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웨슬리의 성화와 자크 데리다의 대리보충 : 포스트구조주의적 해석

        안상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Why should we bring Wesley’s sanctification against justifica–tion? When our understanding is based on sanctification, what does Derrida’s supplement expand the meaning and hermeneutic horizon of sanctification? This thesis begins with two key questions, I would like to respond the critical analysis and questions through Derrida’s hermeneutic attempt toward Wesley's sanctification. Based on Wesley's understanding, the supreme goal of Luther's salvation is justification which discovers and appropriates the grace and forgiveness of God. Therefore Luther describes that the whole life of the new people, the believing people, the spiritual people, is this: with the sigh of the heart, the cry of the deed, the toil of the body to ask, seek, and pray only for justification ever and ever again until our death. For Luther, justification by 'sola gratia(grace alone)' is the end, the goal of salvation. This thesis having the viewpoint of Wesley, brings up a critical analysis upon Luther’s justification The emphasis on justification of Luther make it unnecessary that holiness effort and good works in order to be saved. As the salvation is only justified by God, Luther could conclude that all human efforts are equally far removed from divine perfection. However, Wesley describes that great salvation of God is not only justified, thereby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the new life, but opens up unimagined possibilities of growth in grace. In Wesley, God's salvation goal is to create new being and to transform us to be the image of God. This is the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In Derrida’s term, persuing only for justification signifies self-identity to faith. As if justification is fixed, it is brings up consequences of closed-faith to experience, producing only identifical meaning all th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be going on Wesley’s sanctification which seeking wide horizon and possibility of salvation. Nevertheless, Wesley’s sanctification has a large number of boundaries and riskiness. According to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grace is an intervention to remove sin. This seems to imply that sin is a substance which is to removed by grace. So, Wesley falls back on a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explain both sin and grace operative in sanctification. It confines dynamics sanctification which go on for wide horizon, again, return to repetitive rule system and thus close in structural idea, reinforcing the rule system. Sanctification would be never repetitive rule system or structure that sin as substance is to be removed by grace. Therefore, It brings up the reason, why we need to interpreted sanctification from the view of post-structuralism. In particular, Derrida’s ‘supplement’is similar to the idea of ‘sanctification’, and it surpassing to further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conclude, the attempt of reinterpretation on Wesley’s sanctification through Derrida’s ‘supplement’ is discovering and appropriating the attributes of supplement in sanctification, it penetrates self-identity principle, in order to surpass its idea and situation. 우리는 왜 칭의에 맞서서 웨슬리의 성화를 가져와야 하는가? 데리다의 대리보충 개념을 통한 성화의 재해석은 어떠한 의미와 해석학적 지평을 확대시키는가? 본 논문은 핵심적인 앞의 두 질문을 갖고 시작하며, 웨슬리의 성화를 향한 데리다의 해석학적 시도를 통해 앞에서 제기된 문제의식과 질문으로부터 대답하고자 한다. 웨슬리가 본 루터의 구원에 있어서 최상목표는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발견하고 일어서게 하는 칭의이다. 따라서 루터는 새사람 곧 영적 사람은 마음의 눈과 행동의 부르짖음, 육신의 노고와 더불어 죽음의 시간에 이르기까지 거듭거듭 오직 칭의만을 찾고 추구해야 함을 기술한다. ‘오직 은혜만으로’로 이루어지는 칭의는 구원의 종착점이며 목적이 된다. 여기서 본 논문은 루터가 강조했던 칭의에 대해서 웨슬리의 시각을 갖고 첫 번째 문제제기를 던진다. 루터의 칭의에 대한 강조는 구원을 얻기 위한 인간의 선행과 거룩이라는 어떠한 노력도 필요 없게 만든다.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의로부터 난 것이며 인간의 모든 노력과 행위는 신적 완전과 완전히 떨어져 있다고 결론지어 버린다. 따라서 웨슬리에게 있어서 칭의만을 계속 추구하는 것은 마치 구원의 영역을 제한하며 어떠한 구원의 목적도 잃어버리게 만들어버린다고 보았다. 이에 칭의를 구원의 목적으로 보지 않는다.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은 우리를 위하여 단순히 의롭게 할 뿐만 아니라, 새 삶을 위한 터전을 준비함으로 성장해 나갈 형용할 수 없는 가능성들을 열어 놓으신다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하나님의 구원 목적은 하나님의 형상이 된 우리를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며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웨슬리의 성화이다. 칭의만을 추구하는 것은 데리다의 용어를 빌려 말하자면 신앙의 자기 동일성, 곧 정체성(停滯性)으로서 매번 동일한 의미만을 경험하기 위해 추구하며 변화를 모르는 패쇄된 신앙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구원의 넓은 지평과 가능성을 추구하는 웨슬리의 성화로 나아가야하며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웨슬리의 성화는 많은 한계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독특하게 웨슬리는 성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죄를 완전히 제거하며 깨끗하게 하는 것으로 여긴다. 즉, 이것은 마치 죄가 하나의 실체로서 영혼 안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실체론적인 견해를 가져온다. 완전 성화 안에서 죄와 은혜가 어떻게 활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다시금 실체론적인 형이상학으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이러한 이해는 넓은 구원의 지평으로 향하게 하는 동적인 성화를 다시금 기존의 규칙체계로 환원시키며 체제 자체를 강화시키는 구조적 사유 안에 갇히게 만든다. 결코 성화는 실체하는 죄를 은혜가 제거해야하는 반복적인 규칙의 체계 또는 구조가 아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가 웨슬리 성화를 포스트구조주의 관점에 봐야만 하는 이유를 가져오게 한다. 특별히 자크 데리다의‘대리보충’은 ‘성화’의 사유방식과 유사하며 더 나아가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뛰어넘는 수행을 가져온다. 즉, 웨슬리의‘성화’를 데리다의 대리보충의 개념 중심을 통해 해석학적 시도를 이루는 것은 성화 안에 갖고 있는 대리보충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이며 이를 재해석함으로 성화가 갖고 있는 신앙의 정체성, 자기 동일화의 원리로부터 뛰어넘고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 去來的·變革的 리더십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 : 光州地域 綜合流通業을 中心으로

