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設問調査資料의 電算處理方法 : 統計Package SAS와 SPSS의 比較

        심현숙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設問의 設定方法, 標本의 設定 및 크기 決定, 調査方法 等이 정상적으로 遂行되었다는 假定下에서 設問調査된 統計資料를 處理別 差異分析, 平均置 差異分析, 回歸分析, 相關分析 等에 關하여 統計패키지 SPSS와 SAS를 利用하여 比較分析함으로써 分析하고자하는 問題解決에 더욱더 合理的이고 적절한 統計패키지의 選澤과 調査된 統計資料에 對한 최적의 分析方法을 提示하는데 硏究의 目的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and SAS about the treatment difference analysis, the mean difference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llowing was normally carried out the establishment method of a question, establishing samples, deciding sample size and examination method. And this study is to show rational and appropriate the selection of statistical package and optimum analysis method about statistical data which was surveyed.

      •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서의 기술혁신을 위한 기술경영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심현숙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계 각 나라들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에 대한 대응을 국정의 우선과제로 설정하고, 친환경 기술과 그린에너지 산업을 중점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친환경 건축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새집증후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 마감재의 오염물질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성능등급 및 기준을 만들어 친환경 주거환경을 구축하는 데 노력해 왔다. 그 일환으로 친환경 건축자재에서 소량 방출되는 HCHO와 VOCs 까지도 저감하려는 노력과 기후변화로 인해 다습해지는 실내 공기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기능성 건축자재의 사용을 권장하는 신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새로운 제도 시행과 같은 거시환경 변화는 산업구조상의 포지셔닝을 바꾸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국내 친환경 건축자재 생산업체는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급격한 사회제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혁신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기술개발과 사업화에 성공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많아지고 있어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적합한 기술경영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적합한 기술경영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기술사업화의 성공을 위한 기술로드맵을 구축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경영방법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 나아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술경영을 도입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적용하여 사업화에 성공한 중소기업의 구체적인 기술경영 활동 성공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의 시장현황과 기술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보고, 혁신공간지도(Innovation Space Map)를 통해 기술혁신 방향을 설정한다. 이러한 기술혁신 포지셔닝을 기반으로 해당 산업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술경영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경영방법의 활용 가치를 살펴본다. 이후 해당 산업 환경에 적합한 기술예측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실제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드맵을 구축하고, 마지막으로 제안된 기술경영방법과 기술로드맵에 따라 기술혁신을 구현한 핵심 기술개발 성과사례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기술혁신 부문에 있어서 비교적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기술경영을 도입한 첫번째 연구이며, 경영 전반에 걸친 총체적 기술경영 방안을 연구한 통합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갖는다. 이로 인한 성과물로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의 중소기업에게 효율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기술경영 적용방법을 제시했으며, 미래기술 예측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드맵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정부주도 기술 리드 대표 산업인 환경산업 중에서 신규 제도가 시행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한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을 대상으로 기술경영을 구현하여 핵심 기술을 획득한 실증사례연구라는 것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자산의 매개 역할 및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심현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오늘날 소비자들은 상품 구매 시 기능적 혜택 뿐 아니라 제공되는 체험적 양상에 기반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브랜드 체험의 중요성이 부각되는데 비하여 브랜드 체험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브랜드 체험을 주제로 한 연구들조차 브랜드 세부 체험 유형에 대한 체계화된 척도를 사용한 연구는 드물다. 