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미술 교사의 경계선 지능 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수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middle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who have conducted art classes for thes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three middle school art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a narrative research metho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e difficulties in middle school art classes when dealing with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have slower learning pace. Art teachers encounter various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each exhibi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universally consistent. Withi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system, the students' lower comprehension skills, short attention spans, and limited artistic tool utilization skills pose challenges for art teachers in conducting classes. Second, art teachers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the school setting. They face challenges in communication with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s well as with their parent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reate difficulties in teacher guidance. Third, the distribution of intellectual abilities among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varies individually, making it difficult to find commonalities in their exhibited characteristics. This diversity, along with their unique interests, poses limitations in instruction within art classes. A prominent characteristic observed among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uring art classes is their low proficiency in artwork process design and art tool utilization, which contributes to their learning difficulties in art. Fourth, art teachers actively support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rough art. They provide support for the students' learning by employing individualized guidance and policy support within art classes. Additionally, they facilitate the growth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instructional and life guidance. Fifth, art classes can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re fostered through art. A classroom atmosphere based on empathy enables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ir peers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and communicate through nonverbal visual images during creative activities. In art classes where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general students learn together, they learn acceptance from one another, an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within the school enables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o grow as members of society. Teachers, through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go beyond the role of facilitators and provide encouragement and support.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exploring ways to support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sett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within the narratives of art teachers, there is a recognition of the disparity between the learning pace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 limitations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proactiv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ithin the context of middle school art classes. Second, although there are challenge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study identifie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of art teachers in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se students can learn through available resources in art classes. Third, ar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ositive interactions within the school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emonstrating the potential for promoting the growth of both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 entire class, including the art teacher. These conclusion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and addressing the specific need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art education within the school system, and highlight the potential of art as a means to foster inclusiv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al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을 진행해 본 중학교 미술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중학교 현장에서 경계선 지능 학생들에게 미술교육이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중학교 미술 교사 3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미술 교사들의 경험을 깊이 탐구하기 위해 인터뷰 내용은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그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어려움은 중학교 미술 수업안에서 학습 속도가 느린 경계선 지능 학생을 기다릴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미술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경계선 지능 학생을 만나는데, 이들은 개인별 특성이 보편적이지 않고 학생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중학교 교육 체계 안에서 경계선 지능 학생의 낮은 이해력과 짧은 주의 집중력, 그리고 미숙한 미술 도구 활용 능력은 미술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나타난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미술 교사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교사와 경계선 지능 학생, 교사와 학부모의 원활한 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경계선 지능 학생의 다른 특성 및 소통 방식은 교사의 지도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셋째, 경계선 지능 학생의 지능 분포는 개인마다 다르며 나타나는 특성에 공통점을 찾기 어려워, 미술 수업안에서 각기 다른 경계선 지능 특성과 흥미로 인해 지도에 한계를 경험한다. 