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f lithium-ion battery anode properties of one-dimensional van der saals material Nb₂Se₉

        안정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meet the increasing industrial demands for stable and higher energy in energy storage technologies, exploitation of active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with high and stable capacity is essential. However, conversionor alloying-reaction based anode active materials considered as post anode active material suffer from severe volume expansion which causes electrode pulverization, capacity fading and safety issues. In this study, Nb2Se9, onedimensional van der Waals (1D vdWs)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is adopted as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Nb2Se9 is synthesized by solid-state reaction method and synthesis conditions are optimized for anode active material adoption. The obtained Nb2Se9 have morphology of a tens of micro size length and a diameter distribution of 100 ~ 500 nm with high crystallinity and purity. Carbon nanotube is used as conductive agent to compensate the poor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material. Nb2Se9 feature 542.2 mAh g-1 at a current density of 0.1 A g-1 and sustain capacity of 272.0 mAh g-1 even at high current density of 3.2 A g-1. Further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s revealed the lithium storage mechanism of Nb2Se9 is based on conversion reaction after Li+ ion intercalation process. Insitu X-ray diffraction (XRD) and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 did not identify any signal indicating Nb metal phase. Also, the one-dimensional structure of Nb2Se9 is maintained after first and second cycles. Inhibition of Nb coalescence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due to the surface-exposed Se surrounding the Nb-Nb backbone chain. The outer-exposed Se surface reacts with Li+ ions, protecting the one-dimensional structure and preventing Li+ ions permeation. This study not only provide superior performance of Nb2Se9 as anode active material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Nb2Se9, but also present development possibility of 1D vdWs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with Se-rich surfaces as anode active materials for future energy storage technologies.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반데르발스 물질 Nb2Se9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Nb2Se9은 1차원 반데르발스 전이금속 칼코제나이드 물질로, 1차원 형상의 단위 사슬 분자간 약한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된 구조를 가지는 물질이다. 고상 합성법을 통해 Nb2Se9을 합성하였으며 합성 과정에서 주요 변수인 반응물 비율과 합성 온도를 조절하여 길이 수 십 μm, 직경 100-500 nm의 나노로드 형상을 가진 단일상 Nb2Se9을 얻을 수 있었다. Nb2Se9을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 탄소나노튜브를 도전재로 활용하여 전극 전체의 전기전도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전극 제작 과정에서 낮은 분산성을 가진 탄소나노튜브를 도전재로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전극 슬러리 제조법을 정립하여 전극 슬러리의 균질성과 전극의 균일도를 향상시켰다. 해당 제조법을 바탕으로 제작한 전극을 정전류 시험법, CV, EIS, in-situ XRD, ex-situ XAS 분석 등을 활용하여 Nb2Se9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Nb2Se9 전극은 0.1 A g-1의 전류 밀도 조건에서 100 사이클 후 544.2 mAh g-1의 안정적이고 우수한 가역용량을 보였으며 높은 전류밀도인 3.2 A g-1 조건에서 272.0 mAh g-1의 가역용량을 유지하는 우수한 율특성을 보였다. Nb2Se9이 Li+ 이온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Li+ 이온의 삽입 후 전환 반응을 통해 용량을 구현함을 CV와 방전 과정에서 Li2Se상이 생성되는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Nb의 산화수가 평균 약 +0.2로 환원되나 in-situ XRD와 EXAFS 분석에서 Nb 금속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통해 표면에 노출된 Se-Se 완충층이 Li+이온과 반응하는 동시에 Li2Se상을 생성하며 안쪽의 Nb-Nb 구조를 보호하여 Nb 금속의 성장 또는 응집을 방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해 Se-Se 완충층으로 인해 충방전 과정에서 기존의 1차원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로 Se이 표면에 노출된 1차원 구조의 반데르발스 전이금속 칼코제나이드인 Nb2Se9이 안정적인 고용량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Nb2Se9의 용량 구현 원리를 밝히고 사이클 중에 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이 표면에 노출된 Se-Se 완충층으로 인해 유지됨을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Se이 표면에 노출된 1차원 반데르발스 전이금속 칼코제나이드 물질이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연구에서 학문적 관심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한다.

