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사물놀이 삼도풍물 분석 연구

        송세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물놀이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자 초·중등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전통음악 교육과정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제7차 교육 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다양화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각급 학교에서 특기·적성 교육활동이나 정규수업시간에 사물놀이가 다양한 형태로 교육되어지고 있으며, 사물놀이반이 조직되어 많은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놀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나 교재의 부족과 단순히 가락을 암기하고 칠 수 있다는 것만 갖고 우리 음악을 이해했다고 생각하거나, 사물놀이 가락을 틀리지 않고 치기만, 우리음악의 멋·맛·흥을 살린 연주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락은 호흡법에 기초를 두고 지도되어져야 하는데 호흡법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대부분 구음 위주로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교재가 있어도 복잡한 서양음표로 기보된 악보가 대부분 이어서 이해하고 배우기에 어려움 점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음악교과 교육이나 특기·적성 교육시 사물놀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우리의 장단을 바르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사물놀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사사를 통해 전승되어 오던 '호흡법'의 적용을 통한 사물놀이 지도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덕수 사물놀이패의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호흡과 움직임에 기초하여 분석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성과 아름다움을 살려서 지도하고 배울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채보'와 '분석'의 방법을 택하였다. 사물놀이에서의 '호흡'이라는 것은 실제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폐부의 호흡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장단의 얼개(구조)에 합당한 몸의 움직임과 마음쓰기 다시 말하면 '호흡'이란 어떠한 장단이나 가락에 잘 어울린 몸과 마음의 일렁임이므로 다소 관념적이고 이론적일 수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물놀이 가락을 배우고 연주하는데 있어서 호흡법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가락을 연주할 때 호흡법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연주에서 호흡하는 방법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으로 가로 정간보와 함께 3소박, 2소박, 4소박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궁, 딱, 따, 궁·딱, 덩』 의 연습과정을 '호흡선'과 '원·방·각'을 제시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호흡법에 의거하여 1997년 킹레코드사에서 제작한 「김덕수 사물놀이 결정판Ⅱ」 의 음반을 바탕으로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연주하고 있는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3소박의 호흡과 움직임, 2소박의 호흡과 움직임, 4소박의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호흡법으로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연주하고 있는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채질굿 가락은 49소박 19박으로 이루어져 3소박 호흡 11번과 2소박 호흡 8번 모두 19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둘째, 우질굿 가락은 44소박 12박으로 이루어져 5소박(2+3)이 한번의 움직임에 실어 호흡하는 호흡법 3번과 5소박(3+2)이 한번의 움직임에 실어 호흡하는 호흡법 3번, 3소박 호흡 6번의 호흡으로 모두 12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셋째, 좌질굿 가락은 40소박 8박으로 5소박(2+3) 3번과 5소박(3+2) 5 모두 10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좌질굿 가락에서 다음 가락인 풍류가락으로 넘어갈 때 넘김 가락 역할로 장구 장단이 후드륵 가락으로 변주되는데 이때 10소박의 가락을 1(1)/(2)소박씩 잘라 4번의 호흡 또는 연주자의 기량에 따라 2소박씩 5번의 호흡으로 변주되어진다. 넷째, 풍년굿 가락은 3소박 호흡 6번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네 번, 다섯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2개 유형 가락 모두 4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다섯째, 굿거리 가락은 3소박 호흡 4번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다섯 번 3개 유형, 여섯 번 4개 유형, 일곱 번 2개 유형, 여덟 번, 열 네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12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여섯째, 양산도 가락은 3·3·3소박 3박자로 구성된 4개의 장단이 짝을 이루어 모두 12번의 3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열 세 번, 열 다섯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3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 다. 일곱째, 덩덕궁이 가락은 4번의 3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다섯 번 3개 유형, 여섯 번, 세 번 2개 유형, 두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8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여덟째, 별달거리 가락은 4·4 소박 2 박자로 구성된 4개의 장단이 짝을 이루어 모두 8번의 4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아홉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2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아홉째, 휘모리(짝쇠) 가락은 2번의 4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두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2장단이 짝을 지어 3·3·3·3·4소박으로 5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3장단이 짝을 지어 3·3·3·3·3·3·3·3소박으로 8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3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이와 같이 삼도풍물 사물놀이에서 연주되어지고 있는 각각의 가락들은 하나의 장단이 호흡법에 따라 호흡의 수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변주형으로 연주되고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호흡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의 사물놀이 지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학교 음악에서의 국악교육이나 사물놀이 특기·적성 교육시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사물놀이에서 연주되어 지고 있는 모든 곡목들이 호흡법에 의해 분석 연구되어지고, 사물놀이의 이론적 토대가 단단히 다져질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도자 양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화되고 발전된 정간보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으로 악보에서 오는 혼선을 배제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어 발전된 채보 방법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Thanks to its global popularity as well as its absolute support from the mother country, Samulnori has settled itself as part of the curriculum of traditional Korean music being introduc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The Seventh Curriculum places an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ill help next generations refine and create the Korean music culture in the 21st century