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진행상 습득에서 영어권 학습자의 언어간 영향 연구 : ‘-고 있-’과 ‘-는 중이-’를 중심으로

        안경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진행상 습득에서 ‘-고 있-’과 ‘-는 중이-’를 영어의 진행상 be-ing에 대응하는 표지로 보고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언어간 영향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어의 진행상 ‘-는 중이-’는 영어의 진행상 be-ing에 가장 잘 대응하는 표지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는 중이-’는 영어의 be-ing처럼 형용사 또는 상태 동사와 결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는 중이-’ 역시 영어의 be-ing처럼 행위 동사와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에 ‘-고 있-’은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지만 상태 동사와는 결합할 수 있어 이 부분이 진행상 표지에 있어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한편, 한국어의 진행상 표지 ‘-고 있-’은 영어의 be-ing와도 의미의 차이를 가진다. 한국어의 ‘-고 있-’은 ‘진행의 의미’뿐만 아니라 ‘결과 상태의 의미’를 가진다. 한국어의 진행상 습득에서 ‘-고 있-’과 ‘-는 중이-’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달리 영어권 학습자는 직관적으로 그 차이를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세운 가설들이 ‘-고 있-’과 ‘-는 중이-’를 습득함에 있어 영어권 학습자들에게 영향이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54명의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과제(그림을 활용한 빈칸 채우기와 적합성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인 모어 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사이에 존재하는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아노바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노바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가설 1에서 영어권 화자는 ‘-고 있-’과 ‘-는 중이-’ 중에 모어의 영향으로 ‘-는 중이-’를 더 많이 선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체적인 응답률 결과에서는 ‘-고 있-’이 더 높은 응답률을 보였지만 학습자 급수별에 따른 응답률에서는 제2언어 학습자의 습득 과정을 정확히 보여주는 U자형 발달 곡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결과를 학습 시기와도 관련지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고 있-’은 1급에서 배우고 ‘-는 중이-’는 3급에서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는 중이-’를 학습하기 전 단계인 1급과 2급에서 ‘-는 중이-’가 선호되어 비교적 높은 응답률이 보였는데 이는 모어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러므로 연구 가설 1에서 영어권 학습자들이 초기에 모어의 영향으로 ‘-는 중이-’를 선호할 것이라고 본 견해를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연구 가설 2에서 “영어권 학습자는 모어의 영향으로 한국어의 상태 동사 진행상을 이해하기 어려워할 것이다.”라고 가정하였는데 이는 “진행상이 상태 동사와의 결합으로 나타나기는 어렵다”고 예측한 상 가설 4번을 검증하기 위해서였다. 빈칸 채우기와 적합성 판단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전반적으로, 영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상태 동사 진행상을 어려워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연구 가설이 받아들여짐과 동시에 상 가설 4번과도 일치한 결과이다. 세 번째, 연구 가설 3에서 “한국어 동사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착탈 동사 ‘매다, 입다, 신다, 벗다’ 등 그리고 신체 변화 동사 ‘앉다, 눕다, 서다’ 등의 습득도 어려워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먼저, 통계적으로 착탈 동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기술통계만 본다면, 정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들다’, ‘신다’에서는 ‘-는 중이-’를 더 많이 적용하였고, 동적인 그림에서는 ‘-고 있-’과 ‘-는 중이-’ 모두 적용할 수 있음에도 한국인 모어 화자가 ‘-고 있-’으로 선택한 것과는 달리 ‘-는 중이-’를 더 많이 적용하였다. 이는 본고의 연구 가설 1에서 영어권 학습자들이 모어의 영향으로 ‘-는 중이-’를 선호할 것이라고 본 견해와 일치하며, 연구 가설 3에서 한국어 동사의 특성에 따라 착탈 동사의 습득을 어려워할 것으로 본 견해를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한다. 그다음 신체변화 동사는 모든 급수에서 ‘눕다, 앉다, 서다’ 동사에 ‘-어 있-’을 결합하지 못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고의 연구 가설 3 “한국어 동사의 특성에 따라 신체변화 동사의 습득도 어려워할 것으로 가정한다”도 지지되었다. 네 번째, 실험 과제에서 제시한 네 가지 형용사도 전반적으로 모든 급수에서 ‘모르겠다’와 ‘부적합’의 응답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었다. 연구 가설 4 “영어에서는 동사지만 한국어에서는 형용사인 단어를 문장으로 제시할 때 영어권 학습자는 오류 문장으로 볼 것임을 가정한다.” 또한, 가설이 지지되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어의 진행상 습득에서 초급(1,2)단계에서 영어권 학습자의 모어의 영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기간에 따라 ‘-고 있-’과 ‘-는 중이-’의 응답률에서 유자형 발달 곡선이 나타났다. 연구가설 1과 연구가설 3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지만 기술통계의 평균점수에 의해서는 어느정도 지지 됨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상태 동사, 신체변화 동사, 형용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연구 가설 2, 연구 가설 4번이 지지되었다. 앞으로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한다면, 영어라는 언어가 가진 특징과 영어권 학습자의 모어의 영향에도 초점을 두어 중점적으로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실험 과제 결과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영어권 학습자가 ‘-고 있-’과 ‘-는 중이-’의 차이를 구분해서 올바르게 사용하기 또한 아주 어려우므로 그 차이도 잘 인식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진행상 습득에서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는 중이-’를 한국어의 대표적인 진행상 표지 ‘-고 있-’과 영어의 be-ing에 대응하는 표지로 다루어 실험 과제와 연구 가설을 통해 언어간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진행상 습득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언으로만 제시하였지만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진행상 습득에 대한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고 더 좋은 연구들이 많이 나올 것을 기대하며 마무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cross-linguistic influence targeting English-speaking learners after seeing that ‘-ko iss-’ and ‘-nun cwungi-’ which are Korean progressives correspond to the English progressive be-ing. Korean progressive ‘-nun cwungi-’ is the marker corresponding the most to the English progressive be-ing since ‘-nun cwungi-’ cannot be combined