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려시대 后妃 宮院 연구

        신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oryeo society where Hubi's Gungwon was in operation and continued to exist by examining its institutional changes and methods of operation during Goryeo. Hubi's Gungwon was a system for the king to bestow Gung(宮) or Won(院) outside the main palace to his spouse. Hubi's Gungwon would have detached palace buildings and economic foundations attached to it and public posts for its management installed. A Hubi that had a Gung and Won bestowed to her was able to be called Gungju(宮主) or Wonju(院主). This Hubi's Gungwon system developed particularly in Goryeo. The present study tried to under the Goryeo society by scrutinizing the system. The system was first implemented after the foundation of Goryeo. There are no records saying that a “spouse of a king” owned an independent detached palace in Silla even though her detached palace would have the royal finance belong to it and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on the premise. Records verify that a Hubi was called Wonbuin(院夫人) and owned a Won outside the main palace in early Go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Goryeo had a difficult time with extending or expanding the main palace in a massive scale due to internal uprisings and the unification war. In the early days of Goryeo, the main palace was too small to accommodate approximately 20 Hubis that the king welcomed via marriage of convenience and their children. The king thus started to give out a Hubi's Gungwon as a place where many of his Hubis could stay. The Hubi's Gungwon system was arranged during the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to that of King Mokjong. The name of Hubi's Gungwon wa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In the early days of Goryeo, Hubi's Gungwon was given a title based on a place name related to the concerned Hubi such as Hwangjuwon and Daeryangwon. Since King Gyeongjong, Hubi's Gungwon was given a Gungho of Ahwa such as Myeongbokgung and Sungdeokgu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jong, there was a massive extension project for the main palace, and it created a Naejeon space inside the main palace to accommodate several Hubis. There was a shift in the nature of Hubi's Gungwon from a real residence to a detached palace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its name was changed to fit its status as a “detached palace of the royal family.” There are records about the first case of Gungsa appointment to Hubi's Gungwon during the reign of King Mokjong. Gungsa was one of the Gunggwans that were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Gungwon.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Mokjong that Gunggwan first appeared in records. The Gunggwan system was arr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t the latest before King Mokjong to manage the economic power of Gungwon comprehensively and prevent Gungwon from becoming a political force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centralized state system. Since the reign of King Hyeonjong, Hubi's Gungwon was bestowed only to Hubis that a king had an official marriage to. The study reviewed the ownership of Gungwon among the Hubis of kings, crown princes, and princ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and confirmed that Hubi's Gungwon was bestowed only to a “Hubi of a king” in early and middle Goryeo. By focusing on “Ganseon Hub(揀選后妃)” in “Hubijeon(后妃傳)” of Goryeosa(高麗史), the study further demonstrated that Ganseon Hubi was the minimum qualification to receive a Gungwon among the Hubis of a king. Goryeo had its own Ganseon procedure and Napbi ceremony for Hubis. A Ganseon Hubi was selected carefully through Ganseon. A king would hold a Napbi ceremony to report his marriage to his ancestral gods and welcome his Hubi. It means that a Ganseon Hubi was able to receive a Gungwon regardless of a royal child's birth and her installation as a Wangbi(王妃) or Jebi(諸妃). There were changes to the management of Hubi's Gungwon system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hich first came into effect under the leadership of Lee Ja-gyeom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After its implementation, “Gungju” was changed into a noble title granted through an installation ceremony. A Hubi's Gungwon was also bestowed to a Hubi installed as a Gungju.