of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diversification. Responding to the aims, each school runs Samulnori-related programs of various forms embedded in the regular classes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encourag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Samulnori clubs. But a closer look reveals some disappointing aspects of the inspiring changes; the provision of teachers and textbooks needed to teach Samulnori is far from being enough, they tend to regard themselves as mast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just because they can learn some melodies by heart and play them, and a good number of Samulnori students seem to know nothing about how to bring the taste, flavor, and jo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o life with their rich knowledge of it. To make things worse, most teachers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reathing techniques depend on oral sounds during lessons despite the fact that traditional Korean melodies should be taught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and the existing few textbooks challenge the students being written in complex western notes and scores. It is highly necessary to apply the 'breathing' techniqu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among the Samulnori experts to the development of Samulnori instruction books and materials so that the students eager to learn Samulnori can understand the traditional Korean beats right during music classes and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Samdopungmul data of the Kim Deok-su Samulnori Group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to provide some teaching materials that would help teach the traditional bea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elodies, and to equip the students with good learning materials to help them bring to life the taste, flavor, and joy of the traditional music and Samulnori. For those purposes, the 'transcription' and 'analysis' methods were adopted. In Samulnori, 'breathing' does not refer to respiration through the lungs as in the expressions of breathing in or breathing out. It refers to the body movements and mental operations proper for the structures of given beats. Since it represents the harmonious resonance between body and mind for certain beats or melodies, it can come off as conceptual or theoretical. This study provide an approach in the way that the breathing techniques could be concrete as much as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ir specific implications in learning and playing Samulnori melodies and by explaining the breathing process in the 'breathing rhythm' and 'Won, Bang, and Gak' in the horizontal Jeonggan Notation. Thus it made clear why it was necessary to make use the breathing techniques in playing the melodies and to practice them in a gradual and systematic manner. In addition to the Jeonggan Notation, 3-Sobak, 2-Sobak, and 4-Sobak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Gung, Talc, Ta, Gung & Tak, and Deong" according to movements. The Definitive Edition Ⅱ of Kim Deok-su Samulnori album made by the King Records in 1997 was chosen for the study, and the Samdopungmul Samulnori played by the group was analyzed. The Samdopungmul Samulnori played by the Kim Deok-su Samulnori Group was analyzed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of '3-Sobak breathing and movement,' '2-Sobak breathing and movement,' and '4-Sobak breathing and mov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chaejilgut' consists of 49-Sobak and 19-Bak of 11 times of 3-Sobak breathing and eight times of 2-Sobak breathing, totaling 19 times of breathing. Second, 'Woojilgut' has 44-Sobak and 12-Bak, which can be played in total 12 times of breathing with three times of one movement delivering 5-Sobak(2+3), another three times of one movement delivering another kind of 5-Sobak(3+2), and six times of 3-Sobak breathing. Third, 'Jwajilgut' in 40-Sobak and 8-Bak consist of total ten times of breathing with five times of 5-Sobak breathing(2+3) and another five times of a different kind of 5-Sobak breathing(3+2). As 'Jwajilgut' is replaced by Pungryu Melodies, the Janggu beats serving as the passage melodies are turned into 'Hudreuk', during which process the player may take a needed breath four times of 1 1/2-Sobak or fives times of 2-Sobak according to his or her skills in order to express the original 10-Sobak melodies. Fourth, 'Pungnyeongut' has four melody patterns including the basic six times of 3-Sobak breathing, and the four-time and five-time breathing patterns. Fifth, 'Gutgeori' is comprised of total 12 melody patterns, which are the basic four times of 3-Sobak breathing, three patterns of five-time breathing, four patterns of six-time breathing, two patterns of seven-time breathing, and one pattern of each eight-time and 14-time breathing. Sixth, 'Yangsando' presents the basic pattern of 12 times of 3-Sobak breathing, which consists of pairs of beats in 3·3·3-Sobak and three time. In addition, it has two other patterns of each 13-time and 15-time breathing. Seventh, 'Deongdeokgungi' consists of total eight melody patterns, which include the basic one of four times of 3-Sobak breathing, three patterns of five-time breathing, two patterns of each six-time and three-time breathing, and one pattern of two-time breathing. Eighth, 'Byeoldalgeori' has two patterns, which are the basic one consisting of eight times of 4-Sobak breathing in 4·4-Sobak and two time, and a pattern of nine-time breathing. Ninth, 'Huimori(Jaksoi)' presents total three melody