      • 19세기 西海岸지역의 鰕해[새우젓] 生産이 食生活에 미친 영향

        안정윤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examines how much Sae-u-jut(salted shrimps) production did affect on dietary life in the coast of the Yellow Sea in 19th century. In those times Hae-sun-mang-fishing(shrimps-fishing industry with nets) was developed, Sae-u-jut production increased, thus those became the everyday food of popular. There were two requisites for development of Hae-sun-mang-fishing. One was the progress of productive capacity of fishery and the other expand of demand for Sae-u-jut. The former dued to aquatic products as items on sale according to monetary economy, the progress of the skill of fishing and charging, and development of circulation. The latter owed to rice the chief food in the latter terms of Chosun Dynasty. Sae-u-jut became important subsidiary food because those supply protein, mineral and salt, gave flavor and tastes, and quickening the digest. Moreover Kimchi's development increased demand for Sae-u-jut yeast for Kimchi in the central reign in the late 18th century. 젓새우 as ingredient of Sae-u-jut reach in the coast of the Yellow Sea early in March, swim to coastal and off-schore areas in the latter part of July, and swarming around the coast late in August. Because of this biological character major fishing grounds are distributed in the bays of the Yellow Sea and the southern sea in Pyungando, Hwanghaedo, Kyungkido, Chungchuengdo, Chullado. Especially good regions are narrow watercourses which have narrow width, quite depth, and swifty current. There were most fishing grounds in the around salt fields. The crew fished Acetes japonicus;Acetes Chinesis with fishing net of Hae-sun(shrimps-fishing boat) in conformity with ebb and flow. They held two bag-shapes nets at long bars and spread in the sea before tide is swiftly. After Growing Acetes japonicus;Acetes Chinesis floating in accordance with ebb and flow they pull the nets and gain those. Salt and large pots are ready to pickled Acetes japonicus;Acetes Chinesis quickly in the beginning. The captured removed rubbishes go to those pots with salt and ripe it and become Sae-u-jut. Acetes japonicus;Acetes Chinesis's production follows the herring, pollack, anchovies, croaker and Acetes japonicus;Acetes Chinesis‥s price was cheap as pollack and anchovies's were same. Therefore cheap Sae-u-jut mass producted spread to inland provinces through a land route keeping good condition and a sea route. Merchants in ports were the major subjects of Sae-u-jut made on board. Sae-u-jut gathered by Ship to sell went to market places or were brought by consumer through peddlers. Due to peddler's sales it ate residents in remote and secluded place in the mountains. Increased production and progress of Sae-u-jut made Sae-u-jut popular's daily foo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Sae-u-jut were presents to king or paid tribute to the Ming dynasty but became everyday food of yangban in the food culture of western area in the middle of this dynasty. From late 18th century to early 19th century Sae-u-jut had not only been various recipe of yangban family and also became everyday food of ordinary people. Peasants ate Sae-u-jut frequently as they ate egg-Sae-u-jut soup durebob(eating between meals during corporative labor) Sae-u-jut helped to digest the food containing protein mainly as bean surd, fish and egg. The most of food tasted by salted shrimp belonged to the food culture of western area as Seoul and Middle area. In 19th century contribution to Kimchi's development was the very greatest among the Sae-u-jut's effect on dietary life. In middle region including Seoul Kimchi had better tastes and nutritions and extended the shelf life of according to uses of Sae-u-jut and powdered red pepper. Therefore demand for Sae-u-jut was increased during making kimchi for winter. After that Kimchi was established as major dietary food of ordinary with Sae-u-jut as yeast and powdered red pepper and making kimchi for winter has been a custom of Korea. 