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警察의 人事制度에 관한 硏究

        손연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Korea concluded a treaty of amity with China in 1992, cultural and personnel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became very active. However, as interchange become larger, all sorts of crimes are getting more and more. Especially, international crimes which cases issued recently as which kidnaping of Korean people by Choson tribe in China and colli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shing boats and others are increasing. To solving these problems, a summit of two nations concluded "Korea-China cooperation pact for criminal justice" in 1998. Now international crime never can be resolved by only any nation's power of judicial poli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wo nations promptly set up investigative cooperation system which understand and study mutual police system. We will take great pains to wipe out the international crime through more value studies on the basis of generalized understand of police as abov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to enlarge understand of police between two nations. But inspite of some limits of this study, I think it is meaningful in the light of the first study about Chinese police. Chinese police is under the double burden of a guardiance of Chinese typical socialism which emphasized by the Communists and government and maintenance of policing to protect life and property of all the people. Also, they have wider in their duties than other nations. For example, they can enforce not only investigation, policing, traffic, fire service but also equipment, train, airplane, forestry, and others. It means that the power of police in China is stronger than other nations. As these circumstances in China into consideration, I arranged the police personnel system as follows. First, the police personnel education system is practicing according to the law and regulation in stability, but irrational factors in the socialistic planned economy era which be contradictory to the market economy system of the present time remain up to now. Second, most of all desolation of the spirit and illegality and corruption by officers due to reform and open-door policy is being in serious problem. However, the government is taking efforts to reform the police system by refering to other nation's one. Third, Chinese police is taking much interests in criminal problems occurred in the center of economic special area and also, developing a movement to expose illegality and corruption by government.

      • 중국 철도화운의 발전전략

        손연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typical continental country with wide range of economical connection and business relationship, China needs a strong transportation form to connect the whole country and the national economy while directing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other transportation forms. With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such as heavy cargo, lower cost and less power consumption, railway does not only enjoying the definite advantage in high-volume people/freight transportation of medium and long distance, but also is the most suitable key transportation form given Chinese economical and geological character and national income. Currently China railway ranks 1st in transportation intension and is known as the most busy railway in the word since it completes24% cargo load of the world with 6% operation distance. The railway provides strong transportation support for rapid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sets firm material basis for the fast improvement of logistic industry in China. However, along with the continuous improvement in transportation quality and quantity since 1990s, there is huge change in transportation structure in China. Highway and airway industries develop so quickly that the market share of railway transportation is beaten severely although the latter had been keeping the main force in China's freight market. The traditional operation idea and management model of the railway industry meet hard challenge in severe marketing competition. As resources and environment conditions restrict economic development in more aspects as well as the conflict between limited resource and business requirement became more and more notable, railway industry meets new pressure in the energy and raw materials transportation. Meanwhile, China announced China's railway plan in the 11th five years in the late Oct, 2006. In the plan, China projects to build more than 90000- kilometer long railways, among which 45% are compound and electric. Besides, China plans to build more than 20000- kilometer long fast-speed railways and 35000- kilometer long railways in Western China so as to achieve the freight load of 180 million tons of coals and form the national-size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All these will build the solid foundation for the energetic development of China's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search for new trend of China's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and provides suitable advices for it on the basis of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developing trend in this industry. The purpose is to have the railway make a key role in national economy development and strengthen the main-force position of railway in China's complicated transportation networks. This thesis comprises five parts. Chapter 1, the general introduction, mainly puts forward the background,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research as well as sets up the whole framework of the thesis. Chapter 2 focus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situation of China's railway freight industry. Firstly, the chapter has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railway industry, including the network construction, technical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the position of railway within Chinese complicated transportation system. Secondly, it analyses the necessity and the achievement in developing modern logistics in China's railway freight industry. Then we go to Chapter 3 and chapter 4, the key parts in the thesis. Applying the strategic analytical method of SWOT, chapter 3 points out the main strength and weakness internally as well as the important opportunity and challenges externally for China's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And then it makes the scientific valuation on how to form and choose the suitable development strategy. Chapter 4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a's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On the one hand, the railway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railway network,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information system and electronic business, must be improved and popularized. On the other hand, the action should be taken in management system such as dividing railway network from operation, introducing the competition mechanism, improving related legislation and bringing up the talents. Furthermore the reform of transportation system should be made to develop the multi-model transportation, location logistics centralization and the third-party logistics. The conclusion is drawn in chapter 5 after the process of digging out in the previous parts. Chinese government should aggressively invest in the construction of railway networks, especially those in Western China and other areas with ample natural recourses. Meanwhile emphasis should also be put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tainer transportation and multi-modal transportation so that railway freight transpiration will play the key role in China's complicated transportation system.

