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십일조에 대한 역사 신학적 연구

        신영일 호서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eginning and evolution of the Christian tithe within the historical and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history of the tithe is surveyed from the ancient beginning and to the modern understanding through the mediaeval centuries and the Protestant Reformation era. Having the tru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tithe, the tithe can be used in the righteous ways as are stated and warned by the Bible, the Church of fathers, reformers, and modern church leaders. Therefore I wish this thesis could contribute the Korean church to recover soundness as it was in the first generation of church and motivate the basis for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Christian society.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modern Korean churches are unsound, but I focused on the financial matters, namely about the offering and the tithe, which are often misused. Here I propose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involving them. The fiscal matters are mainly concerned with how to use the money. However the money has two colors, sometimes as a blessing or sometimes as an mammon. And we know the history in which the God has judged men whenever they idolize the money itself, for example, in the era of the Babylonian Captivity and the days of the mediaeval catholic church’s corruption which brought the Reformation. About the usage of the money John Wesley said that we should share all we have with people instead of spending money to satisfy the lust of the flesh, the lust of the eyes, and the boastful pride of life. C. H. Spurgeon proclaimed that a man would robbed God of Lord’s belongings if he has accumulated money for his own benefit without returning it to God and without using it for the social vulnerable till he is dead. Because he didn’t live as a good steward of Lord. However we’ve seen so many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lmost like a level of social phenomena nowadays, such as pressing charge or legal accusation against the church concerned with the lust, moneymaking, or property conflicts and even churches are listed on the auction market which were constructed based on reckless plan. These are happening in the Korean Church where the revival is stalled and the decline is accelerated. That is because we have forgotten the substantial purposes of the tithe written in the Bible; a part is to support livelihood of the Levities without inheritance, another part is to secure the appointed feasts of the Lord, and the remains are to relieve the social vulnerable such as the poor, orphans, widowers through the poor-relief activities. These are all written in the Bible and restated and warned by the Church Fathers and the Protestant reformers. Due to the misguided theology so called prosperity theology insisting growth is the blessing, the wrong understanding about the offering and the tithe is in everywhere. It is almost impossible to get agreement let alone the persuasion from such a subject about the offering and the tithe. In short, it is often overlooked or hesitated to start the discussion about them. But ironically the tithe is the imperatively essential and one of the most old-established systems passed down to the Christian. This thesi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current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ut I will not go further into the long and boredom arguments based on the Bible, criticism, or theological proof. What I want to emphasis is we need to hear the voices of the ancient Fathers of Church, the mediaeval theologist, the Reformer, and the modern protestant about the legitimacy of the tithe and the righteous ways to use it as are written in the Bible.