미술 시간에 유독 관찰되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주요 특성은 작품 과정 설계 및 미술 도구 활용 능력이 낮아 미술 수업에 또 다른 의미에 학습 부진을 겪는다. 넷째, 미술 교사들은 학교 교육체제 안에서 미술을 통해 경계선 지능 학생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미술 수업 안에서 개별 순회지도 및 정책 지원 등을 활용하여 경계선 지능 학생의 학습을 지원한다. 또한 학습 지도 및 생활지도를 통해 경계선 지능 학생이 학교생활 안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미술 수업은 미술을 매개로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수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공감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 분위기는 경계선 지능 학생과 다른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창작활동을 통해 비언어적인 시각 이미지로 소통할 수 있게 한다. 경계선 지능 학생과 일반학생들이 함께 있는 미술 수업에서 서로를 통해 포용력을 배우며 학교 안에서 사회화 과정을 통해 경계선 지능 학생이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경계선 지능 학생 미술교육을 통해 조력자의 역할을 넘어 격려하고 지지하는 역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 교사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다양한 학생들이 존재하는 학교에서 경계선 지능 학생에 초점 맞춰, 미술 교사의 경험을 통해 현장의 이야기를 전달하였으므로 의의가 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교사의 내러티브 속에서 경계선 지능 학생의 학습 속도와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학교 교육의 한계 속 간격을 발견하고, 학교 미술 수업 내에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학교 교육체제 속 경계선 지능 학생 교육의 어려움은 존재하지만, 학교 미술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을 통해 경계선 지능 학생이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미술 교사의 조력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계선 지능 학생에게 미술은 학교 내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며, 경계선 지능 학생을 포함한 학급 전체 학생들과 미술 교사 모두의 성장을 도모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A) constraint-based analysis of Korean blends

        안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what basic principles and constraints govern the blending while focusing on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phon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blends. I first argue that Korean blending is a systematic grammatical word-formation while discussing the observed patterns of my corpus. I will then provide a constraint-based analysis of all these patterns including those which have rarely been observed in the literature. In the conventional theory of morphology, blending has been considered as a marginal operation which is not a linguistically governed word-formation. However, some recent investigations into blending in a variety of languages (Hebrew (Bat-el 1996), English (Gries 2004a/b, Hong 2004/2005), Spanish (Pin᷉eros 2000/2004), and Japanese (Kubozono 1990)) suggest that many of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blending in fact show grammatical regularities. For instance, in English, the segmental composition of a blend (e.g. brunch) is always based on both of its source words (e.g. br(eakfast) and (l)unch) whereas its prosodic properties such as word-length and stress pattern are usually identical, or at least similar, to one of the two source words which is often called ‘head’ of the blend. Similar phonological characterization holds for blends of other languages including Korean. Such characteristics of blending have been explained within a constraint-based framework such as Optimality Theory. As shown in sʌl.len.tha.in ‘new year’s day and Valentine’s day are on the same day’(sʌl ‘new year’s day’ + (pa)l.len.tha.in ‘Valentine’), Korean blends usually preserve the prosody (i.e. syllable count) of the head, while the initial part of the segmental sequence of the blend is from the non-head source word. This general pattern can be explained by adopting (i) prosodic faithfulness constraints for the head (Max-σ(HD)/Dep-σ(HD)) and (ⅱ) segmental faithfulness constraints for both source words (Max-seg(HD/Non-HD)). Generally, prosodic faithfulness overrides segmental faithfulness. Several interesting exceptional patterns, where segmental faithfulness is preferred to prosodic faithfulness, have been observed. They indicate that drastic violation of segmental faithfulness is avoided although it is generally less important than prosodic faithfulness. This leads me to adopt, for the analysis of Korean blends, Harmonic Grammar (Legendre, Miyata, and Smolensky 1990, Smolensky and Legendre 2006), where constraints are assigned weights. Note that in to.ne.thi.cɨn ‘a netizen who donates’ (to.ne.(i.sjʌn) ‘donation’+ ne.thi.cɨn ‘netizen’), where the length of the blend, i.e. four syllables, is longer than that of the head, i.e. three syllables, many input segments may survive in the blend due to the presence of the overlap segments [ne] (the segments from both source words). Also, a similar analysis can be provided for the cases like the one in thɛ.kho.li.ʌn ‘a mixture of Taekwondo and Korean’ (thɛ.k(wʌn.to) ‘Taekwondo, a Korean martial art’+ kho.li.