브랜드 체험을 화두로 한 감성 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오늘날, 소비자의 직접적 브랜드 체험을 측정하여 이것이 소비자의 브랜드 자산과 행동 결과인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매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Brakus et al. (2009)이 개발한 브랜드 체험 척도(sensory, affective, intellectual, behavioral experience)를 사용하여 브랜드에 대한 세부 체험 유형이 브랜드 자산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브랜드 자산의 매개 효과 및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제품군에 의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연구1과 2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각 11개와 13개의 가설과 하위가설로 이루어진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대학생과 대학원생 및 직장인 15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 개성,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에 대한 감각적 체험과 감성적 체험 및 지적체험을 많이 할수록 브랜드에 대한 성실성과 활기, 역량 및 세련성의 개성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과 활기는 브랜드 애착에, 브랜드 역량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의 강력한 선행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이로써 감각적, 감성적 체험 및 지적 체험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에 대한 감각적, 감성적, 지적 체험이 브랜드 개성을 통하여 브랜드 애착에, 또 브랜드 애착을 매개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로써 브랜드 개성과 애착, 이미지, 태도 및 감정에 의하여 소비자 마음에 브랜드 자산이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나아가 브랜드에 대한 체험이 이들 브랜드 자산을 통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 역시 입증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은 브랜드 자산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셋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도와 제품군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고관여제품인 휴대폰과 패션군의 경우 성실성과 활기 및 세련성이 브랜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인성은 오히려 브랜드 애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과 세련성은 감각적, 감성적 체험 및 행동 체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관여 제품군인 음료수와 커피전문점의 경우 성실성과 역량에 의하여서만 브랜드에 대한 애착이 활성화되었다. 브랜드 체험과의 관계에서는 감성적, 감각적, 지적체험 및 행동체험의 순으로 음료수와 커피전문점에 대한 브랜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관여 제품인지 저관여 제품인지에 따라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브랜드의 세부 체험 방향이 다르게 계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실용적제품인 화장품과 쾌락적 제품인 커피전문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화장품의 경우 지적 체험에 의하여 브랜드 성실성과 역량, 세련성 등의 개성과 브랜드 애착이 활성화되어 브랜드 충성도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경우 감성적 체험과 감각적 체험이 성실성과 활기, 역량 및 세련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체험 유형들은 커피전문점에 대한 애착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브랜드 충성도로 연결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화장품의 경우 지적 체험을, 커피전문점의 경우 감성적 체험과 감각적 체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2에서는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 이미지, 태도, 감정 및 충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체험 유형 중 감각적, 지적 체험 및 감성적 체험의 순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체험과 지적 체험은 브랜드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와 태도, 감정 및 충성도는 모두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으나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자산의 매개 효과를 보면 브랜드 이미지와 태도 및 감정이 모두 브랜드 체험과 충성도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브랜드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지적 체험이 브랜드 이미지를 통하여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것 역시 규명되었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감정을 매개로 브랜드 충성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브랜드 이미지와 태도, 감정 자산의 매개효과가 규명되었다. 이는 학술적 의의 뿐 아니라 마케터들이 자신의 기업에 맞추어 어떠한 브랜드 자산에 집중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도 찾을 수 있다. 셋째,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서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저관여 그룹에서는 감각적 체험에 의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높게 형성하고, 이것이 브랜드 태도와 감정을 통해 충성도로 연결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비하여 고관여 그룹에서는 지적 체험에 의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좋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이미지에 의해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감정이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들에게는 제품이나 브랜드의 감각적인 면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들에게는 지적 체험을 자극하는 방안을 마련할 때 브랜드 충성도를 훨씬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술적, 실무적 의의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제시되어 오던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브랜드 체험과 브랜드 자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연구 방향의 깊이를 더 하였다는 점과 마케팅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기능성 건축자재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술경영모델에 관한 연구