        안상록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광주지역유통업에 근무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이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더불어 상황요인-부하의 특성, 직무의 특성, 조직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인식에 출발했으며,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했던 상황요인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극대화함으로써 급속하게 변화하는 유통업의 경영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 위기상황에서, 그리고 현재에 들어 더욱 효과적이라는 변혁적리더십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거래적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의 효과를 상황요인이 고려된 상황에서 수평 비교하였다. 표본은 광주지역 유통업에 종사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응답자 10명을 제외한 290명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명을 제외시키고 전체286명의 결과를 실증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독립변수인 리더십유형별 요인과 조절 변수인 상황요인,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종업원의 직무만족에는 거래적리더십 보다는 변혁적인리더십이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상황에 따라서는 즉, 부하직원들의 훈련정도나 개인차에 의해서는 리더십을 발휘하기보다는 상당량의 권한부여(Empowerment)를 통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함이 밝혀졌다. 그리고 유통업 매장과 같이 업무의 정형화가 이루어진 곳에서도 권한부여(Empowerment)를 통한 직무의 수행이 훨씬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셋째, 상황요인 중 조직요인에 해당하는 상하급자의 공간적인 거리나 업무의 엄격한 규칙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조절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론의 일반화 문제로 표본의 대상자가 광주지역에 한정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지역적 확장과 직종의 확장을 통해 일반화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통업의 리더와 부하직원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리더와 부하직원을 구분하지 않았다. 그래서 응답자중 리더에 해당하는 사람이 응답함으로 인해 설문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리더에 해당하는 사람과 부하직원을 구분하여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는 각 변수들을 일정시점에서 측정함으로 인해서 평가의 일반적인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최근효과에 대해서 통제하지 못했다. 그래서 종단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운사이징이나 감량경영으로 종업원의 지위불안을 해소 할 수 있도록 최고경영자의 선언적인 지위보장과 미래에 대한 비전의 제시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고객보다도 고객과 접하는 고객접점의 종업원만족을 기업의 최고가치로 삼아야 할 것이다. 둘째, 종업원에 대한 권한부여(Empowerment)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부하직원이 해당업무에 대해서 충분한 교육·훈련을 받았고, 업무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다' 하더라도 제도적인 측면 즉, 조직의 상황요인으로 분류한 상사와의 공간적인 거리나 재량권이 배제된 업무처리 방식의 강요는 오히려 부하직원의 창의성을 차단하고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거래적리더십보다도 훨씬 효과적임이 입증된 변혁적리더십이 제대로 효과를 내지 못함은 각 개별 기업의 제도의 중요성을 밝혀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cognition of how the managers' leadership patterns of Kwangju local distributions affect situational factors - subordinate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has passed the moderate effect of situational factors,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the way of solution for the managerial problem of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to enhance a service quality and maximize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moderat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As a previous work result, this research has been compared horizontally being considered the situational factors as a moderate variable of the effect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verify the need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s much more effective in a peril situation.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has been induced from the present work. The sample size was 300 who are in the distribution affair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earch, 286 survey instruments has been selected and operated as a empirical data because of the unanswered 10 instruments and unreliable 4 instruments.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tr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leadership pattern as a independent variable, situational factors as a moderate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for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Second, empowerment is much more effective than leadership in some situation according to the employees' training degree and personal difference. Finally, among situational variables, space distance and job affairs' strict rule between high and low emplyees as organizational factors have not been proved the moderate effect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objectives of this sample were limited in Kwangju area, so further research needs to expend a various cities and vocations for the generalization of this research. Second, for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of the distribution, this research has not splitted them. So can't deny the low reliability of this results. Future research should be analyzed separately. Finally, this research has been surveyed in a time. So couldn't control the recent effect. Longitudinal study should be expected for the further research to enhance the generaliz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as industrial dullness has been persistent since IMF