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IMO cooperative diversity with amplify-and-forward relaying

        송영필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협력 다이버시티/릴레이의 주제가 느린 페이딩 무선 환경에서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계속해서 증가하는 높은 데이터율 요구를 만족하는 효율적인 전략으로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1]. 이런 방법으로 네트워크 상의 다중 터미널이 가상의 다중 입출력 이점을 이용하기 위해 협력하고 분산된 형태의 공간 다이버시티를 만들어 낸다. 어떠한 종류의 신호의 재생산 없이, 비재생산 또는 증폭-전달 방식은 릴레이 동작을 간단하게 하고, 협력 부담을 최소화한다. 증폭-전달 릴레이는 이 방식의 동작의 간단함 때문에 이 방식의 성능분석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송수신단 간의 직접 링크가 없는 상황에서 semi-blind 와 채널상태정보를 알고 있는 릴레이 각각의 이중-홉 증폭-전달 릴레이의 성능이 [2]와 [3]에서 분석되었다. [4]와 [5]에서는 이 분석을 다중-홉 릴레이전송으로 확장시켰다. 더 근래에는,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증폭-전달 협력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다중 안테나 수신단의 영향에대해서 [6]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6]에서의 심볼오율 분석은 송수신 단과 릴레이단-수신단 간의 평균 신호대잡음비가 균형을 이루고 송신단-릴레이단의 신호대잡음비가 충분히 큰 경우로 제한되어 있다. 적응이득 증폭-전달 릴레이는 릴레이에서의 순시 전력한계에 따른 증폭이득을 조절하기 위해서 송신단-릴레이단 간의 순시 채널상태정보를활용하고[1,5,7-9],1 반면에 고정이득 증폭-전달 릴레이는 릴레이에서 순시 채널상태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릴레이에서의 평균 전력한계에 따른 고정된 릴레이 이득을 사용한다[2,4,10]. 고정된 릴레이 이득은 증폭-전달 릴레이에서 같은 이득을 도입하고 같은 평균 출력 전력을 소비하도록 선택되거나[2,4], 간단하게 적응이득 릴레이처럼 같은 평균 전력 을 소비하도록 선택된다. [7]에서 다중의 적응이득 증폭-전달 릴레이 협력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정확한 심볼오율이 분석되었다. 반면에, 점근적으로 높은 신호대잡음비에서 일반적인 다중 릴레이, 다중-홉 협력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근사적인 심볼오율의 닫힌 해가 [8]에서 주어졌다. 게다가, 증폭-전달과 복호-전달 릴레이의 최대우도 검출을 위한 일반적인 구조가 [9]에서 연구 되었고, 여기서 nocoherent 신호를 이용한 복호-전달 프로토콜은 달성 가능한 다이버시티 이득의 절반을 잃을 수 있음을 보였다. R n 개의 릴레이 터미널을 가진 다중 적응이득 증폭-전달은 직교한 릴레이 채널을 통해 수신된 경우 R n  1 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달성할 수 있음이 잘 연구되었다 (여기서 모든 통신 터미널은 단일안테나를 가지고 있다.) [1,7,8]. 그러나, 적응 이득 증폭-전달은 각각의 릴레이에서 계속적인 페이딩의 측정이 필요하고, 현실적인 면에서 항상 달성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인 다중입출력의 적응이득 증폭-전달 방식의 다이버시티성능 분석에 집중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S n 개의 송신 안테나, R n 개의 증폭-전달 릴레이 안테나, D n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이중-홉 다중입출력 협력 통신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다중입출력의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기 위해서 송신단에서는 직교시공간블록부호[11-14]와 빔포밍[15]를 이용하였다. 본 학위논문은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각각 직교시공간블록부호와 빔포밍을 사용하는 증폭-전달 릴레이의 다중입출력 협력 다이버시티에 대해 연구하였다. 위 채널에서 M-PSK 변조된 신호의 전송에서 심볼오율을 유도하고 높은 신호대잡음비에서 다중입출력 협력 다이버시티의 심볼오율성능에 대한 효과를 특성화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topic of cooperative diversity/relaying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as an efficient strategy to enhance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to meet the increasingly high data rate demands in slow fading wireless environments [1]. In this way, multiple terminals in a network cooperate to exploit virtual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benefits, and create a distributed form of spatial diversity. Without any sort of signal regeneration, a nonregenerative or amplify-and-forward (AF) scheme simplifies relaying operation and minimizes cooperation overhead. AF relaying has recently motivated much work on its performance analysises due to its operational simplicity. For a scenario of no direct source-to-destination (S -> D) link, the