본고는 19세기 西海岸 지역의 鰕醢[새우젓] 생산이 당시 식생활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19세기는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醢船網漁業이 발달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우젓 생산이 증가하여 새우젓이 서민의 日常食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해선망어업이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은 첫째로 해양어업의 어업생산력 발달이며 둘째로 새우젓 수요의 증가이다. 해양어업의 어업생산력 발달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어물의 상품화, 어로기술의 발달, 어물보관방법의 발달, 유통의 발달을 통해 가능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우젓의 상품화, 해선망어업의 전문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편 조선후기에 쌀이 주식화 되면서 새우젓은 단백질·무기질·염분의 공급원으로서 감칠맛으로 食氣를 돋고 소화를 도왔다. 따라서 부식으로서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더욱이 김치의 발달로 인해 18세기 말부터 새우젓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김치의 발효원으로 쓰이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새우젓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당시 문헌에 의하면 새우젓의 재료인 젓새우는 음력 3월 초순에서 서해의 연안에 이르고 7월 하순에 앞바다의 깊은 곳으로 갔다가 8월 하순에 다시 연안의 內灣에 군집한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에 의해 당시 젓새우의 주요어장은 평안도·황해도·경기도·충청도·전라도의 서남해안의 灣에 분포한다. 특히 水道의 폭이 좁고 수심이 깊어 물살이 급한 狹水路에 젓새우의 생산이 많다. 또한 대부분 젓새우 어장은 鹽藏을 위한 소금의 공급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 젓새우는 주로 潮汐을 이용한 해선망으로 어획하였다. 자루 모양의 그물 2개를 어선의 兩舷側 장목에 매달고 潮差가 急激하게 되기 전에 漁網을 친다. 조석이 바뀔 때마다 조류를 타고 부유하는 젓새우가 어망에 쌓이면 인양하여 어획하는 것이 당시 젓새우를 어획하는 어로기술이었다. 젓새우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미리 소금과 항아리를 배에 싣고 어획 즉시 젓으로 담근다. 어획물 중 잡어를 제거하여 소금과 젓새우를 섞어 배 안에 준비해 둔 항아리에 담아 숙성시켜서 새우젓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새우젓의 19세기 말의 어획고는 주요어물인 청어·명태·멸치·조기 다음으로 많았으며 당시 주요어물이었던 명태․멸치와 가격이 비슷했을 정도로 저렴하였다. 이처럼 대량생산되어 저렴한 새우젓은 정비된 육로와 해로의 유통망을 타고 내륙으로 보급되었다. 선상에서 제조된 새우젓은 주로 浦口主人에 의해 유통이 주도되었다. 出買船에 의해 포구로 집산된 새우젓은 장시로 유통되었는데 負商에 의해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기도 하였다. 부상의 새우젓 판매로 인해 내륙 산간의 서민들도 새우젓 소비자가 될 수 있었다. 새우젓의 생산 증대와 유통의 발달로 인해 새우젓은 서민의 일상식이 되어가고 있었다. 조선 초에 貢物과 進上으로서 宮家의 珍味음식으로 明에 進獻되는 朝鮮의 特産品 중의 하나였던 새우젓은 조선 중기에는 ‘서해안 음식문화권’에 속하는 兩班家의 贈物로서 일상식으로 식용되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양반가의 새우젓 조리법은 다양화되었으며 民家에서 새우젓은 서민의 일상식으로 식용되고 있었다. 농민의 두레밥에 ‘새우젓계란찌개’가 饌物로 쓰일 정도로 농민들도 새우젓을 즐겨먹고 있었다. 새우젓으로 조리한 음식은 대부분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역의 ‘서해안 음식문화권’에 속하며 새우젓은 두부·어육·계란 등 단백질이 주재료인 음식의 소화를 도왔다. 19세기에 새우젓이 식생활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중부지역의 김치 발달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의 김치에 새우젓과 고춧가루가 부재료로 쓰이면서 김치는 영양적 측면, 미감의 측면에서 향상되고 저장기간까지 연장되었다. 이를 계기로 주로 김장철에 새우젓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처럼 19세기 이후에 새우젓을 발효원으로 하고 고춧가루로 채소를 버무린 김장이 중부지역 서민의 식문화에 정착되었고 김장은 서민의 월동을 가능하게 하는 ‘人家一年之大計’인 세시풍속으로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Water electrolysis/methanation integrated P2G process optimization : catalyst, reactor design and AI-based operation

        안정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CO2 methanation is one of the P2G technologies, and it can contribute to the supply and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by reducing CO2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energy storage. In particular, CO2 methanation linked to H2 production through applied water electrolysis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fficiently use renewable energy. In this study, an integrated process of the P2G concept consisting of CO2 methanation linked to water electrolysis was designed, in detail, catalyst production, reactor design, reaction fact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tudied. The