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변성과정 연구=

        안성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Currently, North Korea claims a unique form of socialism called ‘our-style socialism’ under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ideology’, and is undergoing a process of transformation in each period through the Kim Il sung era, Kim Jong il era, and Kim Jong un age.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process of North Korea’s ‘our-style socialism’ is described as ‘transformation’. This means that it is a growth process in which North Korea built a chronology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s it went through the Kim Il sung age, Kim Jong il age, and Kim Jong un age. In other words, North Korea’s ‘our style of socialism’ has gone through a transformation process that has not changed until now. Came through. North Korea’s ideology, Self-reliance ideology, is the core of ‘Our Style Socialism’ and serves as the ideological basis for justifying the ‘Center of attention party and state system’ and the ‘hereditary power succession system’. In this paper, socialist state form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alin-style socialism, the ideology of 『Max Leninism』, is referred to as 『Typical Real Socialism』, and countries that maintain 『principle』 but choose reform and opening up as 『Reform Socialism』, and 『Max Leninism』 North Korea, which abolished it and insisted on its own ideology called “Self-reliance ideology,” was classified as “transformative socialism.” To date, domestic research on the 'ideological change' of North Korea's 'Our Style Socialism' has divided the process of ideological change into ''Max Leninism → ''Max Leninism and ' Self-reliance Idea' → 'Self-reliance Idea', that is, 'Kim Il sung principle'. → It was analyzed as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 sung-Kim Jong principle>. In addition, in the ideology of 『Our Style Socialism』, 『Max Leninism』 and 『Self-reliance ideology’』 have been divided into pure ideologies,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Red Knight Ide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heory, Songun Politics Theory> have been classified as practical ideologies. Therefore, the general perception was making the mistake of thinking that both North Korea's pure ideology and practical ideology were “Juche ideology.”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correct these errors. In this paper, only 『Max Leninism』 and 『Self-reliance ideology』, which are the ideologies of North Korea's early 『Our Style Socialism』, are classified by ideology,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sungism>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sungism-Kimjongilism> are classified by tone. This is because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ilsungism>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ilsungism-Kimjongilism>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a system as an ideology. In short, the inclusion of Kim Il sung's policy stances in 『Juche Thought』 is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 sungism>, and the inclusion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s policy stances is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 sung-Kim Jong ilism>. In addition, political discourses such as the ‘Red Knight Idea’, ‘Military First Idea’, and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heory’ presented in each age were divided into policy principles rather than practical ideologies.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seen as having an ideological system. The completion of 『Self-reliance ideology』 can be seen to have gone through three stages. The 'Self-reliance' belief in Kim Il sung's anti-Japanese fight in Manchuria in the 1930s was the first stage, the 'Juche' ideology of anti-synodalism and anti-sectarianism in the 1950s was the second stage, and Kim Jong il's 'Supreme Theory' was added in 1982 to form a theoretical foundation. The third stage of systemization has been passed. Kim Jong il took Hwang Jang yop's thesis 'Human-Centered Philosophy' as the essence of 『Self-reliance ideology』, Kim Il sung's ideology of ''Self-reliance as the four leading principles, and his own 'Supreme Theory' as a socio-historical principle, and created 『.Self-reliance ideology 』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North Korea was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and used 『Max Leninism』, which was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ideology』 countries, as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party and aimed for socialist communism. However,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in the 1990s, the 『Marxist』 -Only 『Self-reliance ideology』, which was completely independent from 『Leninism』, was presented as a guiding guide. This 『Self-reliance ideology』 was theoretically systematized in Kim Jong il's thesis 《Self-reliance ideology》 on March 31, 1982, and brought North Korea into a new socialism called 「Transformative Socialism」. 『Self-reliance ideology』 became the only ideology that justified the policy aspects and system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also developed into the core of the leader-centered party and state system. This leader-centered party and state system decided to create theories that justified the three-generation hereditary power succession structure of the Kim Il-sung family. Entering the 1990s, when countries with “typical real socialism” were collapsing and moving towards “reformed socialism” like China and Vietnam, North Korea insisted on “Self-reliance ideology” and promoted “our style socialism,” which is “transformative socialism.” I'm on my way. 『Self-reliance ideology』 was established as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 sung age> by Kim Jong il,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 il sung, Kim Jong age> was established by Kim Jong un and is used as a policy basis for maintaining the system. In addition, North Korea has consistently emphasized nationalism as a policy principle. During the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ges, <!-- Not Allowed Tag Filtered --><Our People Firstism> is promoted, during the Kim Jong il age, it is promoted as <!-- Not Allowed Tag Filtered --><Korean Nation-firstism>, and during the Kim Jong un age, it is promoted as <!