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송정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별, 학업성적별, 학업포부수준별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증상 및 대처 그리고 우울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고등학생 271명(남 156명, 여 115명)이었다. 측정도의 신뢰도는 Cronbach α=.78∼.93으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p<.01), 학업성적별(p<.05)로 스트레스 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체로 남학생들이, 학업성적 상집단이 스트레스 관리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포부수준별로는 스트레스 관리행동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성별로 스트레스 증상(p<.001)과 스트레스 대처(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학생이 스트레스 증상을 더 많이 경험했으며, 스트레스 대처를 잘하지 못하였다. 학업성적별로는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스트레스 증상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학업성적 상집단이 스트레스 대처를 더 잘 하였다. 학업포부수준별로는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스트레스 증상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학업포부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를 잘 하였다. 셋째, 성별로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p<.001), 여학생이 더욱 우울을 경험하였다. 학업성적별로는 하집단이 더욱 우울하였다. 학업포부수준별로는 우울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스트레스 증상은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와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스트레스 증상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효능감이 낮을 뿐만아니라 생활만족도도 낮았다. 다섯째, 우울 증상은 사회적지원,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므로 우울한 학생들의 경우에 부모나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적게 받고 있으며, 자기효능감도 낮고, 생활만족도의 수준도 낮았다.

      • 학교급식 LOCALFOOD(지역 농산물) 사용에 관한 연구 : 학교급식 로컬푸드 현물공급 사업을 중심으로

        송정옥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교는 좁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복지와 돌봄에 필요한 소통, 호혜, 연대, 신뢰의 가치를 증진하는 곳이며, 넓은 의미에서 학교급식을 통해 지역사회를 재구성하고, 지속가능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학교급식은 양질의 급식제공으로 건전한 식생활 문화를 영위하고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질적 변화의 요구를 맞고 있다. 그에 따라 기존 양 중심의 ‘확대정책’에서 질 중심의 ‘운영의 내실화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학생들의 건전한 심신 발달과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체단체에서는 학교급식수요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보편적 교육복지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학교급식법」과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학교급식조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또한 학교급식이 지역농업과의 연계를 통해 위기에 빠진 농업의 탈출구로 작동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학교급식을 보편적인 사회복지 급식이라고 한다면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효율성과 책임성을 확보하려면, 사회복지정책이 구체적인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되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망라하는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적절하게 구축하는 것이 전제조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완주군이 진행하고자 하는 학교급식 로컬푸드(지역농산물) 현물지원 사업은 학교급식의 태동부터 진행해온 현금지원방식(일선 교육청에 현금을 주고 학교가 구매하는 방식)을 현물로 지원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복합적인 욕구에 대한 대응, 서비스제공 패러다임의 변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道路占用工事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 大邱廣域市 壽城區 事例 -

        송정옥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Road forming an urban framework and used by the people, cargo and car has an important function like as urban artery. Therefore, it should be managed to address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by road users. In the process of the urban development, it is also needed inevitably the groundwork for widening and repairing of road itself and the road work to build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electricity, water & sewage and gas that are urban lifelines. The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n problems including the system of road occupancy and traffic management, differentiation of road occupancy cost, measure for traffic operation on working for traffic safety, characteristics of road occupancy zone, traffic effects on road user, charging the cost of road occupancy and general system of road occupancy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road work by the application in Susung-Gu, Daeg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As an improvement on the traffic operation and safety, the study are providing the contents or steps of traffic management plan through setting up the ground rules of planning, range of evaluating the traffic impacts and zoning of traffic management with obligation on the establishing the traffic management plan on working. Furthermore, it shows the necessity of the reinforcement on management system of road work, extending and publicizing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ystem. 2) As an improvement on the uniform charging system per unit area of road occupancy, it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improved charging policy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road occupanc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raffic congestion fund as well as the existing charging system. 3) As an improvement on the uniform charging system per unit area of road occupancy, it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improved charging policy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road occupanc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raffic congestion fund as well as the existing charging system. 4) It also shows the necessity of the changing ordinances to establish the measures of traffic operation on road work although it did not reach the period on the ordinances, which allow the road occupancy license to apply without the measure of traffic operation for the below case of limited period, for the important point on the traffic problems. 5) The introduction of the incentive and penalty system is also mentioned to operate successfully the charging system of road occupancy. 6)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computerizing of license system and improvement of a portion of the road regulations are also accented as the essential factor to introduce the reasonable charging system of road occupanc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charging system on traffic congestion parallel with the measures of traffic operation on road work zone and proposes the institutional legal improvement to overburden the penalty on the violation for the established traffic operation plan under consideration by Road Authority which should be managed to be observe the law under control on working for road work over a certain size.