with adjective or state verb, unlike the English progressive be-ing. Also, likewise with the English progressive be-ing, ‘-nun cwungi-’ can only be combined with activity verb. On the other hand, ‘-ko iss-’ cannot be combined with adjective but can be with state verb. This is the greatest difference when it comes to three progressive markers. Meanwhile, the Korean progressive ‘-ko iss-’ has meaning difference with the English progressive be-ing. The Korean progressive ‘-ko iss-’ not only has ‘progress meaning’ but also has ‘result state meaning’. Unlike Korean native speakers who naturally acquire the differences between ‘-ko iss-’ and ‘-nun cwungi-’ in Korean language progressive acquisition,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find it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hypotheses established by this study influence acquisition of ‘-ko iss-’ and ‘-nun cwungi-’ by English-speaking learners, this study conducted cloze test using figures and acceptability judgment task targeting 54 English-speaking learners as experiment tasks. Also, in a bi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English-speaking learners,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used for ANOVA analysis was IBM SPSS Statistics 22.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study hypothesis 1 assumed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have greater preference toward ‘-nun cwungi-’ between ‘-ko iss-’ and ‘-nun cwungi-’ due to native language influence. In overall response results, ‘-ko iss-’ had higher response rate. However, in the response rate according to learners' respective Korean language levels, the result appeared as a U-shaped development curve accurately showing acquisition process by second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is result can be related to learning period since ‘-ko iss-’ is learned in Level 1 and ‘-nun cwungi-’ is learned in Level 3. In Levels 1 and 2, which are the stages prior to learning ‘-nun cwungi-’, response rate was relatively high owing to preference toward ‘-nun cwungi-’. This proves that there was native language influence. Therefore, the idea in study hypothesis 1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prefer ‘-nun cwungi-’ due to native language influence in the initial stage has been supported to a certain extent. Second, study hypothesis 2 assumed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Korean state verb progressives due to native language influence. This was established to verify aspect hypothesis 4 which expected that progressive is difficult to be expressed as a combination with state verb. Cloze test and acceptability judgment tas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verall, English-speaking learners are finding Korean state verb progressives difficult. Thus, second study hypothesis has been supported and this result coincides with aspect hypothesis 4. Third, study hypothesis 3 assumed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find acquiring wearing-taking off verbs - wear, dress, put on, take off, and so on - and bodily change verbs - sit down, lie down, stand, and so on - difficult. First of all, wearing-taking off verb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when referr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even though they can apply ‘-nun cwungi-’ to ‘tulta’ and ‘sinta’ with static figures and ‘-ko iss-’ and ‘-nun cwungi-’ to dynamic figures, unlike Korean native speakers selecting ‘-ko iss-’, English-speaking learners applied ‘-nun cwungi-’ more. This coincides with the study hypothesis 1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prefer ‘-nun cwungi-’ more due to native language influence and supports the study hypothesis 3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find acquisition of wearing-taking off verbs difficult. Next, bodily change verbs ‘lie down’, ‘sit’, and ‘stan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since they could not combine ‘-ko iss-’. Study hypothesis 3 which assumed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also find acquisition of bodily change verbs difficult has also been supported. Fourth, all four adjectives provided in the experiment tas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ince answers were mostly ‘I don't know’ and ‘Inappropriate’ in all levels. Study hypothesis 4 which assumed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will recognize sentences with a word which is adjective in Korean but verb in English as wrong was also supported. To sum up, in Korean progressive acquisition, English-speaking learners showed native language influence on beginner levels (Levels 1 and 2) and displayed U-shaped development curve in response rates of ‘-ko iss-’ and ‘-nun cwungi-’. Study hypotheses 1 and 3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y are supported to a certain extent based on average score of descriptive statistics. Also, si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e