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時代 孔子圖像 硏究

        신민규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되거나 유입된 공자의 시각적 이미지 가운데, 제례와 첨배의 용도로 제의시설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孔子圖像)에 대한 연구다. 공자도상이 제작되거나 유입되는 일차적 목적은 제의시설에 봉안하여 의례를 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유교의 종교성에 대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역대로 문묘(文廟)나 영당(影堂)에서 제의의 대상이자 도구로 사용되어 일정한 종교적 기능을 수행했고, 특정시대와 지역, 집단의 사상과 이익추구에 따라 성상(聖像)으로 존숭되거나 우상(偶像)으로 파괴되기도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되거나 유입된 공자도상의 도상분석과 더불어, 제례와 숭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던 공자도상이 종교적, 사회적 측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조선시대 시각문화의 한 부분을 형성했는지 조명해 보았다. 우선 사상과 문화사적 변동에 따라, 성상 또는 우상으로 변모하는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로써 이미지를 통한 공자숭배문화를 연대기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세워진 주요 공자영당과 그 곳에 봉안된 공자도상을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봉안처의 성격에 따라 정치·종교·사회적 관점에서 다각도로 고찰해보았다. 8세기부터 고려 말까지는 제의공간에서 공자의 형상이 성상으로 존숭되었지만,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부터 공자의 형상은 제의공간에서 점차 사라지게 된다. 성리학적 이념을 내세운 조선에서는 제의공간에 설상(設像)하는 것을 이단(異端)의 폐습으로 여겼고, 또한 신주(神主)를 사용해야 한다는 성리학적 제의관으로 인해 공자의 형상을 우상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1530년 명(明)에서 문묘의 공자상 훼철을 조칙으로 삼은 ‘가정개제(嘉靖改制)’가 단행됨에 따라, 조선에서도 1574년 개성문묘의 공자소상이 훼철되는 것을 마지막으로 모든 문묘에서 공자상이 사라지게 된다. 필자는 이와 같이 공자의 형상을 금기시하는 역사적 흐름가운데서도, 한편으로는 공자도상을 봉안한 서원이 설립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16세기 서원설립운동이 전개되면서 1555년 강릉에서는 공자를 향사하는 구산서원(丘山書院)이 설립된다. 강릉지역에서는 향사할만한 지역의 선유(先儒)가 없었기 때문에 서원설립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이에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공자도상을 명분으로 공자를 향사하는 서원을 세운 것이다. 그러나 상(像)에 대한 제사를 금기하는 성리학적 제의관에 저촉되고, 향교의 문묘와 공자의 제사가 겹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서원설립이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에 서원설립주체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에 대한 예식을 조두(俎豆)에서 분향(焚香)으로 바꾸어 공자도상을 봉안하는 정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구산서원의 공자도상 봉안을 기점으로 이미지를 통한 공자의 숭배는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강릉과 비슷한 인문·지리적 환경을 가진 관북(關北)지역에서는 구산서원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본받아 공자도상을 서원설립의 도구로 이용하였으며, 더불어 봉안한 공자도상을 ‘문향(文鄕)’의 표상으로 전설화시켰다는 것을 나능호(羅能浩)가 그린 <행단도(杏壇圖)>의 제기(題記)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행단도>가 풍류(風流)와 호학(好學)의 유가적 즐거움을 시각화했다는 것을 도상학적으로 고찰하여, 그 주제와 상징이 서원이라는 강학공간이 지향하는 바와 합목적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소수서원(紹修書院)에는 문묘를 시각적으로 번안하고 공자를 제왕의 모습으로 표현한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가 소장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림의 내력이 소수서원의 상징성과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윤색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그림은 예로부터 안향이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들여올 때 가지고 온 것으로 전승되어, 그가 주자성리학을 동방에 전파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키는 일종의 역사적 기념물로서 추숭되었다. 그러나 그림의 형식적 분석결과, 이 그림이 안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수서원은 주자학을 최초로 전래한 안향을 주향으로 삼은 곳이며, 조선 최초의 사액 서원이라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공간이었기 때문에,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를 안향과 관련지어 동방 유학의 시작과 창달을 상징하는 가시적 징표로 윤색한 것으로 보인다. 노성궐리사(魯城闕里祠)와 화성궐리사(華城闕里祠)는 공자도상을 봉안한 가장 대표적인 영당으로 두 곳 모두 정조(正祖)와 관련이 깊다. 이에 두 궐리사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에 대해 고찰하고 ‘정조의 눈’을 통해 당시의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과 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성궐리사에 봉안된 대부분의 공자도상은 정조의 명으로 다른 지역에서 이안(移安)된 것이다. 당시 전국 곳곳에서 공자도상 및 여러 성현의 도상을 빌미로 영당을 남설(濫設)하였는데, 정조는 조정의 허락 없이 사당을 짓는 것은 사체(事體)에 부적합하다고 여겨 그곳의 공자도상들을 노성궐리사로 옮긴 것이다. 그리고 정조는 공자도상이 근원적으로 공자의 실제모습을 담을 수 없다는 부정적 관점을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은 공자도상 이안의 주요 동인을 작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정조는 공자도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성에 궐리사를 세워 내각(內閣)에 있던 공자영정을 봉안하고, 조선의 공자후손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한다. 그 이유는 정조가 화성 육성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과업으로 삼았기 때문에, 화성에 궐리사를 세워 유교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어 성소(聖所)의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즉 정조의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과 이용은 정치적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달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노성궐리사에는 다수의 공자도상이 현전하여 18세기 무렵에 유행하였던 공자상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가늠해 볼 수 있지만, 화성궐리사에는 설립당시에 봉안했던 그림은 전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에 따르면 ��동국궐리지(東國闕里誌)��에 실린 공자도상이 설립당시에 봉안된 도상을 옮긴 것이라고 전하지만, 이 그림들은 ��성적도(聖蹟圖)��에 실린 공자의 형상을 차용한 것이며, 당시에 봉안된 공자도상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말기에는 일본의 침탈과 서구열강의 침입, 이단으로 간주되던 천주교의 전파로 인해, 공자도상이 춘추대의(春秋大義)와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상징적인 표상으로 이용되었다. 정읍의 영양사(瀛陽祠)는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건립된 공자영당으로, 이곳에 봉안된 공자도상은 항일의병장과 우국지사들의 초상을 다수 그린 채용신(蔡龍臣)이 제작한 것으로 전한다. 이전의 공자도상들은 화보(畵譜)나 중국의 공자도상을 그대로 옮기는데 충실했지만, 이 그림에서는 기존 도상의 영향 없이 채용신 고유의 화풍이 여실히 반영되어있다. 전통적인 좌우칠분면(左右七分面)의 인물표현방식에서 탈피하여, 채용신 자신이 즐겨 사용하던 정면관 형식으로 공자를 표현하였고, 서구식음영법이 가미되어 있다. 