-- Not Allowed Tag Filtered --><People Firstism>. This nationalist propaganda can be seen as an intention to capture the public sentiment of people who are tired of living hardships. If North Korea's political system is divided by era, the political system of the Kim Il sung era and the Kim Il sung-Kim Jong il era was a leader-centered party and state system. However, in the Kim Jong il era, the national system showed changes to a mass-oriented military-first political system. Entering the Kim Jong un age, Kim Jong un is ruling under a political system that returns the national system to a leader-centered party and state system while maintaining Kim Jong il's policy principle of Military first idea. Is North Korea’s “Our Style of Socialism” a socialism that fits the ideology of “Max Leninism”, Where is the source of North Korea’s “Our Style of Socialism” that can be maintained despit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at kind of transformation will North Korea’s “Our Style of Socialism” have in the future? Has it gone through the process? Can we expect changes in North Korea’s “Our Style Socialism” system? I will try to find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this paper. Keywords: Typical real socialism, reform socialism, transformative socialism, Max Leninism, Self-reliance ideology, leader-centered party and state system. 지금 북한은 『주체사상』의 이념 아래 『우리식 사회주의』라는 특이한 사회주의를 주장하면서 김일성시대-김정일시대-김정은시대를 거쳐 시기마다 변성과정을 거쳐 왔다. 북한의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은 『우리식 사회주의』핵심으로써 ‘수령중심 당·국가체제’와 ‘세습권력후계체계’를 정당화하는 이념적 근거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주의 국가형태를 세 구분으로 나누었다. 『맑스-레닌주의』의 이념인 스탈린식의 사회주의를 「전형적 현실 사회주의」로, 『맑스-레닌주의』를 유지하면서도 개혁개방을 선택한 국가들은 「개혁 사회주의」로, 그리고 『맑스-레닌주의』를 폐기하고 『주체사상』이라는 자기들만의 이데올로기를 주장하고 있는 북한을 「변형적 사회주의」라고 구분하였다. 현재까지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 변화’에 대한 국내연구는 이데올로기 변화과정을 『맑스-레닌주의』→『맑스-레닌주의』와『주체사상』→『주체사상』 즉 <김일성주의>→<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식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에서 『맑스-레닌주의』와『주체사상』을 순수 이데올로기로, <붉은기사상, 강성대국론, 선군정치론> 등을 실천 이데올로기로 구분하여왔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인식은 북한의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 모두 『주체사상』이라고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초기 『우리식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인 『맑스-레닌주의』와『주체사상』만을 이데올로기로 구분하고, <김일성주의>와 <김일성-김정일주의>는 기조로 구분하였다. <김일성주의>와 <김일성-김정일주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체계를 갖추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주체사상』에 김일성의 정책기조를 넣은 것이 <김일성주의>이며, 김일성과 김정일의 정책기조들을 넣은 것이 <김일성-김정일주의>이다. 또한 시대마다 제시된 ‘붉은기사상’과 ‘선군사상’, 강성대국론’ 등 정치담론들을 실천 이데올로기가 아닌 정책기조로 구분하였다. 이 또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체계를 갖추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주체사상』의 완성은 세 단계를 거쳐 왔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 김일성의 만주항일투쟁에서의 ‘주체’의 신념이 첫 단계로, 1950년대 반 사대주의와 반 종파주의의 ‘주체’이념이 두 번째 단계로, 그리고 1982년 김정일의 ‘수령론’이 추가되어 이론적 체계화의 세 번째 단계를 거쳐왔다. 김정일은 황장엽의 논문인 ‘인간중심의 철학’을 『주체사상』의 본질로, 김일성의 ‘주체’의 이념을 4대 지도적원칙으로, 자신의 ‘수령론’을 사회역사 원리로 하여, 『주체사상』을 정립하였다. 건국 초기 북한은 소련의 영향을 받아 「전형적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의 이데올로기였던 『맑스-레닌주의』를 당의 지도적 지침으로 하고,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지향하였으나, 1990년대에 소련과 동구사회주의 국가들이 몰락하자 『맑스-레닌주의』에서 완전 독립한 『주체사상』만을 지도적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주체사상』은 1982년 3월 31일 김정일 논문 《주체사상에 대하여》에서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었으며, 북한을 「변형적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사회주의로 들어서게 하였다. 『주체사상』은 북한체제의 정책적인 측면과 체제구조를 정당화하는 유일한 이데올로기로 되었으며, 또한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의 핵심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는 김일성일가의 3대세습 권력후계구도를 정당화하는 이론들을 만들기로 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전형적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이 몰락하고, 또한 중국과 베트남과 같이「개혁 사회주의」로 가고 있을 때, 북한은 『주체사상』만을 고집하면서「변형적 사회주의」인 『우리식 사회주의』의 길을 가고 있다. 김정일에 의하여 『주체사상』은 <김일성주의>로 정립되었으며, <김일성-김정일주의>는 김정은에 의하여 정립되어 체제유지를 위한 정책기조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정책기조로 민족주의를 꾸준히 강조하였는데, 김일성-김정일시대에는 <우리민족제일주의>가 김정일시대에는 <조선민족제일주의>로, 김정은 시대에는 <인민대중제일주의>로 선전하고 있다. 이러한 민족주의 선전은 생활고에 지친 국민들의 민심을 잡으려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정치체제를 시대별로 구분하면, 김일성시대와 김일성-김정일시대의 정치체제는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였다. 그러나 김정일시대에 들어서서는 국가체제는 군중심의 선군정치체제로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김정은시대에 들어서서 김정은은 국가체제를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로 복귀시키면서도, 김정일의 정책기조인 선군사상은 그대로 유지하는 정치체제로 통치하고 있다.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가 『맑스-레닌주의』의 이념에 맞는 사회주의인가?,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가 대북제제에도 유지가 가능한 원천은 어디에 있는가?,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가 앞으로 어떠한 변성과정을 거쳐 왔는가?,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체제의 변화를 기대해도 될 것인가? 의 물음에 본 논문을 통하여 해답을 찾으려고 한다. 주제어: 전형적 현실사회주의, 개혁 사회주의, 변형적 사회주의, 맑스-레닌주의, 주체사상, 수령중심 당·국가체제

      • 음양오행이론에 의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피부관리 효과의 비교연구

        안성희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경락이 피부미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음양오행 체질에 따른 경락마사지를 적용하여 비교 실험 연구룰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에서 65세의 여성으로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에 적합한 자를 선정하여 음양오행이론에 의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그룹(실험군)과 일반피부관리 그룹(대조군)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 당 15명씩 총 30명을 확률적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정해진 방법대로 각각 1시간씩 주2회 총4회의 피부관리를 실시하였다. 