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설교에 대한 분석적 연구

        심두진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n Analytic Study of the Preaching of Young San Yonggi Cho Sim, Doo Jin Doctor of Theology in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eaching of Young San Yonggi Cho in a pastoral position and a homiletical angle. This study analyz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Young San’s preaching work. For this purpose, we first survey Young San’s publications including his preaching books, and examine various research papers and books about Young San’ sermons and theological thoughts. After the introductory chapter, the main body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II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Young San’ preaching, especially the background of his physical and spiritual growth, which have had an important bearing on his pastoral and preaching work. It furth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ological background, the main source of the vitality and dynamic power of his preaching. Contrary to the long-held criticism that Young San's preaching is narrowly skewed toward the pneumatology, this survey of the relevant literature shows that it is anchored on a diverse and balanced theological backgrounds. In chapter III Young San’s sermons, delivered over the last 58 years ranging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present, are divided into three historical-pastoral paradigms and the contents of his preaching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se paradigms. In the first pastoral period Young San preached based on the pastoral paradigm of consolation and positivity. In this early period Young San firmly developed his own pastoral philosophy on the basis of his pastoral experiences. In the second period, when he led the growth of Yoido Full Gospel Church into the biggest church in the world from 1980s to the late 1990s, Young San developed a creative pastoral paradigm and effectively preached the Fivefold Gospel and the Threefold Blessing. The third period spans from the 2000s to the post-retirement period leading up to the present. In this period Young San in his preaching has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erving and sharing and urged their practice. Chapter IV examines Young San’s sermons from the homiletical perspective. It is found that Young San’s preaching is kerygma-centered trying to make it applicable to ‘Sitz im Leben’. And from this he was able to develop the Four Dimensions of Spirituality. In chapter V we have examined the influences of Young San’s preaching on the Korean churches. The mere fact that his preaching has made Yoido Full Gospel Church a mega church with the biggest congregation in the world, has made his preaching the foremost object of research and emulation by many Korean pastors. One must acknowledge therefore that Young San's preaching has made a major influenced on the growth of many Korean churches beyond that of a single church. These influences are reviewed on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are the positive influences that must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assed on to the posterity. On the other hand are the deficient or negative ones that must be complemented or rectified. The former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Young San’s preaching has given the hope to people living in pain and despair of poverty and illness and inspired them to live with a positiv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Second, Young San’s preaching is audience-friendly, easy to understand for anyone. That is to say, Young San’s preaching displays an excellence in delivery, enabling him to perform open communica tions with the audience. Third, the Holy Spirit movement initiated by Young San’s preaching work not onl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growth of Yoido Full Gospel Church but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es. It can be concluded that Young San’s preaching has influenced considerably on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es and their ministr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moreover, will continue to offer a clear direction to the Korean churches seeking a renewal of growth. On the negative aspects, the following three points can be raised. First, Young