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후기 분석 및 일부지역 여대생의 구매 실태 조사

        신채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일부지역 여대생의 온라인 화장품 쇼핑몰의 구매 실태조사 본 연구는 온라인 화장품 쇼핑몰에서 여대생들의 화장품 구매 특성 및 구매 태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과 구매태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제품 후기 유형 및 상품평 내용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방법은 첫째, 설문조사는 2017년 6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조사표를 제외한 211부가 자료조사에 사용되었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후기 유형과 상품평 내용 분석은 S쇼핑몰에서 에서쿠션과 세럼 각 500개의 댓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982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Ver.과 R 3.4.1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구매 특성은 편리성을 가장 큰 구매이유로 응답하였으며, 접속횟수는 1-2회, 선호 쇼핑몰은 특정 사이트가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구매 경험은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구매 횟수는 1-4회가 높게 조사되었다. 구매 결정의 중요 요인으로는 상품평 후기, 영향 요인은 가격, 장애 요인으로는 제품 테스트 불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 및 전공과의 여러 요인들과의 관련성에서는 전공에 따라 구매 제품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구매 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셋째, 구매횟수와 여러 요인들과의 관련성에서는 구매 이유, 구매 제품, 선호 사이트와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제품 후기 유형은 긍정적 단순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상품평 내용에서는 효능 및 사용감 평가, 구매 편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에어쿠션과 세럼의 종류에 따른 제품 후기 유형과 상품평 내용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에어쿠션과 세럼의 각 상품평 내용과 제품 후기 유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부지역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공의 특성에 따라 구매 제품의 차이가 있었고, 구매이유, 구매제품, 선호사이트의 요인들은 구매 횟수와 매우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를 결정할 때 상품평 후기가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제품 후기 유형을 조사해 봄으로써 화장품 제품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가 주를 이루며 에서쿠션과 세럼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제품 후기 유형 및 상품평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일부지역 여대생으로만 한정하였다는 점과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제품 후기 평가를 1개 쇼핑몰과 2개 제품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데이터 사이즈가 총 982건의 제품 리뷰 및 211건의 설문 데이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판매 전략, 정보 제공 방법 및 상품평 내용을 제품 개발에 활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추후 추가적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및 연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여 분석 결과의 일반화를 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ABSTRACT A Survey on the Actual Purchase at Online Cosmetics Shopping Mall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 Region Shin Chae Won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smetics purchase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attitud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online cosmetics shopping mall, and also to verify the rela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attitude. Based on such results, it aimed to analyze the cosmetics product review type and product evaluation contents at online shopping mall.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research method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50 femal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Gwangju from June 20th to June 30th 2017, and total 2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Second, the cosmetics review type and product evaluation contents at online shopping mall were analyzed targeting 500 comments on air cushion and another 500 comments on serum at S shopping mall, and total 982 comments of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Ver. and R 3.4.1Ver.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detailed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urchase characteristics at online shopping mall, the convenience was responded as the biggest purchase reason. The number of access was 1-2 times, and regarding the preferred shopping mall,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re were no specific sites. Many respondents had purchase experiences, and regarding the number of purchase, 1-4 times was highly shown. The product evaluation review was the important factor of purchase decision, the price was the influence factor, and the impossibility to test products was the obstacle factor. Second, in the relations between grade & major and man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d products in accordance with major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urchase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grade. Third,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purchase and man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urchase reason, purchased products, and preferred site. Fourth, regarding the cosmetics product review type at online shopping mall, the positive simple evaluation was the most. The product evaluation contents included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 use and purchase convenience in order. Fifth, in both product review type and product evaluat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ir cushion and ser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duct evaluation contents and product review type of air cushion and serum. Such results showed the cosmetics purchase characteristics at online shopping mall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a reg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there were differences in purchased products while factors of purchase reason, purchased products, and preferred sit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urchase. Also, when deciding to purchase cosmetics at online shopping mall, the product evaluation review was working as the most important decision factor. Researching the product review type at the actual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such results of survey, it verified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of cosmetics products was mainly foun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duct review type and product evaluat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ir cushion and serum. In spite of su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 region, and the product review evaluation at online shopping mall was limited to one shopping mall and two products. Second, as the data size was composed of total 982 product reviews and 211 survey data,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basic data of cosmetics sales strategies, methods to provide information, and product evaluation contents at online shopping mall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s.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for additional researches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analysis by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number of subject.