ʌn ‘Korean language’). What is interesting about this case is that the corresponding segments, /k/ and /kh/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to each other. Finally, pal.len.chi.khin ‘eating chicken on Valentine’s day’ (pal.len.(tha).in ‘Valentine’ + chi.khin ‘chicken’) shows the overlapping of noncontiguous segments: the initial three syllables of the blend are not contiguous in its corresponding left source word since [tha] is missing. Note that the presence of noncontiguous overlapping segments [-i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segmental faithfulness. In conclusion, I show that general and exceptional patterns of Korean blends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action of linguistically-governed constraints within the framework of HG. 본 논문은 한국어 혼성어의 음운론적 요소들을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혼성어를 만드는데 작용하는 원리와 제약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거에는 혼성어를 특별한 규칙성을 가지지 않는 현상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의 다양한 언어의 혼성어 연구들은 혼성어 또한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조어법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또한 매우 규칙적인 조어법이며, 나아가 기존의 다른 언어의 혼성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혼성어 유형들도 일반적인 유형들과 함께 제약 기반 분석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크게 한국어 혼성어의 기술과 분석, 두 가지 작업이 이루어진다. 첫째로, 한국어 혼성어 자료를 기존 논문, 신어 사전, 인터넷, 텔레비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모으고 이를 바탕으로 정밀한 음운론적 기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혼성어는 ‘잠+심포지엄= 잠포지엄’과 같이 두 단어 중 한 단어의 길이를 유지하고, 앞부분은 다른 단어의 일부를 넣는 형태를 보인다. 이 길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는 ‘도네이션+네티즌=도네티즌’과 같이 둘 사이에 겹치는 부분 (overlap)이 있어 분절음을 더 많이 살릴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둘째로, 한국어 혼성어가 운율형태론을 통해 분석될 수 있으며, 기존의 영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등 다른 언어의 혼성어 분석에서 이루어졌던 최적성 이론의 제약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또한 이 제약들을 통해 분석될 수 있음을 보인다. 혼성어는 두 단어와 혼성어 사이의 대응 관계가 중요한데, 한국어 혼성어는 한 단어의 운율 체계 (음절 개수)에 대한 충실성 제약과 두 단어의 분절음에 대한 충실성 제약, 즉 두 충실성 제약 사이의 경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운율 체계에 대한 충실성 제약이 두 단어의 분절음에 대한 충실성 제약보다 우세하다. 그러나 최적성 이론의 제약들 간의 엄격한 위계가 한국어 혼성어의 설명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이 엄격한 위계는 ‘도네이션+네티즌= 도네티즌’과 같이 분절음에 대한 충실성 제약이 운율 체계에 대한 충실성 제약보다 우세한 경우, ‘태권도+코리언=태코리언’의 /ㄱ/과 /ㅋ/ 같이 비슷한 분절음 또한 겹치는 부분 (overlap)이 되는 경우 등을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약들에게 엄격한 위계 대신 각각 점수(weight)를 주는 모델인 하모닉 그래머(Harmonic Grammar)가 한국어 혼성어 분석에 더 적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노동공급 및 의료이용 행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안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의료이용 행태 및 노동 공급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경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며,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의료이용 차이, 의료비 감면 정책에 따른 인구집단별 의료이용의 변화, 자녀의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 세 가지의 독립된 실증 분석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장은 자영업자와 정규직 및 상용직 임금근로자 간의 의료 이용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를 의료이용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실증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의료이용이 증가하는 양의 소득효과가, 정규직 및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업자에게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영업자의 경우 근로 시간이 소득과 직결되는 특성으로 인해 의료이용에 따른 기회비용이 임금근로자에 비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와 유사하게, 임금근로자라 하더라도 유급휴가가 적은, 즉 의료이용에 따른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로 한정하면 자영업자와 비슷한 의료이용 패턴을 보였으며, 자영업자 중에서도 배우자가 함께 자영업에 종사하여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임금근로자와 다르지 않은 의료이용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기회비용의 차이가 의료이용 격차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본인부담 의료비 감면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의료 접근성 향상 정책효과와, 정책 시행과 더불어 얻게 될 간접 소득에 대한 기대로 인해 일시적으로 치료를 미루는 치료 지연효과가 나타났는지를 노인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 경감정책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의료패널 자료(2012-2016)를 이용, 정책 집단인 실험군(71-74세)과 정책 적용을 받지 않은 대조군(61-64세)을 정의하고 이중차이(DID)를 이용한 분석결과, 본인부담 의료비 경감은 의료이용을 높인다는 일반적인 가설을 지지하였고, 정책효과 및 치료 지연효과는 인구 집단의 특성에 따라 그 크기와 유의성이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진료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작을수록, 지불능력이 클수록, 정책 전후 본인부담 의료비의 변화가 클수록, 정보 접근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정책효과가 컸으며, 치료 지연으로 인한 불편비용이 작을수록,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치료 지연효과가 크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경제학적 가설에 부합함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접근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는 집단에게서 정책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일관되게 보여주어, 정책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세분화된 타겟 그룹 설정 및 본인부담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예상치 못한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합병원 이상에서의 입원을 자녀의 건강충격으로 정의하고 성향점수 매칭 후 패널 이중차이분석을 이용하여 부모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건강충격을 경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의 노동참여 및 소득이 유의하게 줄었고 특히 