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as implemented from the reign of King Uijong to the early days of King Chungryeol's accession, settling down in Goryeo society. A military regime was founded in Goryeo politically since the 12th century. There were also social and economic turmoils including wandering people, natural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It became difficult to bestow a stable economic foundation to a Gungwon. The objects of Hubi's Gungwon gradually reduced with the time of bestowment postponed. In the end, only Wangbis in the highest position of all Hubis were able to receive a Hubi's Gungwon. Entering the period of Yuan(元)'s interferences, the Hubi's Gungwon system gradually went down the spiral of extinction.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e Hubi's Gungwon system fully during the reign of Kings Wonjong and Chungryeol due to the prolonged war between Goryeo and Mongolia(Yuan) and the chronic financial hardship. Moreover, there was a need to establish hierarchy in Gungwon management between Wangbis from Mongolia and Hubis born in Goryeo as Mongolian princesses were married to kings of Goryeo. Gungwon buildings and Sikeups were bestowed to the former, and Gungwon buildings and Gaegansapaejeons were to the latter. A new form of Hubi's Gungwon appeared called “Naejik(內職)+Gung”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eon ~ King Woo. After his restoration, King Chungseon pushed forward a series of financial reforms including a financial policy to withdraw the economic basis from Gungwons. As a result, an economic basis was no longer allocated to Hubi's Gungwon, and this type of Gungwon was called “Naejik+Gung.” The title Gungju was us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yang, but there is no determining whether the title was based on the premise of Gungwon ownership. In addition, the title had nothing to do with an installation ceremony. That is, Gungju was used as a Jonho for a Hubi in late Goryeo. Gunggwans were deployed and dispatched to Hubi's Gungwon, and they played the roles of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Gungwon. In early and middle Goryeo, such Gunggwans as Sa, Busa, Noksa, and Jik were installed as part of Gwonmugwan.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eon, such Gunggwans as Jegeo, Bujegeo, and Jegong were installed as part of Pumgwan under the influence of the Mongol system. Gunggwans were in charge of Gungwon's finance, practice of royal ceremonies, document administration and ledger management, and living environment and public order at Gungwons. The study examined those who served as a Gunggwan and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from Seori. Those who passed the state exam would have a Jesu at Gunggwan as their first Gyeonggwan post in most cases. In addition, Gunggwans would be part of the eunuch group close to the king. This means that Gunggwans were practitioners of independent administration at Gungwons and, at the same time, served as a means of certain surveillance and control for Gungwons. Hubi's Gungwon was accompanied by economic foundations, which guaranteed the independent economic activities of a Hubi. In early and middle Goryeo, Hubi's Gungwon would have Gungwonjeon allocated from the national finance and Jangjeon allocated from the royal family's finance. Hubi's Gungwon would receive Yembunso, Yeomho, Eoryangso, Eoryangho, servants, Jujeup, and allowance along with land. Based on such economic foundations, a Hubi would