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류성분이 지하구조물의 아스팔트계 방수층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송제영 서울産業大學校 住宅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발달에 따른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국내 유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6년의 통계에 따르면 전국 유류저장시설이 약 52,000개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계속되는 유류 저장시설의 누출로 유류시설물 주변 주택의 지하구조물에 시공되어진 방수재가 강한 휘발성에 용해되어 장기적으로 지하구조물 방수재로서의 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해 이에 따른 누유사고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유류저장탱크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유류시설물 관련법과 담당인력이 부족하여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한 형편이며, 토양환경보전법에 의해 전국의 유류시설물 및 주유소가 정기적으로 토양오염검사를 전문기관에 의뢰해 시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어 실질적으로 누유 발생 및 토양오염을 확인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렇듯 특정한 규제없이 무분별하게 지어지는 주유소의 지하유류 저장탱크 관리소홀로 인한 유류 유출사고와 미군부대의 무책임한 시설관리 및 항공기 사용에 따른 유류사고, 대형 건물의 유류저장탱크 및 주택지의 기름보일러로 인한 유류 사용시 부주위로 인한 누유사고, 주택가 주변에 위치한 자동차 정비소의 오일교환에 따른 폐오일 관리소홀로 인한 누출사고에 의해 지하 외벽부는 지상부 토양층에서 유입된 각종 유류성분의 영향으로 방수재가 용해되어 이는 곧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재의 파괴에 따른 성능저하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외벽부에서의 누유가 발생되며, 좀더 나아가서는 균열의 확대, 철근의 부식, 유류 악취, 화재 위험성으로 좀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지하구조물 환경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구조물 방수에 적용되는 아스팔트계 시트 방수재에 있어서 각종 유류의 누출시 아스팔트계 시트 방수재가 얼마만큼의 내구성능을 나타내는지를 실험에 의해 방수재를 각각 비교 평가하여, 지하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료 자체의 성능을 파악하고, 나아가선 국내외의 품질 경쟁력 향상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해당 재료의 새로운 성능평가 시험방법과 품질기준에 제정에 관한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 본 연구는 지하구조물에서의 유류 침식에 의한 아스팔트계 시트 방수재의 내구성 평가에 관한 것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제 1장: 본 논문의 논제를 "유류성분이 지하구조물의 방수층 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 정한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본 논문의 구성 및 체계 등을 다루고 있다. 제 2장: 국내의 지하유류저장탱크의 현황과 방수사고 및 원인분석, 선진국 사례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 3장: 지하구조물에서의 유류 및 누수 유입에 대한 현장진단 내용으로서, 진단현장 구조 및 상황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4장: 현장진단을 통한 원인 분석의 하나로써 아스팔트계 시트 방수재의 기본물성과 방수재의 누유저항성, 유류 내용해성을 통한 실험분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5장은 마지막장으로서 4장 실험비교평가를 통한 실험평가 종합결과와 현장진단에 따른 누유원인 규명 및 고찰로써 정리하였다. (2) 본 연구에 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한 아스팔트 계열의 방수재는 유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그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류의 휘발성(옥탄가)에 따라 다르지만 개량 아스팔트시트는 대부분 무처리 인장강도비 약 20%까지 떨어짐을 알 수 있으며, 고무 아스팔트시트의 경우 무처리에 비해 약 70%이상의 인장강도비를 보였으나 이는 아스팔트 성분을 모두 소실한 시트 표면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만의 강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험결과를 통해 아스팔트계 시트 방수재의 경우 가장자리 부분이 유류에 노출되었을 경우 그 부착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유류 및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열어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한 수압이 작용할 경우 그 열화 및 유입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 분명하다. 또한, 휘발성을 가지고 있는 유류성분(휘발유, 항공유, 등유, 경유)에 대하여 아스팔트 방수시트가 대부분 1시간 내에 그 형태가 심하게 손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수층이 유류성분에 노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단시간 또는 단속적으로 유류성분에 노출된 부위는 그 방수성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아스팔트계 시트재의 가장자리 및 이음부는 비닐보호코팅 없이 아스팔트 성분이 방수층 표면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유류에 의한 손상에 가장 취약한 부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3장 지하구조물에서의 누수 및 누유 유입에 따른 현장진단의 경우 콘크리트 단독으로만은 수압과 함께 작용하는 지하구조물에서의 누유 및 누수에 대해 저항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방수재가 콘크리트 시공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밀상의 결함을 보충할 수 있는 중요한 재료라는 것을 다시한번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의 쾌적한 삶을 위해 각 재료 마감재에 대한 주위환경의 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많은 연구검토가 뒷받침되고, 방수층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학계 및 업계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In recent days, the accidents of oil leakage is increasing in the structures which has been constructed together with an economic growth. In the result, the waterproofing materials in the underground structures is melt down and cannot fulfil its duty. As the industry make progress and the number of automobile increases, the amount of oil consumed is rapidly increased. The statistics data in 1996 recorded that the number of oil storage facilities in Korea reached nearly 52,000. In this connection, the oil leakage accident in a residential section, which is caused by