피부측정은 독일의 Courage & Khazaka Gmbh의 Multi Probe Adaptor systems (MPA5)로 국제학술지에서 인정받는 피부전문분석기기를 사용하였고, 얼굴크기 측정과 탄력도 측정은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 증발도는 볼의 경우 4회 관리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수분 증발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홍반도는 볼의 경우 4회 관리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이마는 3회 관리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얼굴크기는 입꼬리에서 귀문앞의 볼선, 코옆에서 귀문앞의 볼선, 코옆에서 귀위의 볼선 모두 4회 관리 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탄력도는 턱라인의 경우 3회 관리 후부터 증가하였고, 볼길이의 경우 4회 관리 후에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 피부상태 및 주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3회 관리 후에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수분증발도, 탄력도, 색소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2회 관리 후부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 얼굴크기, 통증, 홍반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1회 관리 후부터 4회 관리가 진행되는 동안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이론에 따라 각 사람의 체질을 구분하고 이 이론에 적합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피부관리방법이 일반피부관리방법에 비해 얼굴피부의 수분증발도 감소, 홍반도의 감소, 얼굴크기의 축소효과, 피부탄력도 증가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만족도 또한 일반피부관리방법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락마사지를 보다 과학적이고 학문적으로 임상 연구하여 정확한 체질분석과 이론체계를 토대로 올바른 관리방식이 정립되어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smetic effects of skin care with meridian massage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The treatment-control design was adopted to achieve the purpose and 30 females between 20 and 65 years old who satisfi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Kyounggi province and randomly allocated 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 equally. The subjects of each group were treated according to the pre-established schedule and methods for one hour per day twice a week for two weeks and the skin data were measured by Multi Probe Adaptor systems (MPA 5), and satisfaction data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SPSS WIN 12.0K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isture evaporation in the cheek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Second, erythema in the cheek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and the same effect in the forehead was appeared after the third care. Third, the size of the face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Fourth, the elasticity, of the chin lin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hird care. And the subjects in treatment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skin conditions of face than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kin care method with meridian massage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ere more effective as to reduction in moisture evaporation of face skin, reduction in erythema, reduction in face size, and enhancement in skin elasticity than ordinary skin care method.

      • 朝鮮時代 陶瓷祭器 硏究

        안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eramic ritual vessels(陶瓷祭器),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ritual vessels of the Joseon period, has and how the production of ceramic ritual vessels processed out in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First of all ceramic vessels had an important position in rituals in the Joseon period. Specifically ceramic vessels were used for the five Confucius rites which had been practiced on purposeof reinforcing the royal authority and legitimacy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In the previous period ritual vessels were usually made of metal. However the lack of metallic materials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caused the prevalence of the ceramic ritual vessels in the Joseon dynasty. Also the appearance and popularity of white porcelain made a big influence in the production of ceramic ritual vessels. The rise of ceramic ritual vessels for the national rites may also have had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kiln(官窯), which produced tableware(器皿) in the late 1460s. There are two types of ceramic ritual vessels that were produced in the Joseon period; On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an illustration of ritual vessels(祭器圖說) and the other that has a mixed characteristic of the vessels for ritual and everyday usage. When searched according to an illustration of ritual vessels(祭器圖說) in The law for five rites(Orewi, 五禮儀) and Formality & Protocol Manuals(Euigwae. 儀軌) published since the 15th century, it was found that the ceramic vessels that were usually produced were Bo(보), Gwe(궤), Jak(爵), I(彛), (尊)[Huijun(犧尊), Sangjun(象尊), Chakjun(著尊), Sannoe(산뢰), Sanjun(山尊), Jun(尊)], A cup(盞), An incense burner(香爐), (이). Also the ritual vessels imitating illustration(圖說) and metallic vessels help one better understand the production of the ritual vessels of the King Sejong period, and, as found in the shrine site of the South Sea(南海神祠), were used in the national the Medium Sacrifices(中祀) and the Small Sacrifices(小祀) and the royal worldly sacrificial rites(俗祭). Among the ritual vessels that developed from the vessels for everyday usage are bowl(鉢), dish(皿), and bottle(甁), which usually have letters like Je(祭) or were attached with high and square base identifying as a ritual vessel. Since the spread of the Jooja's principles for home rite(朱子家禮) that instructed the gentry to use everyday vessels for rites, it became common to use everyday vessel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rites. Given the fact that such ritual vessels were used in the royal worldly sacrificial rites(속제), it can be also assumed that the popular way among the gentry may have been applied to the royal Ye(禮) at that time. Also the production of ritual vessels showed varying patterns in different periods and regions, which enabled a chronology of the vessel production. Comparing what have been excavated in the kiln site(窯址), based on what have been mentioned above, I have divided the chronologyof the ritual vessels into 3 periods. In the first period ranging from the early 15thcentury to the late 16thcentury, most of the ritual vessels were the imitations of the metallic vessels with the variations of everyday vessels in very few cases. Until the mid 15th century, when there was no official kiln(官窯) yet all over Gwang Ju, Kyonggido, the ceramic ritual vessels were produced as tributes in each region. At that time most of the ritual vessels were made of the skill with inlay(象嵌) and incised(線刻) buncheong ware(粉靑沙器) and the white porcelain(白瓷) were not very common. One good example of the ritual vessels produced in such way is found in Choonghyo-dong kiln site(忠孝洞窯址)from Gwang Ju, Chollado. On the other hand, in Gwang Ju, Kyonggido, it was not yet common to see the ritual vessels, which imitated the metallic vessels. Between the late 15th century and the 16th century rose the production of buncheong ware with underglaze iron-painting(鐵畵粉靑沙器) and buncheong ware with brushed ornament(귀얄粉靑沙器), and the ritual vessels made out of the white porcelain(白瓷) and showing both simplification and formalization. Such