그리고 범본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채용신 자신이 오랜 기간 체화한 얼굴표현 방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공자의 얼굴이 조선적으로 변모하였다. 사산사(泗山祠) 또한 공자를 존화양이의 표상으로서 향사하기 위해 영양사의 공자도상을 이모하여 봉안했다. 그리고 이후 네 차례나 다른 영당의 공자도상을 이안하거나 이모해 온다. ��동국궐리지��에 실린 도상과 일치하면서 동시에 중국 곡부의 진본으로 여겨지던 도상을 이모해왔고, 노성궐리사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을 이모해 왔다. 그리고 공묘(孔廟) 대성전(大成殿)에 봉안된 공자 조각상의 사진을 범본으로 삼아, 채용신에게 영정을 제작하게 하였다. 그 이유는 권위적 도상을 봉안하여 영당의 권위를 높이고, 그 존립기반을 확고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공자의 도상은 언제나 그 진위에 대한 시비가 들끓었고, 이는 영당의 존립과 직결되는 문제였다. 그러므로 당시에 공자의 진상(眞像)으로 인정되었던 도상이나 궐리사와 같은 권위 있는 영당에 봉안된 공자도상을 봉안한 것은, 도상의 진위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영당존립의 정당성을 대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사산사에서 이루어진 공자도상의 이모는 ‘권위의 복제’이며 영당존립을 위한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fucius icons孔子圖像 enshrined at facilities for ritual and cult among the Confucius images produced at or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A primary objective of production or inflow of the Confucius images was to enshrine them at ritual facilities and perform a ceremony. Regardless of an issue of the Confucian religiosity, they were used as an object or a tool for rituals at a Confucius shrine文廟 or Youngdang影堂, carrying out certain religious function, and respected as an icon聖像 or destructed as an idol偶像 according to a particular age and region, idea and pursuit of interest of a group.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Confucius images produced at or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for ritual and cult and examines how they formed part of the visual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in religious and social aspects. Firstly, it examined a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Confucius images to an icon or an idol along with transition of the history of idea and culture and the Confucius cult culture chronologically through images. Also, it conducted a multi-angle analysis on main Confucius Youngdang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fucius images enshrined there according to those days' historic situation and character of an enshrined place in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 At ritual spaces from the 8th century to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Confucius image was respected as an icon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t came to disappear gradually at a ritual space. Since, in the Joseon Dynasty advocative of the Confucian ideology, enshrinement of images at a ritual place was regarded as heretical evil customs and Confucius image was assumed as an idol because of the Confucian ritual perspective that the tablet神主 should be used. Besides,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reforms of sacrificial rites during emperor Jiajing's reign in the Ming嘉靖改制 having a Royal edict of the Confucius image destruction in the Confucius shrine in 1530, and in 1574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finally demolished at Gaesung Confucius shrine and disappeared in every Confucius shrin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a point that Seowon書院 was established for enshrining the Confucius images even in a historical flow tabooing them. With the development of the 16th century's campaign for founding Seowon, Gusan Seowon丘山書院 was erected to reverence the Confucius at Gangneung in 1555. There was no regional former Confucians to worship at Gangneung so it failed in satisfying requisites for establishing Seowon. Hence Seowon for the Confucius was formed in the name of the Confucius images from China. However, it conflicted with a Confucian ritual view to taboo an ancestral rite for an image and there was a problem overlapping the Confucius shrine of Hyanggyo with a rite for the Confucius so foundation of Seowon was faced with a serious situation. Therefore, to solve such a problem, it seems that persons in charge of establishment of Seowon changed a ceremony for an image from Seok-chae釋采 to offering incense焚香, ensuring the legitimacy for enshrining the Confucius images. Cult of the Confucius through images was expanded to many regions along with enshrinement of the Confucius images at Gusan Seowon.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a point that case of Gusan Seowon was actively modeled and the Confucius images were used as a tool for establishing Seowon at Gwanbuk having a similar humanistic environment to that of Gangneung and also the Confucius images enshrined were made a legend as a representation of the 'home of academies' through texts on a painting <Xintantu杏壇圖> by Na Neungho羅能浩. Besides, it shows that such <Xintantu> visualized Confucian pleasure of enjoying arts and loving study iconographically, and its theme and symbol are fitting for the aim of a studying place Seowon, showing an appropriate relation for its aim with the enshrined painting. Sosu Seowon紹修書院 has <Dacheng zhisheng wenxuanwangdian zuotu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 that reinterpreted and expressed visually Confucius shrine and represented the confucius as an image of an emperor, and this paper gives special attention to a point that its history was