patterns, which include the basic one of two times of 4-Sobak breathing, the one of five-time breathing in 3·3·3·3·4-Sobak in pair beats, and the one of eight-time breathing in 3·3·3·3·3·3·3·3·3·3·4-Sobak in triple beats. In short, each melody of Samdopungmul Samulnori is played in many different variations requiring different numbers of breathing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breathing technique. Thos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of great use in school where Samulnori is taught. In future study the breathing techniques could be a guide for teaching all the Samulnori pieces played during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lasses and related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More efforts need to be made on the theoretical study of Samulnori and to bring up future Samulnori instructors more systematically. Finally, we need more advanced notation system in order to write Samulnori music properly.

      • 대중음악 콘서트의 브랜드화에 관한 연구 : 이문세의 브랜드 콘서트를 중심으로

        송세영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forming culture in Korea is going through rapid growths and developments in the 21stcentury.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looking into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performing culture, which has positioned itself as the typical public leisure culture, in-depth and examining the social meanings of the performances by Lee Moon Sae, who is loved by many for his typical brand concerts. For the research, the circumstances of modern performances will be brought back into the spotlight, based on the definition of popular music and history of performances by popular sing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ies, analyses of articles and press releases,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by selecting popular music experts and fans, and e-mail written interviews were utilized. Characteristics that are unique to the performances by Lee Moon Sae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and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audience and the singer can enjoy and sing many hit songs that were greatly loved by the public.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eloquence and stage manners that Lee Moon Sae possesses are the abilities that make the audience immerse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The audience at the performance can listen to the music and joy can be had at the same time, and communication with such an audience become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audience return for another performance.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well-organized composition of Lee Moon Sae concert. The scale of his performance does not fall behind compared to other singers, and Lee Moon Sae displays passionate performances with unconventional ideas and unique concepts every single time, which is a great merit.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lots of time and efforts are put into the performances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s, in terms of the stage, sound and composition, and that the audience can feel the traces of such efforts. The brandization of the performance that has been created by Lee Moon Sae’s concert is one of very important elements when it comes to creating the originality of the performance, and brings several implications to the performing culture. First, the predominant view on the Lee Moon Sae’s performances, which included ‘Lee Moon Sae’s Vocal Recital’ and ‘The Republic of Korea, Lee Moon Sae’, was that the originality is superb. Thus, Lee Moon Sae’s performances gained the credibility when it comes to watching the performance. Second, performances prior to the brand were mainly based on the songs, but the combination of directing and system became crucial after ‘Lee Moon Sae’s Vocal Recital’. In other words, his performance inculcated the belief that his performances are more ready for the audience with pre-planned scenarios and compositions. Third, the brand concert set up big milestone for the popular music industry since it transcended the generation and allowed all age groups to enjoy the concert, and also adapted to the taste of the diversified audience. The biggest success factor of Lee Moon Sae’s performances is no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for the audience. Having many hit songs does not guarantee the success of all performances, and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audience i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of the performance. The singer must look at the stage from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In that aspect, the evolution of Lee Moon Sae’s performance is a textbook example. The best staff members in the nation gathered to construct the performance and compressd it into one story. This differentiated Lee Moon Sae’s performance from the performances that consist of songs only, and greatly impressed lots of audience.