verbs, bodily change verbs, and adjectives, study hypotheses 2 and 4 have been supported. When teaching English-speaking learners in the future, the focus should be put 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English and native language influence of English-speaking learners. Furthermore, as shown in the experiment results, since it is very difficult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ko iss-’ and ‘-nun cwungi-’, the differences must be taught proper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d cross-linguistic influence through experiment task and study hypotheses by treating ‘-nun cwungi-’ as the marker corresponding to Korean progressive ‘-ko iss-’ and English progressive be-ing after targeting English-speaking learners in Korean progressive acquisition.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 measures in progressive acquisition which can be applied in education environments. However, there is a definite need to propose education measures regarding progressive acquisition that can be appl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s and even bett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莊子의 政治哲學 硏究

        安慶姬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are born to the world irrespective of our own wills. And we can find that our lives are within certain frames made by many other people. On the one hand we long for free lives, on the other hand we confine our selves to the frames that our selves have made. Thus, our thoughts are gradually locked up by the narrow conceptional fences, and our free thoughts disappear accordingly. The important points of Chuangtzu's philosophy are free thoughts like shown in the sentence "you communicate with your thought by yourself, while you do not look down on all thing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political philosophy in Chuangtzu's philosophies. Chuangtzu didn't seek after secular values such as riches and powers that people generally pursue, and he didn't think much of the achievements that are evaluated high in the systematic frames. The secular world was governed by the laws and principles that are made by the rulers, and in the mean time people's free thoughts were controlled by the rulers. Chuangtzu, who lived in the turbulent times, thought that the cause of social chaos arised from the rulers' wrong politics. According to Chuangtzu, actual life is filled with discrepancies, and people's agonies are appearing endlessly. The rulers' suppressions that bring these discrepancies and agonies were worsened by the Confucian moral justification. Chuangtzu thought that if people would escape from the agonies and discrepancies, first of all and without fail they must criticize the governing orders and Confucian values that produce the governing orders. And Chuangtzu, based on the thought of 'doing nothing, being nature', criticized the situations of social disparities. Chuangtzu regarded doing nothing policy as the best policy. This policy is to actualize into human society the principle of 無爲而無不爲(doing nothing, but nothing not done). Doing nothing policy excludes the rulers' all artificial behaviors. In doing nothing policy, laws or moralities are not used as instruments to govern people, and people's benevolence, righteousness, greed, or, natural lives protected by the laws are not constrained. In doing nothing policy, the rulers discard their egocentric points of view, and they govern by actual present circumstances and by good reasons operating in the circumstances. And the purpose of doing nothing as a means of the rulers' governing is to prepare social environment so that all people can actualize their doing nothing.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doing nothing policy is to assist all people to recover their inherent natural situations. Therefore, the detail method of actualizing doing nothing into current policy is to liberate people from all restraints and not to interfere for them to live freely. Chuangtzu thought that if doing nothing policy were realized, there would be no extractions and suppressions by the ruling class. 우리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 세상에 태어난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들의 삶이 많은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틀 안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한편으로 유유자적한 삶을 갈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스스로가 만든 많은 틀 속에 자신을 가둔다. 이로 인해 우리의 마음은 점차적으로 비좁은 관념의 울타리 안에 갇히게 되며 이와 함께 자유정신은 사라져 간다. 장자 철학의 중점은 “홀로 정신과 왕래하되 만물을 얕보지 않는다.”에 나타난 것처럼 자유로운 정신에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자철학 가운데서 그의 정치 철학을 논의 하는데 있다. 장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추구하는 부귀와 권력 등 세속적인 가치를 추구하지 않았고 제도적 틀 속에서 높이 평가하는 공적을 중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간 세상은 통치자들이 만든 규범과 법규에 의해 통치되어 왔고, 그러한 가운데 인간의 자유정신은 지배자들에 의해 통제 되어 왔다. 난세를 살았던 장자는 사회혼란의 원인이 통치자의 잘못된 정치에 있다고 생각했다. 