crisis, top manager should present his employees' waranted position and their vision for the future. For instance, worldwide distributional Wal-Mart has focused on its' employees'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meeting their customers rather than its' customers. The top value of Wal-Mart made present international business. It gives much implications to our distributional managers. Second, we need to expend the empowerment toward employees which is widely spread in recent companies. As presented results of this study, although the employee who received en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satisfied his/her job, organizational aspects has been blocked the employees' creativeness. And the organizational importance of each company has been stressed as the pro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doesn't turn out actually effective.

      •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상록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types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on the OCB of civil servants an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s and OCB. The sampling unit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civil servants working in the headquarter buildings of 5 gu Offices in Gwanju Metropolitan City, and the leadership types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were limited to those of the heads of 5 gus, who won the 6th Local Election in 2014.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descriptive analysis of the variables, the average scores of SL, Empowerment, and OCB were found to be highest in Nam-gu and lowest in Buk-gu among the 5 autonomous regions (Dong-gu, Seo-gu, Nam-gu, Buk-gu, and Gwangsan-gu.)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SL, Empowerment, and OCB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re as follows: ① Male civil servant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ones in Empowerment and OCB. ② The civil servants who were in their 20s and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were found to have the mean difference. ③ No difference was found in SL, Empowerment, and OCB according to the civil servants' academic backgrounds. ④ The mean difference was found in SL and OCB among the civil servants with 8th and 5th job grade and in Empowerment among those with 9th and 5th job grade. ⑤ The mean difference was found in SL among the civil servants who have from more than 10 years to less than 15 years of job careers and those who have more than 30 years of job careers and in Empowerment and OCB among those who have less than 5 years of job careers and those who have more than 30 years of job careers. ⑥ The greates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SL, Empowerment, and OCB among the civil servants who are working in Nam-gu and Buk-gu.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of the hypothese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SL on OCB with empowerment as the mediating factor are as follows. ①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1, SL was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OCB according to the periods of work and the places of work and negative (-) effects on it according to the genders. ②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2, SL was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job grades and the places of work. ③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3,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OCB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places of work. ④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L on OCB, the independent variant SL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ediating variant Empowerment in the first phase model while the independent variant SL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CB in the second phase model. Last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mediating variant Empowerment and the independent variant SL on OCB, they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i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SL in the third phase to those in the second phase, their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o have been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SL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OCB. Second, given that there have been only a few prac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SL in Korea despite the heightened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 and OCB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at between their variable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studies that demonstrated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among the studies previously on the effects of SL on OCB. In addition, this study has its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it clarified for the first time in its kind the mediating role of the Empowerment between SL and OCB of public organizations. Fourth, it was found that different leadership styles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lead to the difference in SL, Empowerment, and OCB.