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that Lee Moon Sae’s brand concerts displayed to the audience. If studies with the right balance of mo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performing culture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then more positive meanings can be provided to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대한민국 공연문화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민 여가문화로 자리 잡은 공연문화의 변화과정을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브랜드 콘서트로 많은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이문세 공연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를 위해 대중음악의 정의와 대중가수 공연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의 공연의 상황을 재조명 해 볼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기사와 보도자료 분석, 대중음악전문가와 팬들을 선정해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과 이메일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문세 공연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많은 히트곡으로 공연을 찾은 관객들과 함께 즐기고 노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문세라는 가수가 갖고 있는 언변과 무대매너는 관중들을 공연에 몰입하게 만드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에 온 관객들은 음악과 재미를 모두 얻을 수 있고, 이러한 관객과의 소통은 공연을 찾았던 관객들로 하여금 또 다시 공연을 찾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두 번째 특징은 이문세 콘서트의 짜임새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스케일 역시 다른 타 가수의 스케일에 비해 뒤지지 않고 매 공연마다 색다른 아이디어를 가지고 독특한 컨셉으로 열정적인 공연을 보여준다는 것이 커다란 장점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은 타 공연에 비해 무대, 음향, 구성 등 모든 면에 오랜 시간 고민하고 공을 들인다는 점이며, 관객들은 공연을 보면서 이러한 노력의 흔적들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문세 콘서트가 만들어 낸 공연의 브랜화는 공연의 독창성을 창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자 공연문화에 몇 가지 함의를 주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이문세 공연은 독창회, 대한민국 이문세 등으로 그 독창성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이문세 공연은 믿고 볼 수 있다는 신뢰감이 형성되었다. 둘째, 브랜드 이전의 공연은 노래 위주였다면 이문세 독창회 이후에는 연출과 시스템들의 조합이 매우 중요해졌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계획된 각본과 구성으로 좀 더 관객들에게 준비된 공연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게 되었다. 셋째, 브랜드 콘서트는 세대를 넘어서서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즐길 수 있고 다원화된 관객들의 취향에 맞추어 공연을 진행시켰다는 점에서 대중음악 산업에 커다란 이정표를 세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문세 공연의 가장 큰 성공 요인은 역시 관객에 대한 배려이다. 수많은 히트곡을 가지고 있다고 가수들이 모든 공연을 성공시키지는 못한다. 그것은 관객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탓이다. 가수는 관객의 입장에서 무대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문세 공연의 진화는 가장 교과서 적이다. 국내 최고의 스태프들이 모여 공연을 하나의 이야기로 구축하고 압축했다. 그것은 노래만 부르는 공연과 차별화를 해 많은 관객들에게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 그것이 이문세 브랜드 콘서트가 대중들에게 보여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공연문화에 관해 좀 더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이 균형이 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대중문화 산업에 보다 긍정적인 의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복합상업시설에서의 방문객의 경로선택과 이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과 현장조사 비교연구

        송세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Space Syntax 방법론과 현장조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방문객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어떤 환경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대상은 데크노마트와 코엑스몰을 선정하였는데 데크노마트는 수직형 복합상업시설이고 코엑스몰은 수평형 복합상업시설이다. 이 대상지를 Space Syntax 방법론에 의거 공간구조를 분석하였고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들을 비교하여 Space Syntax 방법론이 복합상업시설에서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조사하였고 이동로를 이동할 때 방문객이 느끼는 만족도와 그 이유에 대해 밝혔다. 상기의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복합상업시설에서 Space Syntax 방법론은 수직형 상업시설에서는 어느 정도 일치되었지만 수평형 상업시설에서는 일치되지 않았다. 2) 방문객이 처음 이동로를 설정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환경 요인은 과거의 경험이며 상업시설 내부를 실제 이동할 때는 방향판단과 안내시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이동중심동선을 벗어났을 경우 이동로의 만족도는 현저히 낮아지는데 그 이유는 방향판단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고 안내시설이 이동중심동선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특히 영화관에서 다른 시설군으로 이동할 경우 만족도가 낮았는데 이는 각 시설군간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복합상업시설에서 방문객이 이동할 때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여러 조사를 통해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복합상업시설 계획시 이동로 설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analyzing study that it is affected by some circumstance factors to visitors moving to a destination through a Space syntax methodology, a site research and a question research. The analysis subjects are the Techno-mart and the Coex mall. The Techno-mart is a vertical complex commerce facility and the Coex mall is a horizontal complex commerce facility. This sites analyzed a space structure by a Space syntax methodology and operated a site research and a question research. And it was compared with this analyses and researched if a Space syntax methodology is consistent with a complex commerce facility. Also, it clarified a feeling satisfaction degree and the reason when a visitors passed a moving way. A result from above was leaded and analyzed like the next. 1) A Space syntax methodology at a complex commerce facility was consistent with a vertical complex commerce facility but it was not consistent with a horizontal complex commerce facility. 2) A circumstance factor to use very much as visitors setting up a moving way at first is a experience of the past and A circumstance factor when visitors actually moving a commerce facility interior was affected by a direction decision and guidance facility. 3) The satisfaction degree of a moving way strikingly descend when a visitor was out of a moving center circulation because a complex commerce facility needs a lot of direction decisions as well as shortage of guidance facilities. Especially, when it was moving other way from a cinema is low; it means that getting down a connection of each facilitie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have clarified by various researches what is a circumstance factor to get the biggest influence when visitors moved in a complex commerce facility. From this, it is expected to be helped them at moving way establishment as it was planning a complex commerce facility, hereafter.