비정규직 모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근로 개월 수 및 사업체 규모의 감소 효과가 나타난 것을 볼 때 노동 강도 및 일자리 질의 하락이 수반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여성에게서 자녀 건강충격 효과가 컸던 것은 여성의 일자리나 소득이 평균적으로 낮음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노동 탈락(감소)의 기회비용이 작기 때문에 발생한 효과는 아니었으며, 성별 분업에 의한 시간 분배 차이의 효과가 나타났던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충격의 강도 및 외생성을 고려한 강건성 검증 결과, 건강충격 강도 및 외생성이 클수록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도 증가하며, 그 효과는 여전히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돌봄 노동에 대해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부정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던 많은 선행연구들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eterogeneous effe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labor suppl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economic perspectives, and is composed of three individual essays, (1)the difference in health care utilization between self-employed and wage-and-salary workers, (2)the chang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by population groups, and (3)the effect of children’s health shocks on their parents’ labor outcomes. The first chapter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opportunity costs between self-employed and permanent wage-and-salary workers is one of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The positive income effect on health care utilization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smaller for self-employed than for wage-and-salary workers. Since working hou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income for self-employed workers, it is more costly for them to use health care services at the expense of working hours than for wage-and-salary workers. For similar reasons, even among wage-and-salary workers, those who lack access to paid leave tend to reduce their health care utilization as self-employed workers do. Furthermore, I investigate the changes in patterns of health care utilization for self-employed workers whose spouses are also self-employed so that the loss of working hours can be possibly mitigated, and fi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between those and wage-and-salary workers. In the second chapter, I investigate the policy effect of the reduction in health care cost sharing, through the elderly’s dental implant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It studies whether the access to health care has improved due to the cost reduction, as well as the existence of treatment delays prior to the policy due to the expected indirect income in the future. Using Korea Health Panel(KHP, 2012-2016) survey data, treatment group(71-74yrs., policy targeted group) and control group(61-64yrs., who were never in policy targeted ages) were defined. As a result,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analyses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the reduction in healthcare cost sharing increases the healthcare usage. The policy effects were heterogeneou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group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were greater for the groups with smaller opportunity cost of time, greater ability to pay, greater reduction in health care cost after the policy, higher information accessibility, while the treatment delays appeared more in groups with less inconvenience costs, and higher information accessibility.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 effect of elderly’s dental implant policy was greater in the groups with higher health care accessibility in general,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olicy targeted groups, depending on the policy goal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children’s unexpected health shocks on parents’ labor supply and income. Hospitalization of more than 3 days in a general hospital or higher was defined as a health shock, and the effects on parents’ labor outcomes were estimated by panel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metho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ed data. When a child experienced a health shock, the mother’s labor supply and incom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greater for mothers with non-regular jobs, accompanied with decreased working months(intensity of labor) and company sizes(quality of workplaces). The fact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health shocks were greater for women was not because the opportunity cost of labor-force exit was smaller (due to the average of women's jobs or income were low), but it seems that the effects have appeared due to the difference i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As a result of the robustness check, the greater the intensity or exogeneity of the health shocks, the higher the negative effects on the parents were, and the effect was still larger in women than in me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many other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the negative effect was greater for women than men for child care labor in general.

