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송명재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참가를 통해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도와 자아탄력성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건전한 스포츠 문화와 평생체육으로의 발전 및 건강한 삶의 목표와 행복한 학교생활을 기대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8년 대구광역시에 거주중인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모집단으로 선정, 편의표본추출법으로 400명의 표본추출을 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작성,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47명의 표집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조구는 설문지법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지지, 교사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기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빈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지지, 또래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통제, 활력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성, 호기심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여강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이 자아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요인에서는 또래지지 요인과 교사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활력성 요인에서는 또래지지 요인과 부모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낙관성, 호기심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에의 참가는 사회적 지지도와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스포츠클럽 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 활동에의 참가를 통해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도와 자아탄력성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건전한 스포츠 문화를 형성하고 학교생활에의 적응 및 행복한 학교생활을 기대할 수 있도록 각양각색의 스포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성과에 대한 관리실무자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송명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주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의 자원봉사 실무자를 조사 연구하여 사회복지기관의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효과, 대학생의 자원봉사자 활동이 사회복지기관의 어떤 부분에 기여하고 있으며 좀 더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주시 사회복지기관의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활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 자원봉사활동이 기관의 업무 절감, 예산 절감, 기관 이미지, 기관 홍보에 대체로 만족 하는 결과를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자원봉사자 활동이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기관의 서비스 질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에 따른 활동 수혜자들이 기관의 서비스 질과 이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주시 사회복지 기관의 관리 실무자의 자원봉사 관리업무 내용과 체계를 알아본 결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사전 기획, 자원봉사자 모집, 배치 및 업무부여, 자원봉사자의 교육, 자원봉사자의 활동내용 개발은 많이 적용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현재하고 있지 않지만 고려 중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의 평가에 대한 내용은 실행하고 있지만 자원봉사 시간만 체크해주는 형식적인 결과를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도 현재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관리 실무자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효과 분석 결과는 자원봉사 관리 실무자가 대학생 자원봉사 관리 업무의 양에 대해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관리 실무자의 전체 업무 중 대학생 자원봉사 관리 업무 비율은 기관에서의 관리 실무자 업무 중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전주시 사회복지 기관 관리실무자가 인식하는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만족도 차이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조사하였다. 기관의 직원수, 자원봉사 담당경력, 관리 실무자의 자격증 소지, 전문성의 필요성에 따른 대학생 자원봉사 만족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관리 실무자의 자격증 소지에 따라 자원봉사 활동 결과 만족도, 기관의 업무 절감 만족도,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실무자의 전문성의 필요성에는 기관의 업무 절감에 도움, 자원봉사자의 서비스 질의 향상, 자원봉사활동의 수혜를 받은 대상자의 만족도,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고, 기관의 직원수에 따른 결과는 자원봉사활동 결과에 대한 만족도, 기관의 업무 절감에 도움, 기관 이미지에 도움, 기관 홍보에 도움,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서비스 질의 향상, 수혜를 받은 대상자의 만족도,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향상, 자원봉사자의 일자리 창출, 자원 활용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자원봉사의 활성화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 내 자원봉사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전담기구의 설치와 전문 인력의 배치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는 학점과 관계없이 자발적인 참여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학점이라는 인센티브를 통하여 많은 학생이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자원봉사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은 자원봉사를 활성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 중의 하나가 봉사활동이 기능별, 지역별로 조직화하고, 전문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대학의 자원봉사활동은 자원봉사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 사회 단체나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 Study on effects of sloshing loads on fatigue strength of independent B-type LNG tank

        송명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load effects due to sloshing on the fatigue assessment of an IMO independent type B LNG tank. The selection of the cargo containment system type and the number of cargo tanks of large LNG carrier or LNG FPSO (FLNG) is mainly related to the sloshing problem. In contrast to earlier design concept, nowadays the LNG carriers and FLNG are considered to be operating at intermediate loading condition in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ost popular LNG containment system for the FLNG is an independent prismatic tank categorized as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ype B tank, in which the ship hull supporting the LNG tanks. It is recognized that the independent prismatic tank type B is free from possible liquid sloshing inside the tank in the view point of the strength. However in the view point of fatigue assessment of the cargo tank, it needs careful verification in accordance with IMO type B independent tank requirements. The sloshing pressures at the internal structures of DSME ACTIB (Aluminum Cargo Tank Independent type B) LNG cargo tank are predicted based on scaled sloshing model tests to calculate fatigue damage for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tank. The chaotic nature of the sloshing causes difficulties in the conventional spectral fatigue analysis method for the fatigue analysis of internal structures of the LNG tanks. In this thesi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load effects due to sloshing impact on the fatigue analysis of an independent type B LNG tank, DSME ACTIB, is carried out. A scaled model tests with 2D tank including internal structured are performed to predict the long-term responses of sloshing pressures near the internal structure at each cell of designated wave scatter diagram, IACS 34 North Atlantic wave scatter diagram. A schematic procedure for fatigue assessment of independent type B LNG tank based on sloshing model test is proposed, and applied to fatigue assessment of LNG tank of a 210k FLNG. Finally, integrity of the internal structure member of an independent type B LNG tank against fatigue due to sloshing impact is to be verified. 최근의 천연가스에 대한 수요 증가는 해저 천연가스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수의 해저유전은 육상 플랜트 등의 기반시설이나 해저 파이프라인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상에서 천연가스의 생산, 저장 및 하역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해양구조물인 FLNG가 제안되었다. FLNG의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 결과로 FLNG는 해저천연가스 개발을 위한 적절한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FLNG와 관련된 주요 유체역학적 기술은 1) 하역작업을 위한 FLNG와 LNG운반선으로 구성되는 다물체 시스템의 거동, 2) FLNG 화물창내의 슬로싱 및 관련 응답 및 3) FLNG와 계류시스템간의 연성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슬로싱문제는 FLNG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의 형태로 보관하는 화물창의 형태 및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FLNG는 해상에 설치된 상태로 천연가스를 생산하여 액화천연가스 상태로 화물창에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파이프라인 또는 LNG 운반선을 통하여 하역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FLNG의 화물창에는 액화천연가스가 부분적으로 적재 되는 상태가 반복으로 발생하며, 이때 화물창의 벽면에는 슬로싱에 따른 충격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FLNG의 부분적재 특징에 의해 FLNG에 적용되는 LNG 화물창의 형태는 IMO B형 형태의 독립형 탱크가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B형 독립형 탱크는 슬로싱 하중에 따른 구조강도 측면의 문제는 없다고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FLNG에 설치되는 탱크의 크기가 대형임에 따라 슬로싱 하중에 의한 피로강도는 의문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LNG에 적용되는 IMO B형 독립형 탱크의 피로강도에 대한 슬로싱 하중의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슬로싱 현상은 외력의 크기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는 비선형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스펙트럴 피로해석 방법을 직접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슬로싱 하중에 의한 국부구조의 누적피로손상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이로부터 응력분포함수를 직접 구하여 화물창 내부 구조부재의 피로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따라 IMO B형 독립탱크를 적용한 210k FLNG의 화물창 내부 구조부재에 대한 피로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 U-Net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비정상 비행 탐지 기법 연구