research on the water electrolysis process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s of “Study 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reducing organic matters and producing H2 using a water electrolysis process” and “Study on the factors that apply the pilot-scale water electrolysis process within sewage treatment plant”. Also, The research on the CO2 methanation process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s of “Study on various types of CO2 methanation catalysts and poisoning/regeneration for application to the real Processes” and “Operation of pilot-scale CO2 methanation process and design of reactor through CFD”.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applied for optimization research on the integrated water electrolysis & CO2 methanation process. This study is judged to be valuable as an energy production technology process for low-carbon industrial development by deriving Optimization of operational conditions about water electrolysis & CO2 methanation and establishing integrated operation / control. CO2 methanation은 P2G 기술의 하나로 CO2를 저감하고 에너지 저장의 기능을 높여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기여가 가능하다. 특히 적용된 수전해를 통한 H2 생산과 연계된 CO2 methanation은 기후변화 대응과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와 연계된 CO2 methanation로 구성된 P2G 컨셉의 통합공정을 디자인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촉매제작, 반응기 설계, 반응인자 및 인공지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전해공정에 대한 연구는 “수전해공정을 이용한 유기물 저감 및 H2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하수처리장내 Pilot 규모의 수전해공정을 적용한 인자연구”를 주제로 수행하였으며 CO2 methanation 공정에 대한 연구는 “실공정 적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CO2 methanation 촉매 및 피독/재생에 관한 연구”, “ Pilot 규모의 CO2 methanation 공정운영 및 CFD를 통한 반응기 설계”에 대해 수행하였다. 또한 수전해/CO2 메탄화 통합공정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위해 인공지능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수전해 및 CO2 methanation의 운영 최적화 조건 도출 및 통합 운영/제어 정립을 통해 저탄소 산업발전을 위한 에너지 생산 기술 공정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Honeycomb에 담지된 Ni/CeO2촉매의 CO2 methanation 반응연구

        안정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use of fossil fuel has increased since industrializatio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exhaustion of fossil energy and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have continued to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reduce carbon dioxide, one of the most abundant greenhouse gases, and convert it to resources. CO2 methanation technology can convert CO2 to CH4 which is useful in industry, energy and transportation. CO2 methanation technology converts a large quantity of CO2 to CH4 by using catalysts. Currently, various catalysts are developing for higher CO2 conversion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 In this study, Ni was supported on various support materials to optimize the contents of reactive metal on CO2 methanation reactivity for development of high performing catalyst at low temperature. In this study, Al2O3, CeO2, TiO2, and Y2O3 were selected as support materials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n, Ni was supported on the materials to figure out the methanation reaction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As a result, Ni/CeO2 (N) catalys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catalysts at low temperature.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calcination temperature, catalysts were manufactured at the temperature of 300-700 °C and it was found that 10 wt.