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超小形 레이더 시스템을 利用한 드론 SAR/ISAR 映像 獲得에 關한 硏究

        송경민 韓國航空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대역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는 기동중인 레이더가 고정된 표적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SAR 시스템은 전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상 조건과는 무관하게 언제든지 관측이 가능하므로, 드론과 같은 고 기동 비행체에 탑재된 레이더는 SAR 영상으로 전천후 감시 능력을 부여하여 확장된 임무 수행이 가능하게 하고 SAR 영상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드론에서 운용되는 SAR의 기하구조는 드론을 탐지하는 드론 '역 합성 개구 레이더(ISAR: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의 기하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센서로는 어려운 드론 탐지에 SAR/ISAR 기술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위협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소형화된 FMCW 레이더를 드론에 적용하여 드론 SAR/ISAR 실험을 수행하였고, 드론 SAR/ISAR 영상 형성 알고리즘에 대해 다룬다. 드론에서 운용되는 SAR의 기하구조는 드론을 탐지하는 드론 ISAR의 기하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레이더 시스템으로 드론 탐지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고 이에 앞서 자동차 SAR, 드론 SAR 영상을 형성 했다. 움직이는 드론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개의 마이크로 도플러로 인한 영상 품질 저하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드론 회전 날개에 의한 마이크로 도플러 분포를 파악하고, 특정 대역에서의 위상 신호 보상 과정을 제안한다. 마이크로 도플러에 의한 영상 품질 저하를 해결하여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드론 3종에 대한 영상을 획득 한 후 초소형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한 드론 ISAR 영상 획득 및 탐지 활용 가능성을 함께 보인다.

      •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송경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ristian mission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how intrinsic,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s, collaborative, deferring, self-directed coping styles, and in-group, out-group social supports are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these students. A total of 231 university students who belong to one of the eight missionary agencies from Seoul, Kyeongki, Incheon, and Jeonju completed a survey which consists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Religious Orientation Scale, Religious Problem Solving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ose who reported a lower level of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a higher level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As for the religious coping,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ing coping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in-group social support experienced a lower level of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ligious education were discussed. Also,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재적, 외재적 종교성향, 협력적, 의존적, 자기주도적 종교적 대처, 그리고 집단 내외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소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8개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서울, 경기, 인천, 전주 남녀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소진 척도, 종교성향 척도, 종교적 문제해결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이 낮을수록, 외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 대처와 관련해서는, 자기주도적 대처가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과 종교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김일성의 대미관 변화에 관한 연구 : VICS기법을 활용한 운영코드 비교분석