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e difference in SL, Empowerment, and OCB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s, age groups, job grades, and periods of work. Thus,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need to recognize this difference and exercise their leaderships employing their own methods. Secon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SL and OCB were the ethical behavior vari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enhance the ethical behaviors of servant leaders as well as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o illuminate the ethical virtues (competencies) that civil servants must possess. Third, Empowerment was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SL and OC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operating the organizations through enhancing Empowerment in the way that it contributes to their effective oper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different leadership styles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led to the difference in SL, Empowerment, and OCB.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ir leaderships according to the places from which they came, and it is necessary to predict all possibilities in finding the ways to exercise their leaderships, considering that even the same places may produce different leaderships.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상위관리자의 서번트리더십이 공무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리더십 유형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표집단위는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 5개 구 본청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의 기술통계학적 분석에서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의 경우 5개 자치구(동구·서구·남구·북구·광산구)의 평균은 남구가 가장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북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의 차이의 경우, ① 성별에서는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 부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② 연령에서는 20대와 50대 이상이 평균 차이로 나타났다. ③ 학력에서는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④ 직급에서는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경우 8급과 5급, 임파워먼트의 경우 9급과 5급이 가장 큰 평균차이를 보였다. ⑤ 근무기간에서는 서번트리더십의 경우 10년 이상-15년 미만과 30년 이상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의 경우 5년 미만과 30년 이상에서 평균차이를 보였다. ⑥ 근무기관에 따른 차이에서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의 경우 북구와 남구가 가장 큰 평균차이를 보였다. 셋째, 서번트리더십이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각의 가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① 가설1을 검증한 결과, 서번트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근무기간과 근무기관에 따라 조직시민행동에 정(+)영향, 성별에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가설2를 검증한 결과, 서번트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직급과 근무기관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가설3을 검증한 결과, 임파워먼트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근무기간과 근무기관에 따라 조직시민행동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가설4를 검증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독립변수인 서번트리더십이 매개변수인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서번트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수인 임파워먼트와 독립변수인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와 서번트리더십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번째 단계의 서번트리더십의 효과도 2단계와 비교한 결과 매개효과의 영향이 검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특히 서번트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그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서번트리더십에 관한 실제적인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단체장과 상위관리자의 서번트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조직시민행동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를 검증하고, 변수들 간의 경로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이 연구의 결과는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힌 기존 국내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조직에서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임파워먼트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임파워먼트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별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이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체장과 상위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의 집단 간 차이분석에서 성별·연령·직급·근무기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어 조직의 리더인 단체장과 상위관리자는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할 때 이러한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각각의 다른 방식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수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변수는 윤리적 행동 변수였다. 따라서 단체장뿐만 아니라 상위관리자인 서번트 리더의 윤리적 행동을 고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공직자가 꼭 갖추어할 윤리적 덕목(역량)에 대한 조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임파워링된 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으로 조직의 효과적인 운영에 기여하게 된다. 넷째, 광주광역시 소재 5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단체장과 상위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서번트리더십·임파워먼트·조직시민행동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출신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출신성향이 같을지라도 차이가 발생한 것을 볼 때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충분히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노인의 생활체육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안상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Effect of The Old People's Sports Activity on Leisure Satisfaction - The Case of Gwang-Ju City An, Sang-Rok Advisor : Professor Lee, Young-Sun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Policy, Graduate School of Policy, Chosun University People as usual will be undergoing aging process of lowering social activities under the interactions of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akness. So, leisure activities are likely to pave the way to chances to fulfill elderly life through enlightening the meaning of human life again.