% Ni/CeO2 (N, 500 ˚C) catalyst has very high performance on CO2 methanation at low temperature of 180 ˚C and CH4 selectivity was also high. Accordingly, It was ascertained that using CeO2 precursor has an optimum calcination temperature in its production. Then, catalytic activity in different temperatures and Ni amount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reaction site increase caused by increase of Ni content on catalytic activity in optimized calcination temperature mentioned. For 10 wt.% Ni catalyst, catalytic activity was observed as 70% (CH4 yield) at 180 °C. As Ni content increases, more sites for H2 adsorption and dissociation can be provided. Therefore, consumption of H2 was evaluated by performing H2-TPR. For 10 wt.% Ni/CeO2 (N, 500 °C) catalyst, there was high consumption of H2 near 200 °C. The H2 consumption is caused by reduction of O2 at low temperature, which means dissociation of H2 is occurred actively leading to higher activity on CO2 conversion at low temperature. Ni/CeO2 (N, 500 °C) catalyst was select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coated it on honeycomb supporter for commercialization. A small amount of catalyst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a structure evenly. This study adjusted cpsi, coating liquid, coating rate and amount of catalyst coated on honeycomb to maximize utilization of catalyst. This study looked into a difference in activity performance according to aperture ratio of honeycomb at temperature of under 300 oC for 10 wt.% Ni/CeO2 (N, 500 °C) coated on honeycomb. Honeycomb type catalyst coated on 300 cpsi aperture ratio showed better conversion rate than honeycomb type catalyst penetrated in 100 cpsi aperture ratio. Selecting proper coating liquid is important for maintenance of activity of catalyst coated on support and durability when coating catalyst on honeycomb. Honeycomb catalyst using D.W.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honeycomb catalyst using other coating liquids at high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D.W. coating liquid is limited in coating amount for powder catalyst. conversion rate at high temperature is slightly lower than D.W but it is desirable to use isopropanol which is easy to be coated. This study examined coating amount, coating liquid rate, temperature and space velocity as various coating and operation conditions. As space velocity decrease, CO2 methanation has increased. Coating liquid ra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When temperature rose up to 340 oC, CO2 methanation increased. Optimum coating amount was determined by changes in other conditions. This study found simulation of CO2 methanation reaction and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for factors influencing catalytic activity by using RSM statistics program.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optimum condition to elicit over 80% CO2 conversion by using 10 wt.% Ni/CeO2 (N, 500 °C) Honeycomb catalyst is temperature of 298 °C, space velocity of 743 hr-1 and catalyst loading of 134 g/L. For application of catalysts to plant scale, this study evaluated CO2 methan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emperature, pressure and composition of reactants(O2, CH4). Efficiency of honeycomb catalyst was evaluated in different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and found honeycomb is difficult for pressure to increas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iciency ranging from 60% to 98% as H2 rate rise to 1:3-6. This study evaluated activity influence of O2, CH4 gases that can be included in gases when applying technology to biogas plant.