        송경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김일성의 대미관 변화를 Verbs in Context System (VICS)이라는 양적 분석기법을 활용해 그 특징적인 패턴과 성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의 대미 인식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때, 학술적, 정책적, 국제정치적 쟁점이 되고 있는 “북한의 대미 인식이 어떻게 형성, 발전, 변화되면서 오늘의 ‘북한문제’를 형성시키고 있는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체계적인 대안모색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최고정책결정자의 신념체계와 외교정책행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VICS방법론을 활용해 김일성의 운영코드(Operational Code)를 비교분석하였다. 원래 소련 볼셰비키 분석에서 시작된 운영코드는 정치인의 신념체계를 정치의 본질에 대한 신념체계인 ‘철학적 신념’과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는 수단에 대한 신념인 ‘도구적 신념’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체계적으로 내용분석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이런 전통적인 운영코드 내용분석을 동기이론과 결합시켜 최고정책결정자의 공적 언술 중 ‘동사’의 성격 변화를 기초로 통계적 계량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VICS방법론을 활용하였다. 특히 VICS 값을 자동으로 코딩하는 프로파일러 플러스(Profiler Plus)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1차 자료를 계량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 최고정치지도자 김일성의 대미관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50년대 한국전쟁 시기, 냉전이 최고조에 달했던 1968년도에 발생한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시기, 그리고 1990년대 초반 탈냉전이 시작된 1차 핵위기 시기 등 3개 시기에 표명된 김일성의 56개 언술자료에 나타난 김일성의 운영코드를 시계열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지속성과 변화 양상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런 3개 시기 비교를 통해 김일성의 냉전기와 탈냉전기 대미관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김일성의 운영코드 중에서 지속과 변화에 대한 질적 내용과 계량적 추세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탈냉전 이후 북한의 대미관의 성격과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가늠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3개 시기는 김일성이 미국을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체험하는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과의 직접접촉을 통해 김일성의 대미 인식이 어떤 형태로든 가장 직접적으로 표출되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VICS기법을 활용한 김일성의 운영코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김일성의 대미관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 패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김일성의 대미 인식은 긍정적인 우호와 부정적인 적대성이 혼재하는 ‘혼합’의 상태를 나타냈다. 둘째, 김일성의 대미행위의 동기 이미지가 미국은 매우 권력지향적인 동기와 중간 정도의 성취욕을 가진 것으로 보는 반면에, 북한은 명확히 협력적 동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소속의 욕구도 명확하며, 성취동기도 중간 정도를 가진다는 동기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김일성의 대미행위에서 상호작용의 성향이 시계열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계열적으로 점차 우호성이 증가하고, 전체적으로 협력전략의 강화추세 속에서 갈등과 협력을 복합적으로 결합시키는 성향이 강해지고, 전 시기에 걸쳐 협력과 갈등의 결합, 말과 행동의 결합이 매우 높게 이뤄지는 유연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김일성의 대미 전략적 성향은 전체적으로 ‘유화전략’으로 귀결되는 회유나 공갈의 전술을 선택하는 경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김일성의 대미 전술적 성향은 높은 유연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북한의 적대적이고 부정적인 대미 인식의 지속성 문제가 세심하게 분석되고 조심스럽게 평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국제체제 수준과 국가 수준, 그리고 개인 수준을 구분하여 평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대미외교정책상의 전략과 전술과도 구분하여 객관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또 북한의 대미외교정책행위를 동기차원에 주목하면서 대미외교정책행위의 성향과 전략 및 전술상의 변화에 대해 종합적이고 세부적으로 접근해야 그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파악될 수 있다. 나아가 북한의 전략적 상호작용의 유형에 주목함으로써, 일반화를 통한 북한협상전략의 일반적 이해가 부각시키는 북한지도자의 비합리성을 지나치게 과장하지 않고, 특수성을 통한 북한협상전략의 이해가 부각시키는 동정심과 분쟁회피 심리를 과대평가 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Kim Il Sung’s changing perception of the United States by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Verbs in Context System. By objectivel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DPRK’s view of the US, we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academic, policy, and international political question, “how has the DPRK’s view of the US been molded, developed, and changed to form the current ‘North Korean problem?’ By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a basis upon which a policy solution can systematically be form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system and the foreign policy decision made by the individual decision maker at the highest level of authority, this dissertation uses the VICS method to comparatively analyze Kim Il Sung’s Operational Code. OCs were originally used to analyze the Bolsheviks by first distinguishing the belief system of politicians into “philosophical beliefs” that are about the fundamental nature of politics and “instrumental beliefs” that are about how political goals should be achieved, and then systematically conducting content analysis. This study combines this traditional OC content analysis with motive theory and conducts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VICS method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of verbs used in public by the highest decision maker changes over time. In particular, the primar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filer Plus program that automatically codes the VICS measure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DPRK’s highest decision maker Kim Il Sung’s perception of the US, this dissertation comparatively analyzes his OC through 56 speeches made during three periods - the Korean War in 1950, the Pueblo incident of 1968, and the first nuclear crisis in the early 1990s - thereby suggesting a pattern of change and continuity. By comparing these three periods, Kim Il Sung’s Cold War and post-Cold War view of the US can systematically be analyzed and the pattern of his changing perception quantitatively and specifically captured, thus allowing a more objective and firm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DPRK’s view of the US after the Cold War. Not only were these three periods times in which Kim had direct contact and experience with the US, his expression of his perception of the US were the most direct in these three periods. By using the VICS method to analyze Kim’s OC, this dissertation finds the following patters of his perception of the US. First, his perception were “mixed” with positive friend and negative hostility. Second, Kim's motivational imaginary was that the US was highly motivated by power and intermediately motivated by achievement, while the DPRK had a clearly cooperative orientation and needs for affiliation, together with intermediately strong motives for achievement. Third, Kim’s percep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PRK and US saw a meaningful change. Specifically, friend-oriented direction became stronger, a mixtur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occurred within an overall strengthening of a cooperative strategy, and a consistent flexibility of tactic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rough the combination of conflict and cooperation, and the combination of words and deeds can be seen. Fourth, Kim’s strategic interaction towards the US displayed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appeasement strategy” through tactical appease and tactical bluff. Finally, his tactics were characterized by the high flexi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blem of the DPRK continuously viewing the US in an hostile and negative light needs to be analyzed in more detail and evaluated more cautiously. Not only must such evaluations need to distinguish the individu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of analyses, it must occur objectively and independently of policies and strategies towards the US. Also, only by focusing on the motives of the DPRK’s foreign policy towards the US and comprehensively and meticulously approaching the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strategies, and tactics of such policies can we better understand the tendencie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at by focusing on the pattern of the DPRK’s strategic interaction, we can avoid the gross generalization about the DPRK’s negotiation strategy as derivative of North Korean leaders being irrational, while also avoiding overestimating the apathy and conflict-avoidance that specific knowledge of North Korean negotiating strategies bring about.

