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규 브랜드 런칭을 위한 디자인 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 IT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연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T industry has been leading the global economy, culture and the knowledge industry for many years. Things that are hard to think in the past happen and corporations invest a lot of time and efforts to make, sustain and manage a firm brand based on their own thorough technology and strategy in massive change such as technology which has huge latent value development and becomes commercialized, etc. Recently, design has been making a strong resolution as a main issue for corporate investment. It means design is admitted the importance and has been systematized under a corporate strategy. IT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that shorter product life cycle and more competitive market condition. In addition, there is a 'Increasing returns to scale', therefore successful launching and market entry are the most important for IT brand. Therefore, by technology has been equalized, innovative design became a big issue for IT companies. At this moment, the discussion that when IT company launches new brand, how design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applied and used is needed for successful market entry.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the method and scope are introduced. In chapter 2, the concept about design management, the design management process and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theories are studied. And design management is studied as an integrated design which has IMC point of view as a communication method on the basis of IMC theory. In chapter 3, based on IT brand theory, design management of IT brand is studied and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design management process in IT industry and IT brand design management through on-off line media for new IT brand launching are investigated. And in chapter 4, for case study, 3 representative IT brands are selected and analysis about design management strategy of successful IT brand is proceeded. The survey for designers of design management center in 3 representative IT companies in Korea has been done to figure out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involvement in new brand launching. Lastly,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nd analysis and explanation about a consequence of study has done in chapter 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On new brand launching process, the involvement of design organization reflects the design perspective and the design management contributes to the success of IT brand based on this process. In this process, design management takes a role of integrated design strategy.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t this point. Design is the final result of teamwork and needs the collaboration with related departments or teams not only to contribute to good design and but also to influence sustainable brand management. Designers' involvement in new brand launching process reflects the aim and pursuit of each phases of design management process and also makes the feedback. IT company has R&D centered structure, therefore design has to find interface with it.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integration, IT company's design management needs to buil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s a part of the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as a management method about corporate identity is evaluated an important element for successful launching of IT brand. Successful IT brands have become an icon which creates new culture through emotion and technology and companies should make an effort to build brand as an evolving icon. IT산업은 21세기의 세계의 경제, 지식 및 문화산업의 전반을 이끌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생각조차 하기 어려웠던 일들이 현실화되고, 엄청난 잠재적 가치를 지닌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상용화되는 등 엄청난 변화의 물결 속에서 기업들은 나름의 철저한 전략과 기술을 바탕으로 확고한 브랜드를 형성하고 유지, 관리해나가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최근 들어, 디자인도 이와 같은 기업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서 입지를 굳건히 해나가고 있다. 그만큼 기업전략의 차원에서 디자인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체계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IT업계는 다른 업계에 비해 상품의 생명주기가 짧고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제품에 있어서 ‘시간’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수확체증효과 또한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브랜드의 성공적인 런칭과 시장선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기술평준화가 되어감에 따라 IT기업에 있어 혁신적 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여기서 성공적인 시장선점을 위하여, IT기업이 신규브랜드를 런칭할 때 디자인 경영 전략이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디자인 경영의 개념과 프로세스에 대해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IMC 이론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일환으로서의 IMC의 관점을 반영한 통합 디자인으로서의 디자인 경영에 대해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IT브랜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기반으로 IT브랜드의 디자인 경영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신규IT브랜드의 런칭을 위한 디자인 경영의 역할과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 그리고 온·오프라인 미디어를 활용한 IT브랜드 디자인 경영에 대해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IT브랜드의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여 기업의 디자인 경영 전략에 대해 연구하여 IT브랜드가 취하는 런칭 전략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IT기업의 디자인 실무자를 대상으로 IT기업에서 취하는 디자인 경영전략과 신규브랜드 런칭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 자료를 분석한 후,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다루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규브랜드 런칭 프로세스에 있어 디자인 전담 부서의 관여는 브랜드의 방향설정에 디자인적 관점을 반영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경영은 IT브랜드의 성공에 기여한다. 그리고 그 일련의 과정 속에서 통합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강조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의 중요성이다. ‘디자인 조직‘은 디자인 경영을 직접적으로 전개해나가는 집단으로 실질적인 디자인 업무를 맡고 있다. 디자인은 개인의 작업이 아닌 팀이 중심이 되어 작업해나가는 팀워크의 결과물이다.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는 디자인 구성원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떻게 이를 구성하고 관리하느냐의 문제가 프로젝트의 성공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타부서와의 협업은 좋은 디자인을 만드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브랜드의 관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신규 브랜드 런칭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인력의 관여는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의 각 단계의 목표와 지향점을 반영하고 상호간의 피드백 작용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IT기업은 기술 중심의 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디자인은 항상 기술적 구현과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 IT기업의 디자인 경영은 기술통합과 더불어 디자인을 기술과 기업경영전략의 일환으로 통합적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기업 아이덴티티에 대한 통합적 관리 수단으로서의 디자인 경영의 역할 또한 IT브랜드의 성공적인 런칭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다.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에서 기업과 디자인 목표에 부합 여부를 검증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기업 아이덴티티의 통합적 관리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성공적인 IT브랜드는 감성과 기술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제 기업들은 진화하는 아이콘으로서의 브랜드 구축에 힘을 기울여야한다. 또한 IT브랜드의 디자인 경영은 타부서와의 적극적인 업무협조가 필수적이며 프로젝트나 상황에 따라 유연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아울러, 시장에는 경쟁기업, 법적 규제, 시장진입 타이밍 및 속도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고 있어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전략과 상황에 따라 탄력적인 대처 및 대응이 필요하다.