      • 장애대학생 학습지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손연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장애대학생 학습지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복지학 전공 손 연 지도 교수 김 종 인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에게 지원한 학습지원이 취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가를 살펴 보고자하였다. 199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의 시행은 장애인 고등교육에 새로운 장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고, 매년 대학에 입학하는 장애학생수가 증가하여 2008년 4월 195개 대학에 3,837명의 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장애학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며 졸업 후 모두 취업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학교생활과 학습의 부적응과 직업관련 전문적인 지식의 함양의 폭넓은 기회가 주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장애대학생들이 전문교육을 통하여 능력을 갖춘다면 취업의 기회는 더욱 넓어질 것이며 취업 후에도 성공적인 직업수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전제로 하여 장애학생들이 원활한 학습수행과 학습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학습지원의 필요성과 실효성을 재고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관성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개선에 대한 이해가 필요시 된다고 본다. 그 이유로는 법적인 제도적 차원에서 장애인에게 고등교육의 기회가 열려(openness)있더라도 이러한 기회를 전문적인 지식의 효과적인 배양을 위하여서는 학교의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직업관련 전문적인 지식의 효과적인 습득과 학업수행과정에서 장애인학생이 창의적인 자기개발의 기회로 학습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그 만큼 취업의 기회는 넓어질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 스스로의 주관적인 욕구의 충족과 실현의 과정은 자립성(independence)의 확립의 기회가 된다고 본다. 이러한 점은 장애학생들의 설문조사의 응답의 결과에 대한 분석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장애학생 학습지원이 학교생활과 학업의 성취와 효과성에 대한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학습지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유발적인 효과로서 원활한 대인관계의 형성과 정보접근 방법의 활용과 정보취득 능력의 함양하는 기회에 대하여서도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 학습지원이 이러한 긍정적인 면과는 달리 부정적인 면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장애대학생 학습지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는 설문조사의 응답의 결과분석에서 보여주는 바는 장애학생에게 있어서 학습지원은 본질적으로는 학습의 편의성과 아울러 학습의 효과적인 수행과 성취로 나타나며 유발적인 면에서는 대인관계의 형성과 정보 활용의 능력의 향상의 기회로 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이러한 계기는 장애학생에게 취업에 대한 자신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에 따르는 긍정적인 면이 더욱 확대 발전시키면서도 부정적인 면을 해소하기 위 하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우선적으로는 정보화의 기술의 진보에 부응하는 장애학생 학습지원의 물적인 체계가 직업과 관련하여 세분화되고 전문화됨으로서 학습 효과의 향상과 취업과 직업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체계가 너무 복잡하여 장애학생이 접근하고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준다면 도움을 주기보다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장애학생 학습지원의 인적인 체계에 있어서 장애학생이 인적체계의 접근과 활용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원활한 대인관계의 형성과 심리적인 역량 강화의 측면과는 달리 장애학생과 도우미 간에 감정의 충돌이나 그릇된 편견의 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면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끝으로 장애학생 학습지원은 장애학생들에게 더 전문적이고 넓은 취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애인학생에게 창의성의 개발의 단계로까지 발전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제언이 요청 된다고 본다. 첫째로, 정보화의 기술의 향상과 정보체계화에 상응하는 면에서 장애학생 학습지원 도 보다 직업과 관련하여 전문화되고 체계화 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장애학생 학습지원의 인적인 도우미들은 장애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배려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주기적인 교육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로, 법적인 제도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현대의 과학기술의 진보와 정보화의 기술의 향상에 부응하는 면에서 직업과 관련하여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장애유형의 구분이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넷째로, 장애학생의 학습지원을 취업과 연계시킬 교육과정과 취업 학습시스뎀을 강구하여야 한다. 특히 장애유형별 매뉴얼의 연구가 요청된다.