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at 1% which is normal concentration of O2 in biogas plant and from 3% or higher, efficiency decreased by over 10%. This seems to be caused by a reduction in H2 that should react to CO2 with increased reaction between O2 and H2 as temperature rise. When conducting an experiment assuming that maximum concentration of CH4 in biogas is 13%, it was found that an influence on catalyst is not significant. It seems that applying CO2 methanation at the end of bio process is possible. This study evalu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s of honeycomb catalyst by examining maintenance of CO2 methanation efficiency through long term monitoring. This study conducted 160 hr experiment and found that 65% CO2 methanation is kept under condition of CO2:N2:H2=1:1:4, S.V. 1,190 hr-1 and 280 oC.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pplication of 10 wt.% Ni/CeO2 (N, 500 °C) Honeycomb catalyst.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화석에너지의 고갈 문제와 온실가스의 발생과 같은 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중 다량으로 발생되는 CO2는 배출 저감과 동시에 자원화 할 수 있는 기술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CO2 활용기술 중 CO2 methanation 기술은 다량으로 생산되는 CO2를 CH4로 전환하여 산업, 에너지 및 운송 분야에 중요한 에너지로 쓰일 수 있다. 이 기술은 촉매를 이용하여 다량의 CO2를 CH4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저온에서 CO2 conversion 성능이 우수한 촉매 개발을 중점으로 다양한 촉매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에서 CO2 methanation 성능이 우수한 촉매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지체에 Ni를 담지하여 제조하고, Ni의 함량을 조절하여 반응 활성에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다양한 지지체 중 활성이 높았던 Al2O3, CeO2, TiO2, Y2O3를 선정하였으며 Ni에 담지하여 제조하고 온도조건별 methanation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된 촉매 중 Ni/CeO2 (N)촉매의 경우 다른 촉매와 달리 저온에서 매우 우수한 활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Ni/CeO2 (N)의 소성온도별 영향을 위하여 300-700 ˚C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반응활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10 wt.% Ni/CeO2 (N, 500 ˚C) 촉매가 180 ˚C의 저온에서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CH4 selectivity 또한 우수하였다. 따라서 CeO2 전구체를 사용 시 최적의 소성온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Ni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반응 site의 증감이 반응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Ni/CeO2 (N) 촉매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던 Ni/CeO2 (N, 500 °C)의 촉매에 대하여 Ni 5 wt.%-30 wt.% 함량별 온도에 다른 반응활성실험을 수행하였다. 10 wt.% Ni의 촉매의 경우 다른 촉매들과 비교하여 180 °C에서 약 70% (CH4 yield)의 활성이 관찰되었다. Ni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H2 흡착 및 해리를 위한 더 많은 site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H2-TPR을 분석을 통해 H2 소비량을 확인하였다. 10 wt.% Ni/CeO2 (N, 500 °C)의 촉매의 경우 200 °C부근에서 높은 H2 소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O2가 환원될 때 사용되는 H2의 양으로 낮은 온도에서 H2 해리가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저온에서 CO2 conversion 활성이 높은 이유라고 판단된다. 앞서 연구를 통해 성능이 우수한 Ni/CeO2 (N, 500 °C)촉매를 선택하여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honeycomb 지지체에 코팅하였다. 소량의 촉매를 지지체 표면에 고분산 코팅하여 적은 양의 촉매로 활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honeycomb의 cpsi, 코팅액, 코팅액 비율, 촉매 담지량 등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Honeycomb에 코팅된 10 wt.% Ni/CeO2 (N, 500 °C)는 300 oC 이하의 반응 온도에서 honeycomb의 개구율에 따라 활성 성능차이를 관찰하였다. 100 cpsi에 담지한 honeycomb 촉매보다 300 cpsi에 담지한 honeycomb 촉매가 CO2 Conversion이 더 우수 하였다. 촉매를 honeycomb에 코팅 시 지지체에 코팅된 촉매의 활성 유지 및 내구성을 위하여 코팅액의 선택이 중요하다. D.W.를 사용한 honeycomb 촉매가 다른 코팅액을 사용한 honeycomb 촉매보다 고온에서 비교적 우수한 성능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D.W. 코팅액은 입자상 촉매를 코팅하는데 담지량의 한계가 관찰되어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D.W. 코팅액을 사용한 촉매보다 비교적 CO2 conversion이 낮지만 코팅하기 쉬운 isopropanol의 사용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코팅 및 운영조건으로 촉매 담지량, 코팅액 비율, 온도 및 공간속도를 확인하였다. 공간속도는 낮아질수록 CO2 methanation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코팅액 비율은 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온도는 340 oC까지 증가할 때 CO2 conversion이 증가하였으며, 촉매 담지량 변화에 따른 활성평가를 수행하여 최적의 담지량이 결정되었다. 