the oil leakage in the neighboring oil storage facilities is being recognized as a severe problem. This study perform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oil leakage accident on the performance of structural materia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s, a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leakage. Utilizing the obtained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test methods and the standard of quality, we intended to propose a strategy to develop an innovated waterproofer and improve the clean environm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This study refers to the durability evaluation of waterproofing materials against the oil leakage accident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paper includes contents as follows: Chapter 1: A background of choosing the subjec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amage of Asphalt Waterproofing Membrane due to Oil Ingredi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introduction to the structure of this paper. Chapter 2: A status of underground oil storage tank in Korea, the cause analysis of waterproof accident, and some case studies of other advanced countries. Chapter 3: A result of the field examination on oil and water leakage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more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of the field examination. Chapter 4: Explanation of asphalt sheet property as one of the causes analyzed through the field examination and the experimental analysis on oil dissolution. Capter 5: A final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ies in chapter 4, a verification and inquiry into the cause of the oil leakage through the field experiment. The test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sphalt waterproofing was directly effected by the oil and its durability remarkably was deteriorated. Even though outcome of experiments slightly differs according to volatility of oil, most of times plain tensile strength ratio decreases by approximately 20%. The tensile strength of a rubberized asphalt sheet measured higher than about 70% in comparison with the free-treatment, however, it is the strength contributed by only the surface of sheet (HDPE) in which the components of asphalt disappeared wholly. Different from the rubberized asphalt, the asphalt component in the improved asphalt sheet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endurance performance. Therefore, when the oil components disappear, the tensile performance of improved asphalt sheet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because core materials and PE film is separated. Through the results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est for bond strength of asphalt sheet waterproofing remarkably gets deteriorated when its edge is exposed to oil and it eventually allows a passage to the inflow of underground structure. Also, deterioration and speed of the inflow certainly will be accelerated if stronger pressure operates. Moreover, shape of asphalt sheet can be severely deformed in less than one hour by oil components(aviation fuel, kerosene, gasoline) with volatility. This indicates the waterproofer of asphalt sheet doesn't necessarily have to be exposed to oil components continuously throughout long term in order to be damaged, but it still can be done fatally in short time. As time goes by, an asphalt component is continuously melting down. Therefore, if an oil component does not move but stay in the outside, the surface coating part (HDPE) of waterproofing is not so much influenced by the oil component. On the other hand, the most waterproofing layer of asphalt may be swept away. In brief, the long term stability of waterproofing layer can not be expected. Especially, the bonding region and the edge of sheet without any vinyl-coating is melt by oil component and the oil component penetrates into the periphery. In result, an adhesive strength decreases, which causes the waterproofing layer to get loose and break down. According to field examination on water or oil leakage in underground structure in chapter 3 of this study, it is impossible for concrete layer by itself to resist against water or oil leakage with strong pressure. Therefore, it clearly proves that the waterproofing materials is extremely important material in concrete construc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inevitable watertightness defect. In order to achieve a clean environment of our life in the future, many study was required on the effect of finishing materials on th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various materials.