be able to collect Sujo or special products and engage in activities to bring in interest by running a Bo. Income earned in these ways was used to raise royal children and support the Hubi's life and religious activities in addition to paying Jeonse and Uichangjo. Goryeo allocated a financial source to a Hubi, which phenomenon was not found in China. Unlike China, Goryeo allowed for Byeoljeokijae,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 royal family of Goryeo to allocate an economic foundation to a Hubi as they contemplated her economic treatment in polygamy. In early and middle Goryeo, Hubi's Gungwon was a place for royal rites, the Hubi's childbirth, and royal children's upbringing. A Hubi that lived in the main palace while the king was alive would be upgraded to Hubi Mother or not after the king passed away. Hubis in the latter case would leave the main place and stay at their Gungwons. In early and middle Goryeo, Hubis were able to own an independent Gungwon outside the main palace while living in the main palace. Since Goryeo was a society of Seoryubugahon, children were born and raised in the family of the wife in most cases. However, the royal children of the supreme ruler or king were not allowed to be born and grow in the family of a Hubi. They needed a third place between the palace of the king and the family home of the Hubi, and Hubi's Gungwon served the role. During the period of Yuan interferences, the spatial functions of Hubi's Gungwon changed according to the master's personality. The Gungwon of a Hubi from Mongolia(Yuan) served as a place for the king and Hubi to stay, a banquet hall for Mongol envoys, and a space for religious activities. When a king or Hubi passed away, it was used as a funeral parlor, as well. The Gungwon of a Mongol Hubi was able to perform multiple functions based on her internal and external status. Unlike them, Hubis born in Goryeo resided in their Gungw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Hubis from Mongolia and the king's prolonged stay in Mongolia(Yuan). This residence pattern 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King Woo. The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Hubis born in Goryeo lived in their respective Gungwons rather than gathering at one place. In Goryeo, wives were not asked to live in the houses of their husbands. The co-living system of a wife and a concubine was not developed in Goryeo that was not in monogamy. It was thus difficult for Hubis to live together when the royal family of Goryeo ran the system of polygamy. The Hubi's Gungwon system came into effect, settled down, changed, and declined, riding the flow of politics, diplomatic relations, and economy in Goryeo. It was unique to Goryeo, being managed by compromising Goryeo's family system and marriage customs under the polygamy of kings. In short, the Hubi's Gungwon system was a historical product of Goryeo. 이 연구는 고려시대 后妃 宮院의 제도적 변천과 운영 방식을 밝힘으로써, 후비 궁원이 시행 및 존속되었던 고려 사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후비 궁원이란 국왕의 배우자 즉 后妃에게 正宮 밖 宮・院을 하사한 제도로, 궁원에는 별궁 건물과 함께 경제 기반이 부속되었고 또한 후비 궁원을 관리하는 관직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후비는 宮・院을 하사받으면 宮主・院主로 불릴 수 있었다. 이러한 후비 궁원 제도는 유독 고려시대에 발전한 제도로, 본고는 후비 궁원 제도에 천착하여 고려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후비 궁원 제도는 고려 건국 후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일찍이 신라에서는 별궁에 왕실 재정을 소속시키고 관리를 두었지만, ‘국왕의 배우자’가 독립적인 별궁을 소유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고려 초 후비는 院夫人으로 불리며 정궁 밖 院을 보유한 사실이 확인된다. 태조 연간은 내부의 반란과 통일전쟁으로 인해 정궁에 대한 대대적인 증축 또는 확장 공사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국초의 정궁은 정략혼으로 맞이한 이십여 명의 후비와 그 소생 자녀를 수용하기에 협소하였다. 이에 후비들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서 후비 궁원이 주어지기 시작하였다. 경종~목종대에는 후비 궁원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우선 경종 연간 후비 궁원의 改號 작업이 이루어졌다. 국초의 후비 궁원은 黃州院, 大良院과 같이 후비와 관련있는 地名으로 이름한 것과는 달리 경종 이후 후비 궁원은 明福宮, 崇德宮과 같이 雅化된 宮號로 이름하였다. 광종 연간에는 정궁의 대대적인 증축 공사가 시행되면서 여러 후비를 수용할 수 있는 정궁 내 內殿이 마련되었다. 