      • 파킨슨병 환자의 위장관의 수술 조직과 생검 조직을 이용한 알파시누클린 침착에 대한 분석

        신채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위장관 조직 생검의 면역조직화학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의 침착은 파킨슨병의 병리학적 바이오마커로 가능성이 높다고 각광받고 있다. 위장관에서의 알파시누클린 축적은 파킨슨병의 병인 및 임상적 특징과 연관이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비신경 구조물에서 알파시누클린 염색이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실제로 비신경 구조물의 알파시누클린 침착인지 비특이적 소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위장관 벽의 전층을 확인할 수 있는 수술 조직과 생검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위장관 조직 생검의 신뢰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위장관 수술 조직에서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면역염색 여부에 따른 환자의 인구학적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위장관 종양 치료를 위해 수술을 받은 파킨슨병 환자들이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대조군은 수술 시 연령, 성별, 수술 절제 부위가 일치하여 선별하였다. 수술한 날짜 기준 1년 이내의 진단적 목적으로 얻은 생검 조직이 있을 경우 포함시켰다. 우리는 수술 조직의 근위부와 원위부 절제 경계의 정상 조직과 생검 조직에서 병리 슬라이드를 만들어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실시하였다. 염색한 슬라이드에서 신경 구조물과 비신경 구조물의 알파시누클린 침착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후 환자와 대조군에서 수술 조직과 생검 조직의 침착 여부를 비교하였다. 환자군은 수술 조직의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 여부에 따라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양 군 간의 인구학적 특성과 생검 조직의 알파시누클린 침착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33 명의 파킨슨병 환자가 위장군 (N = 12) 과 결장-직장군 (N = 21)으로 분류되었다. 위 수술 조직에서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58.3% (7/12)와 8.3 % (1/12)이었다 (p = 0.027). 결장-직장의 수술 조직에서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률의 빈도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동일했다 (각각 23.8 % [5/21]). 흥미롭게도 생검 조직에 대한 면역 염색 결과는 수술 조직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환자와 대조군 간의 생검 조직에서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 빈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9.1 % [2/22] vs 18.2 % [4/22]; p = 0.664). 파킨슨병의 증상 발현 연령과 수술시 연령은 위장군에서만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 환자들에서 더 적었다.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의 생검에서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양성률과 다른 인구학 통계 수치는 차이가 없었다. 비신경 구조물 염색 패턴들 중에서 위 점막 상피세포의 퍼짐 염색 패턴과 혈관 벽의 점 염색 패턴은 상당한 수의 환자 및 대조군에서 나타났다. 이 패턴들은 파킨슨병을 가진 환자 및 신경 구조물에서의 인산화 알파시누클린 침착 양성 여부와 관련이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장관 조직 생검의 조직 생검의 면역조직화학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알파시누클린 침착은 양성률이 낮고 외과 조직과의 일치도가 낮기 때문에 신뢰할 만하지 않았다. 또한 젊은 파킨슨병 환자에서 위의 알파시누클린 침착이 더 많으며, 비신경 구조물의 알파시누클린 염색은 비특이적인 결과였다. 이 결과들은 종합할 때, 위장관에서의 알파시누클린 침착을 연구하는 향후 연구들은 결장이나 직장보다는 위를 표적으로 해야할 것이다. Background: Alpha-synuclein (AS) accumulation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stry (IHC) of gastrointestinal (GI) tract biopsies is considered as a potential pathologic biomarker for Parkinson’s disease (PD). The AS accumulation in the GI tract is hypothetical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D. Moreover, AS staining in non-neural structures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but whether it is truly non-neural AS accumulation or only non-specific finding is not known. Objectives: We compared AS IHC findings in biopsy specimens and surgically resected full-depth specimen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GI tract biopsies. We also evaluated the demographic differences of patients who had phosphorylated AS (pAS) (+) and pAS (-) immunostaining in surgical specimens of the GI tract. Methods: We included patients with PD who had undergone operation of the GI tract for treatment of tumors. Controls were matched with age at operation, gender, and surgical resection site. If available, Biopsy specimens obtained for clinical diagnoses of tumors within 1 year of operation were included. We assessed the presence of AS accumulation in neural and non-neural structures in immunostained slides by IHC with pAS monoclonal antibody on the sections from both the rostral and caudal resection margins of the radically resected tissues of the surgical specimen and biopsy tissue. We compared pAS positivity in neural and non-neural structures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and within individuals between surgical and biopsy specimens. Patients were further categorized to pAS (+) or (-)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AS positivity in the neural structures of the surgical specim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S positivity in biopsy tissues were compared between pAS (+) and (-) groups. Results: A total of 33 patients with PD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the stomach (N=12) or colorectal group (N=21). The frequency of pAS positivity in gastric surgical specimens was 58.3% (7/12) and 8.3% (1/12) in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p=0.027). The frequency of pAS positivity in colorectal surgical specimens was identical in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 (23.8% [5/21] in each). Intriguingly, immunostaining results for biopsy specimens were not concordant with those for surgical specime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pAS positivity in biopsy specimens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9.1% [2/22] vs 18.2% [4/22]; p=0.664). The age at operation and symptom onset of PD were younger in pAS (+) patients in the stomach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demographics and pAS positivity in biopsy between pAS (+) and pAS (-) patients. In the non-neural staining patterns, the diffuse staining pattern of the gastric mucosal epithelium and the dotted staining pattern of vessel walls were seen in a considerable number of both patients and controls. These patterns were not related to the pAS positivity in neural structures as well as in patients with PD.