        심현숙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고조되면서 친환경 건축자재에서 소량 방출되는 HCHO, VOCs까지도 저감하려는 노력과 기후변화로 인해 다습해지는 실내 공기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기능성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흡착, 흡방습, 항균, 항곰팡이 성능을 가진 ‘기능성 건축자재’의 사용을 권장하는「청정건강주택 건설기준」이 2010년 12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친환경 건축자재 생산기업들은 중소기업으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측정 장비와 분석시스템, 테스트하우스 지원, 연구자금 등이 부족한 상황에 있어 아직 기능성을 가진 건축자재 개발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으로 검증된 기술경영모델을 기반으로, 신규제도 시행으로 인한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단기간에 급진적인 기술혁신을 해야 하는 국내 기능성 건축자재 산업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기술경영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관련 산업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사례 건축자재인 기능성 무기질도료에 적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많은 친환경 건축자재 생산기업들에게 기능성 건축자재 개발을 위한 R&D접근방법과 기술경영에 대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기능성 건축자재의 기술발전과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리모델링한 아파트 단위주거의 실내공기질 평가

        심현숙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리모델링후 거주자가 생활하고 있는 아파트 단위주거에서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그 실태를 평가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완공된 지 5년 이상의 아파트로서 리모델링후 3개월 이내의 거주중인 20개 단위주거였으며, 조사방법은 주택당 1일씩 실내공기요소에 대한 현장측정 및 관련요인을 관찰기록과 함께 기초항목, 리모델링 내용, 환기특성, 새집증후군 반응에 대한 거주자면접 및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리모델링 내용, 환기특성 및 새집증후군 반응 리모델링의 내용으로 주택의 모든 공간에서 마감재교체가 가장 많았으며 마감재는 천장과 벽은 일반벽지에 일반접착제, 바닥은 강화마루의 선택이 많았다. 또한 자녀방의 발코니 확장, 부엌가구와 현관장 제작, 욕실의 수납장과 욕조, 위생기기 교체가 많았다. 환기특성으로 평상시 환기방법으로, 환기시 개방창으로는 거실 발코니창과 거실창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환기횟수는 하루에 1~2회 정도, 환기시간으로 30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욕실의 환기팬사용은 화장실 이용시 ‘수시로’ 또는 ‘늘 사용’이 많았으며, 주방후드는 ‘연기 및 냄새가 많은 음식을 조리할 때만 사용’이 많았다. 이를 종합하여 5단계로 구분한 결과 평상시 환기량이 ‘많이 함’인 주택은 8개 주택(40 %)이었고, ‘수시로 함’인 주택은 8개 주택(40 %)이었으며, ‘가끔 함’인 주택은 1개 주택(5 %)이었으며, ‘거의 안함’인 주택은 3개 주택(15 %)으로 20개 주택에서 평균적으로 수시로 환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모델링직후 환기방법에서는 대부분 창문을 열어두는 자연환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집증후군 반응 조사결과 주택별 평균 2.1~5.0(전체평균은 3.9; 4는 거의 못느낌)으로 TVOC와 HCHO농도가 신축공동주택기준보다 높게 측정된 주택에서도 거주자는 ‘거의 못 느낌’에 응답하여, 실내공기질이 오염된 상태이지만 거주자들은 거의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2) 실내공기질 평가 CO2의 주택별 평균농도는 683~2,309 ppm이었으며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보육시설 등의 CO2 유지기준(1,000 ppm 이하)을 초과한 주택은 14개 주택(70 %)이었고, CO의 주택별 평균농도는 0.2~6.1 ppm으로 모든 주택이 유지기준(10 ppm 이하)보다 낮았다. PM10의 주택별 평균농도는 0.8~74.8 ㎍/㎥이었으며 모든 주택이 유지기준(100 ㎍/㎥이하)보다 낮았다. TVOC의 주택별 평균농도는 0~3.0 ppm으로, 보육시설 등의 권고기준(400 ㎍/㎥이하; 0.1 ppm 이하로 환산)보다 높은 주택은 총 11개 주택(55 %)이었으며 이중에서 신축공동주택의 권고기준(0.58 ppm으로 환산)을 초과하는 주택도 6개 주택(30 %)이나 되었다. HCHO의 주택별 평균농도는 0~1.0 ppm으로 보육시설 등의 유지기준(120 ㎍/㎥이하; 0.1 ppm 이하로 환산)보다 높은 주택은 총 12개 주택(60 %)이었으며, 신축공동주택의 권고기준(0.17 ppm으로 환산)을 초과하는 주택은 10개 주택(50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모델링후 거주중인 아파트의 CO와 미세먼지(PM10)는 각 주택 모두 기준 이하로 나타났으나, CO2와 TVOC, HCHO의 오염도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 실내공기질의 영향요인 실내공기질의 영향요인 분석결과 크게 측정일 전의 요인과 측정일의 생활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측정일 전의 요인으로 모든 요인을 상관성을 분석하여 유의적인 상관이 있는 요인으로 크게 리모델링요인과 환기특성으로 구분되었다. 리모델링요인인 리모델링양은 공간별 리모델링 여부와 사용자재의 종류에 따라 주택별로 산출되었는데, 리모델링양이 많을수록 주택의 HCHO의 평균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환기특성으로 리모델링후 경과일과, 평상시의 환기방법(환기시 개방 창문개수, 환기회수와 시간, 욕실팬과 주방후드의 사용방법)으로 분석한 평상시 환기량에 따라 TVOC와 HCHO의 평균 농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측정일의 생활요인은 주택별 그래프를 분석한 결과 실내공기배경요소, 환기시간, 추가리모델링행위, 생활행위로 구분되었다. 측정일의 그래프분석 결과로 환기시간과, 주방후드사용에 의해 CO2, CO, 미세먼지(PM10), TVOC, HCHO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리모델링행위로서 새가구 배달, 기존가구에 시트지 부착 작업시에는 측정당일의 TVOC와 HCHO농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짐정리를 할 때와, 블라인드(커튼)설치시, 강화마루 보수공사 할 때는 미세먼지의 농도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생활행위로서 주차장이 가까운 1층에 위치한 주택에서는 CO 농도의 증가가 있었고, 아이들이 뛰어다닐 때 CO2의 증가 및 미세먼지의 증가가 있었으며, 장난감(인형, 베게, 트렘블린 등)을 가지고 뛰어놀때는 TVOC, HCHO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뛰어다님, 청소, 종이가위질)과 외부창 열림, 음식조리는 미세먼지 농도증가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아세톤이나 헤어스프레이 사용과 빨래시 섬유유연제 냄새는 TVOC와 HCHO의 급격한 농도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농도의 감소에는 환기에 의해 많이 감소되었지만 공기청정기사용에 의해서도 농도가 감소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실내공기배경요소로서 상대습도가 높은 주택에서 TVOC와 HCHO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활행위로서 CO2, CO는 가스렌지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실자수가 많을수록 CO2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he present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ditions of indoor air quality, and to analyz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in remodeled apartment units.