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소 모빌리티 위험성평가 방법론 분석

        신단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중립을 위해 운송수단의 탄소배출량 감축은 필연적이다. 이에 미래에너지를 이용한 모빌리티로의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수소에너지를 사용한 모빌리티의 연구와 도입이 시작되고 있으나, 안전성을 증명해야 더욱 더 많은 보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빌리티 위험성평가를 위한 방법론은 정리하고, 노선이 정해지지 않은 승용차와 노선이 정해진 버스 두 가지에 대해 위험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모빌리티에 적합한 위험성평가를 선정하여 진행한다면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Reducing carbon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is inevitable for Net zero. Accordingly, a transition to mobility using future energy is being attempted. Among them, research and adoption of mobility using hydrogen energy are starting, but more supply will be possible only when safety is prove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thodology for mobility risk assessment was summarized, and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wo types of mobilities, a passenger car without fixed routes and a bus with fixed rou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at safety can be improved if a risk assessment suitable for each mobility is selected and conducted.

      •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 기반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의 색채 터치포인트

        신단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tyle show dramatically rapid changes. Un-tact work style requires new ways for contracts in work.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s can solve conventional cumbersome tasks-contract printing, stamp, scheduling, business trips, and postal delivery-online in just a few minutes. These service consists of the sum of touch-points as various design targets. Each type of touch-point constituting the service can exert its own function through visualization elements suitable for its function and purpose. In the visualization element of touch-points, color is a key tool for brand asset management. The colors used for each touch-point composed of the service are valuable brand assets. Therefore, in this study, all types of touch-points as design targets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expressed in brand colors were defined as color touch-points.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of brand assets, color as brand assets, color touch points, color touch points of service brands, and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s. Through the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expert FGI, the color touch-point wheel of the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brand was analyzed, and the brand touch-point wheel developed by Scott M. Davis & Michael Dunn(2002) was classified by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and time point. Target brands were selected, and color characteristics between target brand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ocusing on the screen of PC Web environment. Next, according to the color touch-point type,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color recognition and cognitive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t was possible to develop a color touch-point guide for the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brand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olor touch-points pre-purchase an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brand are [Online Portal Image Advertising], [Online Video Advertising], [Viral Advertising Content], and [Online Press Release Content]. The types of color touch-points at the time of purchase are [main homepage screen], [mailing image(member registration authentication and celebration)], and [service user screen(first screen UI)]. The types of color touch-points post-purchase are [mailing image (update and announcement)], [function update information content], and [customer counseling chat]. Second, as described above, a total of 10 color touch-point types derived the ‘color touch-point wheel of the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Third, each of the 10 types showed color utilization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design elements, but in common, low-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were used at the highest rate as they were used for each type of background color, and In all 10 types, colors with differences in brightness and chroma in the same series of colors as BI colors were used for each design element in the ratio of 2nd to 4th. Fourth, the highest brand color recognition among the 10 types is the [main homepage screen] with a rating of 4.1. Next, the second and third are [online video advertisement] and [Online Portal Image Advertising], [service user screen: first screen UI].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shown as brand color cognitive factors, and the keywords mentioned in the responses of cognitive factors in common were 'BI, logo, symbol, and mark', followed by 'font' and 'background'. Through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velop a 'color touch-point guide for un-tact electronic contract service brand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tilizing colors for each type of touch-point of various service brands that are being developed these days when the way they work changes. 업무 환경과 일하는 방식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비대면 업무 방식과 재택근무의 확산은 계약 업무에 새로운 방식을 요구했다.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를 사용하면, 계약서 출력, 날인, 일정 잡기, 출장, 우편 배송 등 기존 업무 환경에서 생겨나는 번거로운 업무들을 단 몇 분 만에 온라인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는 다양한 디자인 대상으로서의 터치포인트 총합으로 이루어진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터치포인트 유형은 그 기능과 목적에 맞는 시각화 요소들을 통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터치포인트의 시각화 요소에서 색채는 서비스의 브랜드 자산 관리를 위한 핵심 도구이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터치포인트에 활용된 색채는 브랜드 자산으로서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과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가 만나는 접점들 중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고, 브랜드 색채로 표현될 수 있는 디자인 대상으로서의 터치포인트 유형을 ‘색채 터치포인트’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산, 브랜드 자산으로서의 색채, 색채 터치포인트, 서비스 브랜드의 색채 터치포인트,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의 특성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전문가 FGI를 통해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브랜드의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을 분석하고, Scott M. Davis & Michael Dunn(2002)이 개발한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의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시점 별 구분으로 분류하여 ‘전자계약 서비스 브랜드 색채 터치포인트 휠’을 도출하였다. 분석 대상 브랜드를 선정하고,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 별 브랜드 간 색채 특성을 PC Web 환경의 화면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 별 브랜드 색채 인지도 및 인지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브랜드의 색채 터치포인트 가이드’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브랜드의 구매 전 시점의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은 [온라인 포털 이미지 광고], [온라인 영상 광고], [바이럴 광고 콘텐츠], [온라인 보도자료 콘텐츠]이다. 구매 시 시점의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은 [메인 홈페이지 화면], [메일링 이미지(회원가입 인증 및 축하)], [서비스 사용자 화면(첫 화면 UI)]이다. 구매 후 시점의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은 [메일링 이미지(업데이트 및 공지)], [기능 업데이트 안내 콘텐츠], [고객 상담 채팅]이다. 둘째, 위와 같이 총 10개의 색채 터치포인트 유형으로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색채 터치포인트 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10개의 유형 별로 각기 다른 디자인 요소에서 색채 활용 특성을 보였고, 공통적으로 저채도-무채색 색상을 각 유형의 배경 색채에 활용함에 따라 가장 높은 비율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10개의 유형 모두 BI 색채와 동일한 계열의 색상에서 명도, 채도 차가 있는 색상을 2~4순위 비율로 각 디자인 요소에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10개의 유형 중 가장 높은 브랜드 색채 인지도를 보인 유형은 4.1의 평점인 [메인 홈페이지 화면]이다. 그 다음 브랜드 색채 인지도 2, 3 순위는 [온라인 영상 광고], [온라인 포털 이미지 광고], [서비스 사용자 화면: 첫 화면 UI]이다. 다섯째, 브랜드 색채 인지 요인으로 각 유형 별 각기 다른 특성을 보였으며, 공통적으로 인지 요인 의 응답 내용에 언급된 키워드는 BI 로고와 관련된 ‘BI, 로고, 심볼, 마크’ 등이었고, 그 다음으로 자주 언급된 키워드는‘폰트’와 ‘배경’이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브랜드의 색채 터치포인트 가이드’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일하는 방식이 바뀌는 요즘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브랜드의 터치포인트 유형 별 색채 활용 방안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敎育福祉優先支援事業에 있어 學校와 地域社會機關 實務者간 네트워크 活動 活性化 方案 硏究