장자에 의하면 현실은 모순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인간의 고통은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순과 고통을 가져오는 지배자의 억압은 儒家의 명분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따라서 인간이 고통과 모순으로부터 벗어나려면 반드시 지배적 질서와 그러한 질서를 양산해내는 유가적 가치에 대해 먼저 비판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장자의 생각이다. 또한 장자는 무위 자연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적 불평등 상황을 비판한다. 장자는 최상의 정치를 無爲의 政治라고 보았다. 그것은 자연의 “無爲而無不爲(무위하지만 그에 의하여 되지 않는 것이 없다)”의 원칙을 인류 사회에 실천하는 것이다. 무위의 정치란 바로 통치자의 모든 의식적 행위가 지양된 정치다. 또 그것은 법률이나 도덕이 백성을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백성들도 仁義나 利慾 혹은 법률에 의해 타고난 자연스러운 삶이 속박 되지 않는 정치다. 무위의 통치는 통치자가 자기중심적 관점을 버리고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과 그 속에 작용하고 있는 이치를 찾아 그에 따라 통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치자의 정치 수단으로써 무위의 목적은 모든 인민들이 무위를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여건을 조성해 주는 데 있다. 즉 모든 백성들이 원래의 타고난 자연 상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無爲政治의 목적이다. 따라서 무위를 현실 정치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은 모든 구속으로부터 백성을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살도록 아무 간섭도 하지 않는 것이다. 장자는 무위정치가 실현되면 통치계층에 의한 착취와 억압이 제거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학생 독서토론 지도 연구 : 초등 고학년을 중심으로

        안경희 광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토론 지도 방안을 통해, 초등 고학년 학생의 토론 수업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이 유아와 초등 저학년뿐 아니라 초등 고학년의 토론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토론 수업이 고학년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토론 지도방안 실용성에 대한 효과를 어떻게 검증 할 것인가? 독서토론 활동은 도서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독해 능력을 증진시키며, 비판적 사고의 연습과 논리적, 통합적 사고의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회, 시사, 문제해결을 함에 있어, 독서토론 활동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독서토론 활동을 위한 독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독서토론 활동 시, 가장 중요한 독서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은 다른 의미로 볼 때, 짧은 시간에 한 장소에서 한 번에 읽을 수 있고, 내용 파악이 쉬우며,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구성된 도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도서에는 다양한 종류와 장르의 도서들이 있다.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고, 살펴본 결과, 독서토론 활동에 그림책이 가장 적합한 도서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그림책을 독서토론 수업 활동에 활용한다. 초등 고학년 독서토론 수업 시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효과를 활용하면, 독서토론 수업 시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18년 2월 28일부터 2019년 3월 28일까지 1년 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K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로 남 9명, 여 6명 등 총 15명이며, 총 8회 16차시로 사전 설문조사와 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업사례는 차시별로 제시하였고, 수업 시간은 총 120분으로 1차시 60분 2차시 60분씩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목표와 주제, 논제 선정에 대한 차시별 예고 및 관련 그림책과 동영상 예고 후 이루어졌다. 사전 설문조사와 사후 설문조사는 동일한 10문항을 같은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사전, 사후 문항에 대한 응답을 %로 나타내어 결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토론 지도방안 연구를 통해, 국어과 수업에 도움이 되었으며, 언어능력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토론 지도방안으로 연구수업을 시행한 결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그림책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내용의 이해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그림책 활용 독서토론을 시행한 결과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독서토론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고, 그림책 활용 독서토론 지도 계획안을 통해 독서토론 준비과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 고려속요의 궁중가악으로의 수용양상 연구

        안경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or examining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Koryo Folk Songs which are shown as they were received as royal court music is caused according to their lyric characters and receivers' tastes. The Koryo Folk Songs research which had began with studying the word translation in 1920s has made significant achievement through various methods of access which includes the research of content, form and origin as well as comparative study and introduction of neighboring science. However it is not revealed clearly that how the Koryo Fork Songs were created, sung an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e discussion about general characters of Koryo Folk Songs is still very difficult to do because there are various collections composed of different poetic form. In this environment the study was invigorated after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group who had enjoyed them, was performed. And this thesis belongs to the same kind. Among the discussions on the Koryo Folk Song are some researches centered on the historical fact that they were developed into royal music. But these researches mentioned simply about the changes of their form, which had appeared during the development, in relation to 'Songdosung', or handled matters mainly in relation to rhymes of Song Dynasty and lyrics of Won Dynasty. Because they were focused on the enjoying class, there is a tendency of ignoring the text. Therefore this discussion may acquire variety and concreteness only when we contemplate