embellished to show symbolism and authority of Sosu Seowon. This painting had been said to be brought by An Hyang安珦 along with the doctrines of Chu-tzu from the Yuan and worshiped as a kind of historic monument recalling a fact that he transmitted the neo-Confucianism of Chu tzu to the Eastern. However, formal analysis on this painting shows that it has no relation to An Hyang. Since, Sosu Seowon was a very symbolic space in that it was the first nationally authorized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that enshrined An Hyang spreading the doctrine of Chu tzu firstly, it seems <Dacheng zhisheng wenxuanwangdian zuotu> was embroidered as a visual mark symbolizing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with connection to An Hyang. Noseong Gweulrisa魯城闕里祠 and Hwaseong Gweulrisa華城闕里祠, most representative Youngdang that enshrined the Confucius images, have a deep connection to King Jeongjo正祖. Hence, it examined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two Gweulrisa, and about recognition on and use of those days' Confucius images through a 'view' of King Jeongjo. Most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Noseong Gweulrisa were moved out of other regions under the order of King Jeongjo. In those days, Youngdang was over- excessively erected everywhere by reason of the Confucius images and many saints', and King Jeongjo regarded it was unreasonable to build a shrine without permission of the Court so moved Confucius images to Noseong Gweulrisa. Besides, it seems that negative perspective of King Jeongjo that Confucius images could not express those of His real functioned as a main drive for their transfer. However, despite such negative perception on the Confucius images, King Jeongjo built Gweulrisa at Hwaseong and enshrined the Confucius portrait that existed at a court library內閣, making Confucius descendants perform a rite. The reason why is that King Jeongjo set as a task building Hwaseong to establish his political position so intended to give it an image of a sanctum through building Gweulrisa and making Hwaseong as a center of the Confucian culture. In other words, it may be regarded that King jeongjo's recognition on and use of the Confucius images varied as a political situation and objective. At present, a number of the Confucius images exist at Noseong Gweulrisa so it is possible to guess about those popularized in the 18th century but there seem to be no painting enshrined at the time of foundation at Hwaseong Gweulrisa. Related records show that Confucius images in Dongguk Gweulriji東國闕里誌 are those transferred from enshrined image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se paintings were borrowed from Confucius images included in Shengjitu聖蹟圖, having no relation to the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that time.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fucius images were us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and Respecting China & Defeating savage owing to plunder by Japan, invasion by the Western Powers and spread of Catholic regarded as heresy. Jeongeup Yeongyangsa瀛陽祠 is the Confucius Youngdang built from such a periodic atmosphere and it is told that Confucius images enshrined here were produced by Chae Yongsin蔡龍臣 who painted many portraits of heads of righteous armies and patriots against japan. Prior paintings centered mainly on copy of art books or Chinese Confucius images but this painting reflects a unique style of Chae Yongsin without influence by the existing images. Escaping from a traditional expression of a person, Chae Yongsin expressed the Confucius with a front view he used frequently, adding the western shading. Besides, there was no exemplar so expressive method for face embodied by Chae Yongsin himself for a long time was reflected actively and face of the Confucius changed to that of Joseon. Sasansa泗山祠 also copied and enshrined the Confucius image of Yeongyangsa to reverence the Confucius as a representation of Respecting China & Defeating savage. Furthermore, it brought the Confucius images by moving or copying from other Youngdang as many as 4 times. It copie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at of Dongguk Gweulriji and regarded as the original of Qufu, China in addition to the Confucius image enshrined at Noseong Gweulrisa. Besides, along with an exemplar of a photo of the Confucius statue enshrined at the main hall大成殿 of the Qufu confucius temple孔廟, a portrait of the deceased was to be produced by Chae Yongsin. Maybe it aimed to raise the authority of Youngdang and ensure its foundation for preservation by enshrining the authoritative image. Authenticity of the Confucius images was a bone of contention all the time and it was an issue that connected directly to preservation of Youngdang. Hence, an image acknowledged as the true image眞像 of Confucius or enshrined at the authoritative Youngdang like Gweulrisa in those days was enshrined so it could rip an authenticity problem in the bud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 legitimacy of Youngdang to be existed. In other words, copying of the Confucius images occurred at Sasansa may be regarded as 'duplication of authority' and a political action for preservation of Youngdang.