        신단비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계층 간 소득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이에 따른 빈곤율의 증가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위협하여 학교에서의 풍부한 학습활동과 사회적 관계형성 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공동체 구축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등장하였다. 이 사업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기본적인 교육수준의 보장, 교육부적응 불평등 해소, 복지친화적 환경조성 등을 상위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의 인식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이라는 궁극적 목적 달성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연계로 성공적인 사업 운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경남의 5개 지역, 지역네트워크협의체 구성 기관의 지역사회 관련사업 운영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에 유효하게 응답한 42개 기관, 100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네트워크 활동을 인적?물적 자원교환, 사업네트워크, 정보교환의 세 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사업 시행연차,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 지역사회 기관의 조직체계 장애요인, 업무자율성, 네트워크 필요성 인식정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적?물적 자원교환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교환에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적인 네트워크 활동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기관의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될수록,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에 대한 전문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있어 학교와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현재의 비정규직 고용형태를 안정적으로 전환하고 지속적인 전문 교육과 유료 연수 등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하여 지역사회기관 및 기관실무자를 포함한 학교 단위의 협의회 구성 및 활성화가 의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 모두 자신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 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네트워크 활동에 적합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단위의 공동 교육도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와 지역사회기관 간 공동사업 추진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적정한 업무 분담과 비용 부담을 통해 서비스 대상자 중복, 프로그램 중복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시간과 예산 또한 절감하여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기존 선행연구들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연구 결과에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사업에 대한 인식을 최초로 조사하여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 사업 기간이 종료되는 학교가 지역별로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중요성을 제고하여 본 사업의 취지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income gaps between various classes are more deepen, so increased poverty rate threatens the stable family life for the children and teenagers in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even endangers their rich learning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hips.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emerg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ducation community around schools and community in order to integrally solve these problems. This project sets the assurance of basic-level education, the elimination of educational maladjustment and inequity, the creation of welfare-friendly environment as its super ordinate goals. For the provision of effective services and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this project emphasizes the facilitation of network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welfare agency. This study is purposed to contribute in the project's successful operation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and the linkage with various tailored services by suggesting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by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etwork activity of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es. The targe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around the staff responsible for operating community-related projects in the welfare agency, which are the members of local network council in 5 regions of Gyeongsangnam-do.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from 100 respondents in 42 welfare agency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he network activ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into three sub items of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the project network,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project period(years), the community'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and the environmen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professionalism, the hindering factors of community welfare agency's organization system, the work autonom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need for network, and the network's help.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the used analysis methods were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z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and the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 environment influenced on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roject network as well as on the information exchange. Meanwhile, the network's help level and education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professionalism influenced on the whole network's activities. As the network gives more help to the community institute's project operation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was higher, the network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et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ways for facilitating the network activity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 operating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will need to transit the employment statute from current temporary positions to regular positions and to give active supports for continual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id train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professionalism. Second, it will have to set each school's council including the representatives from community welfare agency and their staff and to support its activities for enhanc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hird, the all staff from welfare agency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hould occupy professional capabilities to accurately analyze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and raise the viewpoint to select suitable resources for the network activities. For this goal, it needs to be planned the each community's co-education specifically. Fourth, it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o proceed any joint project between a school and a community welfare agency. By suitably dividing the works and costs required for such a project, the problem of overlapped service recipients and programs can be prevented and the reduction of required time and cost enables to operate the project efficiently. The ind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evious studies abou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and their results had some limit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activities by research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Besides, at the point that there appears some schools ending current project period in each region,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project's intention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and community network activities.