the receiving attitude of the kings and the power clas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actual text in the relation of teller and listener. With the understanding of all these factors, this discussion was made and divided into three chapters. In Chapter 2 the performance of royal music and the upper class recognition about music, and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Hyang-ac(the indigenous Korean music) were investigated. This is a preliminary step for the discussion in Chapter 3. Though Koryo Folk Songs were made on the basis of general folk songs, because adopted as royal music, it is evident that their expressional aspects were transformed suitably to be enjoyed by the royal court. If there were no particular changes, the adoption itself means that they imply characters needed in royal court.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of royal music was a necessary work. In Chapter 3 the existing form analysis method about Koryo Folk Songs were reviewed, and the existing 14 pieces of the Koryo Folk Song were sorted into 4 kinds, i.e., enchanting, admiring, didactic, and playful and the different texts that belong to each kind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reason that why the Koryo Folk Songs were used as royal music was sought in the aspect of psychological reaction of the enjoying class and the changes of their forms and contents in the receiving course as court music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e individual character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s which surfaced in the changing process were thought in two aspects, one is enforcement of femininity and the other is aming for listener.

      •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따른 연접지역 주민 주거만족도와 인지도 관계분석 연구 : 창동,상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연접 거주민을 중심으로

        안경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itle : A Study on Relationship of Resident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rea An, Kyung-Hee (Supervisor : Dr. Park, Byong-Gyu) Dep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of Housing and Urban Plan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beginning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Korea was when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of Korea established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model in 2007.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test-bed conducted by urban restoration divisions in Jeonju and Changwon, the amend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 was legislated in 4th June 2013 and was enforced on December 2013. As of 2017, there are 13 areas that has followed the urban regeneration model. In relation to this, there are additional 18 areas including Seoul, Changdong·Sanggye, Yeongdo in Busan and Seo-gu, Buk-gu in Daegu etc.,, that considers conducting the urban regeneration. Hence,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of Korea finally confirmed the state support situation about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7th special committee on urban regeneration. Man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urban regeneration with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nvolves conducting the plan with the people rather than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approach that is mostly based on the experts' opinion. This has improv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hich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fundamental problems of th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date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Seoul, targeting the whole area of Changdong·Sanggye as the research area, Through this, we surveyed the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the plan tha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eed and present cognitive condition of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Second, the 26 people (28.6%) who responded that they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hows a low participation rate. Meanwhile, there were 38 people (41.8%)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y knew the proc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ut they didn't understood the detailed contents (i.e. vision of urban regeneration etc). The detail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uch as building industrial ecosystem, expanding of leisure life infrastructure, building a wide local infrastructure, participants responded with 72.5%, 60.4%, 61.5%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that they don’t know much about the project. Therefore, the release of information about those details should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Fourth,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project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ce satisfaction showed that when the satisfaction