performance of dual-hop AF relaying was analyzed in [2] and [3] for semi-blind and CSI-assisted relays, respectively. In [4] and [5], these analysises were further extended to multihop relay transmissions. More recently, the impact of multiple-antenna destination reception on the performance of AF cooperative diversity systems was investigated in [6] for Rayleigh fading. However, the symbol error probability (SEP) analysis in [6] is limited to the case when the source-to-destination (S -> D) and relay-to-destination (R -> D) links are balanced with equal average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he SNR for the source-to-relay (S -> R) link is sufficiently large. The adaptive-gain AF relays exploit instantaneous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of the source-to-relay (S -> R) link to control the amplification gain with instantaneous power constraint at the relays [1, 5,7-9], whereas the fixed-gain AF relays do not require instantaneous CSI at the relays but use the fixed relaying gain with average power constraint at the relays [2, 4, 10]. The fixed relaying gain can be chosen such that the AF relays both introduce the same gain on average and consume the same average output power [2, 4], or simply consume the same average power as the adaptive-gain relays [10]. The exact symbol error probability (SEP) was analyzed in [7] for cooperative diversity systems with multiple adaptive-gain AF relays, while the closed-form approximate SEP was presented in [8] for general multiple-relay, multihop cooperative diversity at asymptotically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In addition, a general framework for maximum likelihood (ML) detection of both amplify-and-forward (AF) and decode-and-forward (DF) relaying was studied in [9] where it has been shown that with the DF protocol, noncoherent signaling loses about half of the achievable diversity order. More recently, outage-optimal opportunistic relay-selection rules were proposed in [10]. It is well understood that with nR relay terminals, multiple adaptive-gain AF reception from orthogonal relay channels achieves the diversity order nR + 1 (when all communicating terminals have a single antenna) [1, 7, 8]. However, since this adaptive-gain AF relaying requires a continuous estimate of fading at each relay and is not always feasible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we focus on analyzing diversity performance of fixed-gain AF cooperation in a general MIMO setup. More specifically, we consider a MIMO dualhop cooperative link with nS source antennas, nR AF relay antennas, and nD destination antennas referred to as a (nS, nR, nD)-MIMO AF relay channel, where the source employs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s (OSTBCs) [11-14] or beamforming [15] to exploit diversity capability of MIMO channels. This thesis investigate the MIMO cooperative diversity of amplify-and-forward (AF) relaying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with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 and beamforming, respectively. We derive the symbol error probability (SEP) with M-ary phase-shift-keying (M-PSK) modulation over such channels and then characterized the effect of MIMO cooperative diversity on symbol error probability (SEP) behavior in a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regime.