      •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단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 조사 실시 후, 수집된 유효한 표본 수는 총 448명이다. 구체적으로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변수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ver.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핵심인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SPSS, SmartPLS, GSCA Pro 등 총 3가지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특히 통계분석에 있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함께 실시한 이유는 연구결과의 정확도 및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각 분석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첫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과정에 대한 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책임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과정에 대한 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책임에 대한 불안은 도구구비 활동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세 번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은 목표달성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과정에 대한 불안과 목표달성 행동, 책임에 대한 불안은 목표달성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음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martPLS) 결과이다. 첫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과정에 대한 불안과 책임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과정에 대한불안, 불확실성에 대한불안, 책임에 대한 불안은 도구구비 활동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은 목표달성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과정에 대한 불안과 책임에 대한 불안은 목표달성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GSCA Pro) 결과이다. 첫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과정에 대한 불안과 책임에 대한 불안은 정보수집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과정에 대한 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책임에 대한 불안은 도구구비 활동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정에 대한 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책임에 대한 불안은 목표달성 활동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분석 방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동일하게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과 정보수집 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 how Career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to prepare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with career decisions for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by determining the effect of career anxiety to prepare care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otal collected valid samples are 52 after carrying out the survey. Specifically,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prov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oreover, in order to test the key research theory,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gether using 3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SPSS, SmartPLS, and GSCA Pro. In particular, the reason why these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alyses in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not only to overcome the accuracy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 of the study, but also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depending on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here are the results of SPSS. firs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about the course and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but the anxiety of responsi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Seco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about the course, of uncertainty and responsibility did not statistically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ool activities. Thir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about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ing goal, but anxiety of the process and the goal achievement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ing goal. Next, here are the results of SmartPLS. firs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of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but the anxiety of the process and responsi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Seco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of uncertainty, process, and responsibility did not b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Thir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of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ing goal, while anxiety of the process and responsibility did not b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Last, here are the results of GSCA Pro. firs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of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but the anxiety of the process and responsi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Seco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of uncertainty, process, and responsibility did not statistically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ool activities. Thir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about the course, uncertainty and responsibility did not statistically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ool activities. By the all result of the research, it showed the effect of th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street dance major to prepare career has significant effect.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ach analysis methods, and all anxieties of uncertainty and collecting information in street dance major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 노인 결핵 검진사업의 검진비용 관련 요인 분석 : 2018-2021

        신단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세계적으로 결핵 환자가 약 1,060만 명,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13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WHO, 2023). 우리나라의 결핵 환자는 19,918명(10만 명당 38.9명), 신환자는 15,920명(10만 명당 31.1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에서는 결핵 발생률 1위, 결핵 사망률 3위를 차지한다. 특히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의 결핵 환자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한국 정부는 2018년 노인 결핵 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국가에서 시행하는 보건 사업은 제한된 예산으로 운영하여 최대한 많은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보건의료 분야는 소비자들이 의료 공급자만큼의 지식을 가지지 않으며 예방접종과 같이 소비자 주변의 사람들에게까지 이익이 주어지는 외부효과(externality)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의 최적의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기도 한다. 이처럼 보건의료 분야는 자유경쟁 시장의 원리로 인해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어렵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1년 노인 결핵 검진 사업의 검진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노인 결핵 검진 사업의 검진 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8년부터 2021년 노인 결핵 검진 사업의 검진대상자이다. 검진대상자의 특성별 노인 결핵 검진 사업의 검진 비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t-test) 및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노인 결핵 검진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만 65세 이상, 의료보장유형이 의료급여인 경우, 1년 이내 결핵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흡연자, 비음주자, 결핵 증상이 있는 경우,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그리고 결핵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검진 비용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결핵 환자 1인 발견 비용은 낮았다. 특히 경기, 충북, 인천, 부산, 전북의 경우 사업을 지속함에 따라 결핵 환자 1인 발견 비용이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자, 만 65세 이상, 의료보장유형이 의료급여인 경우, 1년 이내 결핵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흡연자, 비음주자, 결핵 증상이 있는 경우,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그리고 결핵 과거력이 있는 사람을 집중적으로 검진하면 결핵 환자를 많이 발견하여 결핵 환자 1인 발견 비용이 낮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경기, 충북, 인천, 부산, 전북에서만 첫 검진년도 대비 마지막 검진년도에서 결핵 환자 1인 발견 비용이 감소하였다. 해당 지역들은 외국인의 유입이 많고 공항, 항구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외국인의 유입이 많은 지역과 그 외 지역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