        송명재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 무인항공기(UAV)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인항공기의 활용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무인항공기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심각한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기의 비정상 비행 상태를 탐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AutoEncoder 모델과 Mahalanobis 거리 기반 비정상 비행 탐지 기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U-Net 기반 비정상 비행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탐지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정된 U-Net 모델과 Mahalanobis 거리 증가량 기반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제안 탐지 기법이 기존 탐지 기법에 비해 탐지 성능과 처리 시간이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한 기법이 Jetson TX2 기반의 테스트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ese days, unmanned aerial vehicle(UAV) is widely utilized in various fields. However, as the use of UAV expand rapdly, interest in ensuring the safety of UAV is increasing significantly. These accidents can result in significant property damage and loss of lif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technology detecting abnormal flight states of UAV and preventing the accidents. Recently, a technique detecting abnormal flight states of UAV has been suggested based on AutoEncoder model and Mahalanobis distance based-abnormal flight determination criteria. In this thesis, a U-Net based-abnormal flight detec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etection technique, the modified U-Net model and new determination creteria based on the increasing rate of Mahalanobis distance are introduced to the proposed technique.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utperforms the detection performance and the processing time compared to the existing detection technique.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operated in real-time on a test environment based on Jetson TX2.

      •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송명재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Efficient methods for creating targeted genetic modifications have long been sought for the investigation of gene func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modalities for various diseases, including genetic disorders. Although such modifications are possible using custom-designed artificial nucleases are currently in use ie. Zinc finger nucleases (ZFNs), TAL effector nucleases (TALEN) and CRISPR/Cas9-based RNA guided RNA endonucleases (RGEN). Among them, RGEN based genome editing was found to be more efficient and easy to clone. RNA-guided endonucleases (RGENs), which are based on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 (CRISPR)-CRISPR-associated (Cas) system, have recently emerged as a simple and efficient tool for genome editing. However, in vitro genome editing using CRISPR system is successfully achieved in mouse, drosophila, c eligans and human cells, it’s in vivo usage in multi-cellular organism is not yet been iv tested. In this study, we delivered RGEN plasmid DNA that express eGFP targeting guided RNA to eGFP expressing mouse by intradermal injection using Lipidoid. Our resul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eGFP signals at the site of injection indicating efficient silencing of eGFP gene in vivo. Thus, the RGEN system can be used to knock out specific genes at specified site in vivo, providing a potential tool for in vivo gene therapy using CRISPR.

      • In vivo high-throughput profiling of CRISPR-Cpf1 activity

        송명재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Programmable nuclease is useful tools for genome editing at site-specific locus. For high efficiency of genome editing, it is important that programmable nuclease has high activity. Because Cpf1 is a newly reported nuclease protein of the class 2 CRISPR-Cas system (Zetsche, Gootenberg et al. 2015), it has limited information about Cpf1 activity profiles in mammalian cells. For this reason, Cpf1 preclude its wide use for genome editing. Here, we developed a new high-throughput method for evaluating Cpf1 activity, based on target sequence composition in mammalian cells. A library of >11,000 guide RNA and target sequence pairs was delivered into human cells by lentiviral vectors. Subsequent delivery of Cpf1 in various methods into this cell library induced indels at the integrated synthetic target sequences, which allowed en masse evaluation of guide RNA and Cpf1 activity using deep sequencing. Regardless of delivery method of Cpf1, our hight-throughput method showed similar results and the indel frequencies measured at the integrated target sequences correlated with those at the corresponding endogenous sites. In this high-throughput approach, we determined target sequence-dependent activity profiles and newly protospacer adjacent motif sequences of Cpf1 in mammalian cells. And we found that sequence features of high activity AsCpf1 guide RNAs are distinct from those of SpCas9. Evaluation of activity at mismatched target sequences showed that Cpf1 target sequences can be divided into seed, trunk, and promiscuous regions depending on mismatch tolerability. Both the Cpf1 characterization profile and the in vivo high-throughput evaluation method will greatly facilitate Cpf1-based genome ed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