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李白의 飮酒詩 硏究 : 安史의 亂 時期를 中心으로

        안금란 순천향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李白,字太白,号清莲居士,称为"诗仙"。 李白一生关心国事,希望为国立功。终未能在政治上不志,但在诗歌方面取得了突出的成就,他继承了屈原的浪漫主义传统,达到了浪漫主义诗歌的最高峰。 李白的诗歌现存100余首,其中有278首饮酒诗,本文以内容为根据,把安史之乱之后的29首饮酒诗划分为友情,朝庭,自然 三个部分, 进行了进一步分析。 关键词: 李白、政治抱负、夜郎、漫游、鹏鸟、长安

      • 국내 다중이용시설과 침수주택의 실내공기 중 진균 농도 및 다양성

        안금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금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방식 및 거주 환경 등은 과거와 달리 많은 변화가 있다. 특히 도심권 주민들의 경우 하루 중 9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환경에서 보내는 시간이 매우 많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질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건강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관리되어야 하는 하나의 사안이 되고 있다. 실내공기오염물질로는 각종 가스상 물질, 방사선물질,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석면, 담배연기 등의 오염원과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학적 오염원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2003년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제정되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공기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생물학적 오염원은 총부유세균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실내의 부유진균은 감염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천식, 피부염을 유발시키고 독소를 배출하여 호흡기에 위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요구되는 오염원이지만 아직 이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국내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다중이용시설 및 침수주택 등 여러 시설의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조사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다양한 시설 (병원, 보육시설, 일반주택, 침수주택 등)에서 ISO 16000-18에 따른 진균 검출법인 충돌법과 배지배양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포집 진균의 종 분석은 형태적, 생리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중이용시설 중 실내부유진균 농도는 찜질방과 지하철역에서 높았으며, 찜질방, 여객터미널, 지하철역의경우실외보다 실내의 부유진균 농도가 높았다. 또한 자연환기 방법으로 환기를 시키는 건물에서 부유진균 농도가 높았다. 조사된 시설에서 전체적으로는 WHO 권고기준인 500 CFU/m3를 초과하지는 않았으나,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지하장례식장 등이 속하는 지하시설그룹의 경우 실내·외 진균 농도비는3.6으로서실내에 부유진균이 상당히 오염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91개 시설에서 부유진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총 77속 168종이 동정되었다. Alternaria tenuissima가 분리균주전체의 8%를 차지하여 분리빈도가 가장 높은 종이었다. 동정된 168종 중 인체에 위해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각 종의생물안전등급을 조사한 결과21종이 어린이나 노약자, 면역저하자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BSL2등급이었다. 이런 결과는 위해성 있는 진균 종이 실내공기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2013년 9월부터 2014년 3월까지 20채의 침수주택을 대상으로 부유진균 시료를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사 계절 모두 WHO 기준인 500 CFU/m3를 초과하였다. 가을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 실내 부유진균 농도가 실외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측정한 부유진균 농도를 주택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모든 분류 기준에서도 WHO 기준인 500 CFU/m3를 초과함을 알 수 있었다. 침수주택 중 같은 지역, 같은 건물, 같은 층에 위치한 두 가정집을 비교한 결과, 계절에 상관없이 A 가정집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A 가정집이 B 가정집보다 진균의 피해면적이 넓었고 실내공기 중 부유진균 농도 또한B 가정집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부유진균 오염에 습도가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47개의 민감군시설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실내공기 중 부유진균 농도는 매우 낮았으나, 개개의 시설별로 보았을 때 1개 이상의 시설이 WHO 기준인 500 CFU/m3를 초과함을 알 수 있었다. 민감군시설에서 분리·동정한 진균들 중 알레르기 유발균인 Cladosporium cladosporioides가 우점종이었다. 2010년 6월과 2011년 3월에 각각 14개보육시설과 20개 상업용PC방의 실내공기 중 부유진균 농도를 공기청정기 사용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용 전은 WHO 기준인 500 CFU/m3를 초과하지 않았으나, 14개의 보육시설의 실내공기 중 부유진균 농도가 실외보다 높았다. 