is low, they tend to recognize abou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when the satisfaction is high, they tend not to recogniz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they recognize the general contents such as the project area which is Changdong, Sanggae, but they don’t recognize the details such as the detailed vis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research analyzed the existing situation in the selected areas of Changdong, Sanggae, specifically the satisfaction about current residenc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findings show that the local people has bette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urban regeneration. Also, the local people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residences are more interes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for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is currently ongoing should be supplied with the local people’s opinions. It needs to implement a project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cal people through effective information campaign and a continuous conduct of public hearing.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ate of urban regeneration, satisfaction of current residence and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ent ongoing urban regeneration could better reflect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The need to carry out public hearing and conduct information dissemination activities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is necessary for this business to successfully unfold. 제목 :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따른 연접지역 주민 주거만족도와 인지도 관계분석 연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시작은 2007년 당시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 사업단을 설립하면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한국형 도시재생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업단의 전주와 창원 테스트 베드 경험을 기반으로 2013년 6월 4일「도시 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었고, 같은 해 12월부터 시행함으로써 도시재생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었고, 2017년 현재는 도시재생사업 선도 지역 13곳이 지정됨에 따라 새로운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2017년 현재 서울 창동·상계, 부산 영도, 대구 서·북구 등 전국 18곳의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국토교통부는 전국 18곳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하여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원을 최종 확정시켰다. 반면, 도시재생 접근방법의 변화는 주민참여를 매개로 하는 주민주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의 근본적인 문제점 발굴, 주민의 관심 향상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업의 중요도 역시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성공수행을 위하여, 현재 사업을 추진 중인 창동·상계 일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인지현황 및 필요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업진행상황에 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현황을 보면, 26명(28.6%)이 참여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따라서 지역주민의 참여율을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향후 참여 의사의 경우 38명(41.8%)이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진행상황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내용(도시재생 비전 등)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생태계 구축, 생활여가 인프라 확충, 광역 지역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해 각각 72.5%, 60.4%, 61.5%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러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정보 공개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현재 거주지 만족도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인지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으며,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으로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주민일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답하고 있다. 다섯째, 연구의 분석결과 창동·상계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사업 지역 등 전반적인 내용은 인지하고 있지만, 도시재생사업의 세부내용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는 도시재생선도사업으로 지정된 창동·상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인지현황,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의 만족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론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은 지속적으로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정보 공개 및 지속적인 공청회 개최로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하여야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적 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치과 임플란트용 Ti-Ta-Nb합금의 전기화학적 거동에 미치는 표면거칠기 효과