      • 고효율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위한 PA-ALD 방식의 Al2O3 연구

        송세영 忠南大學校 에너지科學技術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luminum oxide(Al2O3) film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is known to supply excellent surface passivation properties on crystalline Si surfaces. Al2O3 has fixed negative charge, it gives effective surface passivation by field effect passivation on the rear side of p-type silicon solar cell. However, Al2O3 by ALD process needs very long process time, which is not applicable in the conventional silicon solar cell. In this paper, plasma-assisted ALD (PA-ALD) was applied for Al2O3 layer to reduce process time. PA-ALD technique generally used trimethylaluminum (TMA) precursors and O2 gas plasma leading to self limiting surface reaction, this is adopted as a promising method to deposit Al2O3 thin film. To optimize properties of Al2O3 layer, deposition temperature was changed in range of 150-250°C, then anneal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also changed. As a result, aluminum oxide (Al2O3) film was formed on the silicon wafer as a condition of deposition temperature, annealing temperature and time with 250°C, 400°C and 10 min, respectively. Base on this conditions, p-typ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with Al2O3 rear passivation layer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t this point, blistering was appeared during firing (>800°C) of an Al2O3/SiNx stack on p-typ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with different Al2O3 thickness from 10 to 30nm. In this step, we decreased Al2O3 layer thickness to reduce blistering because blistering was observed in the thick Al2O3 layer with 30nm thickness. Finally, we could obtain an improved passivation result in effective carrier lifetime without significant blister formation at 10nm Al2O3 layer. After firing, change of O2 RF-power was studied during deposition to obtain more increased Al2O3 passivation effect. The optimized condition for Al2O3 deposition at 500W O2 RF-power showed passivation stability during firing process with the best lifetime and implied Voc, respectively 479μs. 699mV by QSSPC. Compared with the completed screen printed solar cell and PERC with Al2O3/SiNx rear passivation layer, PERC showed lower conversion efficiency shown by lower fill factor. Nevertheles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as ΔVoc = 5mV, ΔJsc = 0.2mA/cm2 , respectively and it led to p-eta improvement as 0.3% by Suns-Voc. Consequently, aluminum oxide film deposited by PA-ALD is suitable for a high efficiency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 기술창업기업의 지식경영관리 역량과 기술전문적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장단계별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송세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duced detailed factor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from resource-based perspectives and attempted academic approach with core competency theory for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in Korea. Furthermor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as a result of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leading to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dynamic capabilities represented by the recognition of start-up opportunities. First, knowledge sharing competency, innovation competency, and 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y represented by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wareness of opportunity but network compet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wareness of opportunity. Second, R&D capability and technology learning capability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wareness of opportunity increase, but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on awareness of opportunity. Third, the awareness of opportun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path of this study and analyzing the group differences by growth sta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competency, innovation competency, and 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y among the detailed variables of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y.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R&D and technical learning competence on awareness of opportunity among technical professional competences by group.