      • 중국 부동산 상장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의 배경을 중심으로

        손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ang (2019) proved that profitability indicators of financial indicators in the Chinese stock marke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s. However, China's real estate market is a policy market, so the real estate industr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industries. Policies can determine the rapid development or relatively sound development or stability of China's real estate market. In this research, using real estate companies listed on the Shenzhen Shanghai A stock market from July 2001 to June 2021 as a research sample, mainl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profitability and stock returns in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re is no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tability and stock returns of real estate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rofitability, the higher the stock returns are not. This may be because during the perio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real estate price continues to rise from the basic value, then profitability continues to increase from the basic value. Investors believe that the increase in profitability deviating from the basic value will not last, they avoided stocks and sold their stocks, causing the stock price to fall, which weakened the significance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tability and the stock returns in the overall period. During the perio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tability and the stock returns of real estate companies weakens. This is because, during the perio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real estate price continues to rise from the basic value, then profitability continues to increase from the basic value. Investors believe that the increase in profitability deviating from the basic value will not last, they avoided stocks and sold their stocks, causing the stock price to fall. During the period to regulate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tability and stock returns of real estate companies becomes stronger. This is because the policy intervention has made investors who usher in the sound development or stability of the market after a period of market overheating strongly believe that there is inertia in the increase in profits, so investors predict that long-term investment in companies with high profitability will have big profits then strongly prefer stocks Wang(2019)은 중국 주식시장에 재무지표의 수익성 지표가 주식수익률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런데 중국 부동산시장은 정책시장이어서 부동산 산업은 다른 산업과 다른 특성이 있다. 정부는 정책을 공포하여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부동산 산업은 급속하게 발전한다. 정부는 정책을 공포하여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규제하고, 부동산 산업은 상대적으로 건전하게 발전하거나 안정된다. Hu(2015)에서는 중국 부동산 상장기업의 수익성이 주식수익률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Hu(2015)는 거시적 영향 요인 등 요인을 제거하고 재무지표 만과 수익률 간의 상관관계 정도를 연구하였다. 따라서 정책의 영향으로 부동산 상장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비어 있다. 본 연구는 2001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선전 상하이 A주식 시장에 상장된 부동산 기업을 연구 표본으로 사용하여 주요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의 배경에서 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수익성은 Sloan(1996), Patricia et al.(1998) 등에 따라 감가상각 후 영업이익을 선정하였다. 주식수익률은 Wang(2019)에 따라 년 주식수익률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동산 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정(+)의 상관관계가 없다. 즉, 부동산 기업의 수익성이 높을수록 주식수익률이 더 높지 않다. 이러한 결과는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에 부동산 가격이 기본가치에서 벗어나 계속 올라 수익성도 기본가치에서 벗어나 계속 상승하고, 투자자가 기본가치에서 벗어난 수익성 상승이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주식을 기피하여 주식을 팔아서 주가가 하락하였다, 이는 전체 시기에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정(+)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을 약화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에는 부동산 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정(+)의 관계가 약해진다. 이것은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에 부동산 가격이 기본가치에서 벗어나 계속 올라 수익성도 기본가치에서 벗어나 계속 상승하고, 투자자가 기본가치에서 벗어난 수익성 상승이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주식을 기피하여 주식을 팔아서 주가가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규제하는 시기에는 부동산 기업의 수익성과 주식수익률 간의 정(+)의 관계가 강해진다. 