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사회사업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이선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잡다양하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의 심리적 행동, 정서 등 제반문제를 다루는 청소년 상담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됨에 따라 정부기관이나 민간단체 등에서 각급 청소년 관련 상담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고유업무와 관련하여 부분적이며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문제의 대처는 청소년들이 최대한의 접근성을 보장받으면서, 적시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원조체계의 확립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원조체계가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어 학생청소년이 건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러한 학생문제와 학교교육의 병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가정, 지역사회가 상호 협조하여 최적의 심리·사회적 환경을 제공함으로 이들의 삶의 질을 높여 학생복지를 실현하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인 전인교육을 실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인교육과 학생복지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분야인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어 진다. 한국의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학교사회사업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가 1996년 서울시와 교육부의 학교사회사업의 시범사업이 실시되고 한국학교사회사업학회의 창립과 더불어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교육계의 인식부족과 요보호 아동이나 요보호 학생의 생계유지에만 초점을 두는 복지부의 제한된 정책으로 인해 학교사회사업을 제도화하는 일은 쉽지만 않다. 그러므로 심각한 학생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교사회사업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유지하면서도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학교사회사업의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사회사업제도가 제대로 정착하여 학교에서의 학생들의 문제에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며 학교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사회사업이 발전해온 외국과 한국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학교와 사회복지관의 협력에 의한 학교사회사업의 실천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이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복지관과 학교의 협력적 관계형성에 있어 행정적 권한이 강한 학교장의 교육철학, 실무 담당자인 사회복지사와 교사의 관계성,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각각의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지관과 학교가 협력을 도모해야 하는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 문제이다. 제도화의 내용에는 학교복지의 개념과 목표, 그리고 초등학생에서부터 대학생에 이르는 모든 학생들을 학교복지의 대상으로 할 것과 각급 학교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욕구를 감안한 서비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학교복지를 수행할 전문 인력과 방법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은 마땅히 교육개혁 속의 중요 과제로 다루어져야 하며 예산의 뒷받침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사업가의 기여문제이다. 학교사회사업가는 학교청소년들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해 가는 전문가로서 독창성을 인정받으며, 학교사회사업가의 고유한 역할들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역할들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학교사회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사업가들의 역할은 국내 상황에 따라 계속 변화할 것이며, 효과적인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계와 타 전문집단과의 협력관계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넷째, 학교사회사업의 실천모형이다. 최근의 학교사회사업 모델은 학생, 학교, 지역사회 사이의 상호작용이 복합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생활 주기상 다양한 스트레스시점에 있을 때 학생집단의 특성과 상호 작용하는 특정체계의 특성에 초점을 두어 개입하게 된다. 즉, 학교-지역사회-학생 관계체계에 변화를 가져와 학생집단이 학습기회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다섯째, 미국 CIS 모델의 적용문제이다.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학교사회사업 단체인 Communities in Schools 모델이 실제로 운영되고 있다. 학교사회사업의 오랜 역사를 가진 미국 학교사회사업의 실제 운영을 살펴보는 작업은 한국의 학교사회사업을 위한 많은 함의를 줄 것이다. 앞으로 학교사회사업이 제도화, 정착화하기 위해 재정적 지원 및 교육계의 관심, 그리고 사회 여러 분야의 적극적 이해와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학교사회사업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학교사회사업가와 더불어 학교윤영의 주체인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청소년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갖고 노력해 나가야 한다. In the complicated, varied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juvenile counselling dealing with all issues like the psychological behavior of teen agers in their growth process come into being as a serious problem, so government agencies or civil organizations have installed and ran the counselling room related to juveniles at each class. The action against such a juvenile problem should start with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to have guarantee of the utmost accessibility of teenagers and provide proper service at an appropriate time.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where students teenagers can soundly grow through the most effective operation of the support system. To solve this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se student problems and school education, schools, homes, communities shoul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o provide the best psychological, social setting, enhance the standard of their living, realize student welfare, ultimately come true all-round education, the fundamental object of student welfare. Thus, the introducetion of school social work, a specialized field aimed at realizing all-round education and student welfare is urgently needed. The study on the school social work in Korea remained in early stage arguing the need of scholl social work system, but more active research started with the execution of a demonstration business of school social work by Seoul Metropolitan City and Ministry of Education in 1996 and foundation of Korea School Social Work Society. However, Due to the education circle's lack of school social work and the limited policy of Ministry of Welfare focusing on protection of living of protection needed children and students, it is not easy to institutionalize school social work. Therefore, to solve serious student problem and realize student welfa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identity and specialization of school social plan and prepare the practice plan of school social work fit for our status. This article examined the status of foreign countries and Korea school social work project has developed to fix the school social work system, effectively deal with students' problems in schools, and achieve the object of school education. And as a plan to activate school social work, it examined the following things. First, as a practice plan of school social work by the cooperation of schools and social welfare centers, it explored the relation welfare centers and schools should facilitate cooperation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as the education philosophy of school principals with strong authority, relation of social workers and teachers, programs provided for students are important in the cooperative relation formation between welfare centers and schools considered important. Second,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social work. The contents should include the concept and object of school welfare, inclusion of all students ranging from primary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ervices considering the nee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at each stage, the regulations to specialized manpower and method to perform school welfare. So it investigated precedent problems as a program supported by budgets as they are to be dealt with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midst of educational reform. Third, the contribution problem of social workers. The school social workers as a specialists to effectively solve school juvenile problems should exhibit their originality and find out the roles to develop them into peculiar ones. In particular, the role of social workers taking part in school social work in local social work centers will constantly change, s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chool social work project programs and cooperative relation with education circle and other specialized groups should be set up. Fourth, the practical mode of school social work project. The recent model of school social work emphasizes the interaction between communities is complicated. Thus, when students are pressed in a stress in the life cycle, the plan interven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groups and those of interactive specific system. That is, it is aimed at causing a change in the relation of schools, communities and students, supporting it that students can more effectively utilize study opportunities. Fifth, the application problem of the U.S. CIS model. In the U.S., the model of Communities in Schools, a school social work project organization, is in operation. Consider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U.S. school social work project with long history in school social work project will give many hints for the school social work project in Korea. For the time to come, for institutionalization and fixation of school social work project, financial support, concern of education circle, positive understanding of many social fields and specially educated school social workers are absolutely needed, and school social workers, the subjects of school operation,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ies should make effort to settle juvenile problems.