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opportunity factors and corporate performance by group. The above conclusions suggest that the awareness of opportunity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be centered on those who start up venture companies by quickly recognizing or discovering business opportunities than others, and that the start-up itself is not established by ideas alone, and the conditions that can generate profits should be satisfi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cognition of start-up opportunities in relation to perceived validity and perceived prospects, and to increase financial performance, overall performance such as operating profit and return on investment should be increased comprehensively. In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 will also be a need to quantify corporate social activities in common between the two group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company. Based on the above,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re independent vari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creation and innovation based on the knowledge-based perspective.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theory, it is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from the competito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s a key factor of business success is a competitive advantage source. Theref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can be regarded as integrated competencies such as various functions, technologies, and knowledge flows,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efficient and excellent performance based on specific duties or circumstances can be identified as competencies. In future studies, if the boundary of the area or research subjects is narrowed or the group differences of the four stages of growth a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ype of start-up, it will be more meaningful research.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ecure knowledg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research of resource type for domestic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and business items accordingly.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network capacity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can be accepted only as a policy suggestion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enterprise, a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relation to the promotion and upbringing of start-up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f the existing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pplemented together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the growth direction by growth stage by focusing on the human and material networks held by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 that can make practical suggestions to companies will be achieved. 본 연구는 국내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경영관리 역량에 관한 세부 요인을 지식기반관점에서 도출하고, 기술 전문적 역량을 핵심역량이론으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들 독립변수가 기회 인식을 통해 창업기업성과로 이어지는 구조를 실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지식경영관리 역량으로 대표되는 지식공유 역량, 혁신역량, 전략적 관리역량은 기회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네트워크 역량은 기회 인식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창업기업의 R&D 역량 및 기술학습 역량은 기회 인식 증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기술혁신 역량을 기회 인식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기회 인식으로 대표되는 매개변수는 종속변수인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구조모형 경로 분석과 함께 성장단계별 집단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식경영관리 역량의 세부변수 중 지식공유 역량, 혁신 역량, 전략적 관리역량이 기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술 전문적 역량 중 R&D 역량과 기술학습 역량이 기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기회 인식 요인이 창업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집단별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위와 같은 결론은 기술창업기업의 기회 인식이 다른 사람들보다 사업기회를 재빠르게 인식하거나 발견하여 벤처기업을 창업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며 창업 자체가 아이디어만으로는 성립되지 않으며,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건이 만족해야 함을 뜻한다. 이와 함께 기회 인식을 인지된 타당성과 인지된 가망성과 관련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재무적인 성과 확대를 위해 영업이익, 투자수익률 등 전반적인 성과를 종합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비재무적 성과에서도 두 집단별 공통으로 기업의 사회적 활동을 계량화해 기업의 계속 경영 가능성을 평가할 필요성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문적 의의는 지식기반관점에 기반을 두어 지식창출과 혁신의 관점에서 핵심적인 독립변수를 도출한 것에 있으며 핵심역량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전문적 역량으로서 경쟁 상대와 차별화되는 역량을 독립변수로 도출하고 사업 성공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쟁우위 원천임을 확인한 것에 있다. 그러므로 기술창업기업이 보유한 핵심역량은 다양한 기능, 기술, 지식의 흐름 등이 통합된 역량으로 볼 수 있으며 특정한 직무 혹은 상황에서 준거에 기초한 능률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조직의 내적 특성을 역량이라고 규명할 수 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지역 혹은 연구대상 바운더리를 좁히거나 창업 유형에 집중하여 4단계 성장별 집단차이를 분석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며 특히, 국내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자원형태 연구와 그에 따른 사업아이템 등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술창업기업의 네트워크 역량은 창업의 촉진 및 육성 등에 관하여 기술혁신 역량과 마찬가지로 초기 기술창업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전반적인 기술창업의 제조업, 지식서비스업종의 중견기업 및 대기업 중장기 계획의 정책적 의미의 제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선행된 연구결과를 함께 보완할 수 있다면 기업 규모에 따른 기술창업기업이 보유한 인적 및 물적 네트워크에 집중하여 성장단계별 성장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기술창업 기업에게 실질적인 제언이 가능할 연구 영역의 확대가 이뤄질 것이다.