      • 금속유도 결정화를 이용한 저온 다결정 산화물 트랜지스터 특성에 관한 연구

        신연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이동도를 갖는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Thin-Film Transistors (TFTs) 개발을 위해 저온 결정화를 통하여 고성능의 소자를 구현하는 연구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IGZO TFT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정화 공정은 600 °C이상의 열처리 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유리기판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금속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저온 공정에서 산화물 반도체를 결정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Bottom gate 구조인 비정질 IGZO 채널층 위에 Tantalum(Ta)을 촉매층으로 접합 후 열처리를 진행한 결과 300°C에서 IGZO 채널층이 결정화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정화의 메커니즘은 증착된 전이금속 촉매층이 채널층에 여분의 전자를 건내주게 되고, 전달된 전자들이 채널층의 금속과 산소의 결합을 끊어 재배열 에너지 장벽을 낮추게 됨으로써 저온에서 결정화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비정질 IGZO TFT는 전계이동도 (μFE) = 18.1cm2/Vs, 부문턱 기울기 (Subthreshold Swing, SS) = 0.8 V/decade, 문턱전압 (VTH) = 0.9 V, 전류 점멸비 (ION/OFF) = 1.2×107 의 특성을 나타냈다. 결정화가 된 IGZO TFT는 μFE = 54.0cm2/Vs 로 매우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결정화로 인한 채널층의 결정립 내의 규칙적인 배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금속유도 결정화 방식은 고가의 레이저 공정과정을 도입하지 않고 IGZO 채널층을 저온에서 결정화함으로써 소자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지점조건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사장교의 지진 취약도 분석기법