      • 한국군 작전구상 적용에 관한 연구

        송영필 韓南大學校 行政政策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studied on the operational design applied to the ROK Army military operation planning and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design at each echelon.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operational and tactical echelons that we can clearly divide. This study is conducted by following procedure: introduce current established doctrine, draw the problems we can find when we apply current doctrine to each echelon, and present solutions. Formerly, the operational design is a procedure to draw the concept of commander when designing a operation in the operational echelon. In 2000, the ROK Army published circular, "Troop Commanding Procedure", in which the ROK Army developed new doctrine, allowing the tactical echelons as well as the operational echelon to apply operational design when planning operation. However, the operational design was not suitable for tactical echelons because it was originally applied to operational echelons. Also, this caused some problems to both operational and tactical echelons because the doctrine was not taken concrete shape. The new circular, "Troop Commanding Procedure", developed some doctrine. The operation planning is conducted by applying the following sequence: situational assessement, operational design, COA development, plan completion. And the operational design is conducted by applying the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end state, centers of gravity and objective, decisive combats, lines of operations, culminating point, and contingency/future operations. The operation planning is suitable to both operational and tactical echelons. However, applying the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to both operational and tactical echelons in the same way may cause some problems. The operational echelons have much flexibility because they receive outlined military strategic guidance and initially make the military operation plan to attain the strategic objectives. But the tactical echelons have limited flexibility because they plan thier operation based on concrete military operation plan that is made by operational echelons. Therefore, it is hard to apply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to operational and tactical echelons in the same way. The problems that we can find when applying the current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to operational echelons are as follows. Centers of gravity and Objectives. Operational commanders cannot consider only centers of gravity to select his objectives. It is hard to select directly centers of gravity as objectives because they may be either tangible or intangible. Also, centers of gravity are normally the enemy's strengths, so operational commanders have many limitations to attack his centers of gravity directly. Thus, commanders should assess the decisive points that can protect the enemy's centers of gravity, select the points that can secure and control the decisive points, and assign military operation objectives to tactical echelon(subordinate unit). Therefore, in operational echelons, the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should include decisive points. And centers of gravity and decisive points are described differently from objectives because they are conceptual means to select objectives. Decisive Combats. According to the ROK Army's current doctrine, decisive combats are designed in operational echelons. A decisive combat refers to the combat that contributes to mission accomplishment decisively, focusing on only whether it contributes decisively or not with no considering friendly force's sacrifice. But designing decisive combats in operational echelons is a mistake because operational echelons mainly maneuver against the enemy and seek to minimum friendly sacrifice. Therefore, the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applied to operational echelon should be modified into the following 5 elements: end state, objectives(centers of gravity and decisive points), lines of operations, culminating point, and contingency/future operations. We also find some problems when applying the current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to tactical echelons. Centers of gravity and Objectives. Tactical echelons are assigned specified objectives from their higher command, then draw implied task to accomplish their objectives through mission analysis process in situational assessment, and then select objectives to assign them to their subordinate unit. Therefore, the centers of gravity in tactical echelons are not conceptual means to select objectives. But the assessment of centers of gravity are also need in tactical echelons to find the enemy's directions of threat. Decisive Combats. Decisive combats in tactical echelon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concept as the current doctrine. But its meaning should be developed as follows. "Once selecting decisive combats, commanders should focus all the efforts on decisive combats." Lines of Operations. In operational echelon, lines of operations are divided into physical, logical, and even conceptual lines. But in tactical echelons given specified objectives, it is hard to understand that lines of operations are conceptual lines, and they have a value as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when we understand them as the directions of main attack meaning specified directions of combat different from offensive operations. Culminatining Point. Operational commanders determine, base on their available resources given by the strategic guidance, not only his operational range in time and space but also his subordinate unit's culminating point. Through this, they plan their operation, and establish their operational range in time and space. However, tactical commanders don't need to determine their culminating point because higher command determine and assign their culminating point and operational range in time and space. But tactical echelons also should determine their subordinate unit's culminating point to assign them operational range in time and space. Therefore, in tactical echelons' offensive operation, commanders should consider following 6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 end state, centers of gravity and objectives, decisive combats, directions of main attacks, culminating point, and contingency/future operations. In defensive operations, tactical commanders should apply following 5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 end state, centers of gravity and objectives, decisive combats, culminating point, and contingency/future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OK Army's military doctrine. This thesis excerpt only the bibliographics approved by military official institutions. So, the references used this thesis was limited. Also, this study may be insufficient the universality which other fields of study pursuit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doctrine. However, military science is now getting on the right track as one of the common science. Considering this current situation, studies on military doctrines are worth being the subject of study. Though this study may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I think it has the value as the first attempt to study operational design in tactical echelons.

