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 선거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신미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 18세 학생들은 선거연령 하향으로 선거권을 부여받았다. 학교 현장은 선거교육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혼란과 고민이 공존하였고, 그에 따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수업의 기본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정치와 법」 교과서가 학생 유권자의 선거권에 맞추어 준비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주체적인 입장으로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지 점검해보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고등학교「정치와 법」교과서 선거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선거교육 부분이 제시되어 있는 대단원 <정치과정과 참여>에서 중단원과 소단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자료 분석, 평가 방법과 평가 활동 자료 분석, 교육의 중립성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대로 정의적 측면(가치,태도)보다는 인지적 측면(지식) 위주가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자료 분석에서는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한 활동이 있었다. 아쉬운 점은 최신 경향을 바로 반영하여 선거연령 하향을 제시한 교과서도 있었고, 없는 교과서도 있었다. 또한 활동학습이 낯선 학생들에게 활동의 점진적인 단계 제시와 토론 인원 및 방법 등 구체적인 조건들이 제시되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평가 방법과 평가 활동 분석에서는 학생이 배운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는 부분이 있었다. 수행평가는 실제 참여를 통한 활동들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활동들이 과정중심평가로 활성화되면 실제 참여 경험을 통한 가치,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육의 중립성 분석은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 있고, 참고자료 정도로만 사용되어 중립성에 벗어나는 교과서는 없었다. 교육의 중립성은 교사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도 연구되어야 한다. 학교 단위의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선거교육의 동일 교과, 다른 교과와의 융합 수업을 고려해볼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려는 노력이 도입단계부터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는 선거 내용에 대한 개념 설명이 주를 이루어 활동 중심이 아쉬운 부분이 있다. 선거교육은 교과서와 활동학습을 통해 지식, 가치,태도를 골고루 기를 수 있어야한다. 교과서 개선방안으로 지식에 치우치지 않도록 참여 학습 및 토론 학습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학생들이 활동과 경험을 통해 성인이 되어서도 실생활에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8-year-old students were granted the right to vote due to the lowering of the election age. Schools were confused and worried about how to conduct election education, and discussions on election education were actively taking place. Textbooks are the basis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extbooks a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voting rights of youth voters. It also checked whether teenager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 with an independent position with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lection education in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Among the major <Political Process and Participation>, election education in the textbook was analyze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ity data analysi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ctivity data analysis, and neutrality in edu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find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as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cused on the cognitive domain (knowledge) rather than the affective domain (value, attitude). There were activities that allowed students to judge and think on their own by presenting specific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ity data analysis. Unfortunately, there were textbooks that immediately reflected the latest trend and suggested lowering the election age, and there were textbooks that did not suggest lowering the election age. In addition, there is a regret that students who are unfamiliar with activity learning should be presented with gradual stages of activities, and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number of discussions and discussion methods should be presented in textbooks. It was analyz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activity had a part in which students self-evaluated what they learned.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ctivities through actual participation were presented. If the activities of textbooks are activated as a process-based evaluation, it can be helpful in forming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actual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analysis of neutrality in education was mosaic, and there were no textbooks that deviated from neutrality as they were used only as reference materials. The neutrality of education is important in both the roles of students and teachers. Measures for enhancing teacher expertise should also be studied. It is possible to consider convergence classes with the same and different subjects of election education through the school-level teacher learning community. Efforts have been made from the early stag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fiel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explain the concept of the election, so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a lack of activity center. Elec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develop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evenly through textbooks and activity learning. It is proposed to revitalize participatory learning and discussion learning so as not to be biased toward knowledge as a textbook improvement plan.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 as democratic citizens in real life even when they become adults through activities and experiences.

