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신소홍 계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 간호 중재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가설적 모형은 개인 요인(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가족 지지, 시설 환경요인을 외생변수로 하고, 자아존중감, 시설 적응을 매개 내생변수로 하고, 최종 내생변수로 삶의 질을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2월 20일부터 2018년 1월 20일까지 D 광역시에 소재한 요양시설 2곳과 K 도에 소재한 요양시설 1곳에 입소해있는 65세 이상 노인 총 230명을 조사하였다. 그중 설문 중 거부 의사가 있거나 응답을 피하는 대상자 그리고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하는 25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0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대상자 특성,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공선성을 실시하였고, AMOS 20.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가 적절하여 모형의 수정 없이 가설적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결정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는 χ² =78.675 (p<.01), χ² /df=1.63, RMR=.01, RMSEA=.05, GFI=.94, AGFI=.90, NFI=.96, TLI=.97, CFI=.98로 권장 수준으로 나타났다. 2. 모형의 검정결과 12개의 가설적 경로 중 11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시설 환경요인이 가장 높았고, 자아존중감, 개인 요인, 시설 적응, 가족 지지 순이며, 이들 변수에 의한 삶의 질 설명력은 83.0%로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개인 요인과 가족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자아존중감 설명력은 31.4%로 나타났다. 시설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시설환경, 개인 요인, 가족 지지,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시설 적응 설명력은 71.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시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전반적인 환경이 가장 중요하며, 신체적 관리를 위한 정기적인 간호 중재 상담과 개인 중심적 사정을 통한 간호 중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 예측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신체적 측면, 사회적 측면, 환경적 측면, 정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earch based upon Bronfenbrenner’s (1979) ecological systems theory, which involves building a predictive model for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home residents based upon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esting the goodness-of-fit of such a mode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one another in order to ultimately offer suggestions for a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For hypothetical modeling, quality-of-life factors were made up of individual factors (subjective health state and ADL), family support, and facility environment as exogenous variables;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facility as mediating endogenous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as a final endogenous variab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ing home residents aged 65 or over in two nursing home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D’ and one nursing home in province ‘K’ from December 20, 2017, to January 20, 2018. Ultimately, a total of 205 residents beca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excluding 25 residents who refused to participate, avoided answering the questions, or submitted incomplet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and by perform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bject characteristics, technical statistics of key variables, correlation and multicollinearity analyses.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0.0 and the goodness-of-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nce the overall goodness-of-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appropriate,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firmed as the final model without any modifications and then analyzed.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model was ‘recommendable’ with the following results: χ² = 78.675(p<.01), χ² /df = 1.639, RMR = .015, RMSEA = .057, GFI = .947, AGFI = .900, NFI = .963, TLI = .976, and CFI = .985. 2.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 supported 11 of the 12 hypothetical path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quality of life, the facility environment variable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self-esteem, individual factors, adjustment to facility, and family support. Quality of life had a high descriptive power of 83.0% for these variables. The explanatory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elf-esteem turned out to be individual factors and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had a descriptive power of 31.4% for these variables.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adjustment to fac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of facility environment, individual factors,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facility exhibited a high descriptive power of 71.4% for these variables. In conclusion, the services provided at facilities and the overall facility environm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Periodic nursing consultations for physical care and person-centered nursing interventions are necessary. Since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redictive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home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all of the phys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emotional aspects of nursing home residents

