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6 시그마 성공요인이 변화관리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완준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6 시그마 성공요인이 변화관리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6시그마 사용자를 대상으로 6시그마 성공요인, 변화관리활동, 그리고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6시그마 성공요인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변화관리활동의 매개역할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연구모형에서는 6시그마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변화관리활동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6시그마를 적용하고 있는 대기업 H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32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훈련, 성과보상, 고객 및 품질중심의 사고는 변화관리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변화관리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관리활동은 경영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최고경영층의 지원, 교육훈련, 성과보상, 고객 및 품질중심의 사고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6시그마 성공요인과 품질성과 간에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교육훈련, 성과보상, 고객 및 품질중심의 사고와 경영성과 간의 변화관리활동은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경영성과 간의 변화관리활동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손동주(2009), 박효근(2015), 이용건(2015)가 제안한 연구모형을 확장하고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6시그마 성공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였다. 또한 변화관리활동의 매개효과를 밝혀 6시그마 성공요인, 변화관리활동이, 그리고 경영성과 변수들 간의 이론을 통합하고 그 논리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6시그마 성공요인을 6시그마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변화관리활동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중요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6시그마 성공요인 자체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지만 조직 내에서 조직구성원의 변화관리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이를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6시그마 성공요인이 변화관리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방법임을 규명함으로써 6시그마 경영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6시그마 성공요인과 변화관리활동 그리고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과제로 6시그마를 수행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 만족·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안완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Industrial tourism is defined as “experienc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dustrial sit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visiting exhibition facilities, on-site inspection and experiences, festivals, etc.) to revitalize the industry and region by a company or a local community.” (Kim and Han, 2010). Industrial tourism is one of the highly interested topics recent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ies around the world. Historically, industrial tourism had been heavily promoted but Covid-19 crisis has reduced its scale. However, industrial tourism is an overarching priority of the tourism industry in overcoming Covid-19 crisis and completing the task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industrial tourism to advance th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to explore ways to develop related compan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in industrial tourism which may continue to develop in the future. Brand recognition and brand loyalty are considered to make revisits depending on the success of industrial tourism. This study conduc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or people residing across the country who experienced industrial tourism. A total of 311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 24.0 and AMOS 24.0.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refine attributes, factors including employee service, transportation convenience, accommodation and tourism, guidance, industrial site inspection, brand awareness, brand loyalty, and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re identified from the industrial tourism attribute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ll factors shows 0.5 or higher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0.7 or higher construct reliability. Therefore, it can be said it ha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gain to compile the factors of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as on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construct reliability, and the correlation has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s that the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has a meaningful effect on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nd also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brand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nd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Brand awareness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However, the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did not direct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so the hypothesis was rejected. Key words: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Brand Loyalty 산업관광은 “기업이나 지역에서 그들의 산업활성화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관광활동(전시시설의 관람, 현장견학 및 체험, 축제 등)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산업현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김효경·한범수, 2010). 이러한 산업관광은 전 세계적으로 국가 관광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 매우 관심있는 주제이다. 산업관광은 역사적으로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육성되어 왔으나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그 규모가 매우 빈약해진 상태이다. 그러나 향후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고 4차산업혁명의 과업을 완수하면서 진행해 나가야 할 관광산업의 과제로서 산업관광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관광에 대해 최근 연구추세를 살펴보고 보다 발전적인 내용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으며,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및 연구하여 향후 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업관광체험요인,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련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증분석 및 문헌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논의된 변수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실증분석의 진행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관광체험요인, 산업관광만족,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산업관광체험요인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산업관광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는 산업관광의 성공여부에 따라 재방문을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산업관광경험이 있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311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for Window 24.0과 AMOS 24.0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속성을 정제하여 산업관광체험속성에서는 종사원서비스, 교통편리성, 숙박 및 관광, 안내, 산업현장견학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산업관광만족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전체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요인분석결과 평균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 이상으로 추출되었으며,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는 0.7이상으로 추출되었다. 따라서 집중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산업관광체험요인들은 하나로 보고자 Second order에 의한 확인요인분석을 재차 시도하였다. 시도한 결과 평균분산추출값과 개념신뢰도에서 문제가 없었으며, 또한 상관관계도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분석결과 산업관광체험요인은 산업관광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브랜드 인지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인지도는 산업관광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업관광만족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인지도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업관광체험요인은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기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