      • 가열 처리한 더덕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안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되어 있다. 더덕은 예로부터 각종 식용 재료와 질병 치료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더덕 육질은 항염증 효과, 체중 감소 및 혈청 지질 개선 효과가 있고 주요 기능성 성분인 polyphenol과 항산화 활성이 있으며 triterpenoid 계열의 사포닌이 존재한다. 한편 더덕 껍질도 항산화능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더덕 껍질은 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폐기되는 실정이다. 또한 더덕은 각각 열처리, 열풍건조, 증숙 등 가열 처리 시 기능성 성분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효과 증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떤 가열 처리가 더덕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키고 더불어 관능적 특성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는 더덕 껍질의 식품소재로서의 탐색을 위해 가열 처리한 더덕 껍질 및 육질로부터 얻은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S, CF) 이외에 볶음(RS, RF), 열풍건조(HDS, HDF), 증건(SHDS, SHDF) 등으로 더덕을 가열 처리한 뒤, 각 더덕을 분말화한 시료에 3차 증류수를 가하여 90℃에서 90분 동안 추출하였다. 가열 처리한 더덕의 수분 함량은 CS와 CF가 가장 많았고 건조 과정을 거친 더덕의 수분 함량은 현저히 적었다. 더덕 열수추출물의 pH는 껍질이 육질보다 낮았고(p<0.05), 색도는 RS와 RF의 L값이 낮고 b값이 높았다(p<0.05). 열수추출물의 총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SHDS이 RS보다 많았으나(p<0.05), 육질의 경우에 가열처리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열수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HDS가, 육질의 경우에 CF가 가장 많았다(p<0.05). 열수추출물의 조 사포닌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p>0.05), 육질의 경우에 SHDF가 유의적으로 적었다(p<0.05). 또한 껍질의 열수추출물이 육질의 열수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높았다(p<0.05). 대조군 및 가열 처리한 더덕으로 차를 만들어 관능검사한 결과, 더덕 껍질 차는 향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육질 차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대부분 폐기물로 처리되는 더덕 껍질은 육질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으며, 더덕 껍질을 차로 제조할 때 향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육질로 만든 차와 유사한 관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초자치단체 디자인경영을 위한 통합디자인 연구 : 가평군 사례를 중심으로

        안수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Design is being emphasized its importance more strongly as a driving force to enhance competitiveness & differentiation as well as growth & development for businesses, nation, and district, and specially in our country, design related business boom was taken place in the local government to the extent such trend of origin cannot be found in overseas thus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introduces design actively by organizing related department etc. However, the point that design in the public sector has been emphasized excessively on aesthetic aspect thus its approach cannot be made to strategic aspect and the inferiority of status of design related organization and design personnel became a major obstacle for sustainability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esign work. Thus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design is proposed to be introduced design and design management to use as strategic tool by local government, for which brief of study is made as follows: First, being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theme of this study, those concepts design, design mind, design thinking, local brand, design management, design manager were determined and being a core theory, integrated design concept, major element, system and process were examined. Specially, in line with the stream of the age when the importance of design increases in the public sector the concept was established to be applicable for utiliz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t which being a contact point design meets with consumer. Integrated design can be seen by separating academic concept and practical concept and in this study it being examined focusing practical concept, and based on the step and functional dimension, integrated design concept is established focused on system and process. Integrated design works for communication as well as tool for design management controling for planning & control. Second,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local design through design related status of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ublic sector design of Gyeonggido in which geographic cultural, industrial diversities are integrated among metropolitan government, the types of design related organization and the status & function in charge of design were examined. Also design related budget was investigated in which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budget for processing effective design work mainly relies on public offering or small scale self-budget therefore in order for sustainable & strategic approach, it proposed the utilization of special budget account of metropolitan government budget. Third, based on the examples of Kobe, Seattle, Melbourne, Daegu, Jeonju, Gangreung, the position of the design related department in the district government, scope of design work, functions of design personnel and design related external link were examined and in case of Kobe city, the concept of integrated design is being applied most effectively. Fourth, Gapyeong-gun was targeted for the study of integrated design of local government for 2008-2011 period in which various current status were examined which include organization & design related work flow chart, self processing design project(simple facility project, strategic project), design related discussion, support, design