      •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감과 그에 대한 사회적 지원 욕구의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송정옥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광주지역 정신병원 외래에서 치료받고 있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보호부담과 그에 따른 사회적 지원의 욕구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거나 해결할 수 있는 정책적·제도적 방안 모색의 실마리를 제공함은 물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환자 가족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로 진단 받은 사람 가운데 정신병원 외래에서 치료받는 환자를 수발하는 가족 55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주 보호자의 대부분이 중·장년층 부모이고, 그 중에서 어머니의 역할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들이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어려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그중 환자로 인한 심리적·정서적 어려움이 가장 컸다. 셋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이 원하는 서비스 지원에 대한 욕구도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로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해소가 가장 높은 욕구를 보였고, 정신질환과 관련한 제도 및 법률정보, 병의 치료방법 및 재발예방, 병의 다양한 원인과 증상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요인별로는 환자의 재활을 위한 욕구, 질병에 대한 교육, 지역사회에서 자원에 대한 정보제공, 가족들에 대한 지지, 환자관리기술 교육의 순이었다. 넷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서비스 지원에 대한 욕구는 가족의 부담이 클수록 사회적 서비스 지원에 대한 기대 수준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를 놓고 볼 때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첫째, 단기보호시설과 가정방문 서비스 등의 개설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 내에 정신보건 및 사회복귀시설에서는 환자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셋째, 약물관리 및 위기관리가 필요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를 하여야 한다. 넷째, 퇴원한 환자와 가족에 대한 추후관리가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험 수가의 조정 등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애인 등록제도에 대해 제도적 보완과 사회적 편견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여섯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치료의 효율성과 재활을 위해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병·의원, 사회복귀시설, 지역사회복지관 및 보건소 등이 유기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체계의 서비스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and analyze the family burden of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ir needs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the families of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who are receiving treatment from a psychiatric hospital in Gwangju. On this ground, it is to secure basic data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patients' families in a practical way, as well as to lead to political and systematical means to reduce or solve out their burden. A questionnaire was handed out to the 55 families who care for schizophrenic patients attending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by SPSS statistic program. The fin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most carers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are middle aged or elderly parents, mostly mother's take the greatest part of providing care. Secondly, the families are greatly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mainl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hirdly, it was indicated from the questionnaire that the families highly desire to be supported with various services in order of; eliminating social prejudice toward mental illness; systems and legal information relating to mental illness; treatment and prevention from relapsing, causes, factors and symptoms of mental illness etc.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patients' rehabilitation, education on the illnes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local resources available, family support, techniques of patient management etc. Fourthly, it was shown that the heavier the burden that families of chronic patients have to bear, the higher their expectation of the social support are increased. On this ground, it is thought that the political and systematical support for chronic patients families with schizophrenia should be introduced as follows. 1. Respite care and home care services should be organized. 2. Systematic programm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patients can live independently in the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or half-way houses. 3. For those patients who need medication and crisis management should be observed through case management. 4. Follow up care should be arranged for discharge patients and families. For this purpose, a polit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such as readjustment of insurance cost etc. 5. An active publicity and public education campaign should be pursued to overcome social prejudice and to supplement the registration system for the handicapped with government support. 6. An organic and active network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mong hospitals, clinics, half-way houses, local health services etc. centering around the local mental health centres for an effective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보건·복지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차별경험이 임파워먼트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송정옥 大田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ersonal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and their task environments are related to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ir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how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affect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burnout, and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them. Both literature reviews and an empirical study are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cove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books, and miscellaneous articles in order to find 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gender cognitive perspective, gender consciousness, gender equality and discrimination,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job environment, and burnout. Based on such review of literature, I develop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I test the hypotheses from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4 to October 14, 2005 among 580 public service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l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groups, job rank, job area. Such finding suggests that one needs to take into account such differences when one designs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gender cognition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also needs to customize programs based on such differences. Ignoring such difference would limit the effective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Second,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ublic service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irness of personnel management a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o it is critical to have discrimination-free placement and fair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promotion in order to enhance the gender quality consciousness of the employee in an organization. Third, it is supporte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r the conservative norm for gender role, I fi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progressive norm for gender role and the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higher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nd to be more sensitive in perceiving discriminations in promotion, placement, assessment,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Therefore, the basis for gender equality in the public service sector would be fair personnel management. Gender conscious personnel policy can be incorporated by actualizing affirmative actions. Fourth,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service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in influenced by age, job rank, certificates,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task related discriminative factors (such as job assignment, duty carrying, and overtime work) and job meaningfulness. Especially, the meaningfulness of empowerment is the most influential, which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periodic empowering processes in order to enhance job prestige. For this purpose, team organization would be preferred to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Fifth, it is found that fair personnel managemen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progressive norm for gender role, the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influential on empowerment. In order to enhanc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attitude, we need to institutionalize regular training programs for gender cognition for all ranks in the organization. Sixth, it turns out that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public service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is affected by age, certificates, fair personnel management,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capabilities, and job meaningfulness. So it is important to build a fair personnel system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clients. Based on the findings, I would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course on gender equality should be a prerequisite in the training programs for public workers and all public service workers in all ranks should be required to take the course regularly. Second, affirmative actions should be legislated. Third, the assessment of the gender effects of policies should be framed extensively. Fourth, fair personnel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should be monitored if there is any conventional sexual discrimination. Fifth, we need a policy that enables job-family compatibility. It is expected that those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my study will enhanc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ublic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and strengthen their empowerment, which in turn will increase the quality of services they provide and eventually will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all citizens. 본 연구는 보건·복지 담당공무원들을 중심으로 개인적 특성· 직무환경에 따라 양성평등의식과 차별경험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양성평등의식과 차별경험은 복지업무 수행과정에 있어 직무만족·임파워먼트·소진, 복지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는 대전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광역 및 자치단체 보건·복지 담당공무원 580명을 대상으로 2005년10월 4일부터 10월 14까지 1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 차이 분석결과 보건복지공무원 집단간 특히 성별·연령별·직급별·직렬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환경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직무환경은 보건복지담당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성평등의식과 차별경험은 부의 상관관계임이 나타났다. 보수적 성역할규범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진보적 성역할규범의 양성평등의식과 차별경험은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공정한 인사관행, 진보적·보수적 성역할규범의 양성평등의식, 교육 및 연수에서의 차별경험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보적 양성평등의식은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역량성에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적 양성평등의식도 임파워먼트의 의미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이 입증되어 양성평등의식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여섯째, 복지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자격증, 직무환경의 공정한 인사관행, 긍정적 상사 및 동료의 지지, 임파워먼트의 역량성과 의미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적극적 조치의 입법이 필요하다. 둘째, 공무원 양성평등의식 제고를 위한 양성평등의식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양성평등의식 교수요원의 발굴 및 양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성인지적관점을 정책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성별영향평가 제도를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 전라남도 연안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송정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focused on the waterbird population that spend winter in the important coastal wetlands, including Suncheon Bay and Yeongsan Lake, located in Jeonnam province from 2000 through 2003. Based on the survey, it was aimed to analyze assessment on the importance of these regions by using the wintering status of waterbird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ed groups, and various indices and to seek ways to fi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the observed waterbird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simila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14 classified groups were observed. Among these, major waterbirds that inhabit on water surface or watersides were eight groups.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Cs (Sørensen's index of similarity and Ro (Horn's index of community overlap). The results showed that out of the seven areas, it was Suncheon Bay that had the most unique species mix. Bay areas had the different species and population mix from lake areas. Based on the maximum population, the Suncheon Bay is ranked the highest, meaning the most important habitat for waterbirds, followed by Boseong- Deukryang Bay, Gangjin Bay, Gocehongam Lake, Geumho Lake, Yeomam Lake, and Yeongsan Lake. In overall, the importance of bay area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lake areas. Classified groups that showed high rate of using bay areas than lake areas were in an order of waders, gulls and swans. On the other hand, the groups that showed high rate of using lake areas than bay areas were dabbling ducks, grebes and geese. In conclusion, the types of classified groups that use bay areas and those using lake areas were quite different.