이것은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규제하는 시기에 정부의 정책 개입으로 인해 시장 과열을 겪은 후 부동산시장이 상대적으로 건전하게 발전하거나 안정되는 것을 맞이한 것이 투자자를 이익 증가가 관성이 있다고 강하게 믿게 하여서 투자자는 수익성이 높은 기업을 장기 투자하면 큰 이익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주식을 강하게 선호하였기 때문이다. 중국 부동산 산업은 장기적으로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에 있었기 때문에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시기에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졌지만 기본가치를 벗어나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투자자는 이러한 수익성 상승이 국외 주식시장과 중국 주식시장 같은 정상적인 주식시장에서의 일반적인 상승 관성이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선호하는 것과 반대로 주식을 기피한다. 이것은 중국 부동산 주식시장의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책 실무자들에게 중국 부동산 주식시장이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확실한 대책을 제시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통제변수를 설정하였고, 다른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바 결과는 충분히 반영할 수 없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 팬톤 컬러를 활용한 뷰티 및 패션 브랜드의 컬러 마케팅 사례 분석

        손연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founding of the American color company Pantone and the creation of The Pantone Color System(PMS) made color standards available to manufacturers in various color-based industries, thereby bringing innovation to the design industry. Pantone has developed a color-matching system that assigns a unique number to colors and has been selecting and announcing the “Color of the Year” since 2000, resulting i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this Color of the Year is being actively used and applied to marketing in color-related industries.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at it analyzes the marketing cases of beauty and fashion brands that use Pantone's Color of the Year and examines how the brands have used it.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futur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and fashion industries.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theoretical stud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searching books, periodicals, and related press releases, etc., focusing on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color marketing, Pantone and its matching system, Pantone's Color of the Year, the design fields in which Pantone is used, and beauty and fashion brands. In the empirical study, 68 cases of marketing using Pantone colors from 2015 to 2021 were classified by year and by beauty and fashion brands, and then analyzed by being classified into cases of direct collaboration with Pantone using the Color of the Year, cases in which new products were launched using the Color of the Year, and cases in which existing products were marketed using the Color of the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13 cases, the Color of the Year was marketed through direct collaboration with Pantone. These consisted of 11 cases of collaboration between Pantone and beauty brands VDL, SEP, and Sephora, and 2 cases of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s MIXXO and VIKI. In particular, VDL and Sephora had, over many years, repeatedly launched products in collaboration with Pantone. Second, in 48 cases, new products were launched and marketed using the Color of the Year without direct collaboration with Pantone by 17 beauty brands, including Skinfood, The Face Shop, Nature Republic, The Saem, IOPE, VT Cosmetics, Bandi, Banila Co, MAC, Dior, Lancome, Chanel, and Giorgio Armani, and by 31 fashion brands, including The North Face, Kolon Sports, Olive des Olive, Roem, Kumgang Shoe, MCM, Eider, BYC, Olivia Lauren, Jill Stewart, Longchamp, Burberry, MLB, Acne Studios, Louis Vuitton, Maison Kitsune, and Kodak Apparel, constituting the largest number of confirmed cases of product launches. Therefore, both beauty and fashion brands reacted sensitively to Pantone's announcement of the Color of the Year and tended to continuously release related collections or single products or to use them for marketing, even in cases without direct collaboration with Pantone. Third, 7 cases involved existing products for marketing by seven beauty brands, although the brands did not directly collaborate with Pantone or launch new products: The Saem, Innisfree, VDIVOV, B by Banila, Giorgio Armani, Lush, and NARS. Even in cases in which new products were not launched, the brands tended to market existing products using the Color of the Year. Although the color design sector is the same for both beauty and fashion brands, more