evaluation, design mind forster education for spread of design culture. Also throug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general awareness of design by specialist & public official as well as knowledge of integrated design were verified from which difficulty in application for strategic project, necessity for design support & discussion, necessity education to forster design mind, lack of design mind education for residents or chief of organizations were exposed as being problems. Finally, related to design management of the district government, necessity for integrated design road map, integrated design road map proposal, type of design-specified department of district government for integrated design were proposed. Integrated design roadmap is a system design mind, design system, design process is integrated in the organization. The detail element of road map comprises the application point & design mind detail, system application point & detail, process application point & detail and each step composed of 5 phases from 0 phase to 4 phase, and being structured to be able to determine time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its status. Also the type of design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integrated design of the district government was proposed. First the type belongs directly to chief of district government, Second, the type integrated in the planning related department, Third, implement design work set up separate design specified department equal status with other department work. On the basis of study of the integrated design for design management of the district government, it is hoped to be established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systems to be able to achieve sustained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and differentiation of district. 디자인은 기업과 국가, 그리고 지역에서 경쟁력 향상과 차별화, 성장발전의 원동력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나라에서는 해외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디자인 관련사업의 붐이 일어났다. 상당수의 지방자치단체가 디자인관련 부서를 별도로 조직하는 등 디자인 개념을 행정에 적극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영역에서의 디자인 개념은 아직까지 그 지속성과 제도화에 있어서 극복해야 할 걸림돌이 많다. 디자인을 지나치게 심미적인 측면만 강조하다보니 보다 종합적이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점과 지방자치단체 내에 조직된 디자인 부서나 디자인 담당자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점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자치단체에 필요한 전략적인 도구로서의 디자인과, 디자인경영 개념을 도입한 통합디자인 개념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의 논제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으로 디자인, 디자인마인드/디자인사고, 지역브랜드, 디자인경영과 디자인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핵심이론으로서의 통합디자인 개념 및 주요 요소로서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공공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공공영역의 디자인이 소비자와 만나는 접점이라 할 수 있는 기초 자치단체의 각종 사업에 적용 및 활용 가능하도록 개념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통합디자인은 학문적 개념과 실무적 개념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실무적 개념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단계적이고 기능적인 차원에서의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통합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때 통합디자인은 소통의 역할을 하며, 기획과 통제 등 전체 프로세스 내에서 디자인을 관리하는 디자인경영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두 번째, 국내 디자인관련 각종 현황 파악을 위하여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의 디자인 동향을 살펴보되, 특히 광역자치단체 중 지리, 문화, 산업의 다양성이 집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경기도의 공공영역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여 디자인관련 조직의 유형과 디자인담당자의 위상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또한 디자인 관련 예산을 조사하여 기초자치단체에서 효과적인 디자인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주로 공모사업이나 소규모 자체예산이 편성되고 있음을 살펴보았고, 이에 대하여 보다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위해 광역특별회계예산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해외의 고베시, 시애틀시, 멜버른시, 그리고 국내의 대구광역시, 전주시, 강릉시 등의 사례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디자인관련 부서의 조직 내 위치, 디자인업무의 범위, 조직원 및 디자인관련 외부 연계 조직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고베시의 경우 조직과 체제에 있어 통합디자인 개념을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네 번째, 기초자치단체의 통합디자인 사례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가평군에서 집행한 사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조직과 디자인관련 업무 흐름도,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디자인사업(단순시설사업, 전략사업), 타부서 디자인관련 업무에 대한 협의, 지원, 설계심사 그리고 디자인문화확산을 위한 디자인마인드 함양교육 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와 공무원의 디자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통합디자인에 관한 인지도 등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전략사업에 있어서 디자인적용의 어려움과 통합디자인시스템을 통한 디자인지원 및 협의의 필요성, 마인드 함양교육의 필요성, 주민과 단체장의 디자인마인드 교육의 부족 등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초자치단체 디자인경영과 관련한 통합디자인 로드맵의 필요성과 그 제안, 그리고 통합디자인을 위한 기초자치단체 디자인 전담부서의 바람직한 유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통합디자인 로드맵은, 디자인마인드, 디자인시스템, 디자인프로세스가 조직 내에 통합되는 구조이다. 더불어 기초자치단체 통합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전담조직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단체장직속의 디자인관련부서유형, 기획관련 부서에 디자인부서가 통합되어 있는 유형, 그리고 별도의 디자인 전담부서를 두어 타부서의 업무와 대등한 입장에서 디자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형이다. 이상, 기초자치단체 디자인경영을 위한 통합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지역의 차별화와 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는 제도적 조직적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바란다.