      • 마가복음의 제자도 : 마가복음 13장을 중심으로

        신민규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약성서를 장르로 구분 짖자면 크게 세 구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 신약성서에 가장 먼저 나와 있는 복음서이다. 복음서에는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이 정경 안에 들어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은 공관복음이라는 호칭으로 불려지고, 이들은 많은 자료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바울이 각 교회들에게 남긴 서신서이다. 바울은 교회 안에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대한 양의 서신을 각 교회에게 보내었다. 정경 안에 들어와 있는 모든 서신서가 바울의 것이냐? 라는 물음 앞에 물음표를 달 수 있으나 전통적으로는 바울이 썼음을 고백한다. 바울의 서신 뿐 아니라 히브리인서,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 유다서, 요한서신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신약성서에서 가장 다루기 어렵고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 묵시록인 요한계시록이 있다. 성경은 이렇게 여러 장르로 저술되어있고, 정경으로 종합하였으며, 지금 이 시대에 쥐어졌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성서는 신약성서에서 복음서 중 가장 먼저 쓰여진 마가복음이다. 마가복음이 복음서 중 최초의 문헌이라고 밝혀진 때는 19세기에 역사비평이 발전 적용되고 난 후 부터이다. 최초의 문헌이라고 밝혀진 마가복음은 가장 원석에 가까운 복음서로 인식되면서 역사적 예수의 생애 대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서로 생각되어 졌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복음서를 통하여 역사적 예수의 생애를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사라졌다. 왜냐하면 역사적 예수의 전승이 없어서가 아니라 각 복음서의 저자들이 역사적 예수의 전승들을 자신들의 신학, 주제를 근거로 하여 전승들을 편집하였기 때문이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이 같은 내용, 같은 종류, 같은 형태의 복음서가 정경 안에 네 권이나 중복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내용이 같고, 종류도 같다면 정경 안에는 네 권 중 한 권만 정경 안에 들어왔을 것이다. 마가복음도 마찬가지로 최초의 문서이기는 하지만, 역사적 예수의 전승들이 들어가 있지만 역사적 기록의 목적이 아닌 마가의 공동체,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신앙을 위한 책인 것이다. 이러한 마가복음에서 저자인 마가는 마가복음의 주제를 복음이라는 것과 제자도라는 주제로 제시해 주며 그의 신학을 펼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가복음에서 복음이라는 주제는 막 1:1에서 찾을 수 있다.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인 예수의 복음의 시작" 한글 번역 성경을 보게 되면 단순한 하나의 문장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동사가 없는 하나의 타이틀이다. 그렇기 때문에 막 1:1은 마가복음의 성격을 규정해 준다. 막 1:1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마가복음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고, 그리스도라는 고백, 즉 그 예수가 복음이라는 것을 설명하며, 그 복음이 시작되는 것을 기술하겠다는 타이틀인 것이다. 이렇게 마가복음은 막 1:1에서 마가복음을 그리스도 예수의 복음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제자의 길이라는 주제를 막 1:15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르시되 때가 찼다.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 즉 여기서 제자의 길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를 통해서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알고 회개하여 복음을 믿으라는 설명이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마가복음에서 복음은 그리스도 예수이다. 즉 마가복음의 첫 번째 제자도는 회개하고 그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고 있는 예수를 믿는 것이다. 마가복음은 이렇게 복음과 제자도이라는 주제로 마가복음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마가복음의 전개 가운데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13장의 내용은 마가복음의 주제인 복음과 제자의 길이라는 주제와 어색한 부분이 있다. 왜냐하면 13장의 내용은 종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 묵시록과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개괄적으로만 본다면 13장에서는 성전의 무너짐에 대한 예언, 종말이 가까워질수록 제자들이 예수로 인해 핍박을 당할 것이라는 예언과 일어날 현상들을 예수가 선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3장과 같은 내용은 마가복음에 전체적으로 흐르고 있는 복음과 제자의 길이라는 주제와 일맥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마가복음 12장에서 14장으로 넘어가는 것이 더 매끄럽게 넘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에도 불구하고 막 13장의 내용이 마가복음의 최초문서에 포함된 내용이라고 인정한다면 이 막 13장의 내용 또한 복음과 제자의 길이라는 주제의 맥락 안에 포함 될 것이 자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막 13장이 마가복음 전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밝히며, 특히 제자의 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13장을 바라봄으로 13장을 통해서 어떠한 제자의 길을 선포하고 있는지 밝히도록 하겠다.

      • 인공생산된 뱀장어(Anguilla japonica) 자어의 성장에 따른 소화기관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연구

        신민규 부경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Freshwater eel (Anguilla japonica) is rapidly decreasing in number and has not yet been successfully mass produced. This may be at least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unique and long early life history of the eel.