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 : 경영자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해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리인 비용은 대리인인 경영자가 주인인 주주 및 채권자의 이익에 반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발생한다. 자본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인한 대리인 비용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이며 이러한 대리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와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기업과 사회 전체를 위하여 중요한 일이다. 회원제 관광기업은 관광시설의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회원을 모집하여 조달하고 회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관광시설을 이용하게 하는 기업이다. 회원제 관광기업은 자본을 회원들로부터 조달하기 때문에 회원권부채라는 다른 기업에는 없는 부채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독특한 자본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회원제 관광기업의 독특한 자본구조는 기존 대리인 비용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회원을 위임자로 경영자를 대리인으로 하는 대리인 문제를 야기시켰다. 회원제 관광기업의 경영자가 비효율적인 투자를 하거나 사적소비를 하는 경우 이는 자본을 투자한 회원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하여 회원제 관광기업이 부실화될 경우 회원들은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원권부채를 포함한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회원제 관광기업의 대리인 비용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경영자는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로 분류되고 이러한 경영자의 유형에 따라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에 있어 경영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동시에 고려한다면 회원제 관광기업의 대리인 비용 발생행태를 분석하고 통제장치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원권판매로 인하여 독특한 자본구조를 가지게 되는 회원제 관광기업의 경우 이러한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경영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근거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대리인 비용의 합리적인 통제방안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자본구조와 대리인 비용에 대한 이론을 자기자본적 관점과 타인자본적 관점 및 잉여현금흐름적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회원제 관광기업에 대한 법적·제도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 특징을 파악하였다. 회원제 관광기업의 특성에 맞는 자본구조 변수와 대리인 비용의 대용변수를 사용하였는데, 자본구조 변수로 외부주주지분율, 투하자기자본 비율, 부채비율, 차입금 비율, 회원권부채 비율, 잉여현금흐름 비율 및 단기차입금 비율을 사용하였다. 대리인 비용의 대용변수로는 자산회전율과 감가상각비와 조세공과금을 제외한 판매관리비 비율 및 접대비와 복리후생비 비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변수의 도출을 근거로 첫째,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해상충가설, 부채의 유인효과론 및 잉여현금흐름가설이 지지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둘째, 경영자 유형에 따라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2015년 말 현재 영업 중인 회원제 관광기업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재무정보와 주주 및 경영자 정보를 취득하여 불균형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패널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본구조는 대리인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주주지분율, 차입금 비율, 회원권부채 비율은 대리인 비용을 증가시키고, 투하자기자본비율은 대리인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주주지분율과 투하자기자본 비율이 각각 대리인 비용에 정과 부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해상충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입금 비율과 회원권부채 비율이 대리인 비용에 정의 관계를 보임으로써 부채의 유인효과론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설과 달리 회원제 관광기업에서는 잉여현금흐름가설이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 유형은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경영자 유형은 외부주주지분율, 부채비율, 차입금 비율, 회원권부채 비율, 잉여현금흐름 비율 및 단기차입금 비율이 판매관리비 비율 및 접대비와 복리후생비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 유형의 조절효과는 자산효율성을 나타내는 자산회전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사적소비수준을 나타내는 판매관리비 비율 및 접대비와 복리후생비 비율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자본구조와 사적소비수준의 관계에서 전문경영자의 경우 회원권부채 비율, 외부지지지분율 및 잉여현금흐름 비율에 대해서는 사적소비수준을 증가시키지만 차입금 비율과 단기차입금 비율에 대해서는 사적소비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술적으로는 첫째, 대리인 비용의 연구대상을 비상장기업으로 확대하였으며, 회원제 관광기업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여 설명력을 제고하였다. 둘째, 다른 업종에는 없는 회원권부채가 과잉투자를 유인하여 자산회전율을 감소시키고 대리인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것과 일반적으로 지지되는 잉여현금흐름가설이 회원제 관광기업에서는 지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는 회원제 관광기업의 특성상 투자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자금이 소요되는데 회원제 관광기업의 잉여현금의 규모가 이러한 투자를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자본구조가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영자 유형에 따른 상대적인 차이를 규명하였다. 자본구조가 사적소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경영자는 소유경영자에 비하여 위험회피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회원제 관광기업의 자기자본확충의 필요성과 과도한 회원권 판매 통제, 회원들의 재산권을 보호할 법적·제도적 장치의 마련, 회원제 관광기업의 공시와 감독 강화 및 내부통제제도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회원제 관광기업에 대리인 비용을 접목하여 위와 같은 학술적·실무적인 기여를 하였다. 비록 7년에 불과한 연구대상 기간과 비상장, 소규모 기업에 대한 자료수집의 한계가 있었지만 이를 계기로 향후 연구에서는 회원제 관광기업에 적합한 대리인 비용 통제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회원제라는 독특한 자본구조에 맞고 자본의 위임자인 회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교육서비스의 측정 기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신해수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for developing and applying a technique of measuring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universities. Evaluation factors that measur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were selected from SERVQUAL which is a model for evaluating consumer’s awareness value and service quality. Eleven items which can measure personal identity oriented value and society oriented value that are subfactor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awareness value and eight items which can measure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e and confidence that are subfactor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lative weight of evaluation elements was elicited through AHP analysis to measur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and present comprehensive index. Application process of developed measuring technique was described by selecting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significant suggestions were presented. Lots of studies on eval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that applied consumer’s awareness value besides service quality to evaluation model. There are few studies that presented comprehensive index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by eliciting and applying evaluation elements through AHP analysis as well. This study presented concrete methods for them. 