      • 화장품 앱의 인식과 사용실태

        송정옥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과거의 국내 화장품 유통경로와 다르게 제품 정보 확인부터 결제까지 가능한 화장품 앱이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 앱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화장품 앱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10~ 50대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화장품 앱에 관하여 인지는 하고 있었으나, 화장품과 관련해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앱이 없다는 사람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화장품 앱에 대하여 화장품 정보를 제공하는 앱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문제점으로는 잦은 푸시/알림 메시지라고 응답하였으며, 화장품 앱의 지속적 이용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사용의 간편성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화장품 앱이 제공하는 신뢰성에 관하여 많은 홍보성 리뷰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홍보성 리뷰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를 통해서 앱 사용의 활성화와 정확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화장품 앱이 지녀야 할 기능과 역할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의 제공을 통한 합리적 소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며, 향후 실제로 화장품 앱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실태에 대해 연구한다면 더욱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As the number of smartphones in use gets higher and the number of apps which can enable consumers to do a variety of things from checking cosmetics product information and to making payments immediately is dramatically increasing, the role of cosmetics apps in cosmetics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eal consumer recognition and current status of use of smartphone apps for cosmetics. To achieve the study goal, a questionnaire survey of males and females in age group from 10s to 50s was conducted. The subjects generally recognized the presence of cosmetics apps but most of them had not actually used any one of them and they regarded cosmetics apps as ones that merely provide information on cosmetics. They answered that frequent push notifications are tiresome and what is needed most for constant use of the apps is to improve user interface. The subjects had negative opinions about the information that was provided by the apps because most of the review information in the apps were thought of ‘advertisements disguised as a review’. Consequently, they preferred apps which provided accurate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by persistently blocking those fake review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cosmetics apps is to establish appropriate consumer culture through providing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hat consumers want to obtain. Further study aimed at the actual users for cosmetics apps will be more practical and valu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