그러므로 후비 궁원은 후비의 실제 거주지에서 왕실의 별궁으로 성격이 변화하였고, 경종 연간 ‘왕실 별궁’의 위상에 맞게 궁원의 개호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다음으로 목종 연간에는 宮使를 역임한 최초의 사례가 확인된다. 宮使는 宮官의 하나로, 궁관은 宮院을 관리하고 통제하였다. 궁관은 기록상 목종대에 처음 등장하지만, 이보다 앞서 중앙집권체제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궁원의 경제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또 궁원의 정치세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늦어도 성종 연간에는 궁관 제도를 정비하였을 것이다. 현종 연간 이후 후비 궁원은 정식으로 맞이한 국왕의 배우자에게 한정하여 하사되었다. 먼저 문종 연간을 중심으로 국왕비, 태자비, 왕자비의 궁원 보유 여부를 검토한 결과, 고려 전・중기 후비 궁원은 오직 ‘국왕의 배우자’에게 하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고려사󰡕 「후비전」의 ‘간선 후비’에 주목하여, 국왕의 배우자 중에서도 간선 후비야말로 궁원을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자격임을 입증하였다. 고려시대에도 나름의 후비 간선 절차와 납비 의식이 있었다. 간선 후비는 간선을 통해 엄선되었고, 또 납비의식을 통해 조상신에게 혼인을 아뢰고 맞이한 후비였다. 그러므로 간선후비는 왕자녀 출산과 王妃・諸妃 책봉과 무관하게 궁원을 하사받을 수 있었다. 후비 궁원 제도는 궁주 책봉제의 시행 및 정착과 함께 제도 운영의 변화가 확인된다. 궁주책봉제는 인종대 이자겸의 주도로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궁주 책봉제의 시행으로 ‘궁주’는 책봉의식을 통해 부여되는 작위로 변화였고 후비 궁원 역시 궁주로 책봉된 후비에게 하사되었다. 그리고 궁주 책봉제는 의종 연간부터 충렬왕 즉위 초까지 줄곧 시행되며 고려 사회에 정착하였다. 12세기 이후 정치적으로는 무신정권이 성립되었고, 사회경제적으로는 流民, 자연재해, 전염병 등의 발생하면서 궁원에 안정적인 경제 기반을 하사하기 어려워졌다. 그러므로 후비 궁원은 점차 하사받는 대상이 축소되었고, 하사 시기 역시 늦어졌다. 이에 후비 궁원은 후비 가운데에서도 최고 지위에 있었던 왕비만이 하사받을 수 있었다. 원 간섭기에 들어서면 후비 궁원 제도는 점차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 원종・충렬왕대는 고려-몽골[元] 전쟁의 장기화, 만성적인 재정난 등으로 후비 궁원 제도를 온전하게 운영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몽골[元] 출신의 왕비가 고려에 하가해오면서 몽골[元] 출신 왕비와 고려 출신 후비 사이에서 궁원 운영의 위계화가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몽골[元] 출신 왕비에게는 궁원 건물과 食邑이, 고려 출신 후비에게는 궁원 건물과 開墾賜牌田이 하사되었다. 한편, 충선왕~우왕 연간에는 ‘內職+宮’으로 불린 새로운 형태의 후비 궁원이 등장한다. 이 궁원은 충선왕 복위 이후 궁원에 부속된 경제 기반을 회수하거나 생략하는 등 재정 정책이 시행되면서 더 이상 경제 기반이 분급되지 않은 궁원이었다. 이후 공양왕대 궁주 칭호가 다시 사용되었지만 이때의 궁주는 단순히 후비를 높여 부르는 尊號였다. 후비 궁원에는 宮官이 설치 및 파견되었는데, 이들 궁관은 궁원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역할이었다. 고려 전・중기 후비 궁원에는 權務官으로 使, 副使, 錄事, 直 등의 궁관이, 충선왕 연간에는 몽골[元]의 제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品官으로 提擧, 副提擧, 提控 등의 궁관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궁관은 궁원의 재정 업무, 왕실 의례의 실무, 궁원의 문서 행정과 출납, 궁원의 생활 환경과 치안을 담당하였다. 한편 궁관 역임자를 살펴보면, 대체로 胥吏 출신과 과거 급제자의 첫 京官職으로 궁관에 제수된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국왕의 측근으로 內侍 소속인 경우가 확인된다. 이는 곧 궁관이 궁원의 독립적인 행정의 실무자였고 이와 동시에 궁관을 통해 궁원에 대한 일정한 감시와 통제가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후비 궁원에는 경제 기반이 수반되어 후비의 독립적인 경제 활동을 보장해주었 다. 고려 전・중기 후비 궁원에는 국가 재정에서 분급받은 宮院田과 왕실 재정에서 분급받은 莊田이 있었고 토지 이외의 계열로 鹽盆所・鹽戶와 魚梁所・魚梁戶, 奴婢, 舟楫, 祿俸 등을 지급받았다. 후비는 이러한 경제 기반에서 收租 혹은 특수생산물 등을 수취할 수 있었고 또한 寶를 운영하여 殖利 활동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얻은 소득은 田稅와 義倉租 납부 외에도 왕자녀의 양육비, 후비 본인의 생활비 및 후비의 신앙 활동 경비로 소비되었다. 그런데 고려의 후비에게 財政源 자체를 분급하는 것은 중국에서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고려는 중국과 달리 別籍異財가 가능한 사회였다. 그러므로 고려 왕실에서 多妻制를 운영하며 이들에 대한 경제적 대우를 고민할 때, 후비에게 경제 기반 그 자체를 분배해줄 수 있었다. 고려 전・중기 후비 궁원은 왕실 의례 거행의 공간이었고, 후비의 출산 공간이자 왕자녀의 양육 공간이었다. 또한 夫王 생전에 정궁 내 內殿에 살았던 후비는 夫王 훙서 후 태후에 높여지는 후비와 그렇지 않은 후비로 구분되는데, 후자의 경우 출궁하여 자신의 궁원에 머물렀다. 이처럼 고려 전・중기 후비는 정궁에 살면서도 정궁 밖 독립적인 궁원을 보유할 수 있었다. 고려는 서류부가혼 사회로, 아이의 출산과 양육은 대체로 아내의 친정집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고 통치자인 국왕의 왕자녀는 후비의 친정집에서 生長할 수 없었을 것이다. 국왕과 후비 친정집의 중간 지점인 제3의 장소가 필요했고, 바로 그곳이 후비 궁원이었던 것이다. 원 간섭기에 이르면 후비 궁원은 궁원 주인의 성격에 따라 궁원의 공간적 기능이 변화한다. 몽골[元] 출신 왕비의 궁원은 국왕과 왕비의 체류 공간이자 연회 및 몽골[元] 사신의 연회 장소였으며 신앙 활동의 공간이었다. 또 국왕과 왕비가 사망하면 殯所로 사용되었다. 몽골[元] 출신 왕비의 궁원은 몽골[元] 출신 왕비의 대내외적인 위상에서 말미암아 여러 기능을 갖출 수 있었다. 이와 달리 고려 출신 후비는 몽골[元] 출신 왕비와의 관계, 국왕의 몽골[元] 체류 장기화로 인해 자신의 궁원에 각각 常住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거주 양상은 공민왕~우왕 연간에도 지속된다. 본고는 고려 출신 후비들이 한곳에 모여 산 것이 아니라 자신의 궁원에 分居한 점에 주목하였다. 고려는 아내가 남편의 집에 들어가 살아야 하는 사회가 아니었으며 또한 일부일처제 사회로, 妻妾의 同居가 발전한 사회가 아니었다. 그러므로 고려 왕실에서 一夫多妻制를 운영할 때, 후비의 同居가 어려웠던 것이다. 후비 궁원 제도는 고려의 역사적 전개 속에서 그 흐름을 함께하며 시행, 정착 그리고 변화 및 쇠퇴하였다. 또한 후비 궁원은 국왕의 일부다처제를 운영할 때 고려의 가족제도 및 혼인 풍습과 타협하면서 시행된 고려만의 제도였다. 요컨대 후비 궁원 제도는 고려시대의 역사적 산물이었다.