      • Fire Detection and Semantic Fire Image Segmentation using Deep Learning

        송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딥 러닝은 다양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주제이다. 딥러닝은 이미지 분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였으며, 이후 컴퓨터 비전의 이지미에서 객체 감지 및 시맨틱 분할에도 적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뛰어난 성능을 가진 딥 러닝을 사용하여 화재 이미지 감지 및 분할 작업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딥러닝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화재 이미지 분할 딥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소규모 네트워크를 제안하였고 이를 임베디드 장치에 적용했다. 여러가지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화재감지와 화재 이미지 분할에서 기존의 기법보다 좋다는 점을 보였다. Recently, deep learning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and powerful topic in various research fields. It has shown excellent performance in image classification and has been applied to the fields of object detection and semantic image segmentation of computer vision. In this thesis, we proposed deep neural networks suitable for fire image detection and segmentation tasks with excellent performance. In addition, we proposed a small-sized network for fire image segmentation based on squeezed deep-learning techniques and applied it to an embedded device. Several extensive experiment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its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s for fire detection and image segmentation.

      • 생활문화예술을 통한 베이비붐세대 사회적 활동 재활성화 방안 연구

        송경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iverse needs of baby boomers who have to spend a long period of retirement after retirement can be me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rough culture and arts in their daily lives. At present, the nation is undergoing changes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due to the rapid aging phenomenon. In particular, with the entry of the super-aged society just around the corner, culture and arts are drawing attention as a healing and emotional alternative for them, and the government is urged to come up with policies for them. In addition, the key to their remaining lives is how they will use their leisure time, which has in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past, due to an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and early retirement. For this reason, it was decided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culture and arts could be presented as an emotional alternative to social welfare and retirement measures, economic life instability, and healthy life in preparation for the early aging society that will soon arrive. In response, the study developed and planned the living culture and arts program <My Cultural Heritage, Blindingly게, and conducted monitoring and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s aged 55 to 65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Based on this, the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perceptions of living culture and ar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policy for the ag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various measures to support their successful post-retirement lives, but most of the policies and systems have been found to be implemented uniformly without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That is wh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achieved. The baby boom generation, which currently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nation's elderly,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ly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strong desire to participate in society compared to the existing elderly. In addition, for those who had long free time after retirement due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ey wanted to suggest living culture and arts as an alternative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aging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three shapes of life beyond simple hobbies and welfare. First, retirement in the labor marke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life, but for retirees in our country, the satisfaction level after retirement is very low. One of the reasons is that most senior citizens are facing retirement without sufficient funding to lead long-term plans and lives after retirement. Accordingly, comprehensive measures for retirement management and the elderly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overall management of retirement problems are needed. Second, therefore, living culture and arts can reveal and express their hidden selv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help the creativity content based on sensibility and originality. I would like to suggest living culture and arts as an alternative so that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ith their daily lives can enjoy culture and arts without discrimination, and that middle-aged people who start a second life can expand into new values in their lives. Most of the living culture and arts that we have seen in the current research process are carried out in a uniform genre focused on practical skills such as drawing and making.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is notion and expan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ooking at everything enjoyed in everyday life as a living culture and art. Third, the nation's baby boomer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ir retirement assets alone are not enough to maintain their living expenses for retirement and they have to continue their income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If hobby and leisure life, not just income activities of labor, are linked to economic activities, accumulated capital can be recycled and recreated to pave the way for their third life. Therefore, 1)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New Year resource center that can share diverse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of new middle-aged people and continuously educate and manage them to set specific directions, 2) develop and open an empty space in the area where culture and arts can be realized in daily life to gain independent participation and 3) establish a practical and active support policy process so that the accumulated capital of new middle-aged people can be recycled in various areas. 본 연구는 은퇴 후 장기간 노후를 보내야 하는 베이비붐세대의 다양한 욕구를 생활 속 문화예술을 통해 양적으로, 질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초 고령사회의 진입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화예술은 이들을 위한 치유와 정서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의 증가와 이른 은퇴로 인해 이들이 과거에 비해 급격히 증가 된 여가생활의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가 이들의 남은 생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머지않아 도래할 초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적 복지마련과 노후 대책, 경제적 삶의 불안정성 해결과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서적 대안으로 생활문화예술을 통한 향후 지향점에 대해서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 <나의 문화유산, 눈이 부시게>를 개발·기획하여 55-65세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모니터링과 인터뷰, 문화예술정책 방향과 현황 실태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활문화예술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현대 사회의 고령화와 베이비붐세대를 위한 문화예술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들의 성공적인 은퇴 후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에 힘을 쓰고 있지만 대부분의 정책과 제도는 이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파악이 부족한 상태에서 획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발적 참여와 만족할만한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는 기존의 고령자에 비해 특히 학력이 높고 사회 참여 욕구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기대수명의 증가로 은퇴 후 장시간 자유 시간을 보내게 된 이들에게 단순 취미, 복지를 넘어 인생의 3모작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생활문화예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첫째, 노동시장에서의 은퇴는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지만 우리나라 은퇴자의 경우 은퇴 후의 만족도가 매우 저조하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은퇴 후의 장기적 계획과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을 마련하지 못한 채 은퇴를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퇴관리와 고령자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과 은퇴자 문제를 총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이에 따라 생활문화예술은 감춰둔 자신을 드러내고 표현할 수 있으며, 감수성, 독창성을 기반으로 창의성 함량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이 일상성을 가지고 모든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차별 없이 문화예술을 향유하며,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신중년들이 자신의 삶 속에 새로운 가치로 확장할 수 있도록 생활문화예술을 대안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현재 연구과정 속에서 살펴본 대부분의 생활문화예술은 그리기, 만들기와 같은 실기 위주의 획일적인 장르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관념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서 향유하는 모든 것을 생활문화예술로 바라보는 개념과 범주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의 베이비붐세대들은 은퇴 후 노후를 위한 생활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은퇴시점의 자산만으로는 부족하며 은퇴 후에도 소득활동을 계속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단순 노동의 소득활동이 아닌 취미여가생활이 경제활동으로 연결 된다면 축적자본을 재활용하여 재창조하여 그들의 제 3의 인생의 발판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1) 신중년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이들을 지속적으로 교육・관리할 수 있는 신중년 자원 센터를 설립하여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2)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의 빈 공간을 개발, 개방하여 일상 속으로 접근하여 주체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3) 지역은 신중년의 축적자본이 다양한 영역에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정책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다.

      •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전개과정과 발전방향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활동을 중심으로