Pantone colors were used by fashion brands than for beauty brands, because fashion brands had greater freedom in the use of color, a wider range of products, and fewer restrictions than did brands in the beauty industry. It can be confirmed that both beauty and fashion brands showed interest in Pantone's Color of the Year and used it in their product marketing, as mentioned earlier. Color plays a big role in both the beauty and fashion industries; thus, using Pantone's Color of the Year for marketing not only contributes to sales growth, but also leads consumers to perceive their products as reflective of trends, which is expected to be of considerable help in raising their brand awarenes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both beauty and fashion brands can effectively generate more profits by marketing existing products, leveraging off of the Pantone Color of the Year, without launching new collections or products. Collaborations with Pantone, or marketing using Pantone's colors, are gradually increasing throughout the design industry,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Both beauty brands and fashion brands are expected to expand the use of color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Pantone, which is expected to become a trend in the future. 미국의 색채 회사 팬톤(Pantone)이 설립되고 팬톤 컬러 매칭 시스템(PMS · Pantone matching system)이 만들어진 후 컬러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산업에 컬러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자인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다. 팬톤은 컬러에 고유 번호를 붙인 컬러 매칭 시스템을 개발하고 2000년도부터 올해의 색(Color of the Year)을 선정하여 발표해 오고 있으며 이는 컬러와 관련 있는 산업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마케팅에 적용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본 연구는 팬톤이 발표하는 올해의 색을 활용하는 뷰티 및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여 브랜드에서 어떻게 활용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뷰티 및 패션 산업에서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연구에서 컬러 마케팅의 개념과 형성 배경, 팬톤과 팬톤의 매칭 시스템, 팬톤 올해의 색, 팬톤이 활용되는 디자인 분야, 뷰티 및 패션 브랜드에 대해 단행본, 정기 간행물 및 관련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팬톤 컬러를 활용한 마케팅 68건의 사례를 연도별 분류와 뷰티 및 패션 브랜드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올해의 색을 활용하여 팬톤과 직접 협업한 사례, 올해의 색을 활용한 신제품을 출시한 사례, 기존 제품으로 올해의 색을 활용한 마케팅만 진행한 사례로 나누어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팬톤과 직접 협업으로 올해의 색 마케팅을 진행한 사례는 13건이며 뷰티 브랜드 VDL, SEP, 세포라에서 11건의 팬톤과 협업을 진행하였고 패션 브랜드 미쏘와 비키에서 2건의 협업이 진행되었다. 특히 VDL과 세포라의 경우 다년간 팬톤과 협업하여 제품을 출시하는 사례를 선보였다. 둘째, 팬톤과 직접 협업을 진행하지는 않았으나 올해의 색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한 사례는 48건으로 뷰티 브랜드 스킨푸드, 더페이스샵, 네이처리퍼블릭, 더샘, 아이오페, 브이티 코스메틱, 반디, 바닐라코, 맥, 디올, 랑콤, 샤넬, 조르지오 아르마니 등에서 17건의 제품 출시가 이루어졌고 패션 브랜드는 노스페이스, 코오롱 스포츠, 올리브 데 올리브, 로엠, 금강제화, MCM, 아이더, BYC, 올리비아 로렌, 질 스튜어트, 롱샴, 버버리, MLB, 아크네 스튜디오, 루이 비통, 메종키츠네, 코닥어패럴 등에서 31건의 제품 출시가 이루어져 가장 많은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팬톤과 직접 협업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뷰티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 모두 팬톤의 올해의 색 발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와 관련된 컬렉션 또는 단일 상품을 지속해서 출시하거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팬톤과의 직접 협업이나 신제품을 출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존 제품으로 마케팅에 활용한 사례는 7건으로 뷰티 브랜드 더샘, 이니스프리, VDIVOV, 비바이바닐라, 조르지오 아르마니, 러쉬, 나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존의 제품으로 올해의 색을 이용한 마케팅에 편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동일한 제품 디자인 영역임에도 패션은 컬러 사용이 훨씬 자유롭고 범위가 넓으며 제약이 덜하므로 뷰티 브랜드에 비해 패션 브랜드에서 더 많은 팬톤 컬러의 활용이 이루어졌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뷰티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 모두 팬톤의 올해의 색에 관심을 보이며 이를 자사의 제품 마케팅에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분야 전부 컬러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팬톤이 선정하는 올해의 색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은 매출 상승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가 출시하는 제품이 유행을 빠르게 반영한다는 인식을 소비자들에게 심어줄 수 있어 브랜드의 인식 제고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운 컬렉션이나 상품을 출시하지 않아도 팬톤의 인지도를 활용하여 기존에 출시된 상품으로 컬러 마케팅에 편승할 수 있어 뷰티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 모두 효과적으로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디자인 분야 전반에 걸쳐 팬톤과의 협업이나 팬톤의 컬러를 이용한 마케팅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뷰티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 역시 팬톤과 연관된 컬러 마케팅 전략의 활용이 보다 확대되어 앞으로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사료된다.