change could have originated from that, since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kiln(관요), buncheong vessels(粉靑沙器祭器) started being used in each regions ceasing to be the tributes to the state. The second period betwee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saw the appearance of the ritual vessels imitating the everyday vessels with the letter of Je(祭) in Gwang Ju, Kyonggido such as Sundong-lee kiln site(선동리요지). These vessels, however, may not have had a common criterion to follow in making, as they vary in the motif and the height. Also while the metallic vessels became increasingly simplified and schematized, serrate design(鋸齒文) and halgup(할굽) coexisted among the everyday ritual vessels, and 백태청유자 continued to be produced. However, the cauldrons in each region that shared a common production skills in the 17th century as shown with underglaze iron painting(鐵畵文) and omokkup(오목굽) do not seem to have any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ritual vessels such as above. It may be because that, during Imjinweran and Byongjahoran, the production of vessels for everyday usag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one for ritual vessels. The third period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hrough the 19th century saw the ritual vessels with underglaze cobalt-blue painting(靑畵) letters that were concentrated in Gumsa-lee kiln site(금사리요지) and Bunwon-lee kiln site(분원리요지) of Gwang Ju, Kyonggido. The vessels produced in this period and area had regular patterns in the height of bases and the shape. Since then this pattern became popular in the making of ritual vessels. Also in Sanbon-dong kiln site(산본동요지) of Gunpo and Guirae2-lee kiln site(귀래2리요지)of Wonju, it was found that the ritual vessels that adopted the style of everyday vessels became prevalent throughout the country. Especially the increasing number of ritual vessels in this period may have been brought by the popularization of yehak(예학)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increase of the yangban in its number. Also unlike the post-19th century the vessels with the letters such as Je(祭), Su(壽), and Bock(福) in this period share a common pattern, which proves the existence of a regulation. 본 논문은 조선왕조의 대표적 儀禮用器였던 陶瓷祭器의 儀禮器로서의 성격과 조형적 특징을 밝히고 도자제기의 생산이 시기와 지역에 따라 어떤 양상을 띠고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 도자제기를 실상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의 의례적 성격을 살핌으로써 도자제기가 의례행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祭禮用器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도자제기는 조선의 건국을 통해 유교 국가로서 禮를 실천하고 왕실에는 권위와 명분을 획득하기 위해 국초부터 실시한 五禮의 준행을 위해 정비된 국가 의례기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제기는 형식적 보수성이 특히 두드러지는 의례용기로서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금속제기가 조선시대 도자제기로 번안된 이유는 고려 말기부터 지속되어 온 금속 원료인 金銀, 銅鐵의 절대적인 부족이 가장 컸다. 또한 당시 새롭게 권위를 나타내는 高級器皿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청화백자를 비롯한 백자의 생산은 금속제기를 도자기로 대체 생산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국가의 의례용기로서 도자제기의 수요가 증가한 것은 1460년대 후반 왕실소용의 기명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官窯의 성립에도 중요한 動因이 되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조선시대 제작·사용되었던 도자제기는 크게 祭器圖說과 부합되는 기종과 기형의 도자제기와 日常用器를 활용한 도자제기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에 15세기부터 편찬되기 시작한 五禮儀와 儀軌에서 보이는 祭器圖說을 기준으로 현존하는 도자제기를 찾아본 결과 보, 궤, 爵, 彛, 尊(犧尊, 象尊, 著尊, 산뢰, 山尊, 尊), 盞, 香爐, 이(주전자) 등이 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圖說과 금속기를 비교적 충실히 모방한 도자제기는 특히 세종연간 명령된 도자제기의 제작·생산과 관련이 있으며, 南海神祠 유적에서 밝혀졌듯이 국가의 中·小祀나 왕실 俗祭에서 사용되었다. 일상용기를 활용한 도자제기에는 鉢, 皿[접시], 甁이 있는데 대부분「祭」와 같은 명문이 있거나 그릇에 높고 각이 진 굽을 부착하여 제기임을 표시하였다. 일상용기가 도자제기로 사용된 것은 사대부는 제기를 燕器, 즉 일상기로 사용하라는《朱子家禮》가 보편화되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생각되며, 특히 왕실의 속제에서도 이러한 기명의 도자제기를 사용한 것이 확인되어 당시 王朝禮에도 사대부의 禮가 적용되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가정을 세우게 되었다. 또한 실제 도자제기가 생산된 지역을 크게 京畿道 廣州 일대의 窯址와 경기도 광주 이외의 요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시기와 지역에 따른 요지별 특징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자제기의 편년도 가능하게 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요지 출토 상황을 비교하여 조선시대 도자제기의 편년을 3期로 나누어 보았다. 1期는 15세기 전반에서 16세기 후반까지로 도자제기의 제작은 금속제기를 모방한 도자제기의 생산을 위주로 日常用器를 활용한 祭器가 극소수 출현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경기도 광주 일대에 관요가 설치되지 않았던 15세기 중반까지는 각 지역의 가마에서 貢納자기의 성격으로 도자제기를 생산하였으며, 이 당시 도자제기의 재질은 象嵌·線刻粉靑沙器가 대종을 이루고 있었고 白瓷는 극히 일부가 제작된다. 전라도 광주 충효동요지가 대표적인 가마다. 같은 시기 경기도 광주 지역에서는 금속기를 모방한 도자제기는 극소수였다. 15세기말부터 16세기에는 鐵畵·귀얄粉靑沙器와 백자로 제작된 이전보다 단순화와 형식화가 진행된 도자제기가 계속해서 생산된다. 이러한 변화는 관요의 성립 이후 더 이상 분청사기제기를 국가에 공납하지 않고 지방에서 대부분 소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2期는 초반을 제외한 17세기 전반 이후 18세기 초반까지의 시기로 17세기 전반 이후 경기도 광주 일대의 선동리요지 등에서는 새롭게「祭」자명이 시문된 일상용기 형태의 도자제기가 생산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때까지 확실한 제작기준은 없었던 듯 문양 시문이나 굽 높이 등이 모두 제각각이다. 한편으로는 점점 금속제기의 간략·단순화와 도식화가 일어나면서 금속기의 특징적 요소만을 차용하여 강조한 鋸齒文이나 할굽 제기가 일상용 제기와 공존하고 白胎靑釉瓷가 계속해서 제작된 시기였다. 그러나 17세기에 鐵畵文과 오목굽의 자기제작이라는 동일한 제작기법을 공유하였던 각 지역의 가마에서는 당시의 이러한 제기제작과는 그다지 관련을 맺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결과 각 지역의 가마에서는 제기와 같은 의례용기보다는 일상생활기명의 제작이 더욱 절실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期는 18세기 전반 이후 19세기까지인데 경기도 광주에서는 금사리요지와 분원리요지를 중심으로 제기제작에 청화로 문자를 시문하거나 2~4cm의 굽 높이와 저부에서 한번 꺾여 올라가는 기형으로 발과 접시 기형에 일관된 조형성을 갖게 된다. 이렇게 굽의 높이를 높이거나 면을 깍은 형태는 이후 보편적인 제기제작방식이 되었던 듯 하며, 군포 산본동요지와 원주 귀래2리요지 등을 통해 일상용기를 활용한 도자제기의 특징적 규범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공유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자제기의 수량이 증가하는 것은 이 시기에 있어 가장 주목되는 점으로 조선 후기 예학의 보편화와 양반신분의 증가, 관요의 생산과 수급의 변화 등 사회변동이 원인이 될 것이다. 또 이 시기 祭·壽·福자문이 있는 기명들은 동일한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19세기 이후 의례용기들 간의 사용에 있어 이전 시기와 달리 엄격한 규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서로 혼용하게 된 결과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

      • Biomechanical Analysis of Manual Operations for Touchscreen Interface