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clearly demonstrate that AS accumulation identified via pAS IHC of GI biopsies is unreliable due to its low positive rates and poor concordance with surgical specimens, AS accumulation in the stomach is more prevalent in younger patients with PD, and non-neural staining patterns are non-specific findings. Our results indicate that future studies investigating AS accumulation in the GI tract should target the stomach, rather than the colon or rectum.

      • 여성골퍼의 자외선 유해 인식이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채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60대 여성골퍼를 대상으로 광피부유형, 자외선 유해 인식 및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기간은 2022년 6월 14일부터 2022년 6월 26일까지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63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교차분석(-test), t-test, ANOVA,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자외선 유해 인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과의 관련성은 자외선 유해 인식에서 직업과 가구 월소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은 가구 월소득에서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피부관리행동에서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골프관련 특성과 자외선 유해 인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의 차이는 자외선 유해 인식에서 골프 지출비용, 자외선 차단제품 구매장소, 골프와 일상생활에서 차단제의 적정 SPF지수,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에서는 골프 라운드 횟수, 골프 지출비용, 햇빛노출정도, 차단제품 사용이유, 골프와 일상생활에서 차단제의 적정 SPF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피부관리행동에서는 골프 지출비용, 차단제품 사용이유, 자외선 차단제품 구매장소, 골프와 일상생활에서 차단제의 적정 SPF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광피부유형과 자외선 유해 인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과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자외선 유해 인식·자외선 방어관리행동·피부관리행동의 상관성은 자외선 유해 인식이 높을수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이 적극적인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다섯째, 자외선 유해 인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의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은 자외선 유해 인식이 높을수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이 적극적일수록 피부관리행동이 적극적인 정(+)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여섯째, 자외선 유해 인식과 피부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은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여성골퍼들의 자외선 유해 인식은 높았으며,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도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 및 골프관련 특성, 광피부유형과 자외선 유해 인식, 자외선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자외선 유해 인식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에서 자외선 방어 행동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자외선 방어관리행동이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골프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자외선 유해 인식 및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을 주제로 한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자외선 유해 인식 조사와 더불어 방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여성골퍼들을 위한 다양한 자외선 방어 및 보호 화장품, 사후 피부관리 화장품 및 피부관리 프로그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 대상의 선정 및 지역의 한정으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온라인 수집의 과정에서 설문 응답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점과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인하여 설문도구 제작 및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골프인구는 점차 더 증가될 뿐만 아니라 연령층도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연구대상자의 지역, 성별, 연령, 골프 경력에 따른 자외선 차단 방법, 자외선 노출에 따른 피부변화, 사후 피부관리 방법 등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단계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채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규명하여 대학 교양체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에 소재한 K대학교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실시하여 추출한 총 427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통계 프로그램 SPSS Version 2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업 만족도의 차이는 성별, 전공계열, 수강과목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양체육 수업 내 학생들의 성취목표는 자신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체육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적절한 성취목표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how achievement goal propensity affects physical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427 surveys extra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college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K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sion 26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or verification,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propens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major, and cour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goal propens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goal propens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chievement goal propens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students' achievement goals enable them to have positive beliefs about their physical abilities and act as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 appropriate achievement goals should be developed.