      • 칼빈의 예정론 고찰

        송영필 광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정론은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칼빈의 독창적인 교리는 아니다. 그것은 사도 바울과 어거스틴 심지어는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종교개혁자들에게 있어서는 마르틴 루터와 훌드리히 쯔빙글리, 마르틴 부써와 초기 멜랑히톤 등이 주장했다. 그런점에서 그 교리는 개신교의 교리학에 있어서 아마도 무시되거나 외면 될 수 없는 위치를 가질것이다. 그러나 종교 개혁이후 예정론은 주로 칼빈과 그의 사상적 전통에 서 있는 교회와 신학자들에 의해서 특징적으로 지지되고 주장되어 왔기 때문에 오늘날 예정론 하면 주로 칼빈이나 또는 칼빈주의를 연상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 것 같다. 그러기에 전통개혁주의 입장에서의 칼빈의 예정론은 가장 성경적교리로 인정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의 예정론은 이중예정론으로서 논란의 여지가 매우 큰 주제이다. 또한 칼빈의 교의학 속에서 예정론은 실제로 그렇게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다. 칼빈에 대한 주석적이고 학문적인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에 한때 알렉산더 슈바이처나 F.C.바우어 등 여러 학자들이 칼빈 신학의 중심교리를 예정론이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그렇게 보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그러기에 개혁교회 안에서도 칼빈주의를 내세우며 교회를 운영하고 있으나 예정론에 있어서는 전도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불분명한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어느 순간인가 알미니안주의와 칼바르트의 사상으로 인해 칼빈주의적 예정론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칼빈에게 있어 예정론이 중심교리는 아니라고 할지라도 그 교리가 칼빈에게 있어서 중요하고, 부정될 수 없다는 것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칼빈의 예정에 대한 분석은 관찰된 사실들로부터 전개된다. 철저히 성경이 제시하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계획이 잘 정리된 것이 바로 칼빈의 예정론이다. 칼빈은 하나님의 예정을 선택과 유기로 나눈다. 이것을 소위 이중예정이라고 하며 우리가 선택되고 유기되는 것이 하나님의 뜻에 달려있다고 한다. 여기서 인간의 행위는 하나님의 예정에 전혀 이의를 제기할 수 가 없다. 칼빈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고서는 어떤 사람이 선택되었는지 유기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고 하였다. 또한 어떤 사람이 유기된 사유가 인간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뜻에 있다고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행위에 의해 버려졌다는 일반적인 생각에서 하나님의 뜻으로 돌리는 위대한 교리를 세운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이러한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잘못된 이해들을 버리고 칼빈이 성경의 진리에서 찾아낸 바른 예정론을 갖기를 희망한다.

      • LiveMath를 도구로 한 중학교 함수단원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

        송영필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함수학습에 있어서 LiveMath를 도구로 활용한 함수단원의 지도요소 작성과 그에 따른 학습자료의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교수-학습방법을 학생활동 중심으로 개선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유발과 학습지도를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함수의 그래프의 이해에 있어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LiveMath를 도구로 한 중학교 함수단원의 지도요소와 그에 따른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이 수학학습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보일 것인가를 알아본다. 2.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연구하여 효율적인 중학교 함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수학교육과 함수교육에서의 컴퓨터의 영향, 함수교육에 활용되는 소프트웨어들의 특징, LiveMath 의 특성과 활용방안, 중학교 제7차 교육과정 편제와 함수단원의 내용, 학습자료 개발방향 설정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LiveMath를 도구로 하여 중학교 함수단원 전과정에 대한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제주도 제주시 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1학년 학급 중에서 성적이 비슷한 2개 반을 선정하여 1개 반(재적36명)을 실험반으로, 나머지 1개 반(재적 36명)을 비교반으로 편성하였으며, LiveMath를 도구로 개발한 학습자료를 실험반에 적용하고 전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한 학습자료를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개발한 학습자료를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함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The study worked out the teaching elements of the section of function using LiveMath software i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function and subsequently developed and applied its teaching-learning materials on purpose to focus teaching-learning method on learners, arouse their interest in learning and facilitate teaching activities, in addition maximizing learning effect in understanding of functional graph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stablished two research subjects as follows: 1. To develop the teaching element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the section of middle school function with LiveMath software and then to find out changes in the subjects' attitude to learning mathematics after applying the experimental model. 2.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model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to find out the efficient learning method of fun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mputer on the education of both mathematics and function through documentary investig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oftwares used for the education of function, the features of LiveMath software and the methods of its use, middle school 7th curriculum 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functional sec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Second, it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LiveMath software in the whole process of the section of middle school function. Finally, I selected two groups (consist of 36 students in each group) which had similar grades among the freshmen in Cheju National University Middle School and then organized one group as a experimental class and the other as a comparative class. I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ed with 'LiveMath' software to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dent's study attitude and the study result throughout the formative test(pre-test and post-test). From this study, I got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s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the class, the student's study attitude was changed into positive one. Second, th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helped the students understand the functions effectively.