      • 작업기억용량 및 신호대잡음비에 따른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과제에서 노년층의 ERP 성분 비교

        송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NR and working memory capacity on the auditory processing of elderly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accuracy and response time between groups, and the average amplitude of event-related potentials(ERP) between groups in the sentence congruency judgment task under the control of Signal to Noise Ratio(SNR). A total of 26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working memory test, 13 people were divided into high working memory group and 13 people were low working memory group. The sentence stimuli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total of 66 sentence pairs of 'correct-incorrect' consisting of 'subject + object + verb'. Incorrect sentences were manipulated to cause a semantic violation in the verb. A white noise was added to the portion of the predicate to be –5 dB, 0 dB and 5 dB SNR in the recorded sentence. The study subjects listened to the sentences as auditory stimuli and then judged the congruency of the sentences when presented as visual stimuli. The experiment measured accuracy and reaction time in sentence congruency judgment task offline, and EEG was measured online to compare the average amplitude of 300ms to 500ms after the critical region. In the behavioral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the working memory groups were not significant, but differences between the SNRs were significant. –5dB SNR conditions revealed inactive performance, confirming that noise is a variable that increases cognitive load and hard of auditory processing. To summarize the discussion on ERP analysis, the mean amplitude of high working memory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low working memory group, and a distinct difference in N400 components between the groups was also observed in the grand average waveform graph. Such intergroup differences have been more evident in the conditions of SNR, which requires more listening effort. In other words, when noise was involved as a hindrance in the process of language processing, high working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 N400 components reflecting the cognition of semantic incongruence. On the other hand, it is interpreted that low working memory group is inferior ability to detect the cognition of semantic incongruence in real time than high working memory group. It is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online instituting ERP at the impact of working memory capacity on older people in processing Korean langu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ERP research with SNR to reflect the interference factors in the Korean language processing process. 2019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5.5%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20). 노인성 난청은 노인 인구가 앓는 흔한 만성 질환으로 보고된다(Lethbridge-Cejku, Schiller & Bernadel, 2004). 청각 처리의 어려움으로 인한 인지 기능의 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전조가 된다고 한 연구들(Gates et al., 2002, 2011; Idrizbegovic et al., 2011; Häggström et al., 2018)과 청각 처리의 어려움은 일상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어렵게 함으로써 노인 인구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연구(Ciorba et al., 2012)는 노인의 청각 처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년층의 청각 처리 능력 저하의 절대적인 변인은 청력 역치가 아니며, 인지 기능 저하와 상호 작용하는 메커니즘(mechanism)임을 설명하려는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Schneider & Pichora-Fuller, 2000; Lindenberger & Baltes, 1994; Baltes & Lindenberger, 1997). 노년층은 청력 역치의 증가와 소음으로 인해 손실되는 청각 정보를 복구하기 위해 인지 부담이 증가한다. 소음 속 청각 처리에서는 빠르게 입력되는 청각 정보를 저장하고 동시에 손실된 정보를 추론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요소 중에서 작업기억용량의 관여도가 높아지나, 노년층은 노화로 인해 저하된 작업기억용량으로 인해 청각 처리에 어려움을 느낀다(Meister, Rählmann & Walger, 2018; Peelle, 2018; Salthouse, 2010, Rönnberg et al., 2010). 국내에서도 청각 처리와 인지 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있다(김경미, 장문영 & 홍은경, 2007; 이성희 외., 2009; 이수정 & 김향희, 2016). 그러나 현재까지는 청각 자극 제시 유형에 따라 노년층의 수행력을 비교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행동 중심 연구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umes(2020)의 연령별 청력 기준에 따라 정상 청력으로 청력 변인을 통제하여 청각 처리 과정에서 신호대잡음비에 따른 소음의 정도와 작업기억용량의 상관관계를 ERP (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ERP 성분 중 N400은 의미적 처리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자극의 제시 후 400ms 근방에서 나타나는 부적(negative) 방향의 전위를 의미한다(Kutas & Hillyard, 1980; Luck, 2014). 본 연구에서는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이하 SNR) 조건에 따라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과제에서 작업기억용량 집단 간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후 300~500ms 구간의 집단 간 평균 진폭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노년층 총 31명으로, 데이터 분석 과정과 대조군 설정 과정에서 5명의 대상자가 제외되어 총 26명의 노년층이 최종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26명의 노년층은 작업기억 검사의 결과에 따라 작업기억용량을 기준으로 작업기억 높음 집단 13명, 작업기억 낮음 집단 13명으로 구분되었다. 실험에서 사용된 문장 자극은 ‘주어+목적어+서술어’로 구성된 총 66개의 ‘타당함-타당하지 않음’의 문장 쌍으로, 타당하지 않은 문장은 서술에서 의미적 위반이 일어나도록 조작하였다. 해당 문장 자극을 녹음하여 –5dB, 0dB, 5dB SNR의 조건을 갖도록 서술어 부분에 백색 잡음을 추가하여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 자극을 청각 자극으로 들은 후 시각 자극으로 제시될 때 서술어 자리의 빈칸에서 문장의 타당성을 판단하였다. 실험은 오프라인(offline) 방식으로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판단 과제에서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을 측정하였고, 온라인(online) 방식으로는 EEG를 기록하여 문장 판단 과제 수행 후, 300~500ms의 평균 진폭 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행동 분석에서는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SNR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 –5dB SNR 조건에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의 수행률이 저조하였는데, 소음이 인지 부담을 증가시켜 청각 처리에 어려움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되었다. ERP 분석을 종합해보면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과 중심선 영역 및 집단에 따른 삼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작업기억 낮음 집단에 비해 작업기억 높음 집단의 평균 진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SNR과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및 집단에 따른 삼차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작업기억용량 높음 집단의 SNR 조건에서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에 대한 평균 진폭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었다.