      •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현대음악의 리듬창작 수업지도안 연구 : 에드가 바레즈의 <이오니제이션>을 중심으로

        신채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중이론을 접목한 현대음악 리듬창작 수업지도안으로 에드가 바레즈의 <이오니제이션>의 특징적 리듬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능적인 요소를 끌어내고, 타악기로 리듬과 음색을 조화롭게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지능을 다양한 인지능력으로 개념화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과 타고난 능력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음악교육에 적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음악수업에서도 다양한 능력을 발견할 수 있는 수업 설계가 필요하다. 에드가 바레즈의 <이오니제이션>은 최초의 타악기앙상블곡으로 현대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특성을 모두 포함하며 타악기의 독특한 음악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 곡은 리듬과 음색만으로 작곡되어 타악기의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과 음악의 새로운 예술성을 발전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음악의 양식은 새로운 음향을 찾아서 다양한 작곡 기법으로 표현되며, 또한 실험적인 시도로 여러가지 리듬과 음색이 발현된다. 그러므로 현대음악의 독창적인 작곡기법들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상상력을 길러주고 창의적인 사고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바레즈의 <이오니제이션>을 중심으로 타악기의 리듬창작활동을 통해 음악성을 표현하고 이해함으로써 리듬감을 넓게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현대음악이 갖고 있는 특징과 표현기법을 타악기 리듬창작활동에 적용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음악수업을 통하여 리듬감을 느끼고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수업이 되도록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 스스로 다양한 리듬을 만들어 발전•변형시키며 연주하는 과정에서 리듬감과 창의력이 향상되고, 리듬의 악센트나 다이나믹을 고려하여 악기를 적절히 선정하는 활동과정에서 타악기마다 가지고 있는 음색과 강약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둘째, 교사가 제시한 악보의 네모칸에 먼저 단순한 리듬형을 적어보게 한 후, 점차 복합적인 리듬연습을 악보화하는 과정에서 음악적 요소가 서로 상호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학습자가 사고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박자의 개념과 리듬 형성의 창의적인 방법과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의 적용은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을 사용하게 하여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자료를 통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시켰으며, 현대음악의 특징을 피상적인 이론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타악기의 새로운 음색을 시도하고 리듬을 표현하게 하였다. 넷째, 타악기의 리듬창작수업은 학생들이 자신의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창출함으로써 자기를 표현하고, 음악적 개념의 확대를 통해 창작의 능력을 향상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앙상블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의사 소통과 상호작용으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도록 하여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일상생활의 지루함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현대음악의 리듬창작 수업활동은 학생들의 협동적인 학습태도와 음악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 시키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통합적인 방법으로 접목해 새로운 음악으로 창작 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현대음악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창의적인 잠재력을 끌어내어 폭넓은 음향의 세계로 이끌어 미학적 시야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다양한 리듬을 창작하여 연주해봄으로써 독창적이고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탐구능력과 현대적이고 새로운 리듬감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의 기억과 수용 : 오충공 작품을 중심으로

        신채원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사건은 일본 정부가 지진으로 파괴된 도시에서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외부의 적으로 시선을 돌리고자 폭력과 학살을 자행한 국가 범죄였다. 군대와 경찰, 일반인이 조선인이라는 특정 집단을 절멸하려는 의도로 감행한 이 조직적인 학살의 기억은 텍스트로 다양하게 전환되어 문화적 기억으로 번역되고, 이는 사건 밖에 있는 수용자에게 전승된다.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사건은 지진으로 인하여 혼란한 틈에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고 약탈을 일삼고 부녀자를 강간한다는 등의 유언비어로 6천여 명의 조선인이 학살된 사건이었다. 식민지 시대는 기록들이 말살되고 왜곡된 채 말과 글마저 빼앗기고 정체성을 부정당한 시대였다. 증언은 조작되고 왜곡된 기록에 의해 주목 받지 못했고, 설상가상 대부분 사망하면서 구술증언을 통해 기억을 전승할 기회마저 잃어가고 있다. 2020년 현재, 1923년의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사건의 피해자와 목격자는 모두 사망하였고 일본의 역사수정주의로 인한 기록 삭제와 왜곡으로 인해 진상규명과 피해자 집단의 확인 및 희생자 유족 찾기는 점점 미궁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라고 할 수 있는 ‘학살’이라는 참혹한 역사의 재현이 진실을 바탕으로 시작되어야 함을 말하고자 한다. 일본과 한국에서 상영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오충공의 영화 <감춰진 손톱자국>(1983), <불하된 조선인>(1986), <1923제노사이드, 93년 간의 침묵>(예고편)이 제작된 1983년부터 현재까지 이 작품이 이 사건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대중적 기억을 형성하였는지 살펴볼 것이다. 탈진실의 시대에 1980년대부터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이 사건에 대한 기억이 어떻게 확장되어 왔는지 이 작품의 탄생과 흐름 속에 ‘기억’이라는 관점에서 영화를 분석한다. 또한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되는 감정과 인식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관객성 연구를 통해 그 맥락을 짚어 보고자 한다. ‘이후 세대’가 영화를 통해 사건을 기억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포스트메모리의 시각으로 향후 과제를 찾는다.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사건을 재일조선인만의 역사가 아닌 극복해야 할 양국의 역사로 기억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대규모 인물 데이터에서의 효과적인 face recognition 기법에 대한 연구

