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용성 첨가제가 매트릭스 제제의 용출률에 미치는 영향

        심주아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친수성 매트릭스 제제는 약물의 서방성 (SR, Sustained Release) 제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 약물로 위장 점막 보호 및 십이지장 궤양 치료에 사용되는 퀴놀리논 유도체인 FST2204를 사용하여 친수성 매트릭스 제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약물의 방출 속도를 수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중합체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친수성 중합체로는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성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는 독성이 적고 pH 비의존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장점을 가지며, 그 종류도 나타내는 점도에 따라 다양하다. 친수성 매트릭스 제제에 사용할 중합체를 선정하기 위하여 HPMC 2208 4 종 (100 SR, 4000 SR, 15000 SR, 100000)을 사용하여 타정한 정제에 대하여 팽윤을 비교하였다. 선정된 HPMC 2208의 약물 방출 양상을 조절할 목적으로 3 가지 유형의 첨가제 (이당류, Polymers, Polyols)의 사용을 검토하였다. HPMC 2208과 함께 사용할 첨가제에 대하여 용해 속도를 비교하여 방출 특성을 확인하고 5종의 첨가제를 선정하여 친수성 매트릭스 제제에 사용하였다. FST2204, HPMC 2208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FST2204/Matrix 정제를 제조하였으며, 용출 매질 (pH 6.8 액)에서 두 가지 교반속도 (50 rpm, 100 rpm)에 따른 약물의 방출양상을 평가하였다. 50 rpm 교반 조건에서 PEG 6000을 사용한 정제의 약물 방출이 다른 첨가제를 사용한 정제 대비 높은 용출률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첨가제를 사용한 정제는 유사한 용출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rpm 교반 조건에서는 모든 첨가제 간 약물 방출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방출 양상의 차이는 용출 과정에서 정제의 성상 (팽창, 붕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교반 속도 증가에 따른 첨가제의 입자크기,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한 영향을 크게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약물 방출 패턴을 수식함에 있어 첨가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첨가제 유형에 매트릭스 정제에 미치는 영향은 차후 약물 방출 패턴을 설계하고 제제를 최적화하는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Hydrophilic matrix formulations ar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drug sustained release (SR) formulations. In this study, FST2204, a quinolinone derivative used to protect gastrointestinal mucosa and treat duodenal ulcers as a model drug, was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hydrophilic matrix formulations. Various types of polymers are used to modify the release rate of drugs, and cellulose ethers such as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mixtures thereof are mainly used as the hydrophilic polymer.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has the advantage of being less toxic and showing pH-independent properties, and varies depending on its viscosity. Swelling was compared for tablets determined using HPMC 2208 4 kinds (100 SR, 4000 SR, 15000 SR, 100000 SR) to select polymers to be used in hydrophilic matrix preparations. The use of three types of excipients (Dissaccharides, Polymers, and Polyols) was considered to control the drug release pattern of selected HPMC 2208. The releas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dissolution rates of additives to be used with HPMC 2208, and five types of additives were selected and used in hydrophilic matrix preparation. FST2204/Matrix tablets were prepared using FST2204, HPMC 2208 and excipients, and the release patterns of drugs according to two stirring speeds (50 rpm, 100 rpm) were evaluated in the dissolution medium (pH 6.8). It was confirmed that drug release of tablets using PEG 6000 at 50 rpm stirring conditions showed a higher dissolution rate than tablets using other excipients, and tablets using other excipients showed similar dissolution rates. At 100 rpm conditions, drug release patterns between all excipients were diverse. It was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in this release pattern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perties (erosion and disintegration) of tablets during the dissolution process, and the effect of the particle siz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xcipients according to the increse in the stirring speed was greatly shown.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xcipient in modifying the drug release pattern. The effect of excipient types and propertie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on matrix tablet is predicted to be applicable to studies that design release patterns and optimize formulations.

      • 이코모스 헌장의 문화유산 개념 및 보존원칙의 변화와 그 의미 : 베니스 헌장의 영향을 중심으로

        심주아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문화유산 보존과 관련하여 각 정부와 문화유산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규약 및 원칙 그리고 실무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많은 회의와 문서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들은 1931년 「아테네 헌장(Athens Charter for the Restoration of Historic Monuments, Athens Conference, 21-30 October 1931)」을 시작으로, 국제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베니스 헌장(International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onuments and Sites, The Venice Charter, 1964)」을 탄생시켰다. 이후에 등장한 많은 헌장과 문서들은 그 근거를 「베니스 헌장」에 두고 있으면서도 그 실제와 개념들은 많은 변화를 맞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베니스 헌장」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코모스(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에서 채택된 14개의 헌장들(1964년 베니스 헌장~2011년 발레타 헌장)에 나타난 문화유산 보존과 관련된 규약 및 원칙들의 개념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이루어진 문화유산 보존관련 원칙들의 비교 연구에 사용된 방법을 토대로 문화유산의 정의와 가치 그리고 보존원칙의 세 가지 동일 항목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각 항목에 해당하는 세부요소들을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이코모스 헌장들의 원칙은 문화유산의 다양한 유형적 혹은 무형적 속성을 강조함에 따라 「베니스 헌장」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초기 헌장들과 최근 헌장들의 가장 큰 변화는 물리적 요소에 치중되었던 인식들이 문화유산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고 관련 맥락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는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보존에 있어서 유형적인 대상물인 문화유산과 연관되어 해석되는 무형적 속성들이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변화된 관점은 어떠한 대상이 유산으로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었다. 동시에 유산이 가진 가치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어주었으며, 결국 이에 따라 세부적인 보존원칙들도 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코모스 헌장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파악과 그 변화에 대한 인식은 각 국가 혹은 각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유산의 보존원칙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개별적 문화유산의 정비 및 복원 방향설정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문화유산, 국제 보존원칙, 이코모스 헌장

      • (The) role of T cell immunoglobulin mucin domain in herpes simplex virus-induced Behçet’s disease mouse model

        심주아 Ajou Univ.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T cell immunoglobulin mucin (TIM) proteins regulate T cell activation and tolerance. Individual TIM family members may serve as susceptibility markers for asthma, allergies and autoimmune diseases, as well as potential cell surface markers for T helper type (Th)1 and Th2 T cells. TIM-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and the development of autoimmune diseases. TIM-4 is a natural ligand of TIM-1, and interaction of TIM-1 and TIM-4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 cell responses and the modulation of the Th1/Th2 cytokines balance. TIM-4 expression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t has been also reported that TIM-3 expressio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compared to controls. Further, Galectin-9 (Gal-9) has been identified as a TIM-3 ligand (L) and the TIM-3-TIM-3L interaction serves as a specific down-regulator of the Th1 immune response. Behçet’s disease (BD) is a chronic, multisystemic inflammatory disorder with arthritic, gastrointestinal, mucocutaneous, ocular, 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In herpes simplex virus induced BD mouse model, the expression of Tim-1 and Gal-9 was lower levels compared to asymptomatic BD normal (BDN) mice. The expression of Tim-3 and Tim-4 was higher in BD mice than BDN mice. In addition, Tim-1 vector injected BD mice showed changes of BD-like symptoms and decreased the severity score. Again, treatment with Tim-4 siRNA also improved the BD-like symptoms and decreased the severity score accompanied with up-regulation of regulatory T cells (Treg). Furthermore, administration of Gal-9 improved the BD-like symptoms, decreased the severity score, and increased Treg cells. In addition, Gal-9 induced improvement was associated with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showed that the regulation of Tim-1 or Tim-4 affected the BD-like symptoms and Tim-3-Tim-3L interaction improved the inflammatory symptoms in BD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