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신의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읽기 목적에 맞는 책을 스스로 선택하여 읽을 수 있는 평생독자의 소양을 기르기 위한 책 선택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독서가 책 선택에서부터 시작됨에도 불구하고 책 선택이 독서지도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독서교육에서 자율적인 책 선택이 읽기동기를 신장시킨다고 하면서도 책 선택 방법에 대한 연구와 지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책 선택이 어려워 독서를 시작하지 못하고 포기하거나 실패한 독서경험으로 읽기동기가 떨어지는 학습자도 나타난다. 이 연구는 독자가 책 선택을 통한 주도적인 독서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독서지도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책 선택의 특징을 밝히고, 효과적인 책 선택 전략을 검토하였다. 책 선택은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선택의 특성에 따라, 독자의 읽기동기를 신장시킨다. 그러나 선택의 범위가 클 때 선택부담이 생기는 것처럼, 책 선택의 과정에서도 많은 책에서 선택해야 하는 인지부담이 나타난다. 따라서 책 선택을 지도할 때는 인지부담을 줄일 수 있는 책 선택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을 마련하려면 독자가 책을 선택하는 과정과 독자의 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유독서와 교과독서 상황에서 나타나는 책 선택의 과정을 파악하고, 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텍스트 요인‘, ‘독자내적 요인’, ‘상황맥락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들에 맞는 책 선택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책 선택 전략은 ‘북매치 전략’, ‘독자 자기점검 전략’, ‘한국십진분류표 전략’, ‘온라인 검색 전략‘이다. 제Ⅲ장에서는 네 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책 선택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책 선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부담을 줄이기 위해 북매치 전략, 독자 자기점검 전략, 한국십진분류표 전략, 온라인 검색 전략 순서로 독서지도를 계획하였다.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 절차는 독서과정을 따라 크게 ‘안내하기–책 선택하기–책 읽기–공유·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마다 ‘자기점검하기’를 두어서 책 선택과 독서과정을 점검하게 하여 책 선택 방법을 내면화하고 독서과정을 초인지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독서지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서태도 검사와 읽기동기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SPSS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소감문과 학생들을 면담한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책에 대한 이해와 책 선택 방법에 대한 인지적 학습을 통하여 자신이 가진 책 선택의 어려움을 스스로 파악하여 해결함으로써 자신에게 적절한 책을 선택하였다. 읽을 수 있는 책을 선택하여 성공적인 독서경험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책을 읽고 싶어 하고, 즐겨 읽는 태도가 나타났다.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는 특히 하 수준의 학습자에게 더욱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를 통해 책 선택의 어려움으로 인한 독서장애를 해결하여 책을 즐겨 읽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로서 독서를 하는 모든 독자에게 독서의 과정에서 책 선택 방법이 함께 지도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한 셈이다. 본 연구는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한 독서지도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는 책 선택 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책 선택 지도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책 선택 방법에 대한 인지적 학습은 적절한 책을 선택하여 읽는 성공적인 독서경험으로 이어지고, 책을 즐겨 읽는 행동적 태도와 책을 좋아하는 정서적 태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둘째, 독자가 스스로 읽을 수 있는 책을 선택하여 읽으면 독서에 대한 자신감인 독자효능감이 길러지고, 읽기동기가 신장된다. 셋째, 책 선택 학습은 자신의 읽기 목적과 기능을 점검함으로써 독서의 초인지과정을 도와 자기 주도적 독서력을 기른다. 넷째, 책 선택 방법의 학습을 통하여 담화지식을 쌓고 적절한 독해전략을 적용한 독서를 할 수 있다. 다섯째,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하여 선택한 다양한 종류의 책을 독해전략을 적용하여 읽음으로써 실제적인 독서를 통해 독서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책 선택 전략을 활용하여 독서를 지도할 때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책 선택 전략은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춰 인지부하를 줄이는 방법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책 선택 전략은 독서의 과정에서 점진적이고 장기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셋째, 책 선택 방법을 지도할 때에는 책 선택의 과정과 독서의 과정을 동료들과 공유하면서 확장해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논의가 자신에게 필요한 책을 스스로 선택하여 읽을 수 있는 평생독자의 소양을 기르기 위한 독서 교육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 중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자율성동기 및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신의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된 환경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가 교육현장에 진입함에 따라 플립러닝, 블렌디드러닝, 스마트교육 등 교육 전반에 다양한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PISA의 국가학력수준 평가결과(2011)에 따르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속하는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OECD 국가 중에서 1~2위로 매우 높은 반면, 학습흥미, 자신감과 및 내재동기와 관련해서는 평균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동적이고 타율적인 학습태도는 학습에서의 내재동기를 감소시키고 학습만족도 및 학습참여를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학업성취를 저해하고 학습무력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Ryan & Deci, 2000) 이를 해결할 교육방식의 변화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재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를 2018년부터 전면적으로 도입하고자 관련 콘텐츠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과정에서의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즉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내재동기를 유발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에 영향을 미쳐 실제로 질 높은 학습성과를 이끄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널리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설계 및 개발(안종욱, 문영주, 김명정, 2013), 상호작용성(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2014) 및 학습격차(서용희, 오경희, 2014) 등에 초점을 맞춰 디지털교과서 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지목된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는 학생의 학습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지각된 학습성과를 최종변인으로 선정하고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을 이론적 틀로 삼아 학생들의 지각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 및 동기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조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자율적 동기와 지각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교수설계와 수업운영에 대한 기초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자율성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유능성 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3.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의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 충족은 자율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4.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자율적 동기는 지각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128부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상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설정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자율성 욕구 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유능성 욕구 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충족은 자율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는 지각된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생들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동기 및 학습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학생들의 동기가 타고난 불변의 특질이 아닌 환경에 영향을 받는 가변적인 특징(van den Boom 외, 2004)을 지님을 입증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이론 연구들 대부분이 체육 수업이라는 특정 과목(Standage 외, 2006; 김보연 외, 2015)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에서는 범위를 넓혀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도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습에 대한 자율적 동기 증진을 통해 학생들의 지각된 학습성과가 높아짐을 밝혀냄으로써 학습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ers’academic autonomy, academic competence,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learning environment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 The model posits that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s’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In turn, these 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s’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 of three parts as following: 1. Does social factor(teacher’s perceived autonomy support)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autonomy)? 2. Does social factor(teacher’s perceived autonomy support)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competence)? 3. Does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autonomy, academic competence) have a direct effect on motivational factor(autonomous motivation)? 4. Does motivational factor(autonomous motiv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English digital textbook classrooms from one middle school. Among collected data, cases having either unreliable responses or missing responses were removed and a total of 128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motivational factor,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was fitting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empirically proved its validity even in collectivistic culture. As a second part of the findings,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social factor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which were 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Second, psychological mediator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motivational factor. Third, autonomous motivation had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middle school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