앞선 실험 결과를 통해 반응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RSM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O2 conversion 반응의 시뮬레이션 및 최적의 운영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통해 10 wt.% Ni/CeO2 (N, 500 °C) honeycomb 촉매를 사용하여 80%이상의 CO2 conversion을 도출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온도 298 °C, 공간속도 743 hr-1과 catalyst loading 134 g/L이다. 실제 공정에 CO2 methanation 반응의 촉매를 적용하여 운전할 경우 온도, 압력, 반응가스의 조성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을 한다. 운영조건 중 온도, 압력 및 반응물 조성(O2, CH4)의 조건에 따라 CO2 methanation 효율을 평가하였다. 온도와 압력조건 변화에 따라 honeycomb 촉매의 효율을 평가한 결과 honeycomb의 구조 특성상 압력증가가 어려우며, 공급가스의 비율에 따른 결과는 H2의 비율이 1:3-6으로 높아짐에 따라 효율이 60-98%로 차이가 관찰되었다. 바이오가스에 기술을 적용 시 유입가스 내에 포함되어질 수 있는 O2, CH4 가스에 대하여 활성영향을 평가하였다.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바이오가스 내 O2의 비율인 1%에서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3% 이상부터는 효율이 10% 이상 감소되었다. 이는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O2와 H2의 반응이 증가하여 CO2와 반응해야 할 H2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바이오가스내 CH4의 농도를 최대 13%라고 가정하여 실험한 결과 촉매에 끼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바이오가스화 공정의 정제 후단에 CO2 methanation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CO2 methanation 활성 유지를 확인하여 honeycomb 촉매의 운영 조건별 실 공정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160 hr의 장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CO2:N2:H2=1:1:4, S.V. 1,190 hr-1 및 280 oC 조건에서 CO2 methanation이 약 65%가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논문에 제시된 결과를 통해 10 wt.% Ni/CeO2 (N, 500 °C) honeycomb 촉매의 실 공정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조각보의 패턴 유형을 접목한 도제 합 연구

        안정윤 공주대학교 영상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is often referred to as the era of multiculture. Such post-modernistic tendencies is displayed in Korea through two forms of consciousness, one is a consciousness based on globalization while the other is towards a Korean subjectivity and identity. In addition, as personal signs have become varied as cultural lifestyles have improved as we enter modern society, which in turn, has expanded the desires for products with individualism rather generalized or common products. This study introduces patterns applying the chogakpo pattern of wrapping cloth, one of our past lifestyle accessories. By producing works through use of ceramic pigments, transfer paper, and pigments, this study will utilize the values of our traditional chogakpo patterns as ceramic decoration design.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documentary studies were analyzed and through the chogakpo, the formative side distribution were applied. The designed patterns were of a method possible for utiliza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or beginners and pigment were used to investigate of various techniques of pigment expression by use of the silkscreen technique, color-paper transfer paper, or mixing dirt with paints.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 the designed patterns, the shapes of bowls in chogakpo shape were acquired. In addition, the small bowls were designed through integrating with the chogakpo pattern and finished after a sambeol heat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we are able to rediscover the beauties of our traditions through the chogakpo, a lifestyle accessories which carries the love and care of our ancestors. In addition, through a reanalysis, we are able to newly recognize its artistic value and investigate on the aesthetic aspects of Korea's chogakpo. In such respects, we are able to find significance and serve as a basis for continued research and studies in our traditional arts. I hope that this study can create added understanding and diffusion of our traditional arts in the future and serve as an opportunity which integrates our traditional arts with modern perspectives.