        신채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판별하는 문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얼굴 판별 문제는 쿼리 이미지를 단일 인물과 비교하는 문제 또는 다중 인물과 비교하는 문제로 나눌 수 있다. 단일 인물과 비교하는 문제는 비교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적기 때문에 빠르게 처리할 수 있지만, 다중 인물과 비교하는 문제는 비교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많기 때문에,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고 판별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따라서, 얼굴 판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얼굴 판별 알고리즘은 임베딩 생성, 트리 생성, 트리 검색, 크게 세 단계로 수행된다. 임베딩 생성 단계에서는 얼굴 이미지 데이터가 feature 벡터로 임베딩된다. 얼굴 이미지를 임베딩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FaceNet을 사용한다. FaceNet은 deep neural network 기반의 구조로, triplet loss라는 손실 함수를 사용하여 얼굴 이미지를 학습하는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학습이 완료되면 동일한 인물은 가깝게 다른 인물은 멀도록 임베딩이 생성된다. 임베딩 생성이 완료되면 얼굴 판별 알고리즘의 두 번째 단계인 임베딩 트리 생성 단계를 수행한다. 얼굴 데이터가 많을수록 선형 검색을 진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앞서 추출된 임베딩으로 트리를 생성하여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randomized $k$-d 트리와 $k$-means 트리를 이용하였고, 트리의 사용은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임베딩을 이용하여 트리를 모두 생성하고 나면 얼굴 판별을 위한 검색을 진행한다. 트리 검색 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beam search 기법을 도입하였다. Beam search는 검색 시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후보 노드의 자식 노드를 방문하여 비교를 진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최우선 탐색 방법보다 더 높은 검색 정확도를 갖는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4가지의 정확도 기준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안된 기준의 적합성과 실험 결과를 통해 본 알고리즘에 적절한 정확도 평가 방식을 제안하였고, beam과 생성된 트리의 branching factor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본 알고리즘에 적합한 파라미터를 설정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인물 당 존재하는 사진의 수에 따른 정확도 역시 평가하고 이를 통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실험을 통해 설정된 beam 값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실험 결과, 트리를 이용하지 않고 검색을 진행하는 방법에 비해 트리를 이용한 알고리즘의 효율성이 더 향상되었고, 트리의 branching factor의 값이 클수록 효율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eam search의 사용은 일반적인 최우선 탐색을 사용한 결과보다 더 높은 정확도로 트리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대체적으로 beam의 값이 클수록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oblem of recognizing a person's face has been studied a lot because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ace recognition problem can be divided into a problem that compare query images to a single person or a problem that compare with multiple people. The problem of comparing to a single person can be performed quickly because there is a small amount of data to be compared, but the problem of comparing with multiple people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compared. Therefore, we propose an algorithm for fast and accurate face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algorithm is performed in three stages: building an embedded, creating a tree, searching for a tree. During the stage of building embedding, face image data is embedded into feature vector. To convert face images into embedding, we use FaceNet. FaceNet is a deep neural network-based structure that learns face images using a loss function called triplet loss. Once network learning is complete, embedding is created so that the same person is closer and the other person is far away. When step of embedding is completed, the tree creation step is performed. The more face data, the more inefficient it is to conduct linear search. Therefore, we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by building a tree with the extracted embedding. To this end, this paper use the randomized $k$-d tree and the $k$-means tree, and the use of the tree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After building the tree using embedding, a search is performed to face recognition. To reduce errors in tree searching, beam search is used. Beam search has higher search accuracy than the best-first search because it compares distances by visiting multiple candidate nod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define four criteria of accuracy and experiment based on them. Based on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criteria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 