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진예술에 나타나는 선사상(禪思想)의 미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

        야오슈쥐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중국에서 불교의 유입과 선(禪)의 전파에 따라 선(禪)사상은 이미 종교, 문학, 예술, 사학 등 모든 정신적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술 분야인 사진도 선의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선사상과 융합하며 선사상을 표현하는 선(禪)사진도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 중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의 사진가들이 이미 선사상을 활용하여 사진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우수한 선사진은 사람들에게 시사점을 전달하고 도리를 가르칠 수 있다. 그러나 동양의 아름다움을 갖춘 선사진은 중국 사진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선사진 관련 이론적 연구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사진 예술을 보다 깊이 있게 인식하고 사진 예술의 본질과 발전 규칙을 파악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선시(禪詩), 선화(禪畫), 선(禪) 서예를 참고하여 본 연구는 선사상과 사진 예술을 유기적으로 융합함으로써, 선사상이 사진 예술 제작과 발전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사상은 예술 제작의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의 사고방식은 예술 제작 방식과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제2장은 먼저 선사상과 예술성의 연관성부터 시작하고 탐색연구법을 사용하며 선사상의 예술성을 설명하는 동시에 선사상이 사진 예술에서의 유래와 발전을 분석했다. 이론적으로 선사진의 개념과 미학적 특징, 마음으로 사물을 느끼는 사상을 분석하였고 선사진의 핵심은 사진 촬영의 전 과정에서 선사상을 참고하고 활용해야 한다고는 결론을 도출했다. 제2장의 연구 내용은 본 논문에 필요한 객관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다음 장의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를 제시했다. 제3장은 비교연구법,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사진예술가 작품을 대상으로 선사상이 사진 예술 창작에서의 표현방식과 역할을 분석했다. 히로시 스기모토, 브레송, 양정산, 김 아타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선사상의 의미를 설명하고 사진 예술과의 연관성과 구체적인 표현을 분석했다. 제4장은 응용 측면에서 선사진의 제작 과정에서 주제, 구도, 명암, 색조, 시간에 따른 표현 등 촬영 기술을 정리하였다. 제4장의 내용은 사진 창작 과정에서 실제 응용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5장 선사상과 현대 사진예술 환경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진 예술은 뉴미디어 기술을 활용하고 선사상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진예술에서 나타난 민족 기호 남용 등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해결 전략을 제시했다. 선사진은 선사상과 사진을 융합하는 새로운 사진 유형이다. 선사진은 사진 예술의 미학적 특징 뿐만 아니라 선사상의 독특한 선의(禪意) 미학 특징도 갖고 있다. 선사진 작품은 제작자가 주변 만물에 대한 통찰과 생 각, 그리고 생명에 대한 느낌과 깨달음을 반영하고 감상자의 정서적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the spread of Zen in China, zen thought has penetrated into almost all spiritual fields such as religion, literature, art and history. As an art category, photography has also been influenced, penetrated and fused by Zen, making Zen photography also appear in response to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At present, many photography artists at home and abroad have presented the expression of Zen thought as the creation feature. Excellent Zen photography works can enlighten people, but also can educate people with its truth. However, the Zen photography with Oriental characteristics has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the domestic photography circle, and the theory of Zen photography is almost in a blank state. This not only affects the depth and breadth of photographic art understanding, but also affects our grasp of the essence of photographic art and its development law. Inspired by zen poetry, zen painting and zen calligraphy, this paper tries to integrate Zen thought and photography art organically and give play to the inspiration value of Zen thought i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photography art. Zen though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artistic creation, and zen thinking mode and artistic creation mode have common characteristics.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start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thought and art, and uses the method of exploration and research to explain the art of Zen thought, at the same time, leads 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Zen thought in photography art. Theoretically, the concep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Zen photography, the key lies in the heart feeling and shooting, its core is the reference and use of Zen thought throughout the shooting conclusion; The research content of this chapter provides the necessary objectiv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paper and foreshadows the following research work. The third chapter lists the representative works of photography artists through comparative study and case study, and analyzes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Zen thought in the creation of photography a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Hiroshi Sugimoto, Bresson, Lang Jingshan and Kinyata, this chapter further explains the connotation of Zen though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otation and photography art and concrete embodiment.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e special skills of Zen photography in the process of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including the photography skills of Zen photography in the theme, composition, light and shadow, tone and timing. The content of this chapter plays a practical guiding value in the process of photography creation, and lay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research on sustainability. Chapter five puts forward personal opinions on the problems and strategies of Zen thought in the contemporary photographic art environment. The concrete method of using digital new media to interpret Zen thought in postmodern photography art is put forward. This paper sums up a series of problems of zen thought such as the abuse of national symbols in postmodernism photography and puts forward corresponding solutions. Photography of zen is the zen thought and the fusion of a kind of brand-new mode of photography, photography of zen not only h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t itself, but also has unique zen aesthetics characteristics brought by the zen thought, work can reveal the photographer's insight and in all things around you and feel about life and connect, arouse the viewer's emotional reso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