San's preaching has over-emphasized the worldly blessings and thereby neglected the cross-bearing aspects in the life of a believer. Second, it has caused a short-sighted vision heavily skewed toward the life in this world and a loss in the perspective for the kingdom to come. Third, it has led to a biased spiritualism in that it has led believers to success and triumph in life but failed to inspire them to take responsibilities for their neighbors and the society. This study has tried to evaluate Young San’s preaching and concluded that he has made valuable contributions in three respects: first, the formation of positive faith and spreading a gospel of hope for the people in distress; second, an increase in the power of preaching through the audience-friendly sermons; and third, the expansion of the Holy Spirit movement throughout the Korean churches. Many experts find and emphasize these contributions, and many pastors are researching them. 지금까지 본 연구는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설교를 목회학적인 입장에서 고찰 하였다.본 연구는 한국교회를 위한 영성적,목회적 좌표의 설정 그리고 기독 교 설교의 바른 정립이라는 입장에서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설교의 배경과 내용 및 구조 그리고 영산 설교가 복음의 역사와 한국교회에 끼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분석하고 이해하였다.이 연구는 영산의 설교가 가진 탁월성과 한계를 해명하기 위해 영산의 저서들을 분석하였고,그것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를 위해 조용기 목사의 설교에 대한 다양한 글과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이것들을 근거로 영산의 설교의 핵심들을 정리하였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영산 설교를 연구하는 중요성과 의미,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를 기술하였고,II장에서는 영산 설교의 배경을 살펴보 면서 영산의 성장 배경과 신앙체험이 그의 설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의 설교가 어떠한 근거를 가진 신학적 배경에서 실행되었는지,그의 설교가 생명력과 역동성을 가질 수 있었던 성령론적 배경은 어떤 특성을 가졌는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특별히 영산의 생애를 연구함에 있어서 영산은 어린 시절부터 고난과 역경 을 체험하면서 이것을 신앙으로 극복함으로써 평생 그의 목회에서 설교할 메 시지의 핵심들을 터득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영산은 좋은 가정에서 태 어나 자랐지만,그는 집안이 몰락하는 경험을 했다.그렇지만 이런 경험은 목 회자로서 그리고 설교자로서 그의 인생에 하나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영산 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인내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고,좌절하지 않고 희망 을 갖고 도전함으로써 아무리 극한 상황에서도 좋으신 하나님을 바라며 희망 을 잃지 않는 견고한 신앙을 갖게 되었다.고등학교 2학년 때,영양실조에 걸 려 결국 폐병 3기에 걸려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형선고를 받았다.죽음 에 대한 공포에 휩싸인 영산은 전도를 통해 복음을 받아들이고,예수님을 영 접하게 되었다.영산의 폐병으로 인한 투병 생활은 생애에 대한 애착을 강렬 하게 하였고,후에 신유에 대한 말씀을 강력하게 증거하고 신유의 역사에 대 해 확신 있게 강조할 수 있었던 동기가 되었다.이때부터 고통의 질병에서 낳 게 하신 좋으신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영산의 마음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영 산은 지적인 회심이 아니라 체험적 회신을 하였고,좋으신 하나님에 대한 믿 음을 갖게 되었다.영산이 영적체험을 강조하는 설교를 하는 것은 자신이 오 순절 전통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실제로 자신이 바로 성령의 세례와 능력 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영산은 평범한 설교자라기보다,중요한 신학적 기반 위에서 설교하였다는 것을 알았다.오순절 설교가로서 영산의 설교에 대한 오랜 편견은 영산의 설 교가 성령론,신유론,그리고 축복론에 편향되어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일군 의 복음주의 학자들은 영산 신학을 면밀히 검토하고 그의 신학 내에서 기독론 의 중심성을 간파하였다.특히 박명수 교수는 ‘삼중 구원의 신학의 핵심이 기 독론임을 해명하였고,영산의 설교를 주제별로 분석했던 서정민 교수도 영산 의 설교가 ‘그리스도 복음 중심의 메시지,구원의 케리그마,기독론의 정립,교 회론의 확고한 입론을 의도한 건강한 메시지라 그의 결론을 확인하였다.이런 점에서 영산의 목회와 설교 사역은 십자가 신학,치유의 신학 그리고 축복의 신학,그리고 성령론 등 건전하고 다양한 신학적 배경에서 수행되었다고 말할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영산의 설교를 시대적 목회 패러다임에 따른 분류로,개척초기 부터 은퇴 후 현재까지 58년간 영산의 설교사역의 특징과 내용을 크게 세 가 지 목회 패러다임에 따라서 고찰하였다. 먼저,1958년 대조동 천막교회 창립이후부터 1970년대 말까지의 설교의 특 징으로 이 시기에 영산은 위로와 긍정의 목회패러다임에 따라 설교사역을 하였다.이 시기에 영산은 젊은 설교자인데도 불구하고,자신의 신앙적 목회적 체험을 근거로 자신의 설교철학을 확고히 세우고,그에 따라 위로와 긍정의 메시지를 전하였고,교회를 대형교회로 성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둘째 시 기에서는 여의도순복음 교회를 세계최대교회로 성장시킨 1980년대에서 1990년 말까지 영산의 설교의 특징을 살펴보았는데,이 시기에 영산은 창조적 목회 패러다임에 따라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교하였다.그 결 과로 영산의 탁월한 설교사역은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세계최대교회로 성장시켰 고,사회,문화,정치적 상황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다.이것은 영산의 탁월한 설교사역이 여의도순복음교회의 뜨거운 성령운동의 견인차 역할을 했기 때문 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그리고 마지막 시기는 2000년대부터 은퇴 후 현재까지의 영산의 설교의 경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이 시기에는 영산이 공식적으로 은퇴한 이후의 설교를 포함하여 영산의 설교는 섬김과 나 눔을 강조하고 실천할 것을 권고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시기에 영산은 주로 자신이 강조해 온 삼중축복의 개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