      • 사이버범죄에서 무고한 사용자들을 악용하는 간접정범 식별 수사 절차적 방안 : Forensic Procedure to Identify Indirect Principal Exploiting Innocent Agents in Cyber Crime

        송제영 포항공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yber crime evolved itself every day. Criminals set up their plans more perfect and design various tricks not to be penetrated. Thus, they organize themselves to create more complex plans and study various unpredictable fraud methods. Some methods are invented to induce many innocent persons who can help veil criminals' tricks completely. Criminal who draws innocent peoples to his or her own plan is called as "Indirect Principal". Indirect principal exploits innocent agents to achieve his or her goal in cyber crime. To detect the criminal in cyber crime, previous solutions suggest user behavior surveillance scheme or traceable pre-mark packet scheme. However, previous researches regard innocent agent as an attacker without considering indirect principal cas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ovel approach of identifying indirect principal and innocent agents. Also, we show obtainable log including IDS alert, website access log, and web firewall log that can be determinate evidence of indirect principal and innocent agents 사이버 범죄는 나날이 진화해 가고 있다. 범죄자들은 수사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속임수를 계획하고 수행한다. 심지어 범죄를 계획하는 사람과 직접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이 분담되는 조직적인 형태를 구상하기도 한다. 이런 공격에 사용되는 속임수로 무고한 일반 사용자들을 부지불식간에 끌어들여 진짜 범죄자의 의도나 행위를 은밀히 숨기는 방법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범죄 동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무고한 사용자를 통해 범죄를 조장하는 범죄자를 “간접정범(間接正犯)” 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일반 사이버 공격에서 공격자를 탐지하기 위해 수행된 기존의 연구는 이러한 간접정범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실제 공격자를 추적하기 보다는 공격을 어떻게 방어하느냐에 대한 연구이거나 피해 사이트 입장에서 봤을 때의 일차적 공격자, 즉 무고한 사용자를 추적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였기 때문에 진범인 간접정범을 추적하는 연구는 이뤄진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접정범에 의한 범죄 수법으로서 CSRF 공격과 DDoS 공격에 대한 실험을 보여주며, 실험에서 설정된 간접정범과 무고한 사용자들의 행위들이 실제로 IDS, 웹서버 로그 및 웹 방화벽의 탐지 로그들의 기록들과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며, 이 자료들 중에서 무엇이 어떻게 조합될 때 간접정범과 무고한 사용자들을 증명할 증거가 될 수 있는 가를 제시한다.

      • 방수층 응력-변형률 분석을 통한 복합열화 거동대응성능 시험평가

        송제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균열, 이어치기 등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부등침하,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수축 팽창 시 가장 많은 변위를 일으키는 부위이며, 방수재는 이러한 취약부위에 필연적으로 시공되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부위에서 발생되는 반복적인 진동이나 구조물 거동 시 발생되는 변화에 대해 구조물에 시공된 방수층이 대응하지 못할 경우 누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즉, 손상된 방수층을 통해 유입된 물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층 표면사이에 형성된 들뜸 부위를 통해 확산되어 이동하면서 구조물의 취약부위인 균열부위나 이어치기 등을 통해 누수로 연결된다. 종래의 균열대응성 시험은 단순히 인열, 인장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구조물 표면에 시공된 방수층의 실질적인 변형(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특히 방수재료가 일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유지할 경우 변별력을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본 시험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개발된 시험평가방법을 실제 운용함에 있어 평가된 시험결과에 대해 방수공법의 성능부족으로 인한 결과인지, 시공불량 또는 시험자 오류인지를 판단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험방법과 같이 단일 방수재료만을 시험하는 방법이 아닌, 해당 공법의 방수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방법과 지하구조물 환경에 대한 다양한 열화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시켜 방수재(공법)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와 시험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하고자 하는 시험방법은 균열 및 이어치기 등 누수 취약 부분에 시공된 방수층이 복합열화 조건하에서 구조물의 거동으로부터 발생된 영향력에 의해 방수층의 찢김이나 들뜸 등의 하자가 발생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 시공 이후 방수공법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에 단순히 합격, 불합격만을 나타내지 않고 사용되는 자재나 공법에 대한 고유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아 시험체가 가지고 있는 물성 한계치를 시험의뢰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사용자재에 대한 취약점을 사전에 판단하고 보완하여 추후 개량된 고품질의 자재 생산과 보급을 통해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시험방법과 장치로 실용화 시험평가를 통해 방수공법에 대한 복합열화 시험으로의 가능성 확인과 도출된 시험결과와 함께, 방수재의 계열별로 기계적 물성을 알아볼 수 있는 분석방법 또한 함께 개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되어 검증된 시험장치와 방법에 대해 방수공법 시험평가방법으로의 표준 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이론적 고찰 및 시험장치 개발에 따른 열화조건 기준 정립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조사 및 국내외 품질시험표준을 조사,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논문에서 방수재가 적용될 지하구조물 환경조건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①온도안정성 ②내화학성 ③투수저항성 ④습윤면 부착성능 ⑤균열-거동대응성능으로 크게 5가지로 구분하였다. 