      • 한경직의 생애와 목회에 대한 연구

        신영일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지금까지 본 논문은 ⌜한경직의 생애와 목회⌟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한경직은 1902년 12월 29일에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 간리에서 출생했으며 가나한 아버지와 인자한 어머니의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 한경직이 살던 간리 마을은 작은 산촌이었지만 마펫 선교사에 의해 1895년에 복음이 전파된 마을이었다. 그리고 교회가 세워졌는데 그 교회가 자작교회이며 한경직은 어려서부터 그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했으며 종소리를 들으면서 자랐다. 그는 아버지의 늦은 결혼 때문에 13살 때 16살 난 김찬빈과 일찍 결혼한다. 그리고 학창시절은 기독교 학교인 설립자 이승훈 선생과 교장 조만식 선생의 지도를 받으며 오산학교에서 시작했는데 그 학교는 한경직의 생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숭실대학에서 이과에 들어가 과학을 배우게 된다. 숭실대학 3학년 여름방학 기간에 한 피서지에서 신앙체험을 하게 되고 그것이 개인적인 삶에 있어서 삶의 전환점이 된다. 한경직은 그때 회심하였고 하나님으로부터 소명을 받았다. 그래서 1925년 숭실대학에서 과학을 전공한 한경직은 신학공부를 하기 위해 미국 캔사스에 있는 엠포리아 대학에 입학을 하여 신학의 기초학문인 인문과를 수학하고 1926년에 프린스턴신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인 신학공부를 하게 된다. 그런데 1929년 프린스턴신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예일대학에 가서 박사학위를 마칠 계획을 세우는데 그해 여름에 하나님께서는 또 다른 계획을 마련하고 계셨다. 그것은 폐결핵으로 병석에 눕게 된 것이다. 그래서 뉴멕시코에 있는 앨버쿼크에 있는 장로교 요양원에 입원하여 2년간 치료를 받게 된다. 그때 한경직은 지금까지의 삶도 주님께서 인도해 주신 것이라고 믿으며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기도했다. 그의 기도는 살려달라는 기도가 아니었다. 이미 그 순간부터 그는 죽음에의 두려움을 초월해 있었다. 한경직의 기도는 “한국에 가서 3년만 일하다가 죽어도 감사합니다.”고 하는 봉사와 헌신의 기회를 달라는 애절한 기도였다. 그는 3년 동안 요양한 뒤 비장한 각오로 귀국하였다. 그것은 죽음을 각오한 귀국이었다. 그래서 한경직은 목회사역에 헌신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한경직이 영향을 받은 인물로는 자자교회의 우용진 전도사가 있어서 한경직이 기독교 신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리고 진광학교의 선생이었던 홍기두 선생으로 그는 민족의식과 애국정신이 투철했기에 한경직은 그의 배움에 열심이었다. 또한 남강 이승훈 선생은 오산학교의 설립자로서 강단에서의 설교에 많은 은혜를 받았으며, 존경하는 인물로서 그분의 목소리를 흉내내기도 하였다. 고당 조만식 선생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던 것이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한경직의 사역은 귀국해서 신의주 제 2교회에서 전임전도사로 시작하였다. 그때부터 평생목회의 3대 목표인 전도, 교육, 봉사를 실천하였다. 교회당을 건축하고 보린원 고아원 사역도 하며 목회활동에 열정적이었다. 그러나 1941년 12월 8일, 일본이 미국에 선제공격을 시작하면서 ,한경직의 도미를 이유로 교회의 일을 그만두게 하였다. 그래서 그는 해방 전까지 보린원에서 제한된 생활을 하였다. 해방 후 한경직은 월남하여 1945년 12월2일에, 27명의 사람들과 함께 베다니 전도교회를 개척하여 목회에 전념하기 시작한다. 베다니 전도교회는 그 이듬해에 영락교회로 노회에 가입하게 되고 월남한 피난민 교회로소 알려지게 되면서 1,000명이상이 모여 들었다. 영락교회는 어려운 개척시절부터 교회를 개척하여 전도의 사명을 하게된다. 그래서 1946년에 인천지역에 인천 제일교회와 인천 송도교회를 개척하였다. 6.25전쟁으로 피난을 떠난 영락교회 교인들은 부산, 대구, 제주 등으로 모여 들었으며, 그곳에 교회가 세워지게 된다. 그래서 피난지에서도 영락교회는 예배당을 건축하며 전도. 봉사, 구제 사역에 사명을 다한다. 드디어 서울로 귀환한 영락교회의 한경직은 영락교회의 3대 사명을 발표한다. 그것은 진리 수호의 사명, 민족 교화, 복음전파의 사명, 사회 봉사의 사명이다. 한경직은 대외사역으로 군복음화 사역, 교육사역으로 많은 학교들을 세웠으며, 봉사사역으로는 영락 보린원 사역, 다비다 모자원 사역,영락경로원 사역을 하였으며, 교회연합사역에도 지대한 관심이 있었다. 그리고 해외선교사역에 있어서도 전후 개교회 최초로 1955년 태국에 최찬영 선교사를 파송하였으며 월드비전을 창설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은퇴 후에도 엑스폴로 74, 사랑의 쌀 나누기 운동, 빌리 그래함 목사와 함께 한 세계 전도집회, 아시아 전도집회등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한경직의 목회관은 구약에서 에스라와 신약에서는 바울을 모델로 하여 신행일치의 삶을 통해서 청빈과 청렴한 목회자의 삶을 살았다. 그는 그러한 원칙을 가지고 설교하려고 성실하게 노력한 설교자였다. 그가 남긴 것은 그의 삶의 흔적들로서 세계가 인정해서 받은 템플턴 상을 받은 것과 눈물과 회개의 삶을 살았으며 그래서 공적