      •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신혜영 연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법정 저소득 가정의 만 4, 5세 유아와 부모 107쌍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 그리고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개념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Kwon(1999)의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저소득 가정 유아의 어휘력은 김영태,장혜성,임선숙,백현정(1995)이 표준화한 그림 어휘력 검사(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PPVT-R)를, 인쇄물 개념은 김선희,김명순(2004)이 수정,번안한 인쇄물 개념 검사(Concepts About Print, CA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림 어휘력 검사와 인쇄물 개념 검사는 유아에게 개별적으로 실시되었고,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 질문지는 각 가정에서 어머니 또는 아버지가 작성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부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문해 발달 태도에 있어서 저소득 가정의 4세 유아 부모가 5세 유아 부모보다 책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보였다. 반면 5세 유아 부모는 읽기 지도에 있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가정 문해 활동에 있어서는 저소득 가정의 4세 유아 부모가 5세 유아 부모보다 자녀에게 더 어린 시기에 책을 읽어주었으며, 가정에 아동용 책을 더 많이 비치해두었으며, 자녀에게 책을 더 자주, 더 긴 시간 읽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저소득 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은 4세보다 5세가 더 높았다.셋째, 저소득 가정 유아의 어휘력은 책읽기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감정이 풍부하고 가정의 문해자원이 많을수록 그리고 아동용 책 소장 권수와 부모와 함께 책 읽는 횟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저소득 가정 유아의 인쇄물 개념은 부모가 책 읽기에 관한 읽기 지도를 많이 하고, 가정의 문해자원이 풍부하며, 언어발달에 있어서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그리고 부모가 자녀에게 책을 처음 읽어준 시기가 빠를수록, 아동용 책 소장 권수가 많을수록 높았다.결론적으로,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개념과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 가정 부모가 유아에 대해서 긍정적인 문해 발달 태도를 가지고, 풍부한 가정 문해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개념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혜영 전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8명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같은 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8명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2011년 5월 24일부터 6월 30일까지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der(1979)에 의해 개발되어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 문화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자기표현 척도와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재구성한 사회성 기술 척도(SSR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 표현력 변화는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두 집단간 차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회성 기술 변화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 전체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 하위 영역인 내용적 자기 표현력, 음성적 자기 표현력, 비언어적 자기 표현력 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셋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전체점수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넷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의 하위 영역인 자기주장 점수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의 하위 영역인 협력, 자아통제 점수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신혜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31

        Parents in modern society are not given proper opportunities to be educated and trained in parent role even though the parental responsibility and skills in rearing their children are still demanding Parent education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for parental skill acquisition, started in the 1960's to maximize the effect of child education and preparent education for unmarried youths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world in ligh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unmarried mothers, which causes a lot of social programs. The necessity of pre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as well as that of parent education have started to be recognized in korea since 1980's. However, there is little proper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unmarried youths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tle studies for developing such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unmarried youths, which would have theoretical, practical, and emperical bases. Specific problems of this study was first, to clarify the meaning and present situation of preparent education and to reveal philosoph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needs for preparent education; second, to develop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unmarried youths ; thir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college student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parent education intents to help unmarried youth to think sincerely about the role of parents prior to their being actual parents and to effectively acquire knowledge and attitudes required by parenthood. Preparent education in korea is still in its beginning phas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s which have no theoretical framework are being practiced.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ree aspects. Specifically, philosophical needs are respect for human life, the recovery of basic human values,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family relations; societal needs are the restoration of weakened family education, and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psychological need are ego development of the youth and identity formation on marriage and family life. Secondly,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ncludes 5 thematic areas, self-recognition of youths, sex educ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family reations, development of infant. Five principles on which the program were developed are principle of comprehensiveness, principle of situational specificity, principle of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principle of emphasis on the thinking process, and principle of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The program was also based on the analysis of thematic areas included in exis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Third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5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s that college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and attitude formation needed to become capable par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receiving the program.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acquisition was larger than that of attitude formation.