온도안정성의 경우 동절기 방수재 시공에 따른 열화조건이며, 내화학성은 공장지대나 해안가 근처에 위치한 구조물의 지하수 조건, 투수저항성의 경우 지하구조물에 적용되는 방수재의 특성상 항시 물에 침수되며, 습윤면 부착성능은 지하구조물의 바닥이나 외벽 하단부는 습기나 지하수의 영향을 받아 건조상태 유지가 어렵다. 균열 거동대응성능은 바탕면 균열발생(E.J 등)이나 구조물 거동(부등침하 등) 등을 고려하였다. 2) 복합열화분석용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의 개발 상기와 같은 고찰을 통해 지하환경에서의 다양한 열화조건(균열대응성능, 습윤면 부착, 내화학성 등)을 조사하여 본 시험장치 개발에 있어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열화조건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열화조건들이 복합적으로 방수층에 가해졌을 때 방수기술의 공법적인 안정성을 조건별로 대입하여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를 함께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시험장치 내 열화조건을 반영함에 있어 열화조건인 균열거동대응성능(진동)은 거동 폭 센서 장치로 설계하였으며, 습윤환경에 따른 부착력은 바탕면 습윤면 시공으로 설계하였다. 투수시험은 수압장치를 장착하였으며, 온도의존성능은 챔버 내 저온/고온 시험장치를 사용하였다. 침수는 시험 장치에 일정크기의 챔버를 구성하여 시험체가 항시 수분의 조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화학수 환경은 챔버 내 담수 시 다양한 시료수(염수, 산 등)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장치 조건을 대상으로 방수재의 시험평가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기존의 단일 표준 평가와 병행하여 지하환경에서 복합열화적인 조건들이 동시에 적용되는 항목에서의 시험평가 및 이러한 시험을 통해 해당 재료가 가지고 있는 방수안정성의 성능등급화가 요구되어 이에 대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시험방법은 실제 지하구조물의 환경적인 열화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며, 이 중 핵심이 되는 구조체 거동 즉, 균열 폭을 단계별로 지정하여 순차적인 시험에 따라 시험하고자 하는 방수층의 거동대응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방법에 대한 기본 계획으로 시험실 환경, 양생조건, 시험방법, 시험조건, 시험순서, 시험결과 확인 및 판정까지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여 여러 다수의 시험자가 시험하여도 동일한 시험결과를 낼 수 있도록 세분화하여 기술하였다. 바탕조건은 건조바탕체, 습윤바탕체로 구성하여 총 6개(건조바탕 3개, 습윤바탕 3개)의 시험체로 2.5㎜, 5.0㎜, 7.5㎜ 10.0㎜(허용오차 ±0.2㎜ 이내)의 거동 폭 및 50㎜/min의 거동속도로 시험을 진행한다. 시험 순서는 건조바탕체, 습윤바탕체를 거동 폭 2.5㎜, 5.0㎜, 7.5㎜, 10.0㎜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시험하며, 각각의 거동 폭에 따라 표 1의 시험조건(방법)으로 총 6개의 시험체를 시험하며, 누수가 발생되면 시험을 중단하고 최종적으로 통과된 거동 폭(단계)을 기록한다. 시험결과의 확인은 시험체상의 방수재 파단(찢김), 끝단부 들뜸, 겹침부 들뜸 등으로 누수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구조물 거동 시 방수재에 이상이 발생되면 1차적으로 부저와 램프가 작동되며, 이후 누수가 시험장치 외부로 흘러내려 육안확인 된다. 결과에 대한 판정은 거동 폭 10.0㎜의 3단계를 모두 만족하여야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시험체로 판단한다. 단, 시험체 내부 결로 발생에 따른 누수는 합격으로 판정하며, 최종 통과된 시험체의 개수에 따라 방수재 및 공법의 복합열화용 거동대응성 평가 점수를 부여하도록 설계하였다. 3) 복합열화분석용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운용(실용화) 본 연구에서는 상기 복합열화분석용 구조물 거동대응성능에 대한 시험방법을 대상으로 시험표준 제정에 따른 시험방법으로서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용화를 위한 시험 운용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대체로 필름과 자착형 컴파운드가 결합된 방수시트의 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시험체에서 방수시트의 컴파운드 층을 벗겨내본 결과 대부분 밀실하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경화형 점착 씰재와 개량아스팔트 시트가 결합된 공법의 경우 시험결과가 상반되는 결과를 얻었는데, 비경화형 고점착 씰재 공법은 시험결과가 양호한 반면에 반경화타입과 무른타입의 저점착 씰재는 시험결과가 좋지 않았다. 저점착 씰재는 습윤면에서 방수시트와의 부착력이 크게 낮아져 시험시작과 동시에 누수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타 누수가 되는 몇몇 시험체를 확인한 결과 거동 폭이 높고 거동 횟수가 많을수록 방수시트가 바탕면과의 부착력을 상실하고 시험체 거동 중심측으로부터 점차 박리되어 누수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방수공법별 응력-변형률 분석을 통한 거동특성 도출 방수공법별 응력-변형률 분석을 통해 응력전달에 따른 변형률과 거동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수공법별 응력-변형률을 보면 A공법>D공법>C공법≧B공법 순으로 확인되었다. A공법을 기준으로 D공법은 변형률이 약 10배나 작으며, B공법, C공법은 약 100배나 작게 나타났다. 방수공법별 응력-변형률 분석을 통해 거동특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이 “일체 거동”,“슬라이딩 거동”, “슬립 거동”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일체 거동이라 함은 바탕면과 방수층이 함께 거동한다라는 것이며, 슬라이딩 거동은 방수시트 컴파운드가 연질이거나 비경화 씰재 등의 특성으로 바탕면과 분리되어 움직인다는 것이다. 일체 거동과 슬라이딩 거동의 장점으로는 바탕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수층의 밀착도가 저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슬립 거동은 슬라이딩 거동과 같이 응력-변형률은 높지 않지만 거동변위 및 반복에 따라 바탕면과 방수층간 밀착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통된 사항으로 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겹침부에 대한 방수안정성이 높지 않다라는 결과가 확인된 만큼, 방수시트의 두께를 올려 방수안정성을 향상시키겠다는 생각은 장기적으로 볼때 방수안정성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된다. 만일, 특수한 부위에 적용시 시트 두께가 두꺼울 경우 겹침시공 시 부가적인 도막(씰 포함) 등으로 보강시공하는 것이 반복적인 거동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5) 국내 KS F 표준 제정(안) 제시 복합열화분석용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의 개발과 실용화 시공평가 운용에 따라 검증된 시험방법을 국가 KS코드로 제정하고자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지하주차장, 지하차도, 지하공동구, 지붕 슬래브 등)의 방수를 목적으로 구조체 외면에 공법화된 불투수성 피막재(도막재, 시트재 또는 이를 복합화한 재료 등)의 복합열화 및 거동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에 대해 KS코드로 제안하였다. 