      • 청중이해를 통한 설교전달방법 연구

        송영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청중이해를 통한 설교전달방법 연구 설교자는 언제나 복음은 사람들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능력임을 믿고 설교에서 성령의 주권적 역사에 의지해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과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해야 한다. 설교자가 하나님의 사자로 말씀을 전파할 때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외치지 않으면 어떠한 외침도 합당한 기독교 설교라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설교는 단순히 이해한 것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2000년 전의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라는 질문과 함께 그것을 현대인에게 해석하여 현재의 사건으로 선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파머(H. H. Farmer)는 “설교의 필요성은 바로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구원의 역사를 이루시며, 그리스도는 지금 여기에서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와 사람들과 인격적으로 만난다는 사실에 있다”라고 표현했다. 그런데 문제는 설교가 단순히 신관념의 재정립 곧 정통성을 재확립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실생활(청중의 상황)은 유리된다는 것이다. 오늘날 하나님의 비밀의 말씀을 청중에게 전할 때에 설교자가 일방적으로 외치기만 함으로써 청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없는 설교가 되어버린다. 설교에 있어 많은 것을 준비하고 성령의 주권적 역사를 믿는다 해서 청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오늘날 많은 설교자들이 설교를 듣는 청중에 대한 고려 없이 일방적으로 외치기만 함으로 청중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과 자신의 삶과는 멀리 떨어진 별개의 것으로 여기게 만든다. 따라서 설교자의 외치는 소리는 설교목적인 청중의 변화를 이끌지 못하고 청중으로 하여금 오히려 방황하는 영적 환자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유진 로우리(E. L. Lowry)는 “어떤 난감한 질병으로 의사를 찾아온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이 중요한 것처럼 설교임무의 핵심적인 것은 명확한 진단이요, 설교의 가장 큰 약점 하나는 진단을 제대로 못 내리는 것이라고 면서 바른 분석과 진단을 위해 설교자는 청중과 함께 분석과 진단의 과정을 경험해 가야한다” 고 강조하였다. 설교는 분명 설교자가 청중에게 나아가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설교자와 청중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의 행위로 쌍방적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설교자는 설교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자신의 설교를 듣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해 생각해야 하며, 설교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청중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고 자신의 청중의 상황을 확실히 알아야 한다. 즉 설교자는 성경본문을 연구하듯이 청중의 특성, 청중의 필요성, 더 나아가 청중전체를 연구하고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 설교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증명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오늘날 청중세계와 만나게 하여 청중이 본문이 제시하는 하나님의 세계 속으로 이끌어 설교의 궁극적인 목표인 청중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 현대교회가 변화되고 다시금 부흥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강단에서 나오는 설교의 냉철한 점검이 필요하고, 이 설교의 변화를 가져오려면 먼저 설교자는 설교 전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청중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설교 전달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제안하고 있는 방법으로 설교에 있어 청중이해의 중요성 내지 필요성을 설교학자들이 먼저 연구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교학적 관점에서 살핌으로 설교에 있어서 청중의 위치를 확인하고 청중의 이해에 따라 청중을 고려하여 설교가 진행되어야 하는 이유를 찾아낸다. 또 설교에 있어 청중의 이해범위를 정하고 성경적 근거를 찾되 사도행전에 나타난 베드로와 바울의 설교를 분석함으로써 청중의 이해와 설교전달방법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찾고 좀 더 청중을 이해할 수 있는 방편들을 실질적인 방법에서 제시하고 그에 따른 설교전달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논 논문을 통해 청중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설교의 전달 방법을 연구하여 준비된 하나님의 말씀이 더욱 능력 있게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 국내 방위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활동 현황과 효과분석