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feed and breeding technology tailored to unique eel larval stages. For this, understanding of the ecophysiology of eel larvae based on various analysis on ontogenesis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arl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spawned eel larvae through morphological, histological, molecular b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Finall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ficial mass seed production of eel by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diet and rearing protocols. Exp. 1: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00 days after hatching (DAH) and analyzed morphometry and allometry for eel larvae. The following artificially-spawned eel larval stages were identified: the yolk sac larvae stage (0–6 DAH, 3.23–6.85 mm total length (TL)), the pre-leptocephalus stage (7–30 DAH, 6.85–15.31 mm TL), and the leptocephalus stage (50–200 DAH, 15.31–60.06 mm TL). Artificially-spawned and wild eel larvae could be divided into characteristic larval stages at similar sizes. However, compared to wild eels, artificially-spawned eels had a slower growth rate and fewer preanal myomeres. Meanwhile, artificially-spawned eel larvae rarely had a mixed feeding period as the absorption of endogenous reserves was completed by 7 DAH. The lower jaw of eel larva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upper jaw at 50 DAH. In the pre-leptocephalus and leptocephalus stages, eel larvae showed continuous positive allometric growth at trunk height and tail muscle height with change to the willow leaf-like form. These growth characteristics may be the result of adaptation to the migration over long distances and to a diel vertical migration. The inflection point in the body parts growth patterns showed only before 30 DAH, and mass mortality appeared at this period. Therefore, to improve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artificially-spawned eel see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the feeding and rearing protocol until 30 DAH. Exp. 2: Histological changes in the digestive organs of the larvae as they grew from 0 DAH to 50 DAH were studied. The endogenous reserves were completely absorbed at 7 DAH, and the first exogenous feeding started thereafter. The teeth appeared at 4 DAH and dramatically changed from needle-like to broad-based types by 50 DAH. The oesophagus was a thin tube composed of simple cuboidal epithelium at hatching, but 5 DAH, it began to be divided into of mucosa, submucosa, muscularis externa, and adventitia. The intestine remained as straight gut until 50 DAH, and the intestinal cilia appeared first at 6 DAH and their density continuously increased thereafter. Interestingly, goblet cells appeared in the intestine, but not in the esophagus. In addition, high amounts of eosinophil substances, assumed to be zymogen granules, accumulated in the pancreas, suggesting a specific digestive strategy of eel larvae. Exp. 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50 DAH; we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digestive enzymes (trypsin, chymotrypsin, amylase, lipase), expression levels of digestive enzymes (trypsin (try), amylase (amy), pancreatic lipase (pnlip)), and expression levels of nutrient transporters (large neutral amino acids transporter small subunit 2 (slc7a8), sodium/glucose co-transporter member 1 (sglt1), Niemann-Pick C1-like 1 (npc1l1)). The try and slc7a8 expression increased with fluctuations until 50 DAH and showed a similar trend. The amy and sglt1 expression increased until 50 DAH and appeared to a similar trend. The pnlip and npc1l1 expression were relatively high until 15 DAH and decreased thereafter. And then, pnlip expression increased again from 30 DAH and npc1l1 expression maintained low until 50 DAH. Meanwhile, expression levels of digestive enzymes were highest in try, followed by amy and pnlip.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nutrient transporters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order of sglt1, slc7a8, and npc1l1.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otein and carbohydrates are more important than lipids in eel larvae. All digestive enzymes activities were low until 15 DAH and then rapidly increased to 30 DAH; these levels were maintained until 50 DAH. Eel larvae are considered to have insufficient and unstable digestive ability before 30 DAH.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early eel larvae, this study is sugges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slurry-type diet could consist of easily digestible low-molecular substances before 30 DAH, and increase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and reduce the lipid content.

      • 거룩한 백성과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관한 연구 : 명령과 행함을 중심으로