향후 본 시험방법의 표준화를 통해 국내 방수재료 시험방법과 함께 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능의 한계를 단계별로 알아볼 수 있는 객관화 및 성능등급이 구분된 시험평가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 향후 후속 연구 본 연구에서는 복합열화분석용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평가를 통해 도출된 시험결과를 신뢰성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범위 특성상 모든 방수재료를 가지고 신뢰성 평가하지 못함에 따라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도막방수재(우레탄 도막재, 폴리우레아, 고무 아스팔트계 등)에 대한 평가와 시트방수재에서 컴파운드의 두께가 방수성능에 미치는 영향, 저온환경에서 구조물 거동이 방수층에 미치는 응력전달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되어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Cracks and joints of concrete substrates in underground structures are the sites where the most displacement occurs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caused by external vibrations, sedimentation, and temperature changes, and waterproofing materials are inevitably affected by these susceptible areas. If the waterproof layer does not possess sufficient response properties to repetitive vibrations or changes in structural behavior in these sites, it is likely to lead to leakage. In the case of water penetration through the damaged waterproof layer, the water diffuses through out the inte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leads to leakage into the structure interior through weak areas of the structure such as cracks, pores, and joints. Conventional crack-responsiveness test is to measure the tear, tensile, etc., but with the existing methods,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actual deformation state of the waterproofing metho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especially in that these methods have no way to ascertain waterproofing properties aside from tensile strength and elasticity. In this rega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is test method.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st result was due to lack of performance of waterproofing method, poor construction or tester error. Therefore, in this study, instead of testing only a single waterproof material like the existing test method, the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waterproof system of the relevant method and various deterioration conditions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environment are applied to the waterproofing material (method). A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were developed accordingly to evaluate the waterproof layer’s durability performance when installed on the leak-prone areas such as cracks and joints when subjected to damaged by tearing or lifting of the waterproof layer due to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under complex deterioration conditions. By employing an evaluation of waterproofing materials beyond a pass or fail criteria, the proposed method seeks to provide the means to assess the inherent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and methods used by which the test client is informed of the limi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In addition, with the developed test method and apparatus, the possibility of the composite deterioration test for the waterproofing method is confirmed, and the test result is derived. Lastly, a specification of waterproof test method evaluation method for the developed method is proposed. 1)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standards This study analyz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underground structures to which waterproofing materials are applied in this paper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quality test standards, an the following waterproofing material response properties are examined; ① Temperature stability ② Chemical resistance ③ Permeability resistance ④ Wetting surface adhesion performance ⑤ Crack movement/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In the case of temperature stability, it is a deterior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winter waterproofing material, and chemical resistance is always submerged in wa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applied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case of ground water condition of the structure located near the industrial area or seaside, and in the case of permeability resistance and wet surface adhesion performance, in the bottom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r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n dry cond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moisture or ground water. For cracking behavior, the ground cracking (E.J, etc.) and the structural behavior (e.g. sedimentation, etc.) were considered. 