        안성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Human hands are the most sophisticated and functional organ. The human hands are,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and powerful tool to do operations with various hand devices. One of the most common hand devices in the present day would be a smartphone, which is a handheld-sized touchscreen devi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andheld touchscreen devices focused on the thumb operations or reach zones by measuring individual muscle or joint angle. However, they were limited to thumb operations and did not consider grasping. They also did not explain hand motion in the aspect of motor control, which coordinates muscles and joint angles simultaneously. As one of the predominant theoretical frameworks for motor control, dynamic systems theory suggests human motion in the following perspective; a motion is produced from the interaction of subsystems within individuals, tasks,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heory, physical/anthropometrical properties of the human can be one of constraints that limit the movements and the human motion is explained by a concept called “synergy” which is a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ies or joint angle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analyze the hand motions including grasping the handheld touchscreen devices and the thumb operations during performing the representative interactions. Anthropometrical characteristics of hands, as one of the constraints of the hand motion, were considered in the motion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firstly, the hand was classified after selecting hand dimensions which were related to the use of the devices. After dimension reduction, three common clustering methods, k-means, fuzzy c-mean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appli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hand types were defined based o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Secondly, to analyze grasping the handheld touchscreen device, it was required to compare the grasp of the device to other grasps in the existing grasp tax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s were accomplished: 1) defining muscular and postural synergies through dimension reduction technique, 2) identifying the grasp in the existing taxonomy in terms of the synergies, 3) attempting to allocate the grasp of the handheld touchscreen device to the taxonomy and 4) figur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and types defined from the previous part. Thirdly, the thumb operations and the grasp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muscular and postural synergies. Two tasks, dragging and tapping tasks which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actions for the touchscreen devices, were involved in the experiment. Analyzing human motion is helpful to understand motor control strategies.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the research are: better understanding of hand motions for using handheld touchscreen devices, designing better interactions for a smartphone or other small touchscreen devices and applying the synergies defined in this dissertation to design robot hands or prosthetic hands dealing with a problem of degree of freedom redundancy. 손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기관 중 가장 세밀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기관이며, 따라서 가장 효과적으로 기기 및 각종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현 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로 당연 스마트폰을 꼽을 수 있다. 스마트폰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각종 근육 및 손가락 각도를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엄지의 조작 능력이나 엄지의 동작 범위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이러한 주제에만 제한되어 있어, 도구 사용에 기본인 그립에 관해서는 크게 다루지 않았다. 또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손가락의 각도 및 개별적인 근육 사용량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인간이 어떻게 여러 근육이나 손가락을 동시에 제어하는지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는 동작 제어(motor control) 관점에서 분석하지 못하였다. 동작 제어 이론 중 가장 유력한 이론 중 하나인 dynamic systems 이론은 인간의 동작을 사람, 과업 및 주변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설명한다. 이 이론에서는 동작을 제한하는 요소로 인간의 물리적인 신체 조건 및 인체측정학적 요소를 꼽는다. 또한 근육 및 관절이 개별적, 독립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synergy” 라고 일컬어지는 어떠한 조합으로써 제어된다고 가정하며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조작 중 그립 및 엄지의 조작을 포함하는 손 동작을 분석하는데 있다. 동작을 분석함에 있어 손의 물리적인 인체측정학적 요소를 동작을 제한하는 제한 조건(constraint)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손의 치수를 설정하고 손의 형태를 분류하였다. 연구 목적에 가장 알맞은 분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means, fuzzy c-means 및 LPA의 세 가지 분류 기법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후 손의 동작 분석에 이렇게 분류된 손 타입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그립을 정의하기 위해 기존 그립 분류 체계를 검토하고 스마트폰 그립이 어떠한 기존 그립 형식에 해당되는지 확인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스마트폰 그립이 기존 분류 체계에 정확히 해당하지 않아 기존 분류 체계를 재 정의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였다. 1) 실험을 진행하여 muscular synergy와 postural synergy를 도출하였고, 2) 기존 그립 형태를 synergy를 기반으로 재 분석하였으며, 3)스마트폰 그립이 기존 그립 분류 체계에서 어디에 해당되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그립을 포함한 새로운 그립 분류 체계에 손 타입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그립 및 엄지 조작을 muscular synergy와 postural synergy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스마트폰 조작 방식인 tapping과 dragging 과업을 선택하였고, 각 과업은 세부 수준으로 나누어 과업 수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간 동작을 분석하는 것은 동작 제어 전략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연구 의의를 가진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의 손 동작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준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소형 터치스크린 기기를 위한 상호작용 및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자유도 중복 문제와 관련 있는 로봇 손과 인공 손을 설계하는데 본 연구에서 정의된 synergies가 적용될 수 있다.

      • 수열의 극한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MKT분석