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occupied twenty apartment units after remodeling, and measurement methods were on indoor air elements (CO2, CO, PM10, TVOC, HCHO). Moreover, resident interview and researcher observation took place to find out the remodeled content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emodeled contents, ventilation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to sick house syndrome Finishing materials in all spaces were the highest in remodeled contents. Ordinary(non environmentally-friendly) wallpapers and adhesions and tempered-wooden for floors were mostly used as finishing material. In regards to ventilation characteristics, during ventilation, windows of living room were vastly used, approximately 1 to 2 times a day for 30 minutes. Bathroom fans were constantly used frequently if not always. Moreover, kitchen hoods were used only when smokes and smell occurred due to cooking. The average response to sick house syndrome in each house were 2.1~5.0. The residents responded that they rarely felt any symptoms when their houses levels of TVOC and HCHO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2)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after remodeling the apartment units The average CO2 in each house were 683~2309 ppm, in which 14 houses exceeded the standard level(1000 ppm) at 70 %. On the other hand average CO in each house were 0.2~6.1 ppm, way below the standard level(10 ppm). Average PM10 for each house were 0.8~74.8 ㎍/㎥, also below the standard level (100 ㎍/㎥). TVOC average per house were 0~0.3 ppm, in which 55 %, 11 houses exceeding the standard level (0.1 ppm) for occupied building and 30 %, 6 houses exceeding the standard level(0.58 ppm) for new-built apartment. Average HCHO per house were 0~1.0 ppm, 12 houses(60 %) exceeding the standard level(0.1 ppm) for occupied building, and 50 %, 10 houses exceeding the standard (0.17 ppm) for new-built apartment. Finally, the level of CO, and PM10 in occupied apartment units after remodeling were below the standard level. However, the contamination level for CO2, TVOC, and HCHO proved to be at a dangerous level. (3) Factors that influences indoor air quality Based on the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their influencing factors were classified as general factor, and living factor of measuring date. General factors were classified as remodeling factor, and ventilation characteristics. Remodeling factor means remodeling amounts which were analyzed by remodeling elements and materials used and have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level of houses. As the level of remodeling amount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level of HCHO on each house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TVOC and HCHO in most houses decreased by the date elapsed after remodeling and ventilation methods such as number of times and hours leaving the window open, and the use of bathroom fan, and kitchen hood. Living factors of measuring date were classified as background indoor air factor(relative humidity), ventilation time, added remodeling activities, and living activities. Added remodeling activities such as delivering of new furnitures or sticking sheets on old furnitures were widely associated with TVOC and HCHO as the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pack arrangements, hanging curtains, and repairing tempered-floors were also associated with PM10 as the level increased. Increased levels of CO2 and CO were associated with living activities including gas range usage, the number of people staying over, and houses located near parking lots. Resident activities such as cooking were also an important contributor to rising PM10. Moreover, acetone, widely used hair spray or fiber rinse showed strong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rise in TVOC and HCHO. Finally ventila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indoor air quality.

      • 構造的 시스템 分析에 의한 部品 관리 시스템의 開發

        심현숙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arts production factories, the parts production process is very complex, flexible, and time critical, Thus the parts management, system requires systematic system developments.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s o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arts management system using a structured system analysis. In parts analysis, we used structured system analysis for systematic analysis and the system was implemented by Cobol programming language with SQL data sub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