      • 디자인-기술 융합 사고 기반의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 금오공대 카풀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사례 중심으로

        안정윤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기반 산업의 구조적 혁신으로 신제품 개발 패러다임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중 IT 기반의 모바일 앱 서비스는 사용자와의 총체적인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모바일 기기 및 환경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해당 분야에서의 사용자 경험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적인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 과정은 개발자의 관점의 구현에 초점을 두고 진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 중심의 프로세스를 통해 출시된 모바일 앱 서비스는 소비자와 사용자를 상대적으로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개발된 서비스가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의 특성과 고객(소비자, 사용자)의 경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활동 과정을 포함한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객과 디자인, 기술을 균형 있게 고려하기 위해 디자인 사고와 시스템 사고를 융합한 통합적 접근 방법을 통해, 모바일 앱 서비스에 적합한 디자인-기술 융합 사고 기반의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용자 경험 중심 디자인과 IT 기반 서비스에 대하여 이해하고, 디자인 사고와 시스템 사고에 대한 정의와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 리서치 중심과 기술 구현 중심의 각기 다른 관점에서 진행된 대학생 모바일 앱 서비스 프로젝트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개발과정과 사용자 경험 평가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디자인 리서치 중심의 개발과 기술 구현 중심의 개발이 프로세스 상에서 리서치 단계와 구현 과정에서 차이가 있으며, 사용자 경험측면에서 사용성과 유용성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과 기술 프로세스를 상호 보완한 디자인-기술 융합 사고 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각 단계에서 수행할 방법과 내용을 제안한다. 이 프로세스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시 고객과 시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콘셉트를 가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structural innovation of IT-based industry,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aradigm is shifting from product-centered to service-centered. Especially, IT-based mobile app service has provided various experiences to users due to the distinctiveness of mobile device and environment which performs general interaction and, thus, user’s experienc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Typical development process of mobile application service progresses with a focus on realization in developer’s point of view. However the mobile application service,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is development-centered process, has a tendency to ignore consumers and users relatively. Therefore, research on development process of mobile application service, including work process, is necessary to satisfy attribute of mobile and customers (consumers, users) in order to make developed service becomes successful.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ppropriate development process for design-technology integrated thinking based mobile 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 which is the convergence of design thinking and system thinking, to consider customers, design and technology equally. Firstly, to achieve this, User experience centered design and IT-based service was understood through theoretical speculation and study in definition and process of design thinking and system thinking has been progressed. Secondly, development proces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wo difference mobile application services, which has been progressed in each different point of view, design research centered and technology realization centered. Thirdly, difference in research and realization steps between design research centered development and technology realization centered development process has been found during the process, and it has been approved and analyzed that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users’ experience, terms of usability and usefulness. Lastly, based on this result, design-technology convergence thinking based mobile application process, with design and technology process complemented, and methodology with contents, which should be performed in each step of process, has been suggested. This process can be utilized as a guideline for developers to develop competitive service which has differentiated concept, based on the needs of customers and markets, during the process o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안정윤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CT의 발전은 사회 각 분야와 경제, 문화, 산업 등 모든 변화를 초래하는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산업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Internet)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크게 대두되는 문제는 개인정보 유출 문제이다. 개인정보 유출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다면 사회적으로 더욱더 커다란 혼란과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에 입주하려면 다양한 개인정보를 의무적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게 제공해야만 한다. 그렇게 제공된 개인정보는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 의해 대규모의 개인정보 파일이 만들어지고 있고 나름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주거 형태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분쟁 및 갈등, 유출 사고, 관리상의 어려움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을 고찰해보고 본 연구의 주제와 맞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도「헌법」과「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와 관리기준, 개인정보 관리 실태점검, 공동주택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 전문가 심층면접 FGI (Focus Group Interview) 및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통계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개인정보 보호법」인지도,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과 방법, 개인정보의 이용 제공, 개인정보의 저장 및 관리, 개인정보처리의 시스템 관리, 개인정보 안전한 처리를 위한 내부관리체계의 수립 여부, 정보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교육 여부, 공동주택관리 애로사항 및 정책제언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 필요의식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였다. 첫째, 공동주택 내 개인정보 보호 인력 확보 기준 마련. 둘째, 개인정보 유출대비 내부대응 세부 규정 신설. 셋째, 개인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넷째, 개인정보 주체(입주민) 대상 「개인정보 보호법」 홍보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종합하면 공공주택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이 명확하게 설정돼야 하고 개인정보 침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관리 주체들의 강제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또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시 기준이 될 구체적인 조항들을 관리규약에 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이론적 고찰과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향후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