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to improvement in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universities around the country based on findings. keyword: education service, measuring technique, awareness value, service quality, AHP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육서비스를 측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대학교육서비스를 측정하는 평가요인들을 소비자의 지각가치와 서비스품질 평가모형인 SERVQUAL에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교육서비스 지각가치의 하위 평가요인인 자아지향적 가치와 사회지향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11개의 측정항목과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 평가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을 측정할 수 있는 8개의 측정항목이 개발되었으며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대학교육서비스를 측정하고 하나의 종합적인 지수를 제시하기 위해 각 평가요소들의 상대적 가중치를 AHP 분석을 통해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 소재의 사례대학 3곳을 선정하여 개발된 측정기법의 적용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교육서비스의 평가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서비스품질의 평가모형 외에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평가모형에 함께 적용한 논문은 찾기 힘들다. 또한 AHP 분석을 통해서 평가요소들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적용하여 대학교육서비스의 종합지수를 제시한 연구는 더욱 찾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국 대학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주요어: 교육서비스, 측정 기법, 지각가치, 서비스품질, AHP

      • 포름산염 활용 균주 분리 및 특성분석

        신해수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포름산염 활용 균주 분리 및 특성분석 지구에 존재하는 원핵생물의 총 수는 약 5 x 1030 개체이며, 지구의 종 다양성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2021년 7월 기준으로 집계 된 원핵생물의 종 수는 17,470개로 매우 미진한 수준이며, 우리나라에 서 발굴된 미생물은 고균을 포함하여 3,606종 정도이다. 예상한 종 수 에 비하면 0.5% 미만으로 발굴된 셈이다. 원핵생물의 분류는 유전체적 종의 기준으로는 dDDH 70% 미만 또는 ANI 95~96% 미만과 16S rRNA sequence의 유사도 98.7%의 기준을 사용하며 이러한 기준을 통 해 서로 다른 종 임을 밝혀내고 있다. 유전체의 유사도나 유전자 정보 이외에도 quinone, polar lipid와 같은 생화학적 특성 및 생리적특성을 분석하여 차이를 입증해야 한다. 환경미생물은 지구의 생태계나 생리화학적 순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이지만 현재 1%만이 배양되었다, 그렇기에 신종미생물 및 미배양 미생물을 확보하여 생물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국내 환경 에 서식하고 있는 신종 세균을 분리동정을 목표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Olleya 속 신종 세균 1종을 분리동정하였다. 또한 산업에서 미생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고부가가치 물질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되어 농도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 광합성 과정으로는 배출량 을 포집할 수 없다. 그렇기에 환경문제인 탄소중립의 해결방안으로 현재 온실가스를 이용하여 포름산염 (HCOOH/HCOO-)으로 전환하여 환경적 으로 지속가능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포름산염을 활용하여 우리에게 이로운 고부가가치 물질을 만들어내는 기능성 세균을 분리동정 하는 것을 목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포름산염을 활용하는 균 주 4종을 분리동정하였다. Lysinibacter 속, Cupriavidus 속, Herbaspirillum 속, Ancylobacter 속 균주였으며, 본 연구에서 분리한 균주 는 모두 포름산탈수소효소 (FDH)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중 Lysinibacter sp. HNR은 신종 균으로 확인되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rmate-utilizing bacteria The total number of prokaryotic microorganisms on Earth is estimated to be around 5 x 10^30 individuals, constituting over 50% of the Earth's species diversity. However, as of July 2021, the recorded number of prokaryotic species is relatively low, at 17,470, with only approximately 3,606 microbial species identified in South Korea, including archaea. This accounts for less than 0.5% of the estimated species. Prokaryotic classification is based on genomic criteria, such as digital DNA-DNA hybridization (dDDH) below 70% or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below 95-96%, as well as a 16S rRNA sequence similarity of 98.7%. These criteria help establish distinctions between different species. Environmental microorganisms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ecosystems and biochemical cycling on Earth. However, only 1% of them have been cultured so far, emphasizing the need to secure novel microorganisms and uncultured microbes to ensure biodiversity. In an experimental effort to isolate and identify novel bacteria inhabiting the domestic environment, a new species of genus Olleya was successfully isolated and identified. Additionally,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high-value compound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n industries. The current global increase in carbon dioxide emissions, with concentrations higher than ever, highlights the need for sustainable solutions to carbon neutrality. Utilizing greenhouse gases, particularly formic acid (HCOOH/HCOO-), offers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raw material. In this contex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solate and identify functional bacteria capable of utilizing formate for the production of high-value compounds. As a result, four strains utilizing format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elonging to the genus Lysinibacter, Herbaspirillum, Cupriavidus, and Ancylobacter. All isolated strains were found to possess formate dehydrogenase (FDH), with Lysinibacter sp. HNRT confirmed as a novel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