      • QR코드의 가치특성요인이 소비자의 사용의도와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손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QR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 ‘QR’이란 ‘Quick Response’의 머리글자이다. 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Denso Wave)사가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많은 기업과 이용자들이 QR코드를 활용하여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는 QR코드가 어떠한 가치특성요인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 가치특성요인들이 QR코드에 대한 사용의도와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구성과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가설 검증하기 위하여 QR코드에 대하여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을 배포하여 18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통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QR코드 가치특성요인 중 사용편의성, 신속성, 유용성, 유희성이 사용의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정보성에 대한 가설은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였다. 사용자의 이용만족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QR코드 가치특성요인은 신속성, 유용성, 유희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용편의성과 정보성의 이용만족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QR코드의 사용의도는 이용만족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호모시스테인혈증 Apo E- mice에서 Luteolin과 Luteolin과 Luteolin-7-O-glycoside의 동맥경화 억제 효과 비교 :

        손연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Luteolin은 샐러리 (Apium graveolens L.), 로즈마리 (Rosmarinus officinalis L.), 들깨 잎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등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luteolin과 luteolin-7-O-glycoside의 섭취가 동맥경화 초기반응을 억제 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poE gene이 탈락되어 계속적으로 콜레스테롤 농도가 상승하는 특징을 가져 콜레스테롤 대사를 연구하는 동물모델인 Apo E knock-out mice에 고 콜레스테롤 식이(cholesterol 0.5%, fat 45%)와 동맥경화 유발인자인 호모시스테인을 음용수에 희석(0.9g/L) 하여 제공하였다. 동시에 luteolin과 luteolin-7-O-glycoside를 50 mg/BW의 농도로 강제식이하였다. 그리고 luteolin과 luteolin-7-O-glycoside를 섭취가 혈중 homocysteine의 농도,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의 농도,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iNOS 등 과 세포 부착분자인 VCAM-1, MCP-1의 발현, 세포 보호 유전자의 주요 조절인자인 Nrf2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마우스에서는 hyperhomocysteinemia가 유도되었으며 조직염색을 통해 초기동맥경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방 식이와 hyperhomocysteinemia로부터 얻은 초기 동맥경화 발생과정에서 luteolin과 luteolin-7-O-glycoside의 섭취는 혈중 TG의 농도를 감소시켰고 VCAM-1과 MCP-1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Western blot 결과 NF-κB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그에 따른 MCP-1, COX-2 등의 염증 반응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염색에서 luteolin과 liteolin-7-O-glycoside가 대동맥의 동맥경화 초기 반응을 억제시킨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조직에서는 지방간 억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luteolin 및 luteolin-7-O-glycoside는 혈중 TG의 농도를 감소시켜 주어 고지혈증과 같은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를 낮춰줄 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가져 동맥경화 초기 발생과정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두 시료 중 초기 동맥경화 반응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luteolin이었으며 이는 luteolin이 luteolin-7-O-glycoside보다 in vivo에서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때문으로 사료된다. Luteolin is a naturally occurring flavone that reportedly has anti-inflammatory effect. Flavones in plants are usually present in the form of glycosides, although occasionally they are found as aglycones. The bioavailability of flavones may differ when consumed as either aglycones or glycosides. Nonetheless, numerous studies focused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flavonoid aglycones or that in vitro. These findings are supporting reason to compare the anti-atherogenic effect of aglycone and glycoside forms of flavones in vivo. Male ApoE knockout mice (n=28, 6-week-old) were divided randomly into 4 groups of 7 mice: negative control group, homocysteine control group, luteolin and luteolin7-O-glycoside groups with homocysteine. All animals were fed by a high-fat diet, modified by AIN-93, containing 0.5% of cholesterol and 45% of fat. Luteolin and luteolin-7-O-glycoside were given daily by gavage for 5 weeks (50 mg/kg BW, respectively). To induce hyperhomocysteinemia, homocysteine was provided as a drinking water (0.9g/L). Administration of homocysteine did not affect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ratio among groups. Homocysteine feeding sharply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homocysteine and triglyceride as well as adhesion molecules including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which were attenu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luteolin and luteolin-7-O-glycoside (p<0.05). Homocysteine administration produced development of atherosclerotic process by the induction of hepatic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s well as aortic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expressions along with diminished expressions of antioxidative enzymes, such as hepatic glutathione reductase (GR), aortic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p<0.05). Administration of both flavones down-regulated express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adhesion molecules as well as up-regulated expressions of antioxidative enzymes (p<0.05). These data were in accordance with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which were analyz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 and immunohistochemistry. In a comparison of both agents, luteolin more potently attenuated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than luteolin-7-O-glycoside. These results exhibit that luteolin and luteolin-7-O-glycoside ameliorated atherogenic processes through the regulation of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ApoE knockout mice with hyperhomocystein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