        신민규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경에서 여러 번 등장하는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 지어다”는 여호와와 언약을 맺은 백성들이 성취해야 할 명령이다. 본 연구는 여호와의 명령인 “너희도 거룩할지어다”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의 해답을 찾기 위해 출발했다.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어떠한 상황에서 드러나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했다. Ⅱ장은 □□□ 연구로 □□□의 언어학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 의미는 ‘나뉘다, 분리하다(to separate)’이다. 거룩함이란 일상적인 용도로부터 구별되고 분리되고 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며 □□□가 하나님께 적용 되었을 때 하나님의 초월성을 나타내고, 사람이나 사물에 적용되었을 때 주로 구별된 상태를 나타낸다. 어근 □□□는 다른 히브리 단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례가 없는 발전을 보여주며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규칙동사로서 타동사와 자동사의 형태, 일곱 가지 완전한 활용형태를 갖고 있고, 분사, 추상명사, 형용사, 보통명사, 고유명사 형태도 나타난다. 이 어근이 표현하는 사상은 구약의 신학적 중심이며 그 형태는 히브리어 문법의 용례를 다 보여줄 수 있을 정도로 활용도가 다양하다. 놀라운 유연성 덕분에 동일한 어근은 상태와 행위, 남에게 당하는 행위 또는 자기 산출하는 행위, 그 행위의 주체 또는 대상 등등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표현의 풍부함은 개념의 풍부함에 결코 뒤지지 않고, 그 여러 가지 표현 형태들은 개념의 다양한 측면들과 정확하게 상응한다. 구약에서 □□□의 사용빈도수가 850번 이상인데, 그 중 모세오경에만 355번 나타난다. 이것은 구약전체에서 1/2이 조금 안되는 분량이다. 그 중 레위기는 152회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 연구에 있어 모세오경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특히 레위기가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Ⅲ장은 구약성경에서 □□□가 제일 처음 나타나는 창세기 2:3에 대한 연구다. 창세기 2:3에서 하나님은 천지창조 시 일곱째 날을 복주시고 거룩하게 하셨다(□□□ □□□□□ □□□□□□ □□□□□□ □□□□□ □□□□ □□□□□). 그런데, 창세기 2:3만 가지고는 3절에서 □□□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 창세기 2:3이 속해 있는 단락인 창세기 1:1-2:3을 함께 살펴보았다. 하나님은 천지를 창조하시면서 많은 관심을 시간에 기울이고 있다. 창조의 시작을 여는 단어도 시간과 관계된 단어였고(□□□□□□), 첫째 날 창조부터 하나님은 낮과 밤에 대한 시간의 구분을 두었고, 이것이 6일 동안의 창조에서 거듭하여 반복되었다. 또한 넷째 날에는 하나님이 자신이 만든 시간(낮과 밤을 구분케 하는)을 관리하도록 하늘의 해와 달에게 자신의 권한을 위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일곱째 날에는 이전 날들과는 다른 창조의 형식을 취하며 일곱째날을 복주고 거룩하게 하셨다. 성경에서 □□□와 제일 먼저 연결되어 나온 단어가 사람이 아닌 날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천지창조에 있어 시간이 갖는 의미의 중요성을 발견케 한다. 창세기 1:1-2:3의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가 시간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맥 가운데 □□□는 ‘구별’과 ‘분리’라고 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나님이 밤과 낮을 분리하신 것 같이, 궁창 위의 물과 아래의 물을 분리하신 것 같이, 땅위의 물이 고여 있는 땅과 마른 땅으로 ‘분리’하신 것 같이, 엿새의 날들과 일곱째의 날을 ‘구별’하고 ‘분리’한 것이다. Ⅳ장은 이스라엘이 어떻게 거룩한 백성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거룩한 백성)가 담겨있는 출애굽기 19:6은 출애굽기 19:1-8의 단락에 포함되므로, 그 단락을 살펴보았다. 시내산 단락의 처음부분인 출애굽기 19:1-8은 시내산 앞의 시내광야라는 공간적 배경을 제공하고, 반복을 통해 그 지역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2절). 그리고 모세는 이 지역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과 언약을 맺는 중재자의 역할을 감당한다. 여호와는 이스라엘이 이 땅에 어떤 나라보다 귀하고 소중한,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구별된) 민족’이 되기를 바라는데, 이에 대한 방법을 언약을 통해 제시한다.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말씀(명령)을 주의하여 잘 듣고, 그대로 지키면 된다. 이스라엘이 거룩한 백성이 되는 길은 여호와의 명령을 그대로 행하면 된다. 거룩한(구별된) 민족이 되는 길은 이스라엘 스스로 되어지는 것이 아닌 여호와가 거룩하게(구별되게) 해주는 것이다. 거룩하게 하는 힘과 능력은 여호와께 있다.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능력을 끌어 쓸 수 있도록 말씀대로 행하는 삶을 살면 된다. 그럴 때, 그들은 여호와의 소유로 이 땅에서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민족이 될 수 있다. 거룩한 백성이 되는 길은 신비적이거나 멀리 있지 않다.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말씀에 순종하기만 하면 거룩한 백성이 될 수 있다. 여호와의 “명령”에 대한 온전한 “행함”이 있을 때, 우리는 여호와의 거룩한 백성이 되는 것이다. Ⅴ장은 레위기 10장에 나타난 나답과 아비후 사건을 통해서 여호와의 거룩하심이 어떤 상황에서 드러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레위기 36개의 단락 중 10번째 단락인 레위기 8:1-10:7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8장은 제사장 위임식이 나오고, 9장은 아론의 첫제사가 드려졌으며, 10:1-7은 나답과 아비후가 하나님이 명령하지 않은 다른 불을 갖고 제단에서 분향하다가 죽는 장면과 처리되는 이야기를 알아보았다. 레위기 8:1-10:7은 우리에게 “명령과 행함”의 구조를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여호와의 명령을 그대로 준행하는 것이 8-9장의 모습이었다면, 10:1-2은 “명령과 행함”의 구조가 단절된 모습을 보여준다. 다시 10:4-7로 “명령과 행함”의 구조가 두 번 다시 회복됨을 살펴보았다. 여호와는 거룩하시다. 그런데, 여호와의 거룩하심은 언약백성을 통해 나타나기를 원하신다. 이스라엘이 그의 명령을 준행함을 통해 자신의 거룩이 드러나기를 원하신다. 여호와의 거룩이 드러나는 길은 여호와의 명령을 우리가 행함으로 옮길 때 드러난다. 그러나 나답과 아비후는 명령을 그대로 준행하지 않음을 통해 여호와의 거룩을 드러내지 못했다. 결국 여호와는 자신의 방법으로 자신의 거룩을 스스로 드러내 보이셨다. 이로 인해 나답과 아비후는 죽고 만 것이다. 여호와의 거룩은 우리의 두 가지 반응 모두에서 드러난다. 우리가 하나님의 명령을 준행 할 때는 온전한 “명령과 행함”의 구조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다. 그러나 하나님의 명령을 올바로 준행하지 못 할 때는 그에 해당하는 징벌을 통하여 여호와가 자신의 거룩함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다. 전자는 인간을 통해 거룩해 지는 것이라면, 후자는 여호와 스스로 거룩함을 보이는 것이다. 이스라엘이 거룩해지는 것도,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드러나는 것도 언약 당사자인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명령을 그대로 준행할 때며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 위에 되어지는 것이다. 애굽에 포로로 있었던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은 먼저 찾아오셨고, 먼저 은혜를 베푸셨다. 그리고 시내산에서 공적인 언약을 맺을 때, 이스라엘이 준비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하나님이 베푼 언약의 내용을 잘 듣고 결정만 내리면 되었다. 이스라엘을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백성으로 부르신 하나님의 요구에 응답하며, 하나님의 명령을 그대로 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이스라엘은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행하고 살면 된다. 이러한 행하는 삶을 통해 이스라엘은 거룩한 백성이 될 수 있으며, 하나님은 그들을 통해 거룩함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거룩함을 드러내야 할 사람들이 하나님의 거룩함을 드러내지 못할 때 하나님은 스스로 자신의 거룩하심을 드러내신다.