      • 요양시설 입소노인에 사회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소홍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대상자에 대한 변수와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시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00명의 노인이 선택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완전히 이해하고 승낙한 상태에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일반적 특성(11문항),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7문항, 물질적 지지 6문항, 정보적 지지 6문항, 평가적 지지 6문항) 그리고 죽음·불안(20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서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서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는 선택안의 번호가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반영되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입소기간은 길수록 낮은 정서적 지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 입소시설 유형은 정서적 지지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물질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물질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입소시설의 유형이 너싱홈일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입소기간이 길수록 물질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종교,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는 물질적 지지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보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보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할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학력, 종교, 배우자, 가족관계, 입소기간, 입소시설의 유형과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평가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배우자가 없거나, 건강상태가 좋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평가적 지지는 낮아지며 경제적 수준이 여유롭거나 입소시설의 유형이 병원보다 요양원이나 실버타운 쪽일수록 높아진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학력, 종교, 입소 전 동거형태, 가족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은 연령이 높거나 학력이 높으면 죽음․불안의 정도는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한 경우, 경제수준이 높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 건강상태, 가족관계, 입소시설유형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연관성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죽음과 불안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의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는 죽음·불안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줄어든다. 둘째, 정보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죽음·불안에 대한 임상적 치료에 특별한 의미를 가질 것이며, 요양시설에서 대상자를 돌볼 때 의미있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한 클린다이어트프로그램의 중재효과

        신소홍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lean Diet program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the health promotion attitudes and the management plan for the physiological figure of an elderly. Research was carried b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pre-post test design.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since June 24th, 2015 and ended on September 18th, 2015. 60 elders were selected from C senior universit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30 elders in each group. IBM SPSS statistic 2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prior homogeneity test was experimented using χ²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examination to check the effect of the Clean Diet Programme for liver which is tested on a group was done through the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effect test, the post-test results for the experiment group on self-efficacy (M=3.98) showed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test(M=3.51), which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6.003, p<.001. To be specific, the enhanced changes were apparent at p<.001, which gave the results of confidence (t=5.164), achievement (t=5.228) and the will to continue (t=6.003). Second, at the effect test, the post-test results for the experiment group on healthy behavior (M=4.10) showed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test (M=3.47), which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6.196, p<.001. To be specific, the enhanced changes were apparent in p<.001, which resulted to eating habit (t=6.234), stress (t=5.070), and workout (t=2.923) showed an improved change in p<.007. Third, at the effect test, the post-test result for the experiment group on wellness is M=3.86, which i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 of M=3.36. This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7.069, p<.001. The enhanced changes of physical health (t=4.395), social health (t=8.654), mental health (t=4.340) were apparent in p<.001, and intellectual health (t=2.249) was apparent in p<.032. Fourth, the pre-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 group on the effects test about depression is M=2.56, the result showed a modified change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 of M=2.82, which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4.038, p<.001. Fifth, the pre-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 group on the effects test about the subjective sense of health is M=3.83. The post-test result displays an favorable change in awareness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 of M=2.70. This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6.624, p<.001. Sixth, at BMI(kg/㎡) the effect test of the physiological figure for the experiment group resulted pre-test M=26.84 and post-test M=24.32. The results show a decreasing trend which is statistically derived from t=5.974, p<.001. Clean Diet Program is useful for physically and mentally weak elders in order to gain a healthy lives. The Clean Diet Program helps adjust daily diet and builds up a regular habit with no excessive physical burden.