      • 現代 中國語 語順 硏究

        신미섭 嶺南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어에서 어순 문제가 중요한 까닭은 중국어의 形態의 不在 혹은 不足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통사적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 표지가 부족한 언어는 반드시 성분들의 위치 배열에 의거하여 통사적 관계를 나타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현대 중국어 어순이다. 현대 중국어 어순 문제는 그 연구 범위가 넓고 분야가 다양하여,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의 주요 내용은 중국어 어순에 대한 기존 연구의 고찰과 현대 중국어의 어순 양상 및 어법적 기능 그리고 중국어 어순을 형성하는 각종 제약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고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에 해당하고, 제2장은 지금까지 진행된 어순 이론에 관한 고찰이다. 어순에 대한 연구는 언어유형론에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후 Greenberg(1966)의 어순 유형학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어 어순에 대한 연구도 Greenberg의 연구에 자극을 받아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우선 Greenberg의 연구에서 촉발된 언어 유형학적 관점에서 어순에 관한 세계적 연구 경향을 고찰해보고, 이들 연구가 중국어 어순 연구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변형생성문법을 토대로 한 ‘원리와 매개변항 이론’을 비롯하여, 전통 어법과 구조주의 이론에서 바라보는 어순관 및 1970년대 이후 대두된 화용론과 인지론의 견해가 포함되었다. 제3장은 중국어의 어순 양상과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우선 중국어의 어순 양상을 기본 구문 어순양상과 특수 구문 어순양상으로 나누었다. 중국어는 형태 부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영어와 같은 언어에서 형태가 담당하는 역할을 어순이 담당한다. 따라서 중국어에서 기본 위치에서 벗어난 문장성분들은 본래의 위치에 배열된 어순과는 다른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조정된 것이다. 형식이 달라지면 그 의미도 반드시 달라진다는 것은 언어가 가지고 있는 보편성이다. 같은 의미는 결코 다른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으며, 어순이 바뀌면 그 의미도 반드시 바뀌는 것임을 중국어 어순이 보여주고 있다. 중국어에서 어순이 담당하는 어법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문장 성분의 확정이다. 외부적 형태 표지가 부족한 중국어는 문장 속의 고정적인 위치를 통해 성분을 확정할 있다. 문두에 오면 주어이고 문미에 위치하면 목적어가 되는 것 등이다. 둘째, 어순은 그 성분이 한정성분과 비한정성분인지를 확정해 준다. 수식성분을 대동하지 않는 일반명사의 경우, 술어를 중심으로 앞에 등장하는 성분은 대부분 한정성을 가지고, 뒤에 등장하는 성분은 비한정성을 가진다. 영어에서는 관사나 부정관사로 한정성이나 비한정성이 나타나지만, 중국어에서는 어순을 통해 실현된다. 이밖에 동작의 완성과 동작의 시간 구분, 소유격의 표시, 능동과 피동의 구분, 사역의 표지, 부사의 표지, 동작의 발생 장소와 동작의 결과 구분, 동사의 한정형식과 비한정형식의 구분 및 의미지향의 식별 등도 모두 어순을 통해 구현된다. 제4장은 중국어 어순의 제약 요인에 관한 내용이다. 중국어 어순을 제약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핵심적인 제약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통사적 제약 요인, 의미적 제약 요인, 화용적 요인, 인지적 제약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통사적 제약 요인에서는 주어와 위어의 관계, 동사구의 특성 등을 주요 원인으로 삼아, 중국어가 인도-유럽어의 통사구조와 다른 요인을 규명했다. 의미적 제약 요인에서는 동사를 핵심으로 구조 속에서 각각의 의미성분들의 배열을 결정하는 원칙을 살펴보았고, 의미 특징이 어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화용적 제약 요인에서는 정보의 배열 원칙에 준하여, 구정보와 신정보의 배열, 주제와 진술의 구조, 배경과 초점의 구조 및 한정성과 비한정성의 어순 배열 등을 고찰했다. 통사, 의미, 화용적 제약 요인들이 어순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가늠해보고, 이러한 제약 요인들은 어떠한 원인에 근거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마지막으로 인지적 제약 요인을 살펴보았다. 인지적 제약 요인은 주로 圖像性을 중심으로 다룬다. 圖像性은 언어의 의미와 형식의 유사성을 토대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어 어순을 배열하는 데 작용한 시간순서원칙, 전체가 부분에 앞서는 원칙, 주제도상성, 근접성의 원칙과 지시성우선순위원칙 및 정보량의 원칙과 인지처리책략 등을 통해 중국어의 어순을 결정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본고는 중국어 어순에 내재하고 있는 성분들의 배열 원칙과 그 원칙을 제한하는 요인을 제시했다. 현대 중국어 어순은 통사적 형태 부족과 화용 요소의 구조화 그리고 도상성의 투영 등이 이루어진 총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연구는 기존에 여러 각도에서 진행된 중국어 어순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통해, 연구의 발전 방향과 이론들 사이의 상관성 및 연계성을 밝힐 수 있었다. Importance of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originates from non-existence or lack of morphology in Chinese. It is because syntactic relationship can only be represented by constituent order in the languages that lack morphological marker representing i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constituent order in modern Chinese language. The problem of constituent order in the language is approached in multiple directions and its study involves researches in wide and various areas. This thesis first investigates previous researches, and concentrates mainly on grammar functions, and restriction factors that affect the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Chapter 1 introduces this thesis in more detail. Chapter 2 explains previously researches on constituent order. The researches in linguistic typology drew attention to constituent order. Especially, Greenberg(1966) established the research in linguistic typology. The start of the research in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in particular, was stimulated by Greenberg’s work.