        송영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미래전쟁환경과 국방과학기술분야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군은 방위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 방위 노력 중에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군․정부는 기술혁신을 위해 내․외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기술혁신 패러다임을 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방위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방위산업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개방형 기술혁신의 활성화를 위한 국방과학기술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하며 방위산업체에 대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효과를 분석하여 방위산업체들 간의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 적용을 장려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방위산업에 있어서 개방형 기술혁신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산특조법’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91개 업체와 방위산업진흥회에 등록되어 있는 준회원사 중 40개사를 포함하여 총 130개 기업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한 45개 설문자료를 연구에 이용하였으며 개방형 기술혁신에 대한 대부분의 실증분석에서는 개방형 기술혁신 프로세스를 ‘탐색󰠏연구개발󰠏확산’3단계로 구성하여 진행되어 지며 본 연구에서도 문헌연구를 통해 탐색단계에서는 ‘탐색의 범위’와 ‘탐색의 깊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연구개발단계에서는 ‘협력의 범위’와 ‘협력의 깊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확산단계에서는 ‘외부상업화 건수’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으나 자료수집 과정에서 외부상업화에 대한 인식부족과 저조한 응답률로 인해 실증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또한 종속변수는 ‘지적재산권 등록 수’와 ‘1인당 매출액’이 활용되었고 통제변수로는 ‘종업원 수’와 ‘연구원 비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국내 방위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기술혁신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방위산업체들은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진 않으나 탐색단계와 연구개발단계가 활용되어지고 있었고 대부분 기업이 전담 연구소를 운영하는 등 연구개발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확산단계는 활용빈도가 낮고 저조한 응답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국내 방위산업에서는 외부상업화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으며 외부상업화의 중요성과 부가가치 창출효과에 대한 기업인식이 부족하며 내부기술의 외부유출을 꺼리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방위산업체들은 탐색단계에서 출연/국립연구소와 전문기술 발표 및 박람회와 같이 군․정부가 주관하고 있는 정보원천을 적극이용하며 중요도도 높았고 일반제조업과 달리 동일업종의 경쟁회사에 대한 이용비율과 중요도는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출연/국립연구소의 협력 파트너로서의 이용비율과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반 제조업과 비교해 민간연구소의 이용비율이 높았고 동일업종 경쟁회사의 이용비율과 중요도는 낮은 특성을 보였다. 다섯째,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이 방위산업체의 지적재산권 등록 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방위산업에 있어서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의 도입을 통해 직접적인 신기술 개발이나 확보의 성과를 도모하기 보다는 비용절감이나 개발기간 단축, 수익성 확대 등을 목표로 하는 정책방향이나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탐색의 범위는 1인당 매출액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협력의 범위는 1인당 매출액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국내 방위산업에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은 기업성과에 일정부분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방위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현황과 효과분석을 통해 개방형 기술혁신 관점에서 국내 방위산업 고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실증분석을 통해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이 방위산업에 있어서 기업성과에 일정부분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방위산업에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을 도입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 방위산업의 주체가 되는 군․정부가 국내 방위산업체들을 위한 제도적 장치나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나아가 국방과학기술 정책의 발전 방향제시에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