2) Development of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test method for complex degradation analysis Through the above considerations, various deterioration conditions (crack response performance, wet surface adhesion, chemical resistance, etc.) in the underground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and the deterioration condi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as part of required response properties of waterproofing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st apparatus were summarized and combined. Accordingly, the crack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vibration), which is a degradation condition, was designed as the behavior width sensor device, and the adhesion force due to the wet environment was design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wet surface of the base. Permeability test was equipped with a hydraulic device, temperature-dependent performance was used in the chamber low / high temperature test equipment. Immersion testing was comprised of a chamber with constant size in the test apparatus so that the test body was always in the moisture condition. The chemical water environment is designed to use a variety of sample water (saline, acid, etc.) for freshwater in the chamber. The test evaluation method of waterproofing materials was studied for the conditions of such test equipment, an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single standard evaluation, the test evaluation in the item where the complex deterioration conditions wer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underground environment and required waterproof st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ly. This test method is to apply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conditions of the actual underground structure in complex, and to check the behavior of the waterproof layer to be test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tests by designating the structure behavior, that is, the crack width, as the core. The basic plan for this test method is to arrange the contents of the laboratory environment, curing condition, test method, test condition, test sequence, test result confirmation, and judgment so that the same test result can be generated even if multiple testers test. It described. The ground conditions consisted of dry and wet grass and consisted of 6 specimens (3 dry and 3 wet grass) and 2.5 mm, 5.0 mm, 7.5 mm and 10.0 mm (with tolerances of ± 0.2 mm). The test is carried out at a movement speed of 50 mm / min. In the test sequence, dry and wet wet bodies were tested by applying the conditions of behavior width 2.5mm, 5.0mm, 7.5mm, and 10.0mm in sequence, and according to the test width (method) of Table 1 Test the specimen and, if a leak occurs, stop the test and record the final width of motion (step). The test results can be checked for water leakage due to breakage (breaking)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on the test body, lifting of the tip end, lifting of the overlapping part, etc. The leak flows out of the test apparatus and is visually checked. Judgment of the results is to be judged as a test specimen that no leakage occurs when all three steps of the behavior width of 10.0㎜ are satisfied. However, the leakage due to the internal condensation of the test body was determined as pass, and it was designed to give the evaluation score for the behavior response for the composite material deterioration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est pieces finally passed. 3) Structure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test operation for complex deterioration analysis (practicaliz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est operation for the practical us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standard establishment for the test method for the structure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for the composite deterioration analysis.