        신연우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fragility analysis method suitable for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by performing an analysis reflecting design criteria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s of inelastic time-history analysis. Also, the seismic fragility curve according to the boundary conditions is created for the target bridge, and the effect of these conditions on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target bridge is evaluated. An analysis model for the target bridge is constructed using Midas Civil, and a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fiber element, concrete and rebar material models. To obtain the fragility curve of the cable-stayed bridge, the limit stat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bridge are determined, and the damage state is classifi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ponse value based on inelastic time history analysis. As a result of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the pylon, the rigid model showed the highest damage probability in all PGA, and the LRB bearing model showed the lowest damage probability. Numerically, the probability of the slight damage state(SD) under 0.5g earthquake is 87% for the rigid condition, 68% for the floating condition, 60% for the pot bearing condition, and 46% for the LRB bearing condition. Also, it is evaluated that the target bridge has a seismic performance required by the design criteria because the probability of the complete damage state for an earthquake with a return period of 2400 years is less than 1% regardless of boundary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the connection part, it is confirmed that the damage probability of the LRB bearing model is significantly lower in all damage states than other models. From this, it is judg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LRB bearing can reduce the load and the displacement transmitted from the superstructure and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ridge. In the seismic fragility curve of the cable, the difference in the probability of damage states for each boundary condition is not large compared to other member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the complete damage state in which cable breakage may occur was within 10% in all boundary condition models at 1.0 g. It is analyzed that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cable is the least affected by the boundary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members.

      • 고강도 철근과 콘크리트를 적용한 RC 라멘교에 대한 연구

        신연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강도 철근콘크리트는 새로운 건설재료로서 세계 선진 국가에서 활발한 연구 및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국내에서의 토목구조물에 대한 적용 사례는 아직도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량 중 대표적인 교량 중 하나인 RC 라멘교를 설계 대상모형으로 선택하였다. 고강도 철근 및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과 적용성에 대해 기존 연구자료 등 선행 자료를 분석하고 철근콘크리트 교량을 보통 강도 철근콘트리트와 고강도 철근콘크리트를 설계변수로 결정하여 두 개의 교량으로 구조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단면두께와 철근량을 비교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고강도 철근콘크리트의 실무 적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강도 철근과 콘크리트의 RC 라멘교에 대한 적용결과 보통 강도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한 RC 라멘교에 비해 20%정도의 단면감소 효과가 파악되었고 철근량의 경우 5~12% 정도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간장이 19m이상의 RC 라멘교의 경우 고강도 철근과 콘크리트를 사용한 RC 라멘교가 보다 경제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치은의 생체형이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신연우 원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입 : 치은의 생체형은 1980년대부터 소개되었고 치주치료의 예측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향적이고 통제된 연구를 수행하여 서로 다른 치은 생체형에 따른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 후 치주낭 깊이 감소와 치은퇴축을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만성 치주염에 이환된 25명의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좌측 상악 견치에서 우측 상악 견치까지의 상악 전치부의 순측 치은의 치주낭과 치은퇴축을 baseline과, 치석제거술 및 치근활택술 3개월 후에 측정하였다. 치주낭 측정시에는, 모든 검사점은 치은의 생체형과 초기 치주낭 깊이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치은퇴축을 측정할 때에는 두 개의 군이 추가되었다. 모든 검사치는 독립표본 t 검정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최종적으로 16명의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치주낭 감소의 측면에서는, 치은의 생체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마찬가지로 초기 치주낭이 3mm를 넘는 곳에서는 치은퇴축의 유의한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초기 치주낭이 3mm 이하인 곳에서는 얇은 생체형에서 유의한 더 많은 치은퇴축이 발생하였다. 결론 : 치은의 생체형은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의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 Gingival biotype has been introduced since 1980s and used as a predictor of periodontal therapy. In the present study, prospective and controll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periodontal pocket depth (PPD) reduction and gingival recession(GR)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SRP) according to different gingival biotype. Material and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periodontiti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PD and GR of labial side of maxillary anterior teeth (from right canine to left canine)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3 months after SRP. When PPD were evaluated, all check poi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gingival biotype and initial PPD. Two more groups were added in evaluation of GR.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ndependent t test. Results : Sixteen patients finally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In aspect of PPD redu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p>0.05). Likewise, sites over 3mm of PPD were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GR (p>0.05). However, sites under 3mm of PPD represented more GR on thin gingival biotype (p<0.05). Conclusion : Gingival biotype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sults of SRP. More studies should be investigated to clarify other factors able to affect results of SR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