        송경민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의 식량난을 계기로 하여 발생한 국내 대북 인도지원 운동은 10년이라는 기간을 걸쳐 통일분야에 있어 주요한 운동적 흐름을 형성하여 왔다. 국내에서 최초로 북한 지원을 위한 전문단체로 설립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을 비롯하여 현재40여개가 넘는 기관에서 대북 인도지원 운동을 꾸준히 전개해 오고 있다. 운동이 진행되어 오는 과정에서 강릉 잠수함 사건, IMF 경제위기, 사스(SARS), 2004년 조문 파동으로 인한 경색 국면의 장기화 등 외부적인 요인과 이른바 '퍼주기론'을 비롯하여 북한 경제난의 장기화 및 핵문제, 인권 문제 등을 이유로 한 대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여론, 지원 피로 현상 가중화 등 여러 제약 조건에도 불구하고 대북 인도지원 운동은 10년여에 걸친 생명력을 유지해 왔다. 한때 제2의 3.1운동이라 불릴 정도로 폭발적으로 진행된 국내 대북 대북인도지원운동은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활동 강화,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 결성 등 국내 지원 단체간,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쉽 강화, 대북지원 국제기구들과의 네트워크 안정화 등에 힘씀으로써 대북 인도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모색까지 그 활동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국내에서 대북 인도지원을 주요한 목적으로 결성된 최초의 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창립 시기 대북 긴급구호 사업의 신속한 전개 뿐 아니라, 2004년 평안남도 용천 폭발사고 당시에도 룡천역폭발사고피해동포돕기운동본부 구성을 주도하는 등 신속한 대북지원에 앞장서 왔다. 또한, 알용닭공장 건립, 농기계 수리공장 건립, 정성수액약품공장 설립, 조선적십자병원 지원을 비롯한 병원현대화 사업 등 규모 및 기간에 있어 전문성과 장기성이 요구되는 개발지원 분야에 있어 성공적인 선례를 창출하였다. 아울러 기존 통일운동에 소극적이었던 종교계, 시민단체, 직능단체, 지자체 등을 대북인도지원운동에 동참시키고 남북 교류의 주체로 세워 내었다는 점에서 통일 운동의 확대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국내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주요한 흐름은 초기의 긴급구호적 지원에서 농 업, 보건의료 및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모색하는 개발협력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각종 정치적 상황 및 운동의 발전 상황을 고찰할 때 전환기 적인 시점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향후 대북인도지원 운동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효율적인 대북 인도지원 시스템 마련 및 모금 재원의 안정적 구축이다. 현재,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 구성, 민관 합동사업 추진 등 효율적인 대북 인도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진행되고 있다. 또 한 장기적이고 규모있는 개발지원 사업이 추진됨으로써 지원에 소요되는 재원 역시 상당한 규모로 일정기간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 부분은 민간 차원의 재원 조달뿐만 아니라, 남북교류 협력 기금의 확충, 남북지원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대정부 파트너쉽 강화와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대북 인도지원 단체의 체질개선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기존의 명망가중심의 운동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후원회원의 확보, 발런티어 그룹의 참여 보장, 농업, 보건의료 등 개발협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그룹과의 파트너쉽 강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대북 인도지원 운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한반도를 둘러싼 각종 정치적 상황 변화에 대한 대처, 국내외 대북지원에 관한 부정적 여론 및 지원 피로현상의 극복 또한 대북인도지원 운동의 과제 중 하나이다. 대북인도지원운동의 필요성 및 이 운동이 향후 남북관계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북한 경제난 해소에 관한 청사진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북지원운동과 관련된 학술적 과제로는 첫 번째, 국내외 대북인도지원 운동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이 운동이 북한 경제난 해소에 미친 효과 분석, 두 번째, 개발 NGO 및 통일 NGO 로서의 이중성을 띠고 있는 국내 대북인도지원 단체들에 대한 위치 구분 및 성격 분석, 세 번째, 이 운동이 남한 및 북한, 국제사회에 미친 각종 정치사회적 영향 분석, 네 번째, 대북인도지원 단체와 정부 및 기타 통일NGO 들과의 대북지원 분야에 있어 차별성 분석 및 협력과제 선정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북인도지원 운동은 분단이라는 특수한 조건, 돌발적인 북한 식량난의 발생 등을 배경으로 한 가운데, 인도주의, 동포애를 기반으로 10년여간 발전해 온 새로운 형태의 운동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 운동은 이 운동은 지원운동을 통한 북한 경제난 해소에서 나아가 남북 교류의 매개자, 정치적 경색 국면 속에서 남북관계 모멘텀 유지 등 평화운동 차원에서도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운동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연구는 남북관계 개선, 한반도 평화정착, 통일과 그 이후 우리 사회 발전에 이르는 청사진 마련에 필요불가결한 작업이라 보여진다.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 for North Korea which started in Korea to solve North Korea's food shortage has been creating a favorable atmosphere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importantly over the last decade. Currently, more than 40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n Sharing Movement established as a special group, ever-first in South Korea to support North Korea are engaged in humanitarian aids for North Korea. In this process,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s have survived various external and internal obstacles. The examples of external obstacles were Kangrung submarine incident, IMF bailout program, SARS, long political tension caused by refusal of the condolatory call by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04, etc., while the internal obstacles were 'argument against the unconditional aid to North Korea', and negative public opinion due to extended economic hardship of North Korea, nuclear issue, human rights issue, etc., South Korean people's sentiment of 'pouring water into a bottomless jar', and so on.