      •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실습스트레스와 실습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비교

        안수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Effects of Practice Str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Self-efficacy in Pandemic Situation : Comparison of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An, Su Ji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ung, Kyung Mi PhD., 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prac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practice str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between clinical and in-school practice and investigating in-school practice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in pandemic situations. This study used data from 215 people who were enrolled in two nursing universities located in J-city, Gyeongsangnam-do and experienced both clinical and in-school practice within the last 18 months for analysis.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157 people who agreed to open-ended question responses and faithfully responded to the ques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5, 2022 to April 3, 2022.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s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 test,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differences in the subject's practice stres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thoughts on nursing jobs, and practice colleagues in common in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differences in practice satisfaction were common in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an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nursing job thoughts, and practical colleagues, and in clinical practice,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health statu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differences in self-efficac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health status, academic performance, major satisfaction, thoughts on nursing jobs, and practical colleagues in common in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In clinical practice,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2)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ubject's clinical practice with the practice stress of in-school practice,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e practice stress (t=10.33, p<.001) and practice satisfaction (t=2.94, p=.004) had significantly higher clinical practi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fficacy (t=-1.26, p=.208).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racti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str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4)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in clinical practice, the higher the 4.0 or higher or 3.5~4.0, the lower the practic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more positive the nursing thinking is, the higher the clinical practice self-efficacy. The explanatory power by the variables was 24.9% (F=13.82, p<.001, R2=.249, Adj-R2=.231). Factors that affect the self-efficacy of in-school practice are the lower the stress of in-school practice, the more satisfied the major satisfaction is, the higher the credit is than 3.0 and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training colleagues is. The explanatory power by the variables was 25.5% (F=17.93, p<.001, R2=.255, Adj-R2=.240). 5) In the pandemic situation,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in-school practice was negative experience, "contradictory perception of infection," "missing field experience," "discontent with the in-school practice environment," "fear of becoming a nurse" and "freedom from clinical practice". In conclusion, clinical practice had a higher level of practice str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han in-school practice, and self-efficacy was higher in in-schoo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ommon factors affecting the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were relationship (good), credit (4.0 or higher), and practi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the relationship with practical colleagues was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elf-efficacy,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school practice. In addition, the positive thinking of nursing jobs was excluded from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fficacy of in-school practice, and the satisfaction of major satisfaction was excluded from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that can reduce the gap and derive positive results by supplementing vulnerabilities in clinical practice and in-school practice.

      •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안수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들은 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공공디자인을 핵심 요소로 선정하고 있다. 또한, 야간경관 디자인 조성으로 각 지자체는 도시이미지와 장소성을 형성하며 타 도시와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민들이 야간경관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공공시설물이다. 그러나 공공시설물은 주간이용에 제약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야간경관 디자인 새로운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시설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 방향을 도출하려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에서는 야간경관 디자인과 공공디자인, 공공시설물, CPTED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를 참고하였다. 야간경관의 개념과 특성, 공공디자인과 공공시설물의 개념과 기능 및 범위를 고찰하고 광주광역시 야간경관계획을 분석하였다. 선행논문을 근간으로 문항을 작성하여 광주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설문지는 총 200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171부가 표본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야간경관 디자인 특성, 시민인식, CPTED 요소 기준으로 문화예술시설 대상지 세 곳을 분석하였으며, 각 대상지별 공공시설물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환경성, 편리성, 심미성 변수에 대한 평가가 저조했다. 환경성 측면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선이 필요하다. 편리성 측면은 60대가 가장 저조했으므로 유니버셜 디자인을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세 개 기준 중 심미성 측면에 대한 평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디자인 흥미 유발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광주비엔날레는 편리성, 심미성, 환경성 변수 전부 40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유니버셜 디자인과 관리시설물 안내사인 설치가 필요하다. 