propose an appropriate method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and by tuning the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beam and the branching factor of the tree, we set the appropriate parameters for the algorithm. In addition, by evaluating the accuracy of face images per person and comparing the results, we prove the validity of the beam values set by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algorithm using the tree searching is more improved than the method of searching without the tree, and the bigger the branching factor of tree, the higher the efficiency. Also, the use of beam search enables the tree search to performed with greater accuracy than the result of using the best-first search. In general, the larger the beam, the higher the accuracy.

      • Predictive factors of placebo effect in clinical trials on Parkinson’s Disease :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신채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파킨슨병에서 위약 효과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몇몇 인자들이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파킨슨병에서 노세보 효과(nocebo effect)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연구 발표 년도와 노세보 효과 간의 상관 관계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파킨슨병에서 위약 효과와 연관이 있는 예측 인자에 대하여 체계적인 메타분석적인 방법으로 접근을 한 연구는 없었다. 목적: 이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연구 발표 년도와 연구 시작 년도를 비롯한 예측 인자들와 위약 효과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자료출처: 2014년 11월까지 발표된 PUBMED, EMBASE 및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ENTRAL)의 데이터베이스와 www.ClinitcalTrials.gov 사이트에 등록된 임상 시험들 목록, 최종 메타분석에 참여한 연구들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색하였다. 연구선택: 대상이 되는 연구들은 파킨슨병에서 실시한 4주 이상 1년 이내의 치료 기간을 가지는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들 중에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part III motor subscale)의 평균 변화를 결과로 보고한 연구들이었다. 자료추출과 통합: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연구들의 특성, 위약군의 환자들의 특성과 결과들을 추출하였다. 개별 연구들의 위약군에서 연구 시작부터 종료 시점 간의 평균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점수 차이 결과들은 무작위 영향 모델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통합하였다. 예측 인자들의 결과와의 연관성은 선형 메타-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선형 메타-회귀 분석에서 유의미한 예측 인자들은 다변량 선형 메타-회귀 모델에 넣어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은 4,850명의 위약군 환자들로 구성된 총 38개의 연구들로 진행하였다. 합쳐진 평균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점수 차이는 –1.348 (95% 신뢰구간 [-2.134, -0.563], p = 0.001, I2 = 93.4%)이었다. 치료 기간 (β = 0.09, p = 0.002, N [분석한 연구 숫자] = 38), 부수적인 레보도파 사용 (β = -1.79, p = 0.013, N = 38)과 연구 시작 시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점수 (β = -0.30, p < 0.001, N = 32)가 단변량 메타-회귀 분석에서 유의미하였다. 더 최근에 발표하였거나 (β = -0.03, p = 0.566, N = 38) 시행한 연구들은 (β = -0.17, p = 0.120, N = 26) 위약 효과를 늘리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았다. 다변량 메타-회귀 분석에서 치료 기간 (β = 0.07, p = 0.013)과 연구 시작 시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점수 (β = -0.29, p = 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치료 기간과 통합파킨슨병평가척도 3번째 부분 점수는 파킨슨병에서 실시하는 무작위 배정 비교 임상시험에서 위약 효과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측 인자들이다. 파킨슨병에서 임상 시험을 계획하거나 분석하는 연구자들은 특히 진행한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짧은 기간의 임상 시험일 때 위약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Several factors have been reported to be related with the placebo effect in Parkinson’s disease (PD). The temporal correlation of nocebo effect (increasing adverse events) in patients on placebo was reported in a meta-analysis in PD. Till 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assessing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placebo effect and time-placebo effect correlation in PD with a systematic meta-analytic approach. Objective To examine predictive factors of placebo effect and time-placebo effect correlations using both the year of study publication (YSP) and the year of study initiation (YSI) in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s in PD. Data Sources We searched MEDLINE, EMBASE, and CENTRAL databases (to November 2014). We also reviewed registered studies in the database of www.ClinicalTrials.gov and reference lists of included studies. Study Selection Eligible studies wer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s in PD from 4 weeks to 1 year of treatment duration which reported the mean change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part III (motor