      • 베이비부머 세대와 이전 세대의 부동산 투자 특성 비교 연구

        신영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년층이 자산보유 및 소득 구조상 부동산 시장에서 앞으로도 중요한 실수요 및 투자수요층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차별성 확보를 위해 장년층을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부동산 투자결정과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를 파악하는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변수 선정 및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 데이터를 구축하여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의 부동산 투자특성, 부동산 투자결정과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시사점 제시를 위해서는 부동산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에 대한 결과가 의미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에서는 투자수익성과 외부특성이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에서는 외부특성과 투자수익성 순서로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투자안전성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보다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조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 투자여건은 베이비부머 세대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 모두 영향력이 크지 않거나 기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베이비부머 세대와 이전 세대는 영향력 크기에 대한 차이는 있지만 외부특성, 투자수익성, 투자안전성이 투자만족도와 재투자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좋은 입지의 부동산이라면 모두 상호 연관되어 있는 요소들이다. 결국 좋은 입지의 부동산에 투자한다면 베이비부머 세대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의 투자만족 및 재투자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개인 투자여건에 대한 부분이라고 하겠다. 앞으로 살아갈 노후생활에서 자신과 배우자 및 가족을 생각할 때 노후대비, 자산증식, 자녀 상속/증여 등을 위한 부동산 투자목적은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 투자여건에 맞게 실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장년층을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하는 연구로서 부동산학 분야에서 부동산 투자 관련 연구의 다양성 및 확장성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 부동산 상품 공급자를 위한 시사점,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 이전 세대를 위한 안전한 부동산 투자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영일 서울한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the nursery teache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emotional labor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does the job stress of the nursery teacher affect the teacher burnout? Third, will the job stress of the nursery teacher affect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Fourth, is burnout and emotional labor of the nursery teachers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We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in relation to this research problem,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measurement tools through preliminary survey, and conducted a survey of nursery teachers work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For this study, 634 copies of data were obtained and analyzed by PASW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Second,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ird, the burnout of the teachers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exhausted teachers had the desire to leave the nursery center and to leave the nursery center with better conditions. Fourth, teachers' burnout and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job stress, and mediating effects were much stronger than emotional labor. The overall increase in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s was in the order of parental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leader’s leadership, and overload of work. Considering the burnout experienced by the teacher in the nursery fiel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parental relationship on a regular basis,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peer relationship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is high. 근 양질의 보육서비스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데,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인인 보육교사들의 이직률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소진과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보육교사의 소진과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연구모형과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본 조사 실시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634부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PASW(SPSS), AMOS, ver. 22.0 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원장지도력, 업무량과다, 동료관계, 학부모관계의 순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소진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진된 교사는 현재 어린이집을 이탈해서 보다 조건이 좋은 어린이집으로 이직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교사소진과 감정노동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매개효과 크기는 교사소진이 감정노동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났다. 교사소진으로 인한 매개효과의 증가 크기는 원장지도력, 동료관계, 학부모관계, 업무량과다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미치는 전체 영향력의 증가율은 학부모관계, 동료관계, 원장지도력, 업무량과다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만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업무과부하 감소와 원장지도력을 강화하는 것이 교사의 이직관리에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보육현장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소진까지 고려한다면, 학부모관계 및 동료관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므로 평상시 동료관계 및 학부모관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소진을 줄이는 방안을 보육정책 수립, 보육프로그램 실행과 환류, 그리고 어린이집 운영과 평가 방식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다이아프램식 수소압축기에서 다이아프램 변형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신영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phragm compressor is widely used for the hydrogen compression because it can achieve high gas pressure without gas contamination. Diaphragms deflecting in the cavity with high pressure formed by an oil compression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the compressor. But the metal diaphragm repeating deflection within the cavity contour cannot have infinite lifetime. And the radial points of diaphragm don't have equal valve of str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strain of radial points to predict the damage point of diaphragm.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aphragm's damage point and life time through diaphragm deflection test by implementing with strain gauge attached on several radial points of two different size diaphragms. In this study, strain of each radial points of diaphragm shows different values. And average radial strain, without gas compression, varies as similarly as the variation of the pressure with respect to time. With gas compression, however, that is delayed against that of the pressure. And the most largest radial strain is occurred at the near of the rim. But the most largest tangential direction deflecting point is near the middle of the center and the rim. And the most largest strain amplitude point is the 15cm point from the center of 1st diaphragm. But, the stresses of the each radial point of the diaphragm are smaller than the fatigue limit of the diaphragm material. And any crack is not observed in SEM image of operated 3,000,000cycle diaphragm. Therefore, deflection of the diaphragm in the cavity is not a factor of the diaphragm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