      • 아동의 환경적 특성과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이선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Children of poor families' economical hardship is dangerous because it effects their growth,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are blocked from satisfying their basic and primary desires, and they need a stable family and societal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started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disadvantaged conditions by achieving the education that is needed in every level of life so they can grow as capable adults in a democratic society and realize local education communities. This thesis has the goal of analyzing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targeted school children centered guarding cause and harming cause, behavior intent and psychological social activiti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719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2nd-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Gyeonggi-do Ansan region. The frequency test, factorial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4-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data, and the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ng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nalysis is as below. First, the effects of person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on behavior intent was higher on the poor family students than on normal family students, and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grades got higher.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were higher, and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students' level of planning and self-efficiency rose.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lower as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rises, and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got higher. Second, the intent to move lowered as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aken toward the effects of family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to behavior intent.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intent of devotion rose as the family's level of suppor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rose, and the intent to disregard lowered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and the students' intent to disregard rose as the family's discord rose. Third, the students'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lowered a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as support of teachers as societ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effect gets better, and students' intent to move rose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s and exposure to internet rose.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as the relationship of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got better. Fourth, as the effect of behavior intent to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as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heightened, societal atrophy and depression and anxiety was felt greatly, misbehavior and aggressive activities were frequent, social ability lowered, and the social ability rose a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Fifth,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on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is that as self-efficiency rise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lowers, and as impulsiveness rises, societal atrophy rises as well. Also, as the number of early misdeed behaviors rise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rises, and the number misdeed behaviors also rose.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responsibility rose,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fell, and as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behavior experiences rose, aggressiveness rose, and as self-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rose, the social ability rose as well. As family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fell and ability rose, and as a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rose, and ability fell. As the family's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aggressiveness rose, and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rose as well. Students who ha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had low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aggressiveness was low, and their number of misdeed behaviors was low as well.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 and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and misdeed behaviors increased as well. Also, as the stud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increased, and as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lowered. Sixt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by behavior intent mediated effect as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is that the nearby minus environment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and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lso, the effect of students' relationship to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eachers' support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With these results as the base,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must make a program that can improve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and make sure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cation is done well so students can adapt well to school life. Also,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have effects on misdeed behaviors, so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poor families must be protected from the many harming causes as a social safety net, so they can develop into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빈곤가정의 아동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과 건강 그리고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의 일차적인 욕구의 충족의 어려움과 아동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가정환경과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불리한 여건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각 생애 단계별로 요구되는 교육적 성취를 이룸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행동의도 그리고 심리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3학년 총 7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t 검정,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4단계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가정 학생들이 일반가정 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동의도가 높았다.