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health care. In general, treatments and managing diseases lead to a great time consumption and a financial burden. However, Clean Diet Program is very beneficial in economical aspec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daily life. By combining regular exercise it will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which leads to a better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s and improve relationships. The increase of social activities may also ease the problems of depression or alienation etc, which will be much efficient both in socializing and family. Therefor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required so the program can be applied in welfare centers and elderly living facilities on a regular basis. 이 연구는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 중재효과를 검정하여 노인의 생리적 지수 관리방안과 건강증진태도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6월 24일부터 2015년 9월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C 노인대학에 재학 중인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이들을 무작위로 실험군에 30명, 대조군에 30명을 배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정은 χ²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와 independent t-test, 집단 간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효과검정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이 사전검사(M=3.51)에 비해 사후검사(M=3.98)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6.003, p<.001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확신(t=5.164), 성취(t=5.228), 지속의지(t=5.286)가 p<.001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둘째, 건강행동에 대한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이 사전검사(M=3.47)에 비해 사후검사(M=4.10)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6.196, p<.001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식생활(t=6.234), 스트레스(t=5.070)가 p<.001에서, 운동(t=2.923)은 p<.007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셋째, 웰니스에 대한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이 사전검사(M=3.36)에 비해 사후검사(M=3.86)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7.069, p<.001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건강(t=4.395), 사회적 건강(t=8.654), 정신적 건강(t=4.340)이 p<.001에서, 지적 건강(t=2.249)은 p<.032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넷째, 우울에 대한 효과 검정에서 실험군이 사전검사(M=2.82)에 비해 사후검사(M=2.56)에서 완화된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4.038, p<.001에서 유의하였다. 다섯째, 주관적 건강감에 대한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이 사전검사(M=2.70)에 비해 사후검사(M=3.83)에서 좋게 지각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6.624, p<.001에서 유의하였다. 여섯째, 생리적 지수에 대한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이 BMI(kg/㎡)에서 사전검사(M=26.84)에 비해 사후검사(M=24.32)에서 낮아지는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t=5.974, p<.001에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약자인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신체적으로 과다한 부담이 없으며, 일상의 식단을 조절하고 규칙적인 습관을 함양함으로써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삶의 질 또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보편적으로 질병을 치료하고 관리함에 있어 많은 시간적 소비와 경제적 부담이 동반되지만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은 매우 경제적인 측면과 일상생활 적용 측면에서 유용하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함으로써 사회적 활동 또한 향상될 것이므로 대인관계 등이 향상되어 소외감이나 우울감 등이 완화되어 가족이나 사회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따라서 노인주거 및 입소시설, 노인복지센터 등에서 이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 적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요구되어진다.

      • 중소병원 외래환자의 병원선택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환자만족도의 매개효과

        신소홍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과다한 의료기관 증가와 경쟁으로 인해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병원의 전략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경험 후 내적의사가 향후 행동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매개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소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 469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위한 18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의사의 하위변인 가치서비스경험(β=.325, p<.001), 인적서비스경험(β=.238, p<.001), 물적서비스경험(β=.197, p<.001) 순으로 감정적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내적의사의 하위변인 가치서비스경험(β=.428, p<.001), 인적서비스경험(β=.337, p<.001), 물적서비스경험(β=.170, p<.001) 순으로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내적의사의 하위변인 물적서비스경험(β=.338, p<.001), 가치서비스경험(β=.295, p<.001), 인적서비스경험(β=.189, p<.001) 순으로 선택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감정적 애착은 환자만족도(β=.718, p<.001)와 선택행동의도(β=.715, p<.001)에 매우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환자만족도 또한 선택행동의도(β=.777, p<.001)에 매우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내적의사의 하위변인과 선택행동의도 간에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인적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592, Z=10.48, p<.001), 물적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547, Z=9.99, p<.001), 가치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551, Z=10.59, p<.001) 간에 감정적 애착은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내적의사의 하위변인과 선택행동의도 간에 환자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인적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757, Z=13.86, p<.001) 그리고 가치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719, Z=13.63, p<.001) 간에는 환자만족도가 완전매개효과를, 물적서비스경험과 선택행동의도(β=.642, Z=12.08, p<.001) 간에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18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료서비스이용 경험이 긍정적일 때 환자는 좋은 감정적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져, 이용한 병원에 대한 재이용 의사가 높고 주변에 구전활동을 하겠다는 의사 또한 높다. 그러므로 새로운 환자유치를 위한 비용과 시간투자보다는 기존의 환자를 잘 관리하는 것이 비용효율적일 뿐 아니라 경영상 전략적 마케팅활동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내원환자와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병원경영의 가장 우선적인 전략이라고 판단되므로 이를 위해 기존의 시설 및 환경을 개선하고 진료시스템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적극적인 경영마인드가 요구된다. 주제어 : 종소병원, 의료서비스, 감정적 애착, 환자만족도, 선택행동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