        안성희 이화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analyzed knowled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 on the limit of sequence based on specific subject, namely, the MKT concept categorizing knowledge of teacher on mathematics, and has set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to get pedagogical implications on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for class specialty. 1. W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for teaching the limit of the sequence ? 2. W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for teaching the limit of the sequence ? 2.1 What ar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2.2 What ar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KCT)?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issues like this, this research has divided the category of teacher's knowledge into Subject Matter Knowledge(SMK),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and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KCT), and has developed question items for finding out MKT on the limit concept of sequence .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by carrying out a survey with the target of 51 preservice teachers and 27 inservice teachers was executed by utilizing the SPSS for windows 12.0, and characteristics on knowled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a percentage of response and correct answers on each question item.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ould be obtained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 1. The results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n the limit of sequenc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cases that preservice teachers don't describe perfectly about intuitive and formal definitions. Compared to this, inservice teachers described perfectly about intuitive definition and accurately described comparatively about formal defini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an understanding level on the limit concept, mos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ere rightly recognized in terms of the dynamic limit concept related to 'a case getting closer infinitely'. And it could be known that when considering that the dynamic model is mostly selected as a model explaining the limit concept the most, all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ainly have dynamic viewpoints on the limit concept of sequ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ough preservice teachers accurately understood that the limit of sequence is not a value of the last clause, not less teachers are understanding the limit as a limited value, a value incapable of reaching and an approximate value. Compared to this, it seemed that inservice teachers are well understanding that the limit of sequence cannot become a limited value, a value incapable of reaching, a value of the last clause and an approximate value. However, all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tatic limit concept. Ex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inservice teachers ha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tatic limit concept, compared to preservice teachers Third, though all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re showing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erms of a question seeking a limit value by understanding structure of a question and applying the limit concept of sequence , some preservice teachers make a mistake in the calculation process or showed an error in applying definition and character of the limit by grasping structure of a question, so it seemed that they are far from perfect in applying it to the limit concept.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in terms of the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s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n the limit of seque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n the limit of sequence , after seeing errors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limit concept and the limit value's calculation, all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could accurately judge or classify it as the same error. In addition, they have accurately answered comparatively in terms of typical errors of students which appear in the process that applies the vibrating sequence and large & small relations of the sequence. However, there was very few teachers who accurately described about what the reason of errors and mis-concept is and why it was classified like that.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didn't understand well on mis-concept about constant progression capable of being generated from intuitive definition, and were far from perfect in the proper correction guidance on errors of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KC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n the limit of sequence , mos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found out an suitable example for explaining concepts that students think difficultly or found out a suitable question corresponding to the class content. However, they were not grasping accurately abou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hen teaching the limit concept of sequence by using the coordinate plane and vertical line models, and it seemed that they are far from perfect about what they make a question on sequence related to real life.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implic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Even i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SMK) should be a basis for successful class, the knowledge on the limit concept of preservice teachers are generally insufficient. The knowledge on the limit concept of preservice teachers appeared straightly in the class at school, when they became an inservice teacher.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need time to newly learn what knowledge they should have as a teacher through diverse approach besides mechanical and simple algorithm that they learned during high school student days. In addition, the curricula of preservice teachers should compose Subject Matter Knowledge(SMK) by providing a class chance that can consider a link between mathematics learned at high school and learning at college. In addition, as preservice teachers don't have many chances to observe students or contact errors, it is not easy to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which is a practical knowledge obtained through class experience at classroom. Accordingly,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T) could be formed by providing chances that can analyze and think more deeply in terms of difficult that students experience and reasons of errors and mis-concepts, and chances should be prepared to make the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be able to be formed by giving theoretical explanation on effectivenes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s well as actual application opportunities. Inservice teachers appeared to b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domains in case of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amo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t is judged that this is because sufficient research time capable of considering the standpoint of students who learn mathematics due much class quantity and preparation and other much business to is not secured. Accordingly, in order to make students be able to get deep understanding on mathematics, inservic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to have sufficient research time such as design of classes. In addition, a chance of reeducation through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d a systematic device should be prepared to allow teacher training to be achieved, so that alternatives on theories as well as difficulty or limits, etc. being faced in the field can be suggested.