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waterproof sheet combined with the film and the self-adhesive compound were generally good. As a result of peeling the compound layer of the waterproof sheet from the test specimen,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m were firmly and firmly attach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mbination method of the non-hardened adhesive sealant and the improved asphalt sheet, the test result was opposite. The non-hardened high-adhesive seal material method was good, while the semi-hardened and soft type low-adhesive seal material was tested. The result was not good. The low-adhesion seal material was found to be leaked at the same time as the test began because the adhesion strength with the waterproof sheet in the wet surface is significantly lowered. As a result of confirming a few test specimens with other leaks, the higher the width and the more the number of behaviors, the more the waterproof sheet loses its adhesion to the base surface and the more it is peeled off from the center of the specimen behavior. 4) Stress-strain analysis by waterproof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ain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ress transfer by stress-strain analysis by waterproof method. The stress-strain of each waterproof method was found in the order of A method> D method> C method ≧ B method. Based on the A method, the D method is about 10 times smaller in strain, and the B and C methods are about 100 times small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through stress-strain analysis by waterproof method, it can be classified into “integral behavior”, “sliding behavior” and “slip behavior” as follows. Here, the integral behavior means that the base surface and the waterproof layer behave together, and the sliding behavior is when the waterproof sheet compound moves separately from the base surf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 or non-hardened sealant. An advantage of the integral and sliding behavior is that the adhesion of the waterproof layer attached to the base surface does not decrease. On the other hand, the slip behavior is not as high as the sliding strain, but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surface and the waterproof layer is greatly reduced by the displacement and repetition. In addition, the common point is that as the thickness of the sheet becomes thicker, the waterproof stability against the overlapping part is not confirmed to have the proper response to the substrate behavior, so the idea of improving the waterproof stability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is effective in terms of waterproof stability in the long term. If the sheet thickness is thick when applied to a special site, reinforcement with additional coatings (including seals) may be effective for repetitive behavior. As such, through the research conten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aterproofing technology so far has been a material-centered test, and the future direction is hoped to include a performance-based evaluation, and a number of performance-oriented technologies in which the waterproofing system is stabilized will be developed. 5) Proposed domestic KS F standard enac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tandard to establish a national KS code for the test method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test method for complex deterioration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composite deterioration of impermeable coating material (coating material, sheet material or composite material)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waterproofing structure (underground parking lot, underground roadway, underground cavity, roof slab)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behavior performance was proposed in KS code. It is expecte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this test method will be a method of evaluating the system along with the domestic waterproofing material test method, and it will be a test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divided into an objectification and a performance grade to recognize the performance limitations in a step by step manner. 6) Future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derived from the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test evaluation. Due to the nature of this study, the response performance of all waterproof materials could not be evaluated. In future studies, the evaluation of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s (urethane coating material, polyurea, rubber asphalt system, etc.) and the effect of compound thickness on waterproof performance of sheet waterproofing materials will be considered to ensure a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structure behavior on the waterproof layer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further follow-up studi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