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 campaigns for North Korea once propelled strong enough to be called 'A Second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re expanding the sphere of their activities: reinstatement of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reinforcement of partnership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or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as exemplified by Korea NGO-Government Council for Aids to North Korea, stable networking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ven establishment of a humanitarian aid system for North Korea. Korean Sharing Movement organized first in South Korea to give a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has led prompt aids to North Korea; the movement has given various emergency aids to North Korea since its establishment including Ryongcheon Railway Station Explosion Victims Relief Campaign in 2004. In addition, the movement have set successful precedents for the longer-term professional projects in terms of scale and period such as egg-laying chicken factory, farming machine repair shop, Jeongsung Ringer Medicine Factory, Chosun Red Cross Hospital and other modern hospital project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o see that Korean Sharing Movement has encouraged such organizations passive thus far for unification movement as religious, civil,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o participate in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nd therefore, that it has been reputed for a leader of South-North exchanges. Currently, the main stream of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departs from the emergency aids at its earlier stage towards developmental cooperation for agriculture, health and medicine and systematic subsidies to the poor class.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of inter-Korean political situation and various movements,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may well be at their turning point. In this context, the future challenges for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may be summed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raise a fund for the humanitarian aids under a stable system, although diverse efforts to establish an efficient humanitarian aid system are being made: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Korea NGO-Government Council for Aids to North Korea, various joint NGO projects, etc.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a considerable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for longer-term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for North Korea. Such a fund should consist of private funds raised and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Fund expanded through reinstatement of relevant codes. Second, it is required of the relevant organizations to enhance their role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be reorganized into more professional groups with a broader spectrum of sponsors beyond the conventional celebrities and more volunteer sub-groups, being networked through partnerships with experts eligible for agricultural and health & medicar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a direction for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nd thereby, design effective strategies thereof. Another challenges will be to respond wisely to varying political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urmount some critical public opinion against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s well as people's perception of 'pouring water into a bottomless jar'. In this vein, it is essential to justify the humanitarian aids, analyze their positive effects on development of South-North relationship and draw the blueprint to help solve the North Korean economic hardship. Besides,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re beset by the following academic challenges; first, it is required of the academic circle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he humanitarian aids by South Korea and foreign nations to North Korea and analyze the effects of such aids on resolution of North Korean economic difficultie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nature of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 organizations as development and unification NGOs; third, it is deemed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socio-political effects of the humanitarian aids o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community; fourth, it is desirable to analyze various South-North cooperative projects pursued by humanitarian groups, government and unification NGOs as well as their priorities. In conclusion,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s is a new type of NGO movements evolved over the last decade based on humanism and fraternity invoked by the special condition of national division and sudden foods shortage of North Korea. Moreover, this campaign expands its roles as intermediary of South-North exchanges and peace keeper maintaining a momentum for development of South-North relationship against political stalemates just beyond its volunteer activities for resolution of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Careful analysis of and research into this campaign may be a pre-requisite for a blueprint to improve South-North relationship, establish a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unify it and develop our society.