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chance of reflective practice to teachers by having a chance sharing individual experience and guiding students based on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s by making chances of exchange between teachers to be achieved practically. A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target of 51 preservice teachers and 27 inservice teachers, so it is difficult that the research results are generalized to overal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country. In addition, as MKT is practical knowledge and receives an effect by various situations and variables, there are limitations in confirming and assessing the knowledge through the questionnaire. Lastly, a research that seek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rough deduction of more accurate and diverse results by analyzing actual class situations on the limit concept should be achieved. 교사 역할과 비중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사 전문성은 늘 화제가 되어 왔고, 전문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PCK는 1980년대 Shulman에 의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지식의 한 영역으로써 정의된 개념이다. Ball과 그녀의 동료들은 Shulman이 제시한 PCK개념은 범교과적이고 일반적이므로 수학이라는 특정한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수학 교사들이 가져야하는 지식의 개념을 MKT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하고, PCK를 MKT의 하위 영역으로 간주하여 수학교사 지식 영역을 세분화하였다. 극한은 고등학교에서 직관적인 정의로서 학습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교사들 역시 극한 개념이 포함하고 있는 무한 개념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설명하는데 곤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박선화, 1998). 대부분의 극한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오류와 오개념을 분석하거나 지도방법을 제시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정작 극한 개념을 가르치는 교사가 어떤 교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식은 옳은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열의 극한 수업의 개선을 위하여 극한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교과, 즉 수학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을 범주화한 MKT개념을 바탕으로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지식을 분석함으로써 수업 전문성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재교육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열의 극한을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SMK)의 특징은 무엇인가? 2. 수열의 극한을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의 특징은 무엇인가? 2.1 내용과 학생 이해에 관한 지식(KCS)의 특징은 무엇인가? 2.2 내용과 교수에 관한 지식(KCT)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지식의 범주를 교과 내용 지식(SMK), 내용과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KCS), 내용과 지도 방법에 대한 지식(KCT)으로 구분하고, 수열의 극한 개념에 대한 MKT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교사 51명과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설문지는 SPSS for window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률과 정답률을 통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지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1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열의 극한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SMK)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직관적 정의와 형식적 정의에 대하여 완벽하게 서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에 비해 현직교사들은 직관적 정의에 대해서 완벽하게 서술하고, 형식적 정의에 대해서도 비교적 정확히 서술하였다. 둘째, 극한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확인한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대부분이 ‘한없이 가까이 가는 것’과 관련된 동적 극한 개념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극한 개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모델로서 대부분이 동적 모델을 선택한 것으로 보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수열의 극한 개념에 대해 동적인 관점이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수열의 극한이 마지막 항의 값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서는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으나 적지 않은 예비교사들이 극한을 한계값, 도달불능 값, 근사값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현직교사들은 수열의 극한이 한계값, 도달 불능값, 마지막 항의 값, 근사값이 될 수 없다는 것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정적인 극한 개념에 있어서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이해가 부족했다. 특히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정적인 극한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고 수열의 극한 개념을 적용하여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높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예비교사들은 계산 과정에서 계산 실수를 하거나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여 극한의 정의 및 성질을 적용하는데 오류를 보여 극한 개념을 적용하는데 있어 미숙한 것으로 보였다. 연구 문제 2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열의 극한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열의 극한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내용과 학생 이해에 관한 지식(KCS)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극한 개념의 이해 및 극한값 계산과 관련된 오류를 보고 정확히 판단하거나 동일한 오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진동하는 수열, 수열의 대소 관계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대표적인 오류들에 대해서도 비교적 정확하게 답을 하였다. 하지만 오류 및 오개념의 원인은 무엇인지, 왜 그렇게 분류를 했는지에 대해 정확히 서술한 교사는 매우 적었다. 또한 예비교사의 경우 직관적 정의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상수수열에 대한 오개념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지 못했고, 학생의 오류에 대한 적절한 교정 지도에 있어서도 미숙하였다. 둘째, 수열의 극한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내용과 교수에 관한 지식(KCT)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적절한 예를 찾거나 수업 내용에 맞는 적절한 문제 잘 찾았다. 