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worldwide trends of researches in constituent order, in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 typology that was started by Greenberg, and their influence on the researches in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This includes ‘principle and parameters theory’ that is based on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perspectives on constituent order seen from traditional grammar and structuralism theory, and pragmatics and cognitive theory that began to appear in 1970’s. Chapter 3 studies the modality of constituent order and its grammatical function in Chinese. First, we categorize it into basic static constituent order and special dynamic constituent order. Since Chinese language lacks morphology, its role in the languages such as English is performed by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Therefore, if the constituents are out of their basic location in the sentence, it is intentionally done so in order to perform the different function from the one by the constituents that are placed in the original location. In general, changes in forms changes the meanings. Different forms cannot represent the same meaning, and the change in constituent order always changes the meanings, which Chinese language demonstrates. Grammatical function of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is as follows. Its notable function is to set the sentence constituent. In Chinese language that lacks external morphology marker, it can set the constituent through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sentence. If it appears in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it becomes the subject, and if it appears at the end of the sentence it becomes the object, and so on. Second, constituent order decides whether the constituent is definite or indefinite. In the case of the common nouns that do not accompany modifier constituent, the constituent before the main predicate mostly have definiteness and the constituent after it has indefiniteness. In English, article and indefinite article represents definiteness and indefiniteness, but in Chinese it is achieved through constituent order. In addition, representation of possessive case, distin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tense, marking of causativity, marking of adverb, distinction between the place where the act happened and the result of the ac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erb’s finite form and non-finite form, and semantic oriented recognition are also achieved through constituent order. Chapter 4 investigates the restriction factors of constituent order.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 factors of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key restriction factors, which are syntactic restriction factors, semantic restriction factors, pragmatic restriction factors, and cognitive restriction factors. In researching syntactic restriction factor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characteristics of verb phrase, the factors in differences in syntax between Chinese language and Indo-European language are identified. For semantic restriction factors we investigate the principles that determine the arrangement of each semantic components in the structure, verb as being argument, and research how semantic characteristics affect constituent order. For pragmatic restriction factors, we investigate arrangement of old information and new information, structure of topic and comment, structure of background and focus, and constituent order of definiteness and indefiniten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formation arrangement. We measured the influence of syntax, semantic and pragmatic restriction factors on constituent order. And finally, in order to find where these restriction factors originate from, we investigate cognitive restriction factors. Cognitive restriction factors mainly deal with iconicity. Iconicity is based on the language’s semantics and formal resemblance. In this thesis, through what affect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 the principle of temporal sequence, the principle of whole before part, topic iconicity, proximity hierarchy, referentiality precedence, the information principle, and cognitive processing strategy, we investigate the fundamental causes that decide the constituent order. Finally, we conclude that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is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lack of syntactic morphology, structuring of pragmatic factors, and iconicity projection. We provided with principles in arrangement of constituents that exist in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and the primary causes that restrict the principle. We also discover the connection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directions and theories,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ies of constituent order in Chinese language in multiple ang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