      • Mental process model for human-based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신민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afety management parts can be classified into Environment-based Safety Management (ESM) and Human-based Safety Management (HSM). To attain a desired safety level, improving both parts is required.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however, is conducted focusing mainly on the ESM, not on the HSM. In order to conduct balanced safety management, a mental process to support the HSM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Thus, this study presents a mental process model which explicates how a worker makes a decision on safe behaviors.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ub-models: Model for Worker’s Decision-Making on Safe Behavior, Model for Optimistic Recovery, and Model for Habituation. Model for Worker’s Decision-Making on Safe Behaviors explains how a worker makes a decision based on his/her risk perception and expected utility of safe behaviors. Model for Optimistic Recovery explains how the effect of accidents on a worker dwindles and how the worker recovers from the effect of accidents. Model for Habituation explains the behavioral inertia due to habituation. Based on the quantified mental process model, three strategies were suggested. (a) Allocate most of the incentives to the early stage if giving incentives is considered. (b) Encourage workers to share information of accidents. (c) Help workers to believe the shared accidents as what can happen to them. This study has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and a logical basis for the HSM. In addition, the HSM strategie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lternatives to decision-makers.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 :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신민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s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may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and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in counselling and education filed.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ssigned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s? Second, are there any moderating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hird, are there any moderating effect of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paper gathered survey data from 386 undergraduat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21.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wo moderating effec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identity, depress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ut it did not show correlation between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Second, moderating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weren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As a result of specific analysi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the group of lower appearance satisfaction shows better effect of depression decrease, rather than the group of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hen ego-identity is getting higher. Third, moderating effects of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The present study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predictive variables of depression, which include ego-identit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ighlight the value of improvement in the level of appearance satisfaction as well as ego-identity when counselling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우울,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계를 확인하는 동시에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우울,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전국 대학생 4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어지는 14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86명의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첫째, Dignan(1965)이 제작한 자아정체감 척도를 기반으로 한국의 중고생 및 대학생에게 맞도록 박아청(2003)이 보완하고 수정한 한국형 자아정체감척도를 둘째, Beck(1978)이 제작한 우울척도를 셋째, Mendelson과 White(1993)가 제작한 외모만족도 척도를 넷째, 부모의 학력, 소득, 직업 지위에 기초하여 다수의 국내연구들(박주희, 2006; 신명호, 2010; 이중섭, 이용교, 2009; 이호영, 김상돈, 2006)이 사용하고 있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주요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은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정적 상관이, 우울과의 부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외모만족도의 경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정적 상관이, 우울과의 부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우울과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외모만족도가 낮고, 높은 모두의 경우에서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졌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은 경우보다 외모만족도가 낮은 경우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을 낮추는 영향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아정체감,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라는 변인을 설정하여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그들이 지각한 외모만족도가 우울을 낮추는데 조절효과가 있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을 낮추는데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우울의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치료적 개입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빅데이터와 GIS를 활용한 범죄취약지 추출

        신민규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5년부터 2014년 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10년간 범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도로에서 일어나는 강력범죄 또한 줄어들지 않고 있다. 하지만 범죄 발생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해외와 다르게 우리나라는『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비공개 대상 정보)에 따라 부동산 가치 하락 및 사생활 침해 논란 등으로 범죄정보의 제공이 원천적으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범죄관련 연구는 행정구역 단위의 분석에서 그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를 이용하여 물리적·공간적 측면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와 통계정보 그리고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한 민원정보를 활용하여 범죄발생 위치정보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범죄발생에 취약한 지역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범죄에 취약한 지역을 찾는 측면에서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수요 측면과 공간적으로 범죄에 취약한 공급 측면을 고려한 종합한 범죄취약지를 추출하였다. 공급 측면은 범죄에 취약한 물리적 환경요인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범죄취약지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선정된 물리적 환경요인은 시야각도, 도로폭, 도로포장재질, 주변 건물 종류이며, 속성정보에 따라 위험점수로 등급화를 하였다. 각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고자, 5대 범죄(살인, 강도, 강간, 절도, 폭력)와 환경요인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5대 범죄별 범죄취약지를 추출하였다. 수요 측면의 범죄취약지 추출은 비정형 빅데이터인 민원정보를 이용하였으며, 민원정보에서 안전시설물의 설치에 대한 요구사항과 안전시설물 설치현황을 비교하여, 안전시설물 사각지대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크롤링을 통해 민원정보를 수집하고, 안전시설물 설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민원정보만을 추출하여 공간정보로 변환하였다. 공간정보로 변환한 민원정보를 가지고 공간통계분석 중 하나인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여 안전시설물 설치에 대한 수요가 밀집한 지역을 추출하였으며, 실제 설치된 안전시설물에 대한 버퍼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안전 시설물 사각지대의 추출하였다. 수요-공급 측면의 범죄취약지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범죄취약지를 추출하고, 안전시설물 설치현황과 설치요구에 대한 불일치율을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측면에서 공간적·물리적으로 취약하면서, 많은 주민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지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물리적 환경요인과 5대 범죄 정보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인과관계를 확립하고, 이를 적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가지는 범죄 유형별 범죄취약지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포함되어있는 민원정보와 안전시설물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시설물 사각지대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조사 없이도 수요-공급을 반영한 범죄에 취약한 지역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용어 : 범죄취약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5대 범죄, 회귀분석, 빅데이터, 안전시설물 사각지대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of South Korea over the period from 2005 to 2014, crimes have been a steady rise for the past decades. And, the serious crimes that happen on the roads,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is not being reduce. However, unlike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where the locational information of crimes is provided, such provision of the locational information of the crime occurrence is prohibi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Information Not to be Disclosed) in the Act on Information Disclosure by Public Agencies, in fear of privacy violation or the damages it might do to the real estate value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a method of identifying the crime vulnerable areas without using the crime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utilizing the concept of the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which provides the physical and spatial information, statistics, and the complaints information using the Big Data. And, the crime vulnerable areas have been ident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 aspect, that is, the level of fear felt by the actual residents, and the supply aspect, which means the spatial vulnerability against crimes. The crime vulnerable area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supply aspect through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vulnerability elements that could be identified in the spatial information, which was used to identify such vulnerable areas. The selected phys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cluded the visibility angle, width of the road, pavement material of the road, and surrounding buildings.