        안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과용 임플란트 합금은 내식성, 생체적합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등의 생체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Cp-Ti와 Ti-6Al-4V합금이 대표적인 생체재료로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지만, Cp-Ti의 경우에는 강도가 낮고 Ti-6Al-4V합금의 경우에는 Al원소가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거나 V원소가 세포독성을 발생시킬 수 있어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은 β형 합금의 제조가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i-30Ta-xNb(5, 10, 15wt%)합금을 진공 아크용해로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은 균질화처리를 실시하였고, 거칠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합금의 표면에 입자의 크기가 다른 HA입자를 이용하여 RBM처리한 후, MC3T3-E1 골아 세포를 표면처리된 Ti합금표면에 배양하였고, 각각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i-30Ta-xNb합금에서 XRD상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α+β상이 나타났으며 Nb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α상에서 β상으로의 상변화가 이루어졌다. 2. Ti-30Ta-xNb합금에서 Nb함량이 증가할수록 β상의 등축조직이 나타났으며 입자의 크기가 증가되었다. 3. 표면거칠기는 블라스팅 입자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Nb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세포배양결과 100㎛ 입자로 RBM한 경우가 50㎛ 입자로 RBM한 경우에 비하여 세포의 접착이 잘 되었고, Nb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이 증가되었다. 5. 세포성장 전 후의 전기화학적 시험결과, 100㎛ 보다 50㎛의 입자로 블라스팅한 경우가 이온의 용출속도가 높았고, 15wt%의 Nb가 첨가된 경우 이온의 용출속도가 낮았다. 결론적으로 Ti-30Ta-xNb(x=5, 10, 15wt%)합금의 50㎛ 입자로 RBM한 경우가 100㎛ 입자로 RBM한 경우보다 내식성은 감소되며 세포의 성장은 표면거칠기가 증가할수록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표면에 세포가 배양된 경우는 전기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Titanium and Ti-6Al-4V have long been used as implant materials in dental and orthopedic application. However, the Ti-6Al-4V alloy is currently utilized and should be replaced, since the release of Al and V ions causes long-term health problems. And it can also lead to resorption of adjacent bone tissue due to the great elastic modulus difference between the implant and bone. Thus, there are efforts for developing new beta-titanium alloys with non-toxic elements. Nb and Ta are found to reduce the elastic modulus when alloyed with titanium in certain preferred quantities. In this study,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on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Ti-Ta-Nb alloy for dental implant have been investigated. Samples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preparations were used: 0.3㎛ polished, 50㎛ and 100㎛ HA sandblasted. Cell culture on the specimen surface was performed with mouse osteoblast-like cells MC3T3-E1 for 2 days. Average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morphology of specimens were observed using AFM, surface roughness tester,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corrosion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potentiodynamic test at 0.9% NaCl solution at 36.5 ± 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crostructures of Ti-30Ta-xNb(x=5, 10, 15wt%) alloys showed the α+β phase, and α+β phase transformed to β phase as Nb content increased. 2. The microstructures of Ti-30Ta-xNb(x=5, 10, 15wt%) alloys showed the equiaxed structure and grain size increased as Nb content increased. 3.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i-30Ta-xNb(x=5, 10, 15wt%) alloys increased with increasing blasting particle size and Nb content. 4. Cell adhered well on the rough surface of Ti-30Ta-xNb(x=5, 10, 15wt%) alloys. Cell growth increased as Nb content increased. 5. From the electrochemical test, Ti-30Ta-xNb(x=5, 10, 15wt%) alloys blasted by 100㎛ HA particles showed lower dissolution rate than that by 50㎛ HA particles, especially, Ti-30Ta-15Nb alloy showed lower dissolution rate. In conclusion, corrosion resistance of Ti-30Ta-xNb (x=5, 10, 15wt%) alloys blasted by 100㎛ HA p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Ti-30Ta-xNb (x=5, 10, 15wt%) alloys blasted by 50㎛ HA particle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i-Ta-Nb alloy surface was affected by cell culture in Cl- ion solution.

      • 노년기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안경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노년기 학습자의 주체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운영특징, 운영성과와 한계, 배움의 의미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주요제보자 4명을 중심으로 면담, 참여관찰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참여자들의 관점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년기 학습공동체의 특징은 구성원의 순수 자원 활동을 기반으로 나눌 경험과 지혜가 있다면 누구나 강사가 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와 서로 배움을 나누는 수평적 관계가 형성되어,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역동적인 학습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는 특징이 있음을 밝혀냈다. 둘째, 노년기 학습공동체의 운영 성과와 한계는 민간주도의 자생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다양한 세대와 함께 교류하고 소통하는 세대공동체교육이 이루어졌지만, 고정회원이 확보가 되지 않아 활성화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관주도의 편향적 평생교육정책에서 벗어나 민관의 협력을 통해 민간 평생학습 기관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성원에게 배움의 의미는 학습활동을 통해 알아가는 재미와 활동하는 보람을 경험하고, 구성원과의 관계맺음과 상호작용으로 지혜를 나누며, 서로 책임감을 연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배움과 나눔의 집단학습으로 노년기의 단절된 인간관계를 회복하고 활기차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기제로써 학습공동체를 탐색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노년기 자생적 학습공동체 형성의 실천적 모습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한정된 연구기간 동안 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다소 편중된 결과가 도출되었을 수 있다. 향후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년기 평생학습 활성화에 기여하는 후속연구들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