      •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 및 영향요인 연구 : 서울시 고교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신혜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러한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을 통해 학생의 만족도를 제고하여 학교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지, 고교유형에 따라 학교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둘째,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학생수준과 학교수준으로 변인을 나누어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을 찾고 그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셋째, 고교유형별로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학교수준 변인을 찾고 각 고교유형별로 유의미한 변인들을 비교하였다. 분석 자료는 서울교육정보연구원에서 조사한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설문에 따른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종단자료의 특성에 맞게 1, 2, 3차년도의 항목과 연계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Scheffe 검정,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LM 6.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2수준 다층모형분석(multi-level model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학교만족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고교유형별 학생의 학교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목고의 학교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사고, 특성화고, 자공고, 일반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생수준에서는 성별, 학업성취도, 부모자녀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수준에서는 학생교사와의 관계, 학교풍토, 교사의 실력과 열의, 고교유형(특목고, 특성화고, 자공고)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유형별로 학생의 학교만족도 영향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고의 경우 성별, 학업성취도, 부모자녀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 학생교사와의 관계, 학교풍토로 나타났으며 특목고의 경우 학업성취도, 부모자녀관계, 교우관계로 나타났으며 특성화고의 경우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자녀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 학생 교사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자사고의 경우 월소득, 부모자녀관계, 자아개념, 석사이상 교원비율, 학교풍토로 나타났으며 자공고의 경우 학업성취도, 부모자녀 관계로 나타났다. 이후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학교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 정책에 대한 시사점,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교유형별로 규명함으로써 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요소를 확인하였다. 고교유형별로 학교만족도의 차이를 알 수 있었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학생의 특성 뿐만이 아닌 학교 특성 또한 상당한 부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몇 가지 영향 요인도 알아볼 수 있었다. 차후 보다 깊이있는 연구의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정책입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복잡하고 다양하여 명확히 규정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후에도 학교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학교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찾고 명확한 교육방향을 찾아 공교육이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nhanc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school and raising the level of effective education. The following are analy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an understanding of how the level of Seoul cit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high school was comprehended. Second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levels were investigated. Variables were divided into levels of students and that of the school to seek out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nd then, these factors were examined. Third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that of schools were found and compared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4th year data of the survey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was utilized as analysis materials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data, analyzed by connecting with categories found in the 1st, 2nd, and 3rd year data survey. To process and analyze the data, by utilizing the SPSS 21.0 statistics package,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Scheffe'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by utilizing HLM 6.0 statistics package, 2 level model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ppeared to be above the average, whil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high schoo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n in order,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vocational high schools,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then public high schools.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self-concept at the students’ level, whi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hool climate, capability and enthusiasm of the teacher and the type of high schools (special-purpose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at the school level. Third,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influencing factors appeared differently. In the case of public high school,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elf-concep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chool climate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factors. In the case of the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factors. Also, in the case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monthly income,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concept, proportion of teachers with master degrees and above, and school climate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factors. Also in the case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ernative plans for enhanc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mplications on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assuring factors to enhance th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s. By differentiating the types of high schools, it was possible to find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and to also comprehe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m. It was also found tha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also that of schools, influence th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levels. Other influencing factors were found as well. This study can therefore lay out the groundwork for further thoughtful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policy making process. It is not easy to clearly conclud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satisfaction due to its complexness and diverseness. Even in the future,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chools’ educational performances should be consistently conducted and through this, necessary factors for school education and clear educational direction should be sought to improve public education.