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risk ratings. And, in order to apply weights to each element,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five major crimes (murder, robbery, rape, and violence)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And, based on the result, the crime vulnerable area for the five major crimes have been identified. The identification of the crime vulnerable areas in the demand aspect was performed using the unstructured big data,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information. In the civil complaint information, the requests for installation of the safety structure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structures were compared, in order to identify the blind spots in terms of the safety structures. The civil complaint information was gathered using crawling method, and the civil complain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safety structures and with the locational information was extracted and converted to spatial information. The complaint information as converted to spatial information was used for the hot-spot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spatial statistics analysis method, so that the areas with the higher density of the demand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structures were extracted. And, the result was compared to the buffer analysis result on the safety structures that were actually insta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blind spots for the safety structures. Using the crime vulnerable areas in terms of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the comprehensive crime vulnerable area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mismatching ratio of the installed safety structures and the demands for the installation was analyzed. In the comprehensive aspect, the areas which are vulnerable in spatial and physical aspects and where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felt fea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the five major crime inform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a causal relationship, which was used to present the methodology to identify the crime vulnerable areas by the types of crimes with a more objective result. Also, the complaint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al information of the safety installations, which reflect the demands of the resident, were used to present the methodology to identify the blind spots for the safety installations. With this, it is believed that the crime vulnerable areas can be found efficiently, without a field survey, while reflecting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Keywords : Crime vulnerable areas, CPTED, Five major crime, Regression anlaysis, Big data, blind spots for the safety

      • Nanobiohybrid robot composed of brain organoid, motor neuron spheroid, and muscle bundle to mimic the human motor system

        신민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Biohybrid robo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a lot recently in the industrial robotics and biomedical application. Up to now, several biohybrid robots have been developed using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muscle cells induced by spontaneous movement or electrical/optical muscle stimulation. These methods require external electrodes for direct electrical stimulation to cells or genetic manipulation for producing optogenetic muscle cells responsive to light stimulation. However, the above-mentioned muscle contraction for biohybrid robots is difficult to mimic the human motor system. Compared to the biohybrid robots using external stimulation directly to muscle cells, in the case of the human motor system,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re transmitted to motor neurons for inducing the muscle movemen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for development of the biohybrid robot, following studies were performed to develop nanobiohybrid robot composed of brain organoid, motor neuron spheroid, and muscle bundle to mimic the human motor system. First, to evaluate the drug effec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autonomic reflexes-biohybrid robot was fabricated. Besides, using the multi-motor neuron spheroid with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nd Au-Ni-Au nanorods, the brain organoid and muscle bundle were connected. In addition, Au coated magnetic nanoparticle-incorporated brain organoid was generated to increase neurogenesis for electrophysiological signal enhancement and connected with multi-motor neuron spheroid in hydrogel ring to confirm the electrophysiological signal transfer. Finally, the human motor system-based biohybrid robot with swimming mo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brain organoid with muscle bundle using the MXene NSs-incorporated multi-motor neuron spheroid in hydrogel ring. Based on the results of swimming motion of the biohybrid robot, the developed human motor system-based biohybrid robot confirmed the effects of the neurotransmitter on brain organoid for muscle contraction.

      •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기반으로 무용작품 〈틀:Frame〉 창작과정 연구

        신민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times, digital media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n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ories for new phenomena, indiscriminateness of existing relationships has been asserted. The reason why this later signified can be a signified is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existence is not transcendent, but merely different from other signifiers. It was extended to the hyperreality of Baudrillard's simulation theory which means that the essence of reality is changed and transformed into an image,whereas the image does not take the substance and becomes a new subs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versal phenomenon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which is made by hyperreality through the creation of hyperreality in which the fiction becomes reality and then the essence of reality disappears and simulacre through Baudrillard's “simulation” concept. Furthermore, this paper includes the creation of the dance work <Frame>, creative process, and the analysis of the dance work <Frame>. Accordingly, using practical technique-based research methodology, somatic data were accumulated through photos and videos and the concepts of simulation thoery and simulacre were sugges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the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work <Frame:> was described based on hyperreality and SN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interviews ofdancers and audiences were evaluated as the basi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each scene and the thesis. This paper studies the phenomenon in which real-life is reversed with virtual space based on Baudrillard's simulation theory. 현대에 이르러 디지털 매체가 급속도로 발전되고, 이에 따른 새로운 현상들에 대한 이론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관계에 대한 무차별성이 주장되기에 이른다. 이 후 기의가 기의일 수 있는 이유는 존재의 의미가 초월적이 아닌 단지 다른 기표와의 차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실재하는 본질이 이미지로 변화되고 변화되 이미지가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 새로운 실체가 된다는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의 파생실재(Hyperreality)에 대한 내용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개념을 통해 허상의 존재가 실재가 되어 실재하는 본질이 사라지는 파생실재의 생성으로 인해 실재와 가상의 역전 현상과 시뮬라크르를 이해한다. 또한 미디어와 SNS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시뮬라크르 생성 단계를 활용하여 무용작품 <틀:Frame>을 창작하고 창작과정과 작품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실기기반연구 방법론에 따라 사진과 영상을 통해 몸적 자료(Somatic Data)를 축적하였으며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이론의 개념을 작품의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고 파생실재와 SNS를 기반으로 무용작품 <틀:Frame>의 창작과정을 서술하였다. 작품의 분석으로 무용수들의 인터뷰와 관객 인터뷰 또한 각 장면들과 논문의 일치성을 기준으로 분석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하이퍼리얼리티를 통한 실재하는 삶이 가상공간에 역전되는 현상에 대하여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근거로 연구를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