subscale). Data Extraction and Synthesis Two reviewers extracted data on study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in placebo group, and outcomes. The pooled mean change of the UPDRS part III score from baseline to primary end point of placebo treated group in individual studies was calculated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The impacts of predictive factors were assessed using linear meta-regression models. Significant predictors were entered in the multivariate meta-regression model. Results Thirty eight studies (comprising 4,850 participants on placebo)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e pooled mean change in the UPDRS part III score from baseline to primary end point was -1.348 (95% confidence interval [-2.134, -0.563], p = 0.001, I2 = 93.4%). Duration of treatment (β = 0.09, p = 0.002, N [Number of studies] = 38), use of concomitant levodopa (β = -1.79, p = 0.013, N = 38), and the baseline UPDRS part III score (β = -0.30, p < 0.001, N = 32)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univariate meta-regression analyses. More recently published (β = -0.03, p = 0.566, N = 38) or conducted (β = -0.17, p = 0.120, N = 26) studies showed tendencies to higher placebo effect. Duration of treatment (β = 0.07, p = 0.013) and the baseline UPDRS part III score (β = -0.29, p = 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ultivariate meta-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baseline UPDRS part III score were the independent predictors of the magnitude of placebo effect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PD. Our study implicates that researchers should remind the presence of placebo effect when they design or interpret clinical trials in PD, especially in the short-lasting study enrolled participants with advanced PD.

      • 복합외상과 우울이 스마트폰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신채원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복합외상과 우울이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스마트폰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의 한 대학교 2022년 신입생 및 재학생 1,036명을 대상으로 성인 스마트폰중독 자가진단 척도, 복합외상질문지(CTI), 기능손상척도(FI),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lavaan’ 패키지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과 우울은 스마트폰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합외상의 증상이 심각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할수록 스마트폰중독경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복합외상과 우울은 정서조절곤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합외상의 증상이 심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할수록 정서조절곤란을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은 복합외상 및 우울과 스마트폰중독경향성 사이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합외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할수록 부정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며 부정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고통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고통과 괴로움을 회피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중독경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mplex trauma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through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For this study, a self-reporting survey consisting of an adult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 a complex trauma questionnaire (CTI), a functional impairment scale (FI), and a Korean version of the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scale was conducted onlin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 program was us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lavaan' packag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lex trauma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of complex trauma and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more likely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creases. Second, complex trauma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This means that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of complex trauma and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trol emotions. Thir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between complex trauma and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complex trauma and depression, the more negative emotions you experience, and the more you use your smartphone to avoid such pain and suffering, the more you tend to be addicted to your smartphon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