      • 한국 미술생산장의 구조 변동과 행위자 전략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 신참자들의 진입과 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신혜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 미술생산장의 구조와 장 내 행위자들의 예술 실천 변화 양상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논의의 중심은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 한국 미술생산장으로 진입한 신진작가들의 변화된 예술 실천과 그 전략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미술생산장의 성립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장의 구조와 행위자 전략의 변화 과정을 함께 살펴볼 것이다. 논의의 주된 이론적 입장으로 프랑스 예술사회학자 부르디외(P. Bourdieu)의 ‘문화생산장’ 이론을 택하였다. 그 중에서도 무엇보다 해당 장이 장 내 행위자들의 ‘상징투쟁’으로 추동되는 역동성을 지녔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장은 사회의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는 ‘구조적 종속’으로 인해 상대적 자율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는 점이 주된 관점이 되었다. 오늘날 변화된 미술생산장의 구조와 행위자들의 예술 실천 전략에 대한 고찰을 위해서는 부르디외의 장이론 외에 예술경제학 입장에서의 예술 노동 시장과 비물질노동으로서 예술 노동의 가능성 둘러싼 여러 논의들이 보완 지점이 되었다. 한국 현대미술의 성립 이후 오늘날까지 있어 온 다양한 예술 운동을 단순히 사조 및 경향의 변화로 바라보기보다 사회적 맥락에서 구조의 변동으로 파악하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 입장이다. 그 중 가장 큰 패러다임의 전환을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로의 이행이라고 보았다. 동시대 미술은 특정한 미술 사조를 기준으로 보지 않고, 장 내 행위자들의 상징투쟁이 다각화되고 제도적 확충이 본격화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동시대 미술로의 이행 이전, 1950-1980년대 한국 현대미술 발전의 주요 쟁점으로 먼저, 추상으로 대변되는 모더니즘 미술이 득세하는 상징투쟁 과정에 국가 권력이 미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한편, 1980년대 이전까지 화단 내 독점적 위치를 차지했던 모더니즘 미술에 전면으로 맞선 민중미술의 특유한 장 내 위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비교적 지속 기간이 짧았던 민중미술의 예술 실천과 별개로 1980년대 중엽 이후 ‘신세대 미술’의 등장으로 점화된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에서 이룬 민중미술 진영의 비평적 성취와 이후 포스트 민중미술 혹은 사회비판적 미술로 이어진 동시대 미술로서의 재평가와 위치정립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이서 제도의 확충과 제도를 중심으로 한 개별 작가의 활약이라는 측면에서 1990-2000년대 동시대 미술장의 구조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국가정책의 영향력 하에 세계화에 따른 국제비엔날레 확산과 경제자본의 영향력 하에 빚어진 미술시장의 부침에 주목했다. 그리고 장 내 신참자의 진입 및 공인의 제도로서 1990년대 후반 이후 새롭게 등장한 대안공간과 창작스튜디오가 미술장 내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행위자들이 장 내에서 어떠한 궤적을 그리며 자신들의 위치를 정립해가는가를 여러 주요 제도들 간의 중복 여부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렇다면 지금의 미술생산장의 구조를 1990-2000년대와 동시대의 것으로 볼 수 있을까. 일정 정도의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사회 전반에서 일어난 구조적 변화가 미술장에도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기성 제도가 약화되고 변질됨에 따라 장의 양극화 구조가 극심해졌고, 그에 따라 대다수의 작가들에게 생존의 문제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그 결과 각자도생의 길을 위해 소규모의 협업 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 논문의 주요 경험연구 대상인 2014-2015년 급증한 ‘신생공간’ 주체들의 예술 실천은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하였다. ‘88만원 세대’로서 이들이 겪어 온 삶의 경험은 일종의 하비투스로서 예술 실천에도 이어져, 자기 충족적 멀티플레이어로서 유동성을 가지고 각기 다른 조건에 맞추어 생존을 위한 예술 실천을 펼치고 있다. 이 논문은 그들의 삶의 경험과 예술 실천의 다양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이 오늘날 한국 미술생산장 안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존재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립적 신생공간 주체들의 삶의 경험과 예술 실천이 비단 현재 미술생산장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문화생산장 내 주체들의 그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사회적 의미를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미술생산장 내 장과 행위자의 변증법적 관계, 그리고 현재의 장이 형성되기까지 이전 역사와의 관계를 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함의와 실절적인 역할을 드러내는데 미약하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Korea’s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and the art practice of agents within the field. The primary focus is the changes in the art practice of emerging artists who joined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in Korea after 2008, a time when neoliberalism began to take hold, and the strategies adopted by such artis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races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from its initial establishment to its current status, and the varying strategies of agents during that period. The theory of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by P. Bourdieu, a French sociologist of art, served as the main theoretical basis of discussions. Among the many aspects of Bourdieu’s theory,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dynamic nature of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in triggering a symbolic struggle among agents within the field, and how all fields possess relative autonomy despite such dynamism due to the structural dependence that makes them susceptible to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s. In studying changes leading to today’s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and the strategic practice of agents, the various discussions surrounding the artistic labor market in the framework of economics of the arts and the potential of artistic labor as immaterial labor were used to supplement Bourdieu’s theory of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The basic approach of this paper to the artistic movements that took pla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rt in Korea is to regard them as structural changes in the social context, and not as changes in trends and tendencies. The largest paradigm shift is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The point at which the symbolic struggle of agents in the field diversified and institutional expansion grew active, rather than contemporary art itself, was used as a reference for specific trends in art. As a key issue of the development of Korea’s modern art in the 1950s to 1980s, prior to the transition to contemporary art, this study looked at the influence of state power on the symbolic struggle, an indicator of modernist art’s rise to power. Another focus was Minjung art, which challenged the dominant status that modernist art enjoyed before the 1980s, and its place in the field. In particular, this study addressed the performance of Minjung art