and thereby to revisit. Thus, sustained management is required.

      • 청소년지도사의 개인성격유형-조직성격유형의 일치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양수경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시설의 생산성 및 성장 그리고 각 개인의 정신 및 신체건강과 관련된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청소년지도사의 정의적 자질 중 하나에 속하는 성격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분포를 알아보며 그에 따라 직무만족을 측정하여 직무만족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성격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고, 조직성격유형과 개인성격유형의 일치도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개인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업무부서별 개인성격유형과 조직성격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개인성격유형과 조직성격유형의 일치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시와 경기도 내의 9개 청소년수련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사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개인성격유형-조직성격유형을 파악하였으며 결자료분석은 t-test. ANOVA(F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신뢰도 검사(Cronbach`s Coeffcient Alpha)를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