      • 한국 현대소설의 생태학적 인식 연구

        송경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the world is facing a seriou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or instance, global warming, ozone layer destroyed, contaminated water, and reduced number of creature′s species, etc, which may jeopardize the future. The ecosystem destroyed and contamination. When a literature makes efforts to describe overall look of life in literary imagination, it can disclose serious environmental crisis and effectively solve those problems. In late 1970′s, the eco-novel made appearance for the first time when the novelist Kim Won-il published ″A meditation on a snipe″:Since then, new novel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because people were more interested in ecosystem problems. The paper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ime. The eco-novel has a negative situation cognition caused by the ecosystem destroyed. Therefore, it raises a claim against the actual condition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y be produced by the water quality, atmosphere, soil and radioactivity, etc. The novels that cover those contamination problems are found to create negative thought of jeopardized life as well as uneasy existence.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y destroy home and the society, and men′s excessive pursuit for desires and associated loss made by industrialization have influence upon human spirit. Therefore, the ecosystem destroyed may produce contamination and destructive aspects as an external phenomenon, and it shall also create a depleted spirit to produce overall negative situation. The eco-novel pursue a harmony between the nature and men based on the dignity of life as well as the thought of respect of life. The values of all of the lives are entitled to be respected. Therefore, the novel describes the dignity of life: Based on the cognition that the destructed ecosystem was basically originated from antropo centrism, the novel devotes itself to criticism against antropo centrism. In addition, the novel pursues eco-feminism, because the ecological thought is combined with feminism to resemble each other at both the nature of both human-centered world view and the woman of men-centered world view. In addition, the eco-novel looks for a mythical world to make shape of it. A true myth is in good harmony with the nature to recover a mythical world. In addition, the novel rejects dual thought and follows unitary thought looking for good harmony between men and the nature, in other words, an organic world cognition. Therefore, the ecological literature ultimately looks for such a cognition. The eco-novel can be defined to be a purpose literature to recover the ecosystem, so that the acquisition of literary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art characteristics is thought to be important. However, not only unique description but also a metaphorical style is used to attain literar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novel can attain both purpose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successfully. The eco-novels having those conditions remind readers of the ecosystem problems to recover the ecosystem i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men are a part of the ecosystem, both the nature and men are important and equal. To recover the ecosystem, therefore, men need to change their cognition to realize not a divided world but an integrated world. In the 21st century, the ecosystem problems have become a topics. To solve the ecosystem problems in the past, an organic world cognition that both the nature and men are in the same boat needs to be attained, and good harmony between both is to be given priority: Novels are demanded to those functions as well.

      • 중소기업 전자시장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엘리베이터 제조부문을 중심으로

        송경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터넷의 확산과 IT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 기업, 정부 등의 전자 상거래 가 날로 증가 추세에 있다. 그중에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의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 되고 있지만 기업과 가업간의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속도는 느리게 움직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기업의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을 갖고 특히 우리나라 산업의 90%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중소기업 중에서 엘리베이터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요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처해있는 현실적인 상황에 대하여 몇 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대기업의 하청 물량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중소기업의 특성상 모기업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요인을 제시하여 그 요인이 전자 상거래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 하였고, 그에 대한 관련 문헌연구와 설문을 수집하여 통계자료 분석 결과 엘리베이터 부품관련 중소기업들의 전자상거래는 내부적 요인보다는 모기업, 외부지원과 같은 외부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는 중소기업과 연관된 대기업의 여러 가지 정책의 변화(관련부품의 표준화, 대기업의 협력업체 관리 정책의 변화)가 뒤따라야만 중소기업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전자상거래 활성화 요인은 중소기업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Commerce operations between individuals, businesses, and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rapid growth in Internet us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is increase remains true only for those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P2P) and those between individuals and businesses(B2C); trade between businesses (B2B) alone shows slower rates of revit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lans for reinvigoration of these smaller businesses that supply elevator parts.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SMEs) occupy nearly 90% of our country's industries. Although many factors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e-commerce trade for smaller enterprises, this paper presents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reality behind our country's SMEs below. The smaller companies' dependence on subcontracts from larger businesses point to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parent company as a potential area for change. Statistical analysis on data gathered from surveys and relevant literature also reveals that the slower rates of e-Commerce trade for SMEs is not due to internal factors, but rather,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support from parent companies. Moreover, we believe that the policies of larger companies regarding SMEs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Cooperation with their partners) must change accordingly to truly allow reinvigoration of the SMEs' e-Commerce operations. The factors addressed in this research paper will prove useful by inciting change in e-commerce policies for S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