그러나 수열의 극한 개념을 좌표평면 모델과 수직선 모델을 사용하여 지도하였을 때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고, 수열을 실생활과 관련하여 문제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도 미숙한 것으로 보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성공적인 수업을 위하여 교수 내용 지식(SMK)이 바탕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의 극한 개념에 대한 지식은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이러한 예비교사들의 극한 개념에 대한 지식은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학교의 수업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에게는 고등학생 때 배웠던 기계적이고 단순한 알고리즘 이외에 다양한 접근을 통해 교사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지식이 무엇인지 새로 배울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배운 수학과 대학에서 배우는 연계를 고려해 보도록 하는 수업 기회를 제공하여 교과 내용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을 관찰하거나 오류에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 교실 수업 경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실천적 지식인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오류 및 오개념의 원인에 대하여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고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KCS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설명뿐만 아니라 실제 적용 기회를 주어 KCT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현직교사는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중에서 내용과 학생 이해에 관한 지식(KCS)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부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수업량과 수업 준비, 그 밖의 많은 업무들로 인해 수학을 학습하는 학생의 입장을 고려할 수 있는 충분한 연구 시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직교사에게는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는 등의 연구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또한 교사 연수를 통한 재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하며, 이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이나 한계점 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교사 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 간의 교류의 기회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교재를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지도해보고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 51명과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 적용하여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또한 MKT는 실천적 지식이며, 다양한 상황과 변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문지를 통해 지식을 평가하고 확인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극한 개념에 대한 실제 수업 상황을 분석하여 더 정확하고 다양한 결과 도출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찾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Mesoscopic Simulation 모형을 이용한 대형 교통망 동적 통행패턴 분석 - 전국 고속도로망을 중심으로 -

        안성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고속도로는 60년대 후반 경인고속도로의 개통 이후 45년간 국가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기여하여 왔으며 개인 소득수준 증가와 함께 국민들의 여가를 담당하는 사회 기반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고속도로는 경제 발전 및 소득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자동차 보급의 증가하면서 만성적인 혼잡을 겪어왔으나 정부의 지속적인 고속도로 건설과 전문가들 및 도로공사의 혼잡 개선에 대한 노력으로 지역 간 이동 제공 기능을 유지하여 왔다. 하지만 국내 고속도로가 망 체계(Network System)를 갖추고 일 통행량도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속도로 통행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갈수록 증가하였다. 즉, 다양한 교통 운영 정책, 이용자들의 교통정보 이용 확대와 국민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시간 증대 등에 따른 통행목적의 다양화, 다양한 통행요금제의 도입 등으로 혼잡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 기법이 더욱 정교해져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간적으로 고속도로망이 망 체계를 갖추어지면서 지역 간 이용 가능한 경로가 증가하고 있으며, VMS (가변정보판, Variable Message Sign)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경로 선택 효율화 및 우회경로 정보제공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현재 이러한 경로기반 분석을 고속도로 망에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현재 고속도로 분석 체계의 또 다른 문제점은 포괄적인 동적 분석이 어렵다는 점이다. 동적이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고속도로 교통류분석에서는 교통류의 시간적 집중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이다. 현재 고속도로 분석에는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 (Micro Simulation Model)과 거시적 정적 모형 (Macroscopic Static Model)이 이용되고 있는데 미시모형의 경우 전체 고속도로망 분석이 불가능하고 개별 도로 구간에 대한 분석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영향이 광범위한 교통 운영기법의 효과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그 원인을 시공간적으로 확대하여 근본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각 지점별로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통합적이고 근본적인 혼잡 개선 전략을 수립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TCS (Toll Collecting System) 기종점 자료는 통행패턴을 정확히 포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자료를 직접 시뮬레이션 입력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 요금소간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교통망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동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일과 주말의 통행패턴을 재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고속도로 전 구간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고속도로 운영전략이나 교통정보 제공전략을 고도화할 수 있는 것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a simulation model is widely being used in transportation. A macroscopic simulation model has been used during several decades as a planning tool, and a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is also popular in the transportation engineering field. In this analysis, a new type of simulation model is tested. A mesoscopic simulation model is relatively not popular in the transportation field. It requires more detail input data comparing to a macroscopic model, but it cannot give a more descriptive and realistic result than a microscopic one. Although those shortcomings, it can simulate a wide area in a time-dependent way. Because of this respect, a mesoscopic simulation model is selected for simulating the whole Korean highway network. The Korean highway network is an idea site for testing mesocopic simulation model’s practical application. From the automatic toll collecting system (TCS), dynamic OD (origin-destination) data are gathered. In addition, travel speed data and observed link flow data are also collected from FTMS (Freeway management system). The Nexta is selected as a simulation model and a whole highway network is constructed in a Nexta input format. Link attributes are set based on the real data. With this data, it is possible to make dynamic OD table. The estimate OD flows are validated with the gap between simulated link flows and observed link flows. On the major road sections, the simulated flows show the similar patterns and values with the field values. Another advantage of using a mesoscopic model is that it is able to investigate a path flow pattern. Based on path flows, the impact of traffic operation scheme can be studied. In addition, link analysis at several highway segments are given. The study shows a simulation-based traffic analysis is effective tool for transportation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