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ports of the elderly and their leisure satisfaction based on the case of Gwangju city. The results from it are expected to provide significant policy suggestions for the elderly policy of Gwangju city. To that end, this study surveyed the elderly(over 65 aged) who are active in the physical from October 9th to 13th on the basis of one-to-one encountering.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at ar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18.0 versi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concerning the activity difference factors like participation period and hours, the male elderly comparatively outnumbered the female. Second, the elderly with spouse are higher than the one without better half in all factors of leisure capability, leisure cognition, leisure experience, and leisure concentration. The old with the monthly income were more satisfied in them than the one without it. Third, as for the co-relations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drawn : namely, between leisure capability and leisure cognition, leisure capability and leisure experience, and leisure cap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Fourth, regarding the effect of sports activity on leisure satisfaction, participation frequency has influence on leisure cognition, leisure experience, and leisure concentration, but participation hours and time don't have enough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study, based on study findings above, suggests the policy suggestion as following. First, local education centers with education expertise are required to provide the elderly with more systemic sports programs. They will create employment security of the expertise one the hand, reinforcing visiting the elderly in the elderly halls and centers on the other. Second, a physical agency for the elderly only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needed to initiate a long-term plan for activating elderly sports. Last but not least, we have to consider the milieu around th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This study also has several limitations. More studies on the interactions of the elderly in detail are needed beyond the mere statistical analysis along with the focus on any specific arena concerning elderly activities. Furthermore, various social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elderly sports activities are in need. 노인의 생활체육의 참여는 개인의 삶을 연장하고 삶의 내용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인간적 가치와 진정한 삶의 의미를 깨닫고 여가 시간의 가치 있는 활용을 위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을 건강하고 윤택하게 해 준다 본 연구는 먼저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노인의 여가만족 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고, 노인의 생활체육참여가 노인의 여가만족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광주광역시 노인정책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위해 본 연구는 2013년 9월9일부터 9월13일까지 5일간 설문대상자와 일대일로 읽고 답하는 방식으로 광주광역시 생활체육회 동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통계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이러한 조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의 생활체육참여의 차이가 어떤 변인에 의해서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남자가 여성보다 차명기간, 참여시간 등 생활체육참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여가만족의 차이가 어떤 변인에 의해서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여가유능감, 여가인지, 여가경험, 여가몰입에서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배우자가 없는 노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여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 수입이 있는 노인들은 여가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의 참여와 여가만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유능감과 여가인지, 여가유능감과 여가경험, 여가유능감과 여가몰입 간에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의 참여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참여회수는 여가인지, 여가경험, 여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시간과 참여기간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사회가 진전될수록 의료복지에 대한 국민기대치와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국가 예산만으로는 이 같은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국민들이 생활체육에 적극 참여하면 의료비용은 줄고, 기업생산성은 높아진다. 생활체육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의료비 절감액은 연간 3조원에 이르며, 생산성증가 등 경제효과를 감안하면 16조원이 넘는다. 이런 경제효과를 감안하여 생활체육에 투자하면 국가적으로 엄청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노인의 생활체육참여는 여가만족으로 이어지며 이는 곧 생활만족도향상을 가져온다. 즉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 전담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역별 교육기관을 설치하여 전문교육을 받은 지도자를 배출 및 배치함으로써 직업 안전화를 구축하고, 복지관이나 노인정 등 직접방문을 통한 노인생활체육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정부차원의 노인 체육전담기구가 설치되어 통합적 차원의 중장기대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노인 생활체육에 있어서 필요한 제반 환경들에 대한 실제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생활체육 전반에 걸친 노인들의 활동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지만, 하나의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노인 생활체육에 관하여 다양한 사회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