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과 전두-후두 영역 및 집단에 따른 삼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작업기억 낮음 집단에 비해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조건에 따른 전두-후두의 평균 진폭 차이보다 작업기억 낮음 집단의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조건에 따른 전두-후두의 평균 진폭 차이가 유의하게 컸다. SNR과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및 중심선 영역과 집단에 대한 사차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통계 결과, 작업기억용량 집단 간 차이보다는 작업기억용량 낮음 집단 내의 중심선 영역에서의 평균 진폭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SNR과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좌우 반구, 전두-후두 영역 및 집단에 따른 오차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억용량 높음 집단에서 SNR과 문장의 의미적 타당성, 좌우 반구 및 전두-후두 영역 간 사차상호작용의 유의확률이 유의수준에 근접하게 나온 것으로 보아 작업기억용량 높음 집단의 활성화된 N400 성분이 작업기억용량 낮음 집단보다 오차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ERP 분석에 대한 논의를 요약하면, 작업기억 높음 집단의 평균 진폭 크기가 작업기억 낮음 집단의 평균 진폭 크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으며, 작업기억용량 집단 간 평균 파형 그래프와 상호작용 그래프에서도 집단 간 N400 효과에 대한 뚜렷한 차이가 확인된다. 즉, 작업기억 높음 집단이 작업기억 낮음 집단보다 N400 효과가 부적 방향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집단 간 차이는 청취 노력이 많이 들어가는 SNR의 조건일수록 더 명료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언어 처리 과정에 소음이 방해 요인으로 개입하였을 때, 작업기억 높음 집단은 의미적 오류의 인지를 반영하는 N400 성분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작업기억 낮음 집단은 실시간으로 의미적 오류의 인지를 감지하는 정도가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에 비해 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언어 처리 과정에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작업기억용량이 언어 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ERP를 통해 온라인으로 살펴본 첫 시도이며 언어 처리 과정의 방해 요인을 반영하기 위해 SNR을 세분화하여 적용한 ERP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모바일 앱을 활용한 문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성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송세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rammar learning of adult learners using a mobile application named ‘Kahoot’ and usefulness of this learning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Seoul. Each group has six participants and they participated in a class for four times. In the beginning of the class, they listened to the explanation of the target grammar through PPT slides. Reviewing the material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 game-based mobile app whereas the control group used a worksheet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learning way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grammar learning using a mobile app affects adult learners’ grammar skills. To verify this, the learners were asked to take a pre-grammar test and a post-test, which were later analyzed via paired t-test. After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roved more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during four times of the classes, all the learners in each group took a review test of the contents that they have learned, using different methods. Consequently, the experiment group accomplished a better outcome than the other. As a result, it indicates that the mobile app learning is effectual on enhancing the grammar skills of adult learners. The second question is to examine how grammar learning with the app changes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new learning approach. After proceeding and analyzing a surve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Digital Nativ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expressed that it was easy to use the app and they also perceived it as an interesting way of learning grammar. Learning through a mobile app made them get more involved in the classes without feeling overwhelmed.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the survey was that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lthough it was only for four times, this success is a crucial affection in improving English capability for them. Not only that, this mechanism can also encourage the learners who are unsatisfied with the traditional grammar learning. The last question is about the usefulness of the mobile app grammar learning.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students answered that the mobile app enabled them to concentrate better and take part in the class more active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obile app has contributed to reinforce students’ learning participation. Besides, they fully accepted the contents and the app was effective for them to review as well. Since the app consists of games, teachers should try to guide students to target on the purpose of their study, instead of focusing on the program itself. Even though it is concerned to use the mobile app for teaching learners in a classroom or at a lecture, it is essential for teachers to try this method and lead to a success, considering learners’ needs and their circumstances. Through this study, it concludes that the usage of mobile app in teaching grammar to adult learners is influential in promoting their grammar skills and perception of this method.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 is proved in that it motivates students to understand and focus on the subject in class. However, this study some limitations. It is processed throug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in a particular area and its short experiment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