in post-modernist discussions sparked by the emergence of new-generation art after the mid-1980s, and the reevaluation and positioning of the movement as contemporary art leading to post-Minjung art or art as social criticism. This study examined structural changes of the contemporary art market in the 1990s to 2000s in terms of the role of individual artists against the backdrop of institutional expansion. First, it explored the spreading of international art biennales under the influence of state policies, and the status of the art market shaped by the economic capital. Nex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was influenced by new alternative spaces and creative studios, introduc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as a system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emerging artists. In addition, it tracked the activities of agents within the field and how they settled into their positions through a cross-check of several major policies. Considering the above, does the structure of today’s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belong to the same contemporary age as that of the 1990s to 2000s? The structural changes exhibited across society following the 2008 financial crisis seem to have occurred in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as well. The field grew more polarized with the weakening of the existing system, and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issue among artists was their survival. In order to make a living, artists began to form small groups and engaged in collaborative projects, which is the setting behind this experimental study—the art practice of agents of new spaces that grew widespread in 2014-2015. The 880-thousand-won generation utilized their experiences for their art practice as a kind of habitus, and individual artists engaged in art practice for survival, empowered with mobility and under varying conditions as self-fulfilling multi-players. This paper closely reviews the diverse forms of art practice based o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agents, and inquires into their position and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in Korea today.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agents of independent production spaces not only reflect the current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but also that of the agents of other fields of cultural production at large in our society. By examining the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and its agents, and historical developments leading to the modern-day field,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ing the social implications and roles of art today.

      •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 : 학급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신혜영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에서 학급공동체의식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에 미치는 학급공동체의식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의 요인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상황에서의 긍정적 대처를 위한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생의 집단따돌림 방관태도, 학급공동체의식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학생의 집단따돌림 방관태도, 학급 공동체의식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 내 공동체의식은 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를 매개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A시, S시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척도, 학급공동체의식 척도, 집단따돌림 방관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18.0을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성별에 따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따돌림, 학급공동체의식의 지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학급공동체의식,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에서 학급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학급공동체의식, 집단따돌림 방관태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정서적 요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하여 대체로 성별 간 차이가 없지만,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피해자를 돕는 데 심리적 부담감을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담임교사는 여학생이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는 맥락을 파악하여 여학생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정서적 갈등을 줄이는 데 도움 자원이 되어야 한다. 둘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학급공동체의식,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에 대해 상관분석 한 결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공동체의식 간에는 뚜렷한 정적 상관, 의사소통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 간에는 약한 부적 상관, 공동체의식과 집단따돌림 간에도 약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하위 변인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의사소통 유형에서 수용이 촉구보다 학급소속감, 의사결정 관여에 좀 더 높은 정적 상관을 이루고 있었다.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인지적 요인, 행동적 요인에서는 의사소통 촉구가 수용에 비해 높은 부적 상관, 정서적 요인에서는 수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 상관을 이루었다. 학급소속감은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행동적 요인에서 의사결정 관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학생과 의사소통 할 때 교사 본인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보다는 학생의 이야기를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와의 관계에서 학급공동체의식은 완전매개 하였다. 즉,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이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학급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급공동체의식 중 의사결정관여만으로는 학급소속감과 달리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에는 학급소속감이 더 큰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학급공동체의식은 집단따돌림 방관태도를 낮추는 보호요인이므로 학생의 학급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중요하다. 담임교사는 학급에서 학생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고, 가급적 대화를 많이 나누는 것이 학생들의 학급 공동체의식을 기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결과는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학생들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방관하기 보다는 방어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