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direct Speech Acts in English and Chinese

        손요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verbal communication, people often avoid saying bluntly what they want to say. Instead, they tend to say their intention in a roundabout way. This kind of language phenomenon is usually referred to as indirectness. Searle first put forward the concept of the indirect speech act in 1975. The Indirect speech act is regarded as a language device often used in daily conversation. The study is devoted to a contrastive study of English and Chinese indirect speech acts. Although the indirect speech act is acknowledged as a universal language device used in daily conversation in every culture, its cultural specificity is sometimes neglected, especially when we are engage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study mainly demonstrates language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s on the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From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Chinese and English indirect speech acts show that indirect speech acts and culture have a close relationship. The study's purpose is to fully realiz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indirect speech acts. Moreover,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ep-rooted cultural orientations of English and Chinese cultures, hoping to provide valuable references concerning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indirect speech acts. This study expects to raise our cross-cultural awareness. Furthermore, it expect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duct successful and eff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의사소통은 화자가 언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나타내고, 청자가 언어와 그 언어가 쓰인 상황 또는 맥락을 통해 화자의 뜻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상생활에서 화자는 발화의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청자의 체면을 손상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자신의 뜻을 때로는 간접적으로 우회해서 표현하기도 한다. 이로써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s)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영어와 중국어 간접화행에 대한 대조적인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간접화행은 모든 문화에서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는 보편적인 언어 장치로 인정받고 있지만, 특히 문화 간 의사소통에 종사할 때 그 문화적 특수성이 무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논문은 중국어와 영어 간접화행은 이문화적 관점에서 작용하며 간접화행과 문화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접화행의 문화적 차이를 충분히 깨닫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 연구는 간접화행에 대한 문화적 해석에 관한 귀중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를 바라면서 영어와 중국 문화의 뿌리 깊은 문화적 지향점을 조사하기 위해 더 나아가고 있다. 영어와 중국어 간접화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분들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발화를 산출해내지 못할 때 의사소통의 실패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다문화 인식을 높이고, 의사소통적 언어사용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문화 간의사소통을 수행하는 데 실용적 가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