공기청정기 사용 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실내의 부유진균 농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공기청정기 사용이 부유진균의 오염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64채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가정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여름과 겨울에 실내공기 중 부유진균 농도가 실외보다 높았으며, 여름과 가을, 겨울에 공통적으로 C. claodsporioides가 우점종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조사 대상 아토피피부염 환자 가정집에서 사용 중인공기청정기로부터필터를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실내공기에서 분리한 부유진균이 필터에도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약 10년간 실내공기에서 분리한 부유진균을 동정한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총 3920개의 진균을 분리하였으며, 총 98속 233종을 동정하였다. 이는 다양한 시설 내 공기중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부유진균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국내 최초의 결과이다. 진균 분류학적으로 자낭균문이 83.2%, 담자균문은 15.88%였고, 접합균문 0.02%, 난균문이 0.004%로 존재하였다. 자낭균문 중 Penicillium spp., Aspergillus spp.가 속하는 Eurotiomycetes가 40.2%를 차지하여 실내공기중에 우점으로 존재하는 진균이었다. 담자균문 중에서는 Trametes종들이 속하는 agaricomycetes가 91.89%로서 우점 진균이었다. 종 수준에서는 Penicillium속에 가장 많은 종이 존재하였고, P. aculeatum, P. brasilianum, P. chermesinum 등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233종 중 우점정도는 Alternaria tenuissima가 11%으로 우점이었으며, P. funiculosum 10%, Aspergillus niger 6% 등의 순으로 존재하였다. 동정된 233종의 진균 중 총 33속 44종의 진균이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진균임을 학술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중 9종이 Penicillium속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Aspergillus 속과 Periconia속 등에 순서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국내의 많은 시설의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진균은 매우 다양하고 인체 위해성에 영향을 주는 종도 상당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실자의 생활습관, 건물의 특성 등 다양한 영향에 의하여 부유진균의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실내공기 오염원으로 부유진균의 관리가 필요함을 명백히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장기적인 조사를 통해 국내 실내공기중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에 대한 충실한 기초자료를 도출 한바 향 후 건물의 실내공기질 관리에 있어서 부유진균을 관리하는데 요구되는 과학적 정보로서 뿐만 아니라 진균의 인체위해성 평가, 진균으로부터 건물보존, 항곰팡이성 실내환경 소재 개발 등관 관련 된 국가 환경정책수립과 산업발전에 있어서도 필요한 정보로서의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 보육시설의 실내공기 중 세균의 농도 및 다양성

        안금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실내·외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의 종류와 분포 농도 및 위해성을 알아보고자 2008 년과 2009 년, 6~8 월 사이에 6 개 도시의 18 개 보육시설 내 공기 시료를 채취하였다. 18 개의 보육시설 중 10 개의 시설에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의 유지기준인 800 cfu/㎥를 초과하였다. 2008 년의 최대 부유세균 농도는 1.68×103 cfu/㎥이었고, 최소 부유세균 농도는 1.84×102 cfu/㎥이었다. 평균 부유세균 농도는 7.32×102 cfu/㎥이었다. 2009 년의 최대 부유세균 농도는 1.34×103 cfu/㎥이었고, 최소 부유세균 농도는 7.06×102 cfu/㎥이었으며, 평균 부유세균 농도는 1.12×103 cfu/㎥이었다. 그리고 세균의 농도 측정 후 분포하는 세균의 종 동정을 위해, 순수 분리하였고, 순수 분리된 세균은 종 동정 위해 MIDI(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를 이용한 지방산을 분석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위해 PCR을 이용하여 16S ribosomal DNA 증폭 및 분석 하였다. 결정된 16S rDNA 염기서열은 NCBI GenBank database에 등록된 세균의 16S rDNA 정보를 바탕으로 blast N search tool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지방산 분석 결과와 종합하여 최종 세균을 동정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18 개 보육시설에서 채취된 실내공기 내에 분포하는 세균은 총 35 속 78 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8 년에 분리 동정한 우점종 세균은 Micrococcus luteus, M. lylae, Staphylococcus cohnii였고, 2009 년에는 M. luteus, M. lylae, Brevibacillus choshinenesis였다. 특히 M. luteus과 M. lylae는 2008 년과 2009 년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M. luteus는 2008 년과 2009 년에 걸쳐 우점종 이었다. 위해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8 년과 2009년 분리한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2008 년에는 그람 음성균은 35 %, 그람 양성균은 65 %였으며 2009 년 그람 음성균이 25 %, 그람 양성균이 75 % 이었다. 인체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육시설에서 동정된 세균의 BSL(Biosafety Level), 다제약재내성(Multi-drug resistance), 독소생성과 인체 위해성 균을 참고문헌을 조사하였다. 