공공시설물 흥미 유발을 위한 개선과 주변 환경과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안전성, 심미성, 정보성 변수 전부 10대가 가장 저조했다. 안전성 측면은 야간가로공간 인지성을 위해 휴게시설물 위치 변경과 보호시설물 교체가 필요하다. 심미성 측면은 보호시설물 색채와 휴게시설물 및 조명시설물 디자인 흥미 유발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성 측면은 10대와 40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시민들이 국립광주박물관 접근을 유도하는 방법을 도모하고 공공시설물들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두 번째,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각 대상지별 미비한 시설의 개선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시설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을 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되어 긍정적 도시이미지 상승효과와 장소성 형성을 기대한다. Local governments(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l governments) have selected public design as a core element as part of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In addition, as a composition of nightscape design, each local government forms a city image and location,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to show discrimination from other cities. Public facilities are one way for citizens to experience night view design.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on weekly use of public facilities. Therefore, a new institutional approach to night view design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nightscape design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and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referred to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materials on nightscape design and public design, public facilities, and CP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the concept, function and scope of public design and public facilities were considered, and the nightscape pla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A question wa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 paper,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citizen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Ricart 5-point scale, and 171 of the total 200 questionnaires, excluding dishonest answer sheets, were used as specimen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 program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ree target areas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ightscape design, citizen recognition, and CPTED element criteria, and derived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facilities for each target area. The Asia Culture Center had a poor reputation for environmental, convenience and aesthetic variables. On the aspect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erms of convenience, the evaluation of people in their 60s and above was the lowes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In addition, since the evaluation of the aesthetic aspect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criteri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to arouse the interest of design. The Gwangju Biennale had the lowest rating in its 40s in terms of convenien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o it needs to be set up as a guide company for universal design and management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to arouse the interest of public facilities and to consid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rmony. The National Guangzhou Museum had the lowest rating for teens in terms of safety, aesthetics, and informational variables. The safety aspect requires relocation of rest facilities and replacement of shelters for nighttime space cognition. The aesthetic aspect needs improvement to arouse the color of the shelter and the design of rest and lighting facilities. In terms of information, teens and 40s had the lowest rating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by trying to guide citizens to access the National Guangzhou Museum. Secondly, we were able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nightscap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discover points for improvement of inadequate facilities for each target area. This study is an objective basis for improving the nightscap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Cultural Arts Facility, and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raising the urban image and to form a place.

      • 도시내 커뮤니티의 건조환경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천시 10개 행정동을 중심으로

        안수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들어 물리적인 환경과 신체활동의 연관성, 더 나아가서 개인의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최근의 연구들에 따르면 도시의 무질서한 개발과 확산으로 대변되는 '스프롤(sprawl)'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걷기보다 자동차에 의존하는 생활을 하게되고, 일상적인 신체활동이 저하되면서 비만,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과 같은 만성질환과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및 가구 속성, 건조환경 속성 변수들이 개인의 건강수준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주관적 건강상태(D_1_1), 삶의 질(LQ_VAS), 활동제한(EQ5D), 체질량지수(HE_BMI) 등 4가지 건강수준 변수들을 선정하여 다수준 회귀분석(multilevel regression model)을 수행하였다. HLM 7.0을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10%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ew Urbanism, Smart Growth, TOD, Compact City 등의 계획요소와 관련된 건조환경 변수들 모두가 건강과 밀접하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7개의 건조환경 변수 중에서 단독주택비율과 지하철접근성, 자전거도로 연장은 건강수준 분석모형에서 최소 1개 이상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토지이용혼합도, 평균주거밀도, 공원면적, 가로연결성은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LQ_VAS) 지표는 건조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지만 활동제한(EQ5D)과 체질량지수(HE_BMI)는 건조환경과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단독주택비율이 높고, 지하철 접근성이 우수하고 자전거도로연장이 길수록 개인의 건강수준이 높았다. 또한 보행시간과 격렬한 운동의 빈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건강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건강수준과 건조환경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시계획과 설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도시계획, 설계,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건강수준을 고려한 건조환경 조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