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태권도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득점기술의 변화와 효과적인 훈련방법 연구

        안적용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n changes in scoring techniques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after application of Protector and Scoring System(PSS) in Taekwondo(TKD) Kyorugi competition to provide intrin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plan with practical training methods and scoring techniques at the PSS used TKD competitions for elite athletes and coaches. TKD competition related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eased by TKD related organizations were review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the coaches, university professors and athletes who have PSS experience as a athlete or coach with the investigator developed open questionnaire and in depth interview in Korea and China.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by Microsoft Excel and SPSS 23.0 were used to analyze comparison of means, ratio, and frequency.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perceived changes found from both athletes and coaches on scoring techniques and training methods at PSS used TKD competitions. The research found that ‘back-foot roundhouse kick’ was the most effective attacking technique, and ‘front-foot hopping roundhouse kick’ and ‘front-foot ax kick’ were found to be the 2nd and 3rd in Regular Chest Protector(RCP) used competitions. ‘front-foot cu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ttacking technique and followed by ‘short-distance back-foot roundhouse kick’ and ‘back-foot roundhouse kick’. The ‘back-foot counter roundhouse kick’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efensive technique, followed by ‘back kick’ and ‘front-foot ax kick’ in RCP. The ‘front-foot cu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llowed by ‘front-foot roundhouse kick’ and ‘punch’ in PSS. There were three techniques, the first, ‘back-foot counter roundhouse kick’, the second, ‘front-foot hopping roundhouse kick’, and dthe third, ‘back-foot roundhouse kick’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coring techniques’ in RCP; and ‘front-foot cut’, ‘short-distance back-foot roundhouse kick’, and ‘front-foot roundhouse kick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coring techniques in PS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found in scoring styles and scoring factors between RCP and PSS. the ‘defensive scoring styles’, ‘foot work’, and ‘back-foot technique styles’ were found to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scoring styles in RCP; and ‘short-distance technique’ and ‘front-foot technique styles’ were found to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scoring styles in PSS. The ‘timing facto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coring factor in both RCP and PSS; and an interesting issue was found that the ‘accuracy factor’ wa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factor in PSS meanwhile it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CP. The ‘kicking training’ and ‘foot work’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both RCP and PS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CP and PSS found was ‘agility training’, ‘endurance training’ and ‘flexibility’. The ‘agility training’ was the 3rd ranked in RCP, however, it was ranked in 9th in PSS; the ‘endurance training’ was the 8th in RCP, but, ranked in 5th in PSS; and ‘flexibility’ was gotten lowest rank in RCP, but, ranked in 7th in PS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application of PSS caused many changes in scoring techniques, scoring styles, and scoring factors at the TKD competitions; and the changes required TKD competition training methods. The significant changes found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degrading the importance of ‘agility training’ along with the tactics, upgrading the importance of ‘flexibility training’, ‘scoring taining’ in elite TKD competition. Therefore, the elite TKD coaches and athletes need to aware the significant changes, and adjust their training programs and scoring technique training to the changed scoring system, PSS, in elite TKD compet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경기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득점기술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된 득점기술에 따른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탐색하여 경기태권도 지도자들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훈련계획 수립과 전자호구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득점기술 훈련방법을 제시하여 선수들의 훈련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태권도 관련 문헌연구와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경기태권도 지도자와 선수, 대학교 태권도학과 교수 등 총 56 명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귀납적 범주분석과 통계프로그램 SPSS 23.0 과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분석(Compare Means), 가중치(Recode into Same Variable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 선수와 지도자 모두가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에서 변화가 있다고 나타났다. 일반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공격기술’은 ‘뒷발 돌려차기’로 나타났고, ‘앞발 빠른발’, ‘앞발 찍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자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공격기술’은 ‘앞발 컷트’로 나타났으며, ‘근거리 뒷발 돌려차기’, ‘뒷발 돌려차기’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방어기술’은 ‘뒷발 돌려차기 받아차기’로 나타났고, ‘뒤차기’, ‘제자리 앞발찍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자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방어기술’은 ‘제자리 앞발 컷트’로 나타났으며, ‘제자리 앞발 돌려차기’, ‘주먹’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이 공격과 방어기술 구분 없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득점기술 세 가지를 우선순위별로 알아본 결과 일반호구에서 ‘뒤발돌려 받아차기’, ‘앞발 빠른발’, ‘뒷발 돌려차기 공격’ 순으로 나타났고, 전자호구에서 ‘앞발 컷트’, ‘근거리 뒷발 돌려차기’, ‘제자리 앞발 돌려차기’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와 전자호구의 득점유형과 득점요인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의 가장 주요한 득점유형은 ‘받아차기 유형’으로 나타났고, ‘발놀림’과 ‘뒷발기술 유형’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전자호구 사용시에는 ‘근거리 위주’와 ‘앞발기술 유형’이 가장 주요한 득점유형으로 나타났다. 득점요인의 변화에서는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 경기 모두에서 ‘타이밍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가장 두드러진 득점요인 변화의 차이로는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 ‘정확도 요인’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경기가 일반호구에서 전자호구 사용 경기로 변화하면서 나타난 훈련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모두에서 ‘발차기 훈련’과 ‘발놀림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순발력 훈련’이 일반호구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전자호구에서 ‘순발력 훈련’은 아홉 가지 요인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득점 훈련’이 세 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일반호구에서 여덟 번째 중요하다고 나타난 ‘지구력 훈련’이 전자호구에서 다섯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호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 ‘유연성 훈련’이 전자호구에서는 일곱 번째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경기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라 득점기술의 하위요인인 득점유형과 득점요인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에 따른 훈련방법의 변화도 요구됨이 나타났다.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는 ‘순발력 훈련’을 포함한 전술훈련의 중요성이 크게 낮아진 데 비해 경기 중 발차기 빈도가 늘어나 ‘지구력 훈련’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과 얼굴 득점을 위한 ‘유연성 훈련’, 전자호구 특성을 고려한 ‘득점 훈련’에 대한 중요성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보아 태권도 경기에서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은 매우 큰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경기태권도지도자와 선수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여 전자호구 사용 태권도 경기에 적합한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의 변화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