18 개 보육시설에서 동정된 세균 78 종 중 7 종이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또는 노인들에게 병을 일으킬 수 있는 BSL2 등급임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다제약재내성 세균(MDRB, Multi-drug resistant bacteria)은 인체에 위험한 세균으로 본 연구에서는 4 종(Acinetobacter baumannii, Klebsiella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이 다제약재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7 종(Acinetobacter baumannii, A. calcoaceticus, Bacillus cereus, Klebsiella pneumoniae, Moraxella osloensis,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의 세균이 독성을 생성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체 위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세균 12 종(Acinetobacter baumannii, A. calcoaceticus, Bacillus cereus, B. pumilus, Klebsiella pneumoniae, Kocuria rosea, Micrococcus luteus, Moraxella osloeasis, Staphylococcus aureus, S. cohnii, S. epidermidis, S. hominis)이 동정된 세균 내에 존재하였다. 위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보육시설에 다양한 세균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이었으며, 이들 분리 동정된 세균은 인체 위해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꾸준한 실내공기 질 관리가 필요함을 예시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보육시설 내, 실내 공기 질에 관련한 세균의 농도 및 종 동정에 관한 최초의 연구 사례이다”. To understand species diversity, bacterial concentration, and human effect of air-bone bacteria that are present in the air of daycare centers during summer times, indoor air and outdoor air were sampl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Air sampling was performed from June to August in 2008 and 2009, respectively, in 18 daycare centers which were located in six different cities in Korea. Total bacterial concentration(TBC) was over the Korean indoor air quality(IAQ) standard value (800 cfu/㎥) in ten of 18 daycare centers. Average TBC was 7.32x102, maximum TBC was 1.68×103 cfu/㎥ and minimum TBC was 1.84×102 cfu/㎥ in 2008. While in 2009, average TBC was 1.12×103 cfu/㎥, maximum TBC 1.34×103 cfu/㎥, minimum TBC was 7.06×102 cfu/㎥. For the species determination, obtained bacterial colonies were purified into single cology and subjected to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MIDI) and 16S ribosomal DNA analysis. A total of 35 genera and 78 species were identified form indoor air of the 18 daycare centers. Micrococcus luteus, M. lylae, Staphylococcus cohnii were frequently isolated in 2008 and M. luteus, M. lylae, and Brevibacillus choshinenesis in 2009. Micrococcus luteus and M. lylae were major species. The ratio of Gram positive bacteria was 65% and Gram negative bacteria 35% in 2008. While in 2009, The ratio of Gram positive bacteria was 75% and Gram negative bacteria 25%. Among the identified 75 species, seven species were found to be Biosafety Level(BSL) 2 and 4 species(Acinetobacter baumannii, Klebsiella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wer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 addition, 7 species (Acinetobacter baumannii, A. calcoaceticus, Bacillus cereus, Klebsiella pneumoniae, Moraxella osloensis,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are know to produce toxin and 12 species (Acinetobacter baumannii, A. calcoaceticus, Bacillus cereus, B. pumilus, Klebsiella pneumoniae, Kocuria rosea, Micrococcus luteus, Moraxella osloeasis, Staphylococcus aureus, S. cohnii, S. epidermidis, S. hominis) were reported to cause disease in human. The results of this work demonstrated that diverse bacteria exist in daycare centers and some of them are risk bacteria which give rise to affect on health problem with week immunity such as child or senio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roper IAQ management is required in daycare centers, especially in summer. This study is first report on broad investigation of bacterial concentration and diversity in indoor air of daycare centers in summer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