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이동의도는 높아졌고 계획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무시 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민주적 양육태도를 많이 가질수록 이동의도는 낮아지고,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 의도는 높았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 민주적 양육태도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충실의도는 높아졌으며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무시의도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와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와 충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동의도와 무시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많이 느끼며 비행행동과 공격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의의도와 충실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충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기비행경험이 많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은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책임감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을 적게 하며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아졌고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유능성은 높아졌으며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불안은 높아지고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가정의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공격성이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이 낮아지고 비행행동은 적게 하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비행 행동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동의도 매개효과로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변유해환경은 이동의도와 무시의도의 매개를 통해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교사의 지지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교우관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교사의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계획성, 책임감,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의 지지, 교사의 지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회안전망으로서 빈곤지역의 아동과 청소년이 지역사회환경의 많은 위험요인들로부터 보호되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부모의 유아교육 기관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신이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is made in satisfaction and demand when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the infant school-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national or public day care center, private day care center-choose the infant school for their children, and surveyed what kind of infant school parents prefer with the factors to make a difference. This study aims to make those who run the infant school have right cognizance of demand of parents and to help the well-round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nd to present a right guide post and ultimately to make the infant school offer superior education in quality. For this aim, three subjects for study were set up. 1. What kind of difference is made in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infant scho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stitution-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national or public day care center, private day care center. 2. What kind of difference is made in importance about education among the infant schools-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national or public day care center, private day care center-from a view-point of parents. 3. When educational and other expenses by government aid don't make a difference, what kind of infant school-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national or public day care center, private day care center-do parents prefer? This study used the data by parents of three kindergartens and three day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Gyunggi Province. Among the data by four hundred parents, the data by insincere respondents were excluded. The way carried out by 189 parents in the data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subjects of this survey. Second, One way Anova-a technique used to compare means of two or more samples-was carried out to compare means of the institutions. Third, Crosstabulation Analysis (p) was carried out to compare means of the groups in case of non-parametric method in categorical variable. All empirical analyses were verified within significance level p<.05 and statistical process was carried out by SPSSWIN 12.0. The questionnaire as a measure tool about parents' satisfaction and demand with infant school was used. It was made by the researcher about them and composed of 31 items. In sum, first, satisfaction with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and national or public day care center was found great compared to that with private kindergarten and private day care center. Especially, satisfaction with private day care center was found little. It indicates indirectly that the previous analysis which showed the high frequency of transfer with the children to go to the private institutions is related to this. Second, the most important motive to choose the infant school for their children to go to is related to curriculum, and teacher or principal as well. Third, the most preferential matter to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fant school was educational expenses. It was rated so by most parents and especially remarkable among the parents who were supported by government aid at the infant school for their children to go to. The private kindergarten was most preferred as the infant school parents want in case of equal government aid. It indicate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great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teacher, principal, facilities and equipment. Summing up, various studies that can make and generalize more objective and verified criterion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in futur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국&#8228;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8228;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의 학부모가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의 만족도와 요구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에 대한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의 선호의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자들로 하여금 학부모의 요구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유아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도우며 바른 지표를 제시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제공하는 유아교육기관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3가지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기관유형별(국&#8228;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8228;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유형 (국&#8228;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8228;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중 학부모의 관점에서 교육에 대한 중요도의 차이는 무엇인가? 3. 국가에서 지원하는 교육비 및 기타경비가 동일할 경우 학부모는 유아교육기관유형(국&#8228;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8228;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중 어느 기관을 선택하고자 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의 3개 유치원과 3개의 어린이집의 학부모400명의 회수된 자료 중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응답자는 통계처리에서 제외시켰으며 189명의 자료에 사용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기관별에 따라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범주형 자료에서 비모수 기법인 경우 교차분석(p)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측정도구는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에 관한 질문지로서 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에 대해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31개의 문항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8228;공립유치원과 국&#8228;공립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사립유치원, 민간어린이집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민간어린이집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이전 분석에서 민간어린이집에 다니던 경우 유아교육기관을 변경한 경우가 가정 높게 나타난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이유로는 교육내용을 가장 중요하게 보며 교사 혹은 원장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가장 개선되어야 할 영역에서 교육비에 대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응답이 많았으며 자녀가 다니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부지원혜택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금액을 정부에서 지원한다면 선택하고 싶은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으로는 사립유치원을 선택하겠다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는 교육내용